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843B1 -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843B1
KR100238843B1 KR1019970042241A KR19970042241A KR100238843B1 KR 100238843 B1 KR100238843 B1 KR 100238843B1 KR 1019970042241 A KR1019970042241 A KR 1019970042241A KR 19970042241 A KR19970042241 A KR 19970042241A KR 100238843 B1 KR100238843 B1 KR 10023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locking plate
inner lid
lock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954A (ko
Inventor
이의근
박분희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filed Critical 이의근
Priority to KR101997004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8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내부에 설치되는 속 뚜껑을 보다 견고하게 록킹 시킬수 있도록한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맨홀의 지지후레임에 대하여 걸림판을 갖는 속 뚜껑에는 그 걸림판의 대향위치에서 상기 지지후레임에 대하여 괘지되거나 혹은 해제되며, 모서리부위에는 반구형부가 형성된 록킹판을 상기 속 뚜껑의 저면부측에 취부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그 케이싱의 내부에 회동되게 지지된 상기 록킹판은 상기 속뚜껑과 케이싱을 통해 진입되게한 키이에 의해서 상기 지지틀로부터 괘해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상기 맨홀의 지지후레임에 대한 속 뚜껑의 록킹특성을 향상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본 발명은 각종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의 시설물을 보호하기위해 맨홀의 내부에 설치하는 맨홀용 속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용 속 뚜껑의 어느 일측면에는 그 속 뚜껑을 맨홀로부터 임의로 개방 할 수 없게한 록킹기구를 설치한 맨홀용 속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이나 혹은 전력 케이블 등의 지하 시설물을 유지 보수하기위한 목적으로 맨홀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맨홀의 구성을 보면 상기 지하 시설물과 연락되게 설치한 맨홀과, 그 맨홀과 지면과의 단차를 없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맨홀의 최상부에 설치되게한 맨홀용 겉 뚜껑과, 그 겉 뚜겅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지하 시설물들을 보호하도록한 속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속 뚜껑에는 지하 시설물을 취급자가 아닌 일반인들의 용이한 접근을 방지하기위한 목적으로 잠금장치를 설치함에 의해서 누구든지 상기 속 뚜껑을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맨홀로부터 속 뚜껑을 해체하거나 혹은 잠그기위해서 기존의 속 뚜껑에 설치한 잠금장치는 단지 랙과 피니언이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데에 사용하는 키이역시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맨홀을 정식으로 취급하는 자가 아닌 사람이라도 누구든지 드라이버나 혹은 송곳 등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맨홀용 속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가 있게되는 폐단이 있다. 더욱이 기밀을 요하는 통신이나 또는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는 막대한 손상을 입게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맨홀용 속 뚜껑에 취부되어 그 맨홀의 가장자리에 기히 설치된 지지후레임에 대하여 키이로서 괘해지 할 수 있게한 록킹장치의 구성을 개량 변형한 것에 의해, 맨홀의 비밀 유지를 위한 안전성과 아울러 견고성을 갖게한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맨홀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 그 맨홀을 폐쇄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맨홀의 지지후레임에 착탈되게 록킹 할 수 있도록 한 걸림판이 구비된 원판상의 맨홀용 속 뚜껑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의 걸림판과의 대향 위치에 형성한 키이 삽입공을 구비하고, 그 속 뚜껑의 키이 삽입공과 대면되는 위치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후레임에 대하여 록킹되게한, 대략 장방형상의 내외부 케이싱을 이루며 그 내외부 케이싱의 저벽부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과 일치되게한 지지공 및 제1볼트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내외부 케이싱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공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틀로부터 괘해지되며, 일부위에는 상기 제1볼트공과 대향되게한 제2볼트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제2볼트공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공의 내부로 회동되게 유감되는 원통축부가 돌설되고, 어느 모서리에는 반구형부가 형성된 록킹 판과, 상기 록킹 판과 내부케이싱에 지지되어 그 록킹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된 록킹 수단 ; 및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판을 