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67B1 -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67B1
KR100238767B1 KR1019970069768A KR19970069768A KR100238767B1 KR 100238767 B1 KR100238767 B1 KR 100238767B1 KR 1019970069768 A KR1019970069768 A KR 1019970069768A KR 19970069768 A KR19970069768 A KR 19970069768A KR 100238767 B1 KR100238767 B1 KR 10023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control method
switc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634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7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되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함과 아울러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하여 공용화되도록 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의 다수의 펌프(3)와, 상기 토출관에 설치되어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6)와, 상기 토출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6)가 고장이 발생하여 압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과대한 압력을 감지하는 과대 압력 스위치(7)와, 상기 흡입관 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3)가 공운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 압력 스위치(8)와, 상기 펌프(3)에 각각 부착되어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전류 센서(11)와, 상기 토출관의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111)(112)와, 콘트롤러 패널(12)을 통해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되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디프 스위치(124)의 상태에 따라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는 마이컴(125)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되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함과 아울러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하여 공용화되도록 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건축물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시스템으로서 지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향식으로 가압 급수하는 방식의 급수 시스템을 일컫는다.
종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도 1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과, 흡입한 물을 개개의 사용처로 공급하는 토출관(2)과, 상기 흡입관(1)과 토출관(2) 사이의 다수의 펌프(3)와, 각각의 상기 펌프(3)에 연결된 다수의 밸브(4)와, 상기 토출관(2) 측에 설치되어 급격한 수압의 변화를 방지하는 압력 탱크(5)와, 상기 토출관(2)에 설치되어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6)와, 상기 토출관(2)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6)가 고장이 발생하여 압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과대한 압력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하는 과대 압력 스위치(7)와, 상기 흡입관(1) 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3)가 공운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흡입 압력 스위치(8)와, 상기 흡입관(1) 측에 설치되어 물이 부족한 것과 물의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 레벨 스위치(9)와, 상기 흡입관(1) 측에 설치되어 동파 및 고온을 방지하는 온도 센서(10)와, 상기 펌프(3)에 각각 부착되어 과전류로부터 상기 펌프(3)를 보호하는 전류 센서(11)와, 콘트롤러 패널(12)을 통해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3)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주요 동작을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 트랜스미터(6)가 감지한 압력값이 마이크로 컨트롤러(13)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압력의 구동 설정점 보다 낮아지면 펌프(3)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압력을 높인다.
그리고, 압력값이 구동 설정점보다 높게 설정되어 정지 설정점보다 높아지면 펌프(3)는 순차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펌프(3)가 켜지도 꺼지는 순서는 켜질 조건일 때는 가장 오래 전에 꺼진 것이 먼저 켜지고 꺼질 조건일 때는 가장 오래 전에 켜진 것이 꺼지도록 하는 교대 운전을 하여 구동을 균등하게 하여 펌프(3)를 보호한다.
또한, 꺼질 조건이 되었을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운전 유지시간 이상 및 최소 순차 정지시간 이상이 되어야 꺼지도록 하고, 켜질 조건이 되었을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 시간 이상이 되어야 켜지도록 하는 등의 기능으로 빈번한 기동과 정지를 줄임으로써 펌프(3)를 보호하도록 한다.
