KR100239054B1 -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054B1
KR100239054B1 KR1019970015840A KR19970015840A KR100239054B1 KR 100239054 B1 KR100239054 B1 KR 100239054B1 KR 1019970015840 A KR1019970015840 A KR 1019970015840A KR 19970015840 A KR19970015840 A KR 19970015840A KR 100239054 B1 KR100239054 B1 KR 10023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larm
pls
alarm sound
digit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325A (ko
Inventor
최도연
박대석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1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PLS에게 입력하는 단계와; NTR에게 번호 번역을 요구하는 단계와; 디지틀 번호를 분석하여 PLS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등록되어 있으면, 고유 번호가 낮은 숫자부터 높은 숫자까지 차례대로 독취하는 단계와; 먼저 독취된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닌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통화중이 아니면,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에게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와;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할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에게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하면, 고유 번호가 그다음 높은 단말기를 독취하므로 단말기를 모두 독취하는 단계를 구비하므로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미리 등록한후, 비상시 단말기에서 사설 교환기로 특별코드와된 번호를 다이얼링함에 따라 그룹내의 모든 단말기로 경보음을 발생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는 회사나 동일 건물내의 구내 가입자를 상호 연결시켜주며, 구내 가입자를 공중 전화 교환망의 외부 가입자와 연결 시켜주는 교환기이다.
이와같이 사설 교환기는 기업, 공공기관 및 기타 단체의 업무용 통신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것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구내 가입자와의 상호 연결과, 구내 가입자와 외부가입자를 연결해주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비상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특수 서비스로서, 사설 교환기와 연결된 건물내에서 화재나 기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경보음을 빠르게 발생하여 위험한 상황을 극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동일 그굽내의 모든 가입자에게 특별 코드를 등록하며, 등록한 가입자중 임의의 한 가입자가 비상시 특별 코드를 입력시켜 모든 가입자의 단말기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PLS로 입력하는 단계와; PLS는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에 대한 번호 번역을 NTR로 요구하는 단계와; NTR은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분석하여 용도 및 착신 위치를 확인한후, 확인 결과를 PLS로 통보하는 단계와; PLS는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가 경보용 디지틀 번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된 디지틀 번호가 특별 코드호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이면, 훅 온 상태인 다수의 단말기들에 소정 경보용 링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와; 다수의 단말기들중 먼저 링 신호가 인가된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통화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링 신호가 인가된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니면, LCS 내부의 링 보드에서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와; LCS는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할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발생하면, 고유 번호가 다음 높은 단말기를 독취하므로 다수의 단말기들을 모두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CS 2 : PLS
3 : NTR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서, LCS(Line Call control Subsystem : 이하, LCS라 약칭함)(1)와, PLS(Private Line Subsystem : 이하, PLS라 약칭함)(2) 및 NTR(Number Translat ion : 이하, NTR이라 약칭함)(3)로 구성된다.
LCS(1)는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훅 오프(Hook Off)/훅 온(Hook On)신호를 검출하여 MP(Main Processor : 이하, MP라 약칭함)블록내의 PLS(2)로 인터페이스하고, 가입자는 LCS(1)와 접속하여 훅 오프한후 특별 코드를 입력한후, 비상시 LCS(1)에서 가입자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LP(Line Processor : 이하, LP라 약칭함)블록 내부에 존재한다.
PLS(2)는 MP블록내에 존재하며, LCS(1)내의 링보드로 경보음 접속 요구를 하여 비상시에 경보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P블록에는 NTR(3)도 존재하여 상기 가입자에서 입력한 번호를 상기 LCS(1)를 통해 수신한 PLS(2)는 상기 NTR(3)로 번호 번역 요구를 하면 번호 번역 결과를 다시 상기 PLS(2)에게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흐름도에서는 경보음 발생 서비스를 위해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동일 그룹내의 모든 가입자에게 MMC(Man & Marchin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경보음 발생 서비스를 등록하는데, 여기서 경보 발생을 위한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8282라 가정하고, 또한 각 단말기의 고유 번호 즉, 단말기A는 2번, 단말기B는 4번, 단말기C는 6번, 단말기D는 8번이라 가정하였으며, 비상시에 그룹화된 다수의 단말기(A∼D)들에게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동일 그룹내의 임의의 가입자A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를 다이얼링하면, 교환기의 LP 내부에 있는 LCS(1)는 훅 오프(Hook Off)신호와 디지틀 번호 입력에 따른 다이얼톤 상태(200)를 수신한후, PLS(2)로 전송한다.
PLS(2)는 특별 코드(Special Code)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를 수신(201)한후,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에 대한 번호 번역을 NTR(3)에게 요구한다.