상기 지지후레임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회동시키어 상기 속 뚜껑을 그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하는 대략 봉형상을 이루며 그 봉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 및 제1볼트공을 통한후 상기 제2볼트공의 내부에 결합되는 축 볼트부 및 환형상의 억제편과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된 분리용 키이를 포함하는 맨홀용 속뚜껑의 록킹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맨홀용 속 뚜겅의 록킹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제2a도는 제1도에 표시된 맨홀용 속뚜껑만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고, (b)는 맨홀용 속 뚜껑의 저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속 뚜겅의 록킹 장치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 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맨홀 20 : 속 뚜껑
30 : 지지 후레임 40 : 걸림판
100 : 록킹장치 120 : 키이
122 : 축 볼트부 124 : 억제편
126 : 손잡이부 128 : 두부 고정부
132 : 키이 삽입공 134 : 덮개판
140 : 외부 케이싱 142 : 지지공
147, 157, 177 : 제1내지 제3지지공 148 : 이물질 배출용 장공
150 : 내부 케이싱 152, 172 : 제1, 제2볼트공
158 : 걸림부 160 : 케이싱
170 : 록킹판 176a, 176b : 반구형부
178 : 돌기부 180 : 탄성부재
190 : 지지볼트 192 : 두부(頭部)
194 : 몸통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 표시된 맨홀용 속뚜껑만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고, (b)는 맨홀용 속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면 표시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되는 맨홀용 속 뚜껑(20)은 맨홀(10)과 같은 원판형태를 이루어 그 맨홀(10)을 수밀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맨홀용 속 뚜껑(20)은 그 맨홀(10)의 상단 개구연부에 설치되게 되는 환형상의 지지 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얹혀져서 상기 맨홀(10)은 폐쇄하게 되고, 또한 상기 속 뚜껑(20)의 어느 일측면부의 대향위치에는 상기 지지 후레임(30)에 대하여 록킹 작용을 하도록된 걸림판(40)과 록킹장치(100)이 장착되어있다. 상기 걸림판(40)은 격자상을 이루어 상기 속 뚜껑(20)에 일체로 장착됨에 의하여 상기 속 뚜껑(20)과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 후레임(30)에 대하여 끼움 결합 할 수 있도록된 끼움홈부(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속 뚜껑(20)의 어느 일측부는 걸림판(40)에 형성된 끼움홈부(42)에 의하여 상기 지지 후레임(30)에 록킹 상태를 이루도록 끼울수가 있고, 그 반대측은 록킹장치(100)에 의하여 상기 지지 후레임(30)에 록킹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걸림판(40)은 상기 지지 후레임(30)의 연부로부터 그대로 끼우거나 혹은 이탈 시킬수가 있지만, 상기 록킹장치(100)은 봉형상의 키이(120)에 의하여 상기 지지 후레임(30)으로부터 해제 시키거나 혹은 괘지 시킬수가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것은 후술하게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부호 (22)는 속 뚜껑(20)의 손잡이를 표시 한 것이고, 또한 도면부호(132)는 상기 키어(120)을 상기 록킹장치(100)의 내부로 진입되게 하는 데에 사용하는 키이 삽입공을 표시 한 것이고, (134)는 키이 삽입공(132)의 내부로 이물질들이 들어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판으로서 상기 속 뚜껑(20)에 대하여 회동되게 지지한 힌지부(136)에 의하여 상기 키이 삽입공(132)를 폐쇄하거나 혹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속 뚜겅의 록킹장치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록킹 장치(100)은 속 뚜껑(20)의 어느 일측면에서 키이 삽입공(132)와의 대향위치에 장착한 대략 장방형상의 통체를 이루게 형성한 케이싱(1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60)은 속 뚜껑(20)에 직접적으로 취부되며, 어느 일부분은 완전히 개구되게 형성한 외부 케이싱(140)과, 그 외부 케이싱(14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크기를 이루게하여 그 내부에 일체로 용착한 대략 ㄷ자형상의 내부 케이싱(150)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내부 케이싱(150)은 외부 케이싱(140)의 저벽부로부터 후술하는 록킹관(170)을 위치되게 할 수가 있는 공간을 두고 용착하게 되며, 상기 내외부 케이싱들(140, 150)의 각각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132)와의 대응 부분에 제1볼트공(152)와 지지공(142)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볼트공(152)는 상기 내부 케이싱(152)의 저벽부로부터 그 내부 케이싱(150)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로서 입설된 원통형부(15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케이싱(160)을 상기 속 뚜껑(20)의 키이 삽입공(132)와의 대응 위치에 취부할시 상기 내부 케이싱(150)에 형성된 제1볼트공(152)가 상기 키이 삽입공(132)와 인접되게하여 상기 키이(1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함이다.