한편, 토출관(2) 측의 과대 압력 스위치(7)와 흡입관(1) 측의 흡입 압력 스위치(8)와 수위 레벨 스위치(9)와 온도 센서(10) 및 전류 센서(11) 등의 사용으로 시스템을 보호하고 이상 운전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제어장치 및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장치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장치를 채용하여 프로그램 설정 기능과 다수의 기동/정지 압력 설정 기능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 설정 기능 및 상태 표시 기능을 두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복잡하고 어려운 면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코스트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정전시 데이터 백업 방식을 배터리를 사용하여서 장기간 정전시에는 데이터를 보존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위 레벨 스위치와 온도 센서 등의 안전장치는 중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첫째: 전기적 소거 가능 ROM(Electrically Erasable ROM: 이하 "EEPROM"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둘째: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하여 조작이 간편하게 하며, 셋째: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시켜 공용화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넷째: 운전 기능 및 각종 보호 장치를 집약시켜 코스트가 절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는, 흡입관과 토출관의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펌프와, 토출관에 설치되어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토출관 측에 설치되어 압력 트랜스미터가 고장이 발생하여 압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과대한 압력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하는 과대 압력 스위치와, 흡입관 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여 펌프가 공운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흡입 압력 스위치와, 펌프에 각각 부착되어 과전류로부터 펌프를 보호하는 전류 센서와, 토출관의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와, 디프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여 콘트롤러 패널을 통해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은, 토출 측의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의 감지값을 기준으로 하는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압력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하여 공용화하되 디프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구동할 펌프의 수를 설정함과 아울러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그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키패드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서 펌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키패드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외형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펌프 제어장치의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의 구동 알고리즘.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펌프 제어장치의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구동 알고리즘.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펌프 제어장치의 에러에 대한 정의 및 처리 알고리즘.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 112 :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
120 : 마이크로 컨트롤러 121 : 전기적 소거 가능 롬(EEPROM)
122 : 키패드부 122a :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
122b :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 122c : 업(Up)키
122d : 다운(Down)키 122e : 저장키
122f : 취소키 122h : 수정키
123 : 디스플레이부 123a : 7-세그먼트
123b : 램프 124 : 디프 스위치
125 : 마이컴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한 흡입관(1), 토출관(2), 다수의 펌프(3), 다수의 밸브(4), 압력 탱크(5), 압력 트랜스미터(6), 과대 압력 스위치(7), 흡입 압력 스위치(8), 전류 센서(11)와, 상기 토출관(1)의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111)(112)와, 콘트롤러 패널(12)을 통해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되 EEPROM(121)에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디프 스위치(DIP Switch, 도 4의 참조부호 124)의 상태에 따라 마이컴(125)이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되 키패드부(122)를 통한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3)는 복수의 7-세그먼트(123a)를 채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를 핵심으로 하는 펌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키패드부(122)와 디스플레이부(123)의 외형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키패드부(122)는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와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와 업/다운키(122c,122d)와 저장/취소키(122e,122f)와 자동 운전키(122g) 및 수정키(122h)로 구성되어져 있고, 디스플레이부(123)는 펌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7-세그먼트(123a)의 표시 내용을 지시하는 복수의 램프(123b)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의 마이컴(125)은 디프 스위치(124)값을 읽어 구동할 펌프(3)의 수를 설정하고,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에서 제어방식을 결정하되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일 경우는 압력 트랜스미터(6)의 감지범위에 따른 종류를 결정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키패드부(122)와 디스플레이부(123)의 상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의 경우에 복수의 램프(123b) 중 펌프1,2,3,4,5,6램프는 펌프1,2,3호 운전시 온하고, 정지시 오프한다.
그리고, 고장 램프는 시스템 고장을 일괄 표시한다. 즉, 시스템내에 고장이 있을 경우 온하고 없을 경우는 오프한다.
7-세그먼트 표시 내용 램프는 7-세그먼트(123a)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숫자가 어떤 값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램프이다.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 또는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를 선택하고 업/다운키(122c,122d)를 누르면 각 램프가 순차적으로 온한다. 즉,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가 선택되어 있을 때 토출 압력, 기동 압력, 정지 압력, 최대 압력, 체절 압력, 지연 시간 램프를 순차적으로 온한다.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가 선택되어 있을 때는 고장 내용 램프를 온하고, 각종 설정치와 상태 및 고장 등을 표시하는 7-세그먼트(123a)는 고장 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업/다운키(122c,122d)는 7-세그먼트(123a)의 표시 내용을 다음(이전)내용으로 전환하고자 하거나, 설정된 값을 증감하고자 할 때 선택하는 키이다.