NTR(3)은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를 분석(202)하여 용도 및 착신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후, 다시 PLS(2)에게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한다.
PLS(2)는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받은후,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가 경보용 디지틀 번호인가를 판단(203)하여 등록된 상기 경보용 디지틀 번호가 아니면 에러 소리를 발생한다.(209)
상기 단계(203)에서 상기 경보용 디지틀 번호로 판단되면 MP내의 PLS(2)는 LCS(1)를 통해 단말기의 고유 번호가 낮은 숫자부터 높은 숫자까지 즉, 단말기A는 2번이고 단말기D는 8번이므로 단말기A에서 단말기D까지 차례대로 독취한다.(204)
첫 번째로 독취한 번호의 단말기A가 통화중이 아닌가를 판단(205)하여 통화중이면 단말기 고유 번호가 그다음 높은 단말기B를 독취(208)하여 상기 단계(204)를 다시 실행한다.
상기 단계(205)에서 통화중이 아니면 PLS(2)는 LP 내부의 LCS(1)에 존재하는 링 보드와 접속하여 단말기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A(즉, 훅 오프상태에서 8282번을 입력한후 훅 온함)에게 경보음을 발생한다.
LCS(1)는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A로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할것인지를 판단(207)하여 계속적으로 발생하면 단말기A의 고유 번호가 그다음 높은 단말기B를 독취(208)하여 상기 단계(204)를 다시 실행하므로 통화중이 아닌 모든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모두 독취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설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동일 그룹내의 모든 단말기가 경보음 발생 서비스를 등록하였을 경우 화재나 기타 비상 상태가 발생하면 특별 번호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 8282를 다이얼링 하므로 그룹내의 모든 단말기가 자동으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특수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미리 등록한후, 비상시(즉, 화재나 기타 특수 상황) 단말기에서 사설 교환기로 특별코드화된 번호를 다이얼링함에 따라 그룹내의 모든 다수의 단말기들로 경보음을 발생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단말기, LCS, PLS, NTR를 구비하며,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사설 교환기에 등록한후, 상기 사설 교환기와 연결된 동일 그룹내의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상기 PLS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PLS는 상기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에 대한 번호 번역을 상기 NTR로 요구하는 단계; 상기 NTR은 상기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를 분석하여 용도 및 착신 위치를 확인한후, 확인 결과를 PLS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PLS는 상기 특별 코드화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가 상기 경보용 디지틀 번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디지틀 번호가 상기 특별 코드호된 경보용 디지틀 번호이면, 훅 온 상태인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에 소정 경보용 링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중 먼저 링 신호가 인가된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통화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링 신호가 인가된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LCS 내부의 링 보드에서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LCS는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발생할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고유 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기로 경보음을 발생하면, 고유 번호가 다음 높은 단말기를 독취하므로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을 모두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KR1019970015840A 1997-04-28 1997-04-28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KR10023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40A KR100239054B1 (ko) 1997-04-28 1997-04-28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40A KR100239054B1 (ko) 1997-04-28 1997-04-28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325A KR19980078325A (ko) 1998-11-16
KR100239054B1 true KR100239054B1 (ko) 2000-01-15

Family

ID=1950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40A KR100239054B1 (ko) 1997-04-28 1997-04-28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326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키폰시스템에서 내선전화기의 핸드셋 방치시 호출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325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74653A (ja) 複数端末への着信呼分散サービス方式
US20020146111A1 (en) Method and telephone device for exchanging calls from plural areas with a single exchange
US59434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ISDN call between parties
KR100239054B1 (ko) 사설 교환기의 경보음 발생 방법
US6553024B1 (en)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providing performance features for mobile subscribers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JPH07240950A (ja) 追加ダイヤルイン接続方式
KR100634725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링백톤대체음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US7522914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all alerting
KR0173918B1 (ko) 중소규모 시내 전자 교환기에서의 구내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JP3903404B2 (ja) 自動交換装置
US6389131B1 (en) Enhanced initiate call attempt
WO1998042116A1 (en) Opera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21189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통화중 가입자에게 메시지 송출서비스 방법
KR100247712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외부호 허용 서비스 방법
KR20010087700A (ko)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33904B1 (ko) 디사 디엔코드를 이용한 원격호 전환 방법
KR950030539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신가입자 번호표시 절차 운용 방법
KR100242703B1 (ko) Isdn 교환기에서의 자기 단말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44178B1 (ko)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21076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측 송수화기 이탈상태 경보방법
KR0176407B1 (ko) 전화기의 착신호출기능 시험방법
KR10021411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콜 웨이팅 거부 서비스 방법
WO1999033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distinctive ale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