상기 내부 케이싱(150)과 외부 케이싱(1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는 상기 록킹판(170)이 위치되게 된다. 상기 록킹판(170)에는 상기 제1볼트공(152)와 같은 크기를 이루는 제2볼트공(172)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2볼트공(172)는 상기 록킹판(170)의 하부를 향하여 돌설된 원통형 축부(17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볼트공(172)가 형성된 상기 원통형 축부(174)는 상기 지지공(142)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에 의하여 그 원통형 축부(174)는 상기 지지공(142)의 내부로 회동되게 유감 할 수가 있다. 상기 원통형 축부(174)가 상기 지지공(142)의 내부로 회동되게 삽입되면 상기 제1, 2볼트공들(142, 152)는 서로 일치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싱(140)에 형성된 지지공(142)는 그 외부 케이싱(140)의 저벽부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지공(142)에 상기 록킹판(170)의 원통형 축부(174)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록킹판(170)은 상기 케이싱(16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록킹판(170)은 내부 케이싱(150)이 외부 케이싱(140)에 용착되기에 앞서서 그 외부 케이싱(140)의 저부에 형성된 지지공(142)의 내부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록킹판(170)의 어느 모서리부 즉, 적어도 마주보게 위치된 모서리부위에는 반구형부들(176a, 176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반구형부들(176a, 176b)에 의하여 상기 록킹판(170)은 상기 외부 케이싱(140)의 내부에서 소정 각도로서 회동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록킹판(170)은 코일 스프링인 탄성부재(180)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60)의 내부 케이싱(15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80)의 어느 일단부는 상기 록킹판(170)의 어느 일측면으로부터 돌설된 돌기부(178)에 걸리게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싱(150)의 어느 일단에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걸림부(158)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판(170)은 상기 케이싱(16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상기 록킹장치(100)을 록킹하거나 혹은 해지하는 데에 사용하는 키이(120)는 대략 봉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132)를 통하여 상기 제1, 2볼트공들(142, 17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후 상기 제2볼트공(172)과 결합되게한 축 볼트부(122)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축 볼트부(122)의 바로위에는 상기 키이(120)의 진입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억제편(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 볼트부(122)와의 반대측 단부에는 손잡이부(126)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케이싱(140)의 측벽부 및 저벽부에 각각 형성한 장공(148)은 빗물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4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 및 도 4와같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속 뚜껑(20)은 그 속 뚜껑(20)에 기히 설치한 손잡이(22)를 잡고 걸림판(40)부터 걸림홈(42)를 통하여 맨홀(10)의 지지 후레임(30)에 걸리게 한 후, 이어서 상기 록킹장치(100)에 기히 삽입한 키이(120)에 의해 상기 록킹판(170)을 대략 90도로 회동 시켜서 케이싱(160)의 내부로 몰입되게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속 뚜껑(20)의 연부를 지지 후레임(30)에 닿게 한 후 상기 키이(120)을 록킹장치(100)으로부터 이탈 시키면 상기 록킹판(170)이 탄성부재(180)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지지 후레임(30)의 연부에 걸리게되는 것이다.
즉, 상기 키이(120)에 의하여 속 뚜껑(20)의 록킹장치(100)을 해지 하거나 혹은 록킹 상태를 이루도록 전환되게 하는 것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면, 먼저 상기 키이(120)을 손잡이부(126)을 잡고서 축 볼트부(122)를 속 뚜껑(20)의 키이 삽입공(132)를 통하여 상기 록킹(100)의 내부로 삽입하게되면, 상기 축 볼트부(122)는 억제편(124)가 속 뚜껑(20)에 걸리게 될 때까지 상기 키이 삽입공(132)와 일치되게 위치한 상기 케이싱(160)의 제1볼트공(152)와 제2볼트공(172)의 내부를 통하여 삽입되게 된다.