저장/취소키(122e,122f)는 저장키(122e)를 누르면 설정 내용을 EEPROM(121)에 저장하고, 상태/설정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정키(122h)를 누르면 7-세그먼트(123a)의 현재 표시치를 수정할 수 있게 하며, 수정 모드에서는 오른쪽 디지트를 점멸한다. 이때, 수정가능 항목은 토출 압력, 기동 압력, 정지 압력, 최대 압력, 체절 압력, 지연 시간으로 한다.
자동 운전키(122g)를 누르면 자동 운전 램프를 온하고 자동 운전되고, 자동 운전 상태에서 키를 다시 누르면 램프를 오프하고 운전은 정지된다.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경우에 복수의 램프(123b) 중 7-세그먼트 표시 내용 지시 램프는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가 선택되어 있을 때 토출 압력 및 지연 시간 램프만 순차적으로 온하고, 수정키(122h)는 지연 시간 설정 항목만 수정이 가능하며, 이외의 램프와 7-세그먼트(123a),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 업/다운키(122c,122d), 저장/취소키(122e,122f), 자동 운전키(122g)의 기능은 상기한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압력 트랜스미터 방식의 구동 알고리즘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3)의 구동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전에 정지한 펌프(3)를 구동하도록 하며 정지시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동안 운전한 펌프로 한다.
이때, 펌프(3)의 운전 방식은 토출 압력이 기동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가장 오래 정지한 펌프(3)부터 운전을 시작하고, 물의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면 다음으로 오래 정지한 펌프(3)가 운전한다.
그리고, 사용 수량의 감소로 토출 압력이 정지 압력에 도달하면 가장 오래 운전한 펌프(3)부터 순차적으로 정지하되 펌프(3)의 정지는 설정된 지연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을 만족하여야만 정지한다.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구동 알고리즘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동일하게 펌프(3)의 구동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정지한 펌프(3)를 구동하도록 하며, 정지시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운전한 펌프(3)로 한다.
이때, 펌프(3)의 운전 방식은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111)가 온하면 가장 오래 정지한 펌프(3)를 운전하고,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112)가 온하면 다음 펌프(3)를 운전한다.
그리고, 사용 수량이 감소하여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112)가 오프하면 가장 오래 운전한 펌프(3)를 정지하고, 계속 사용 수량이 감소하여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111)가 오프하면 다음 펌프가 정지한다.
그러나,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112)의 오프후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111)가 바로 오프되더라도 설정된 지연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을 만족하여야 정지한다.
도 9에는 압력 트랜스미터 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을 표시하였고, 도 10에는 압력 스위치 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을 표시하였다.
이러한 운전 관련 데이터의 설정 및 저장은 모두 디지털로 이루어지는데 EEPROM(121)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기억하도록 하며 설정 항목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일 경우는 기동 압력, 정지 압력, 최대 압력, 체절 압력, 토출 압력, 지연 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 등으로 한다. 특히 토출 압력 설정은 압력 트랜스미터(6)의 기준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키패드부(122)의 업/다운키(122c,122d)로 조정한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연 시간만을 수정 가능한 설정 항목으로 한다.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일 경우에 운전 관련 설정 변수는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를 선택하면 최초로 복수의 램프(123b) 중 토출 압력 램프를 켜지고, 7-세그먼트(123a)에는 현재 감지되고 있는 토출 압력이 표시된다.
그리고, 다음 값으로의 전환은 업/다운키(122c,122d)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한 번씩 다음의 설정치를 지시하는 램프가 켜지고, 7-세그먼트(123a)에는 해당 내용이 표시된다.
한편,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를 누르면 상태/설정 관련 램프는 모두 오프되고, 7-세그먼트(123a)에는 고장 내용을 해당 조건에 따라 표시한다.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경우에 운전 관련 설정 변수는 상태/설정 내용 표시 선택키(122a)를 선택하면 최초로 토출 압력 램프를 켜지고, 7-세그먼트(123a)에는 현재 감지되고 있는 과대 압력 스위치(7)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 값으로의 전환은 업/다운키(122c,122d)의 조작에 따라 지연 시간을 지시하는 램프가 켜지고, 7-세그먼트(123a)에는 지연 시간의 설정치가 표시된다. 즉, 토출 압력에 의한 과대 압력 스위치(7)의 스위칭 상태와 지연 시간을 교번하여 표시하는데 과대 압력 스위치(7)는 상태 표시만 가능하고 지연 시간은 표시 및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를 누르면 상태/설정 관련 램프는 모두 오프되고, 7-세그먼트(123a)에는 고장 내용을 해당 조건에 따라 표시한다.
