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290B1 -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290B1
KR100238290B1 KR1019970024923A KR19970024923A KR100238290B1 KR 100238290 B1 KR100238290 B1 KR 100238290B1 KR 1019970024923 A KR1019970024923 A KR 1019970024923A KR 19970024923 A KR19970024923 A KR 19970024923A KR 100238290 B1 KR100238290 B1 KR 10023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el disk
tension arm
brak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551A (ko
Inventor
오정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2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테이프 레코더에 설치된 릴디스크의 회전을 마찰에 의해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슬라이드에 의해 회동되는 텐션아암과; 일측이 텐션아암과 결합되어서 그 텐션아암이 회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하는 연동레버와; 연동레버의 회동축과 동축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연동레버와 소정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것으로, 일측에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펠트가 구비된 제동레버와; 일단이 데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동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서, 마찰펠트가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동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복수의 모드로 선택하여 조정하도록 된 탄력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릴디스크 제동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Reel disc braking apparatus for tape recorder}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외주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는, 자기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카세트의 테이프릴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그 테이프릴과 결합되는 릴디스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릴디스크의 주위에는 회전하는 릴디스크에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릴디스크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릴디스크 제동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채용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는, 데크(10)에 마련된 회동축(2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일측에 자기테이프(미도시)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텐션폴(3)이 구비된 텐션아암(2)과, 상기 텐션아암(2)에 설치된 제1,2연결레버(4)(5) 및, 상기 제1,2연결레버(4)(5)에 양단이 결합되어 릴디스크(1)의 외주면에 권회되는 마찰밴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의 참조부호 8은 상기 텐션아암(2)을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텐션아암(2)을 도면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에 따라 상기 릴디스크(1)에 권회된 마찰밴드(6)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그 릴디스크(1)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어, 상기 릴디스크(1)의 회전을 상기 마찰밴드(6)의 마찰력으로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레버(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결합부재(7)에 의해 상기 텐션아암(2)의 체결공(2b)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홈(7a')이 형성된 탭부(7a)와, 상기 나사홈(7a')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2b)에 체결되는 체결부(7c)와, 상기 탭부(7a)와 상기 체결부(7c)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1연결레버(4)에 형성된 결합공(4a)에 끼워지며 상기 체결부(7c)와 소정 간격 회전중심이 이격된 캠부(7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드라이버와 같은 치구를 상기 나사홈(7a')에 끼워서 상기 탭부(7a)를 회전시키면, 상기 캠부(7b)가 상기 체결부(7c)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편심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캠부(7b)와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레버(7)가 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어, 릴디스크(1)의 외주면에 권회된 마찰밴드(6)의 장력이 조정된다. 이는 상기 마찰밴드(6)가 릴디스크(1)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변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마찰밴드(6)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구비된 조정수단인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마찰밴드(6)는, 하절기와 같이 주변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조건하에서 그 길이의 변화가 특히 현저해지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7b)의 편심원운동을 이용하는 조정수단만으로는 그 길이 변화를 완전히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마찰밴드(6)가 릴디스크(1)의 외주면에 느슨하게 권회된 채로 마찰 제동 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제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테이프 레코더의 작동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주변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릴디스크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릴디스크 제동장치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디스크 제동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릴디스크 제동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데크 101...결합후크
110...제동레버 111...마찰펠트
112a,112b,112c...제1,2,3결합슬릿
113...제1절곡편 114...관통공
115...가이드리브 120...연동레버
121...결합보스 122...제2절곡편
123...걸림편 124...캠핀
130...텐션아암 131...축부재
132...연동핀 133...가이드폴
140...축보스 150...스크류부재