상기 억제편(124)가 속 뚜껑(20)에 걸리게되면 상기 축 볼트부(122)는 상기 록킹판(170)의 제2볼트공(172)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를 이루게된다(도 4참조).
상기 억제편(124)는 상기 축 볼트부(122)가 록킹판(170)의 제2볼트공(172)의 내부로 삽입될수 있도록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축 볼트부(122)가 상기 제2볼트공(172)의 내부로 더 진입하거나 혹은 덜 진입하게되는 일은 없게된다. 또한 상기 키이 삽입공(132)와 제1, 제2볼트공들(152, 172)는 상기 축 볼트부(122)에 비하여 약간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축 볼트부(122)를 그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 할 수가 있으며, 또 상기 제1, 제2볼트공들(152, 172)는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을 이루게 한 것을 일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예컨데 5각형 혹은 8각형등 임의 형태로서 형성 할수도 있다.
상기 키이(120)의 축 볼트부(122)가 상기 록킹판(170)의 제2볼트공(17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축 볼트부(122)는 제2볼트공(172)와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5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기 키이(12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록킹판(170)은 그 원통축부(174)가 외부 케이싱(140)의 지지공(142)의 내부에 헐겁게 유감된 상태이므로 록 킹판(170)은 상기 지지공(142)를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키이(12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록킹판(170)은 어느 대향된 모서리 부위가 반구형부들(176a, 176b)를 이룸에 의하여 회전시 상기 외부 케이싱(140)의 측벽부에 닿게되는 일 없이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저항하면서 자유롭게 회동된다. 상기 외부 케이싱(140)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위치된 상기 록킹판(170)의 회동은 그외부 케이싱(140)의 내부로 몰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판(170)은 맨홀(10)의 지지 후레임(30)의 연부로부터 해제되게 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속 뚜껑(20)을 맨홀(10)으로부터 개방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록킹판(170)은 키이(120)에 의하여 강한 회전력을 부여 받게되더라도 각진 모서리 부위가 상기 케이싱(160)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140)의 측벽부에 맞닿게 됨과 아울러 탄성부재(180)을 지지하는 돌기부(178)도 내부 케이싱(150)의 측벽부에 닿게되므로 상기 록킹판(170)이 회동되는 일은 없게되며, 특히 이러한 작용은 상기 록킹판(170)이 완전히 케이싱(160)의 내부로 몰입된 상태를 이루어서 그 록킹판(170)이 상기 맨홀(10)의 지지 후레임(20)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알수 있게한다.
한편, 상기 키이(120)으로부터 손을 떼게되거나 혹은 상기 키이(120)을 록킹장치(100)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그 동안 신장 상태를 이루고 있던 상기 탄성부재(180)의 복원력으로 상기 록킹판(170)은 원래의 상태로 신속히 회동되면서 다시 록킹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키이 삽입공(132)는 보통시에는 이물질등의 침입됨을 방지하기위한 목적으로 덮개판(134)로서 폐쇄함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록킹장치(100)을 일반적인 육각렌치로서 해제 시키려고 하면, 그 육각렌치의 일부분이 상기 내부 케이싱(150)의 제1볼트공(152)에도 닿게되므로 상기 록킹판(170)을 회동 시킬수가 없게되므로 상기 록킹장치(100)의 해제는 어렵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 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Ⅱ-Ⅱ 선 방향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 하였다.