또한, 운전 관련 설정 변수의 설정 방법은 7-세그먼트(123a)에 수정하거나 설정하고자하는 해당 값의 표시 상태에서 수정키(122h)를 선택하면 내용을 수정할 수 있고, 7-세그먼트(123a)에 표기된 값의 오른쪽 디지트를 깜박거리게 한다.
그리고, 내용의 수정은 업/다운키(122c,122d)를 사용하면 규정된 변위 만큼씩의 값이 감소 또는 증가하고, 수정된 값은 저장키(122e)를 다시 선택하게 되면 EEPROM(121)에 그 값을 써넣으며, 취소키(122f)를 선택하면 수정을 취소한다.
도 8에는 에러에 대한 정의 및 처리 알고리즘을 표시하였다.
시스템의 안전한 사용 및 유지를 위하여 마이컴(120)은 각종 에러신호의 입력에 따라 해당 보호동작을 수행하는데 고장 발생 내용을 EEPROM(121)에 기억시켜 이력을 가지고 있도록 하여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그 내용을 EEPROM(121)에 자동 저장하여 전원이 꺼지더라도 해당 내용을 기억하도록 하고 고장 원인이 제거되면 시스템은 주어진 운전 복귀 방법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고장 일괄 출력을 온하고, 고장 원인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일괄 출력을 오프한다.
이때, 고장 내용은 고장 내용 표시 선택키(122b)를 선택하게 되면 고장 내용 램프를 온하고, 해당 표시를 발생 순서에 따라 7-세그먼트(123a)에 표시한다.
그리고, 고장이 발생함에 따라 EEPROM(121)에 저장된 고장 내용은 고장 원인이 해제되더라도 취소하기 전에는 그대로 기억하고 있도록 한다.
또한, EEPROM(121)에 저장된 고장 내용은 해당 고장 내용 표시상태에서 취소키(122f)를 선택하면 EEPROM(121)에서 내용을 지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EEPROM을 사용하여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하여 조작이 간편하게 하며,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시켜 공용화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운전 기능 및 각종 보호 장치를 집약시켜 코스트가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흡입관과 토출관의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펌프와,
    상기 토출관에 설치되어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토출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가 고장이 발생하여 압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과대한 압력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하는 과대 압력 스위치와,
    상기 흡입관 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가 공운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흡입 압력 스위치와,
    상기 펌프에 각각 부착되어 과전류로부터 상기 펌프를 보호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토출관의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와,
    디프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여 콘트롤러 패널을 통해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전기적 소거 가능 롬(EEPROM)에 운전 관련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이력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키패드부를 통한 토출 압력의 기준 오프셋 조정은 디지탈 방식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는 7-세그먼트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프셋 조정은 업/다운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
  6. 토출 측의 물의 사용량에 따라 변화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의 감지값을 기준으로 하는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토출 압력이 각기 설정된 소정 압력이 되면 스위칭되는 압력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을 통합하여 공용화하되 디프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구동할 펌프의 수를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 중 제어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의 펌프 운전 방식은 토출 압력이 기동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가장 오래 정지한 펌프부터 운전을 시작하고, 물의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면 다음으로 오래 정지한 펌프가 운전하며, 사용 수량의 감소로 토출 압력이 정지 압력에 도달하면 가장 오래 운전한 펌프부터 순차적으로 정지하되 펌프의 정지는 설정된 지연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을 만족하여야만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펌프 운전 방식은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가 온하면 가장 오래 정지한 펌프를 운전하며,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가 온하면 다음 펌프를 운전하고, 사용 수량이 감소하여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가 오프하면 가장 오래 운전한 펌프를 정지하고, 계속 사용 수량이 감소하여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가 오프하면 다음 펌프가 정지하되 제 2 설정 압력 스위치의 오프후 제 1 설정 압력 스위치가 바로 오프되더라도 설정된 지연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을 만족하여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구동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전에 정지한 펌프를 구동하도록 하고, 정지시 우선 순위는 가장 오래 동안 운전한 펌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은 기동 압력과 정지 압력과 최대 압력과 체절 압력과 토출 압력 및 지연 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11.