160...토션스프링 170...인장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는,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설치되어 카세트의 테이프릴이 안착되는 릴디스크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슬라이드에 의해 회동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텐션아암과 결합되어서 그 텐션아암이 회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의 회동축과 동축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연동레버와 소정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펠트가 구비된 제동레버와; 일단이 상기 데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동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서, 상기 마찰펠트가 상기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동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복수의 모드로 선택하여 조정하도록 된 탄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디스크 제동장치가 채용된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릴디스크 제동장치는, 데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미도시)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폴(133)이 구비된 텐션아암(130)과, 상기 데크(100)에 고정된 축보스(14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텐션아암(130)에 결합되어서 그 텐션아암(130)의 회동에 연동되는 연동레버(120)와, 상기 축보스(14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동레버(120)와 함께 회동되며 일측에 릴디스크(200)에 밀착되는 마찰펠트(111)가 구비된 제동레버(110)와, 상기 마찰펠트(111)가 릴디스크(20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레버(110)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 예컨대 인장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170)에 의해 제동레버(110)에 작용되는 탄성력은, 후술하게 될 탄력조정수단에 의해 그 힘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우선 상기 텐션아암(130)과 연동레버(12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아암(130)에는 데크(100)에 형성된 제1결합공(100c)에 끼워져 회동축을 이루는 축부재(131)와, 상기 데크(100)에 형성된 장공(100b)을 통해 데크(100)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동핀(132)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그 일측에는 상기 연동레버(120)와의 결합을 위한 캠홀(13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핀(132)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데크(10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슬라이드에 의해 간섭되어서 상기 장공(100b)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텐션아암(130)은 이 연동핀(1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축부재(13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동레버(120)는 데크(100) 상에서 상기 제동레버(110)와 동일한 회동축을 가지고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동레버(110)에 형성된 제1관통공(110a)과 상기 연동레버(120)에 형성된 제2관통공(120a)을 통해 끼워져 상기 데크(100)의 제2결합공(100a)에 결합되는 축보스(140)를 중심으로하여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120)의 일측에는 상기 텐션아암(130)의 캠홀(130a)에 끼워지는 캠핀(124)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텐션아암(130)과 연동레버(120)는 상기 캠핀(124)과 캠홀(130a)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텐션아암(130)이 회동되면 상기 연동레버(120)도 상기 축보스(140)를 회동축으로 하여 따라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레버(120)와 상기 제동레버(11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는 상기 축보스(140)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회동축을 가진다. 그리고 그 각각의 레버들(110)(120)은 그 일측단부가 소정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의 각 단부에는 상호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절곡된 제1,2절곡편(113)(122)이 마련되고, 그 각각의 절곡편(113)(122)에는 스크류부재(150)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구멍(114) 및 결합보스(12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축보스(140)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제1절곡편(113)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연동레버(120)에 마련된 걸림편(123)에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 예컨대 토션스프링(160)이 설치되어서,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를 상호 반대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는, 상기 스크류부재(150)를 상기 나사구멍(114)을 통해 결합보스(121)에 체결함으로써 상호 결합되며, 이때 상기 스크류부재(15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탄력 범위내에서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간의 결합위치가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결합수단은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 뿐 아니라, 상기 제동레버(110)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면서 상기 마찰펠트(111)가 릴디스크(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후술하는 탄력조정수단과 함께 마찰펠트(111)의 마찰 제동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동레버(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70)의 탄력에 의해 상기 마찰펠트(111)가 릴디스크(20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탄성바이어스되는 힘은 이하에 설명되는 탄력조정수단에 의해 그 세기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동레버(110)에는 회동축을 이루는 축보스(140)의 결합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의 간격을 두고 제1, 제2 및 ,제3결합슬릿(112a,112b,112c)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제1,2,3결합슬릿(112a,112b,112c)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일단이 제동레버(110)의 회동축과 가까운 제1결합슬릿(112a)에 결합되면 상대적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힘이 커지게 되고, 반대로 회동축과 먼 제3결합슬릿(112c)에 결합되면 탄성바이어스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결합슬릿(112a,112b,112c) 중에 인장스프링(170)이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제동레버(110)가 탄성바이어스되는 힘을 예컨대 강,중,약의 복수 모드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참조부호 101은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타단이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15는 상기 연동레버(120)의 일측과 접촉되는 상기 제동레버(110)에 마련된 가이드리브(115)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연동부재(120)가 이 가이드리브(115)를 밀면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릴디스크(200)의 회전을 제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동레버(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17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텐션아암(130)이 메인슬라이드(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연동레버(120)는 상기한 캠홀(130a)과 캠핀(124)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연동레버(120)와 결합된 제동레버(11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마찰펠트(111)가 릴디스크(2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회전을 제동시키게 된다. 