본 실시예는 케이싱(160)을 구성하는 내외부 케이싱들(140, 150)과 그리고 록킹판(170)의 각각에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크기의 제1, 제2, 제3지지공들(157, 147, 17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지지공들(157, 147, 177)의 내부에는 지지 볼트(190)의 몸통부(194)가 삽입된후 상기 록킹판(170)의 제3지지공(177)만이 상기 지지볼트(190)의 몸통부위(194)와 용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볼트(190)의 두부(192)는 상기 내부 케이싱(150)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지지볼트(190)은 상기 내부 케이싱(150)이 외부 케이싱(140)에 결합되기에 앞서서 일단 지지공들(157, 177)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판(170)과 용착된후 외부 케이싱(140)에 결합되어 일체로 용착되게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볼트(190)은 상기 내외부 케이싱들(140, 150)에는 헐겁게 유감된 상태로서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나, 상기 록킹판(170)과는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있게되므로, 상기 록킹판(170)은 내부 케이싱(150)과 외부 케이싱(140)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키이(1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볼트(190)의 두부(192)에 결합 할 수 있게한 복스형상의 두부 고정부(128)이 일체로 설치되어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속 뚜껑(20)에 형성된 키이(120)의 삽입공(132)는 키이의 두부 고정부(128)이 삽입 될수 있도록 형성한 넓은직경의 삽입부(132a)와 그리고 이에 연속하여 상기 키이(120)의 몸체부가 삽입되게한 좁은직경의 삽입부(132b)를 이루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키이 삽입공(132)를 덮도록된 덮개판(134)도 상기 키이 삽입공(132)를 덮을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같은 형태를 이루게 형성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을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과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록킹판(170)을 해제 위치로 전환하고져 함에는 먼저 상기 키이(120)의 고정부(128)을 키이 삽입공(132)를 통하여 그 삽입공(132)와 대응되게 부착시킨 록킹장치(100)의 내부로 삽입한다.
그러나 상기 키이 고정부(128)은 키이 삽입공(132)에 있어서 좁은 직경의 삽입부(132b)를 통해서는 삽입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넓은 직경의 삽입부(132a)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128)만을 일단 삽입한후 몸체부위를 상기 좁은 직경의 삽입부(132b)의 측으로 밀어 넣음에 의해서 상기 키이(120)의 고정부(128)이 상기 지지볼트(190)의 두부(192)측과 일치되게 하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128)을 상기 지지볼트(190)의 두부(192)와 결합되게 한다.
이상태에서 상기 키이(120)을 잡고서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그 지지볼트(190)은 상기 제1, 제2지지공들(147, 157)에는 헐겁게 삽입되어 있으나, 상기 록킹판(170)과는 제3지지공(177)을 통하여 일체로 용착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판(170)만이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80)에 저항 하면서 회동됨에 의하여 맨홀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키이(120)으로부터 힘을 해제 하거나 혹은 이탈하게 되면 상기 록킹판(170)은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 가지로 탄성부재(180)의 복원력으로 원래의 상태로 신속히 복귀되면서 록킹상태를 유지 하게 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속 뚜껑(10)에 취부되어 맨홀(10)의 지지 후레임(30)에 대하여 록킹 작용을 하도록 구성한 록킹장치(100)을 별도의 키이(120)을 사용하여 해제 하거나 괘지 할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반드시 정해진 키가 아니면 맨홀용 속뚜껑을 열수가 없도록 한 효과를 얻게하며, 이로인하여 맨홀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케이블이나 전력케이블 등의 시설물을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맨홀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 그 맨홀을 폐쇄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맨홀의 지지 후레임에 착탈되게 록킹 할 수 있도록 한 걸림판이 구비된 원판상의 맨홀용 속 뚜껑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의 걸림판과의 대향 위치에 형성한 키이 삽입공을 구비하고, 그 속 뚜껑의 키이 삽입공과 대면되는 위치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 후레임에 대하여 록킹 되게한, 대략 장방형상의 내외부 케이싱을 이루면 그 내외부 케이싱의 저벽부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과 일치되게한 지지공 및 제1볼트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내외부 케이싱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공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괘해지되며, 일부위에는 상기 제1볼트공과 대향되게한 제2볼트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제2볼트공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공의 내부로 회동되게 유감되는 축부가 돌설되고, 어느 모서리에는 반구형부가 형성된 록킹 판과, 상기 록킹판과 내부 케이싱에 지지되어 그 록킹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된 록킹 수단 ; 및 상기 록킹 수단의 록킹판을 상기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회동시키어 상기 속 뚜껑을 그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하는 대략 봉형상을 이루며 그 봉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 및 제1볼트공을 통한후 상기 제2볼트공의 내부에 결합되는 축 볼트부 및 환형상의 억제편과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된 키이를 포함하는 맨홀용 속뚜껑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의 키이 삽입공과의 인접위치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그 키이 삽입공을 개폐하기위한 덮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의 어느 하나의 측벽부와 저벽부에는 이물질 배출용 장공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판과 내부 케이싱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 하도록 한 돌기부와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5. 