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에서의 운전 관련 설정 항목은 지연 시간(최소 운전 유지 시간)만이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의 수정방법은 수정하거나 설정하고자하는 해당 값의 표시 상태에서 수정을 선택하면 내용을 수정할 수 있고, 표기된 값의 오른쪽 디지트를 깜박거리게 하며, 내용의 수정은 업/다운키를 사용하면 규정된 변위 만큼씩의 값이 감소 또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13.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제어방식과 압력 스위치 제어방식의 에러에 대한 정의 및 처리 방법은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그 내용을 자동 저장하여 전원이 꺼지더라도 해당 내용을 기억하도록 하고 고장 원인이 제거되면 시스템은 주어진 운전 복귀 방법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에 대한 정의 및 처리 방법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고장 내용을 일괄 출력하되 고장 원인이 제거되면 에러 일괄 출력신호는 출력하지 않고, 상기 고장 내용은 해당 고장 내용 표시상태에서 취소 선택하면 내용을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방법.
KR1019970069768A 1997-12-17 1997-12-17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23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68A KR100238767B1 (ko) 1997-12-17 1997-12-17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68A KR100238767B1 (ko) 1997-12-17 1997-12-17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634A KR19990050634A (ko) 1999-07-05
KR100238767B1 true KR100238767B1 (ko) 2000-01-15

Family

ID=1952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768A KR100238767B1 (ko) 1997-12-17 1997-12-17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61B1 (ko) * 2002-05-14 2004-12-03 신한일전기주식회사 가압급수시스템의 비상 운전 제어방법
KR100530901B1 (ko) * 2002-05-17 2005-11-23 신한일전기주식회사 가압급수시스템의 주펌프 교번 운전 제어방법
KR100957541B1 (ko) * 2008-08-25 2010-05-11 윌로펌프 주식회사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
CN116044731B (zh) * 2023-01-17 2024-03-29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系统压油泵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63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2981B2 (en) Programmable power supply and brownout detector method for a microprocessor power supply
US20070177985A1 (en) Integral sensor and control for dry run and flow fault protection of a pump
US6438973B1 (en) Control board alarms
JP5140237B2 (ja) 給水装置
KR100238767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EP0530961B1 (en) Hydraulic power unit
KR20000036351A (ko)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US20020018403A1 (en) Electronic clock
KR100233927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20040065495A (ko) 마이콤을 갖는 전자기기 및 그 펌웨어 갱신 방법
KR100273463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인버터 교대운전 제어회로및 방법
KR100273822B1 (ko) 무선 자동 수위 조절방법 및 그 장치
US7225088B2 (en) Programmable power supply and brownout det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20000831A (ko) 물탱크의 수위 조절 자동화방법
EP1106809B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having mode check function
KR100238766B1 (ko) 펌프의 급수가압 장치
KR100292526B1 (ko) 부스터펌프시스템의토출압력센서의레퍼런스설정방법
KR100458961B1 (ko) 가압급수시스템의 비상 운전 제어방법
JPH09329085A (ja) 給水装置の運転制御方法
KR20020061906A (ko) 농업용수의 취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JPH08219084A (ja) 給水制御装置
KR0165723B1 (ko) 급수 장치
KR100203062B1 (ko) 정수기의 수위센서 오동작 방지방법
KR200161630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펌프 모터 제어장치
KR200328423Y1 (ko) 냉장고 자동 제빙기용 급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