또한 반대로 텐션아암(13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연동레버(120)와 제동레버(110)는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결국 상기 마찰펠트(111)는 상기 텐션아암(130)에 의한 회전력과 상기 인장스프링(170)에 의한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로 물러나면서 릴디스크(200)의 제동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찰펠트(111)에 의해 릴디스크(200)에 가해지는 마찰 제동력을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일단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결합위치를 제1,2,3결합슬릿(112a,112b,112c) 중 하나로 조정하여서, 상기 제동레버(110)를 탄성바이어스시키려는 탄력을 거시적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위치를 결정한 후에는, 상기 스크류부재(15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동레버(110)와 연동레버(120)의 상대 결합 위치를 조정한다. 예컨대 상기 스크류부재(150)를 상기 결합보스(121)에 깊게 조일수록 상기 제동레버(110)는 조금씩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결합보스(121)로부터 풀어내면 제동레버(110)는 조금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제동레버(110)의 탄성바이어스되는 힘이 미세하게 조정된다. 결과적으로, 릴디스크(200)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레버(110)의 탄력은, 상기 인장스프링(170)이 결합되는 제1,2,3결합슬릿(112a,112b,112c)의 선택에 의해 거시적으로 조정되며, 이후 상기 스크류부재(15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는, 온도에 따라 길이 변화가 심한 마찰밴드를 삭제하고, 텐션아암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레버부재를 사용하여 릴디스크를 제동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제동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동에 필요한 탄성력의 세기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설치되어 카세트의 테이프릴이 안착되는 릴디스크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슬라이드에 의해 회동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텐션아암과 결합되어서 그 텐션아암이 회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의 회동축과 동축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연동레버와 소정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펠트가 구비된 제동레버와; 일단이 상기 데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동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서, 상기 마찰펠트가 상기 릴디스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동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선택하여 조정하도록 된 탄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정수단은, 상기 제동레버의 회동축으로부터 소정 간격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슬릿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이 상기 복수의 결합슬릿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동레버의 탄성력이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동레버와 상기 제동레버가 상호 탄력적으로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연동레버 및 상기 제동레버의 일단에 각각 상호 대향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1,2절곡편과,
    상기 제1,2절곡편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력범위내에서 상기 연동레버와 제동레버간의 결합위치가 조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KR1019970024923A 1997-06-16 1997-06-16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KR10023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23A KR100238290B1 (ko) 1997-06-16 1997-06-16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23A KR100238290B1 (ko) 1997-06-16 1997-06-16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51A KR19990001551A (ko) 1999-01-15
KR100238290B1 true KR100238290B1 (ko) 2000-01-15

Family

ID=1950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923A KR100238290B1 (ko) 1997-06-16 1997-06-16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2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06A (ko) * 1992-07-06 1994-03-22 알프레드 노이바우어, 디트프리트 가이슬러 델타 발레로락톤의 라세미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효소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06A (ko) * 1992-07-06 1994-03-22 알프레드 노이바우어, 디트프리트 가이슬러 델타 발레로락톤의 라세미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효소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51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966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521714Y2 (ko)
KR10023829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US5195697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ape sag during mode changing in a video recorder
US4394989A (en) Adjustable endless loop tape cartridge with shipping lock
US6581867B2 (en) Reel brak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US4123015A (en) Automatic stopping device for tape recorder
KR950010531Y1 (ko) 릴 테이블의 밴드 브레이크 마찰력 조절장치
JP2621386B2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KR10023427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디스크 제동장치
KR0116960Y1 (ko) Vcr의 브레이크 장치
KR200321595Y1 (ko) 테이프레코드의텐션아암조립체
US4359180A (en) Cassette tape recorder
JPH10334542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磁気テープ駆動装置
KR20014233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디스크 제동용 소프트 브레이크 장치
KR014756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장치
KR016237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조립체
US20050116078A1 (en) Reel clutch device and method for tape recorders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KR013019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브레이크장치
JP3420419B2 (ja) リールブレーキ装置及び記録又は再生装置
KR10040730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기어 조립체
KR20010012968A (ko) 길이가 긴 물체에 있어서 장력을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을포함하는 장력 조절수단을 구비한 장치
US5833157A (en) Tap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S62144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