맨홀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 그 맨홀을 폐쇄하게 설치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맨홀의 지지 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 고정 할 수 있도록 된 걸림판이 구비된 원판상의 맨홀용 속 뚜껑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의 걸림판과의 대향 위치에 형성한 키이 삽입공을 구비하고, 그 속 뚜껑의 키이 삽입공과 대면되는 위치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 후레임에 대하여 괘해지되게한, 대략 장방형상의 내외부 케이싱을 이루며 그 내외부 케이싱의 저벽부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과 일치되는 제1, 제2지지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내외부 케이싱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공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 후레임과 괘해지되며, 일부위에는 상기 제1, 제2지지공과 일치되는 제3지지공이 형성되고, 어느 모서리에는 반구형부가 형성된 록킹판과, 대략 볼트형상을 이루어 두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서 위치되며 몸통부위는 상기 지지공들을 관통하는 형태로 유감되어 일부위는 상기 록킹판과 일체로 용착된 지지볼트와, 상기 록킹 판과 내부케이싱에 지지되어 그 록킹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된 록킹 수단 ; 및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판을 상기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회동시키어 상기 속 뚜껑을 그 지지 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하는 대략 봉형상을 이루며 그 봉에는 상기 키이 삽입공을 통한후 상기 지지볼트의 두부에 결합되게한 두부 고정부와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된 키이를 포함하는 맨홀용 속뚜껑의 록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삽입공은 직경을 달리되게 형성한 삽입구멍들을 서로 연락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KR1019970042241A 1997-08-28 1997-08-28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KR10023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41A KR100238843B1 (ko) 1997-08-28 1997-08-28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41A KR100238843B1 (ko) 1997-08-28 1997-08-28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54A KR19990018954A (ko) 1999-03-15
KR100238843B1 true KR100238843B1 (ko) 2000-01-15

Family

ID=1951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241A KR100238843B1 (ko) 1997-08-28 1997-08-28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63B1 (ko) 2011-06-15 2012-09-20 주식회사 기남금속 무소음 맨홀 뚜껑 잠금구용 작동봉의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86B1 (ko) * 2015-11-24 2016-07-11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환기구용 쇄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63B1 (ko) 2011-06-15 2012-09-20 주식회사 기남금속 무소음 맨홀 뚜껑 잠금구용 작동봉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54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9137A (en) Security device
US9127489B2 (en) Door stop with security lock
US8863561B2 (en) Door stop with security lock
US11008787B2 (en) Security locking assembly for shipping container doors
US3997206A (en) Portable security locking device
US11866962B2 (en) Security locking assembly for shipping container doors
US3877261A (en) Keyed fixed door lock
KR101004129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장치
KR100238843B1 (ko) 맨홀용 속 뚜껑의 록킹장치
KR100750580B1 (ko) 문짝용 핸들의 로크 장치
US4176870A (en) Safety door holder
KR100930106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뚜껑
KR100199309B1 (ko) 통신용 맨홀의 뚜껑 잠금장치
US6314772B1 (en) Lock mechanism for pull station
KR20090007126U (ko)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JP3758798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JP2590482Y2 (ja) 公衆電話機の金庫盗難防護装置
RU32508U1 (ru) Люк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JP2590811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ロック装置
JP3617472B2 (ja) 封印機能付き扉鎖錠装置
JPH09235924A (ja) 開扉防止用錠装置
AU767310B2 (en) Padlock protector and container
JP2003227141A (ja) 締付けロック装置
JP2895477B1 (ja) マンホール蓋類のロック装置
KR200208957Y1 (ko) 출입문용 보조정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