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918B1 -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918B1
KR100237918B1 KR1019960060628A KR19960060628A KR100237918B1 KR 100237918 B1 KR100237918 B1 KR 100237918B1 KR 1019960060628 A KR1019960060628 A KR 1019960060628A KR 19960060628 A KR19960060628 A KR 19960060628A KR 100237918 B1 KR100237918 B1 KR 10023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blank
horizon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327A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6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9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4Blan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P 기능을 갖는 PDP 텔레비젼에 있어서, 주화면내 부화면의 수직 및 수평위치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 부터의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영상중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선택하는 동기 선택수단; 선택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블록; 모드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의 카운트값을 달리함으로써, 수 MHz 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블록; 모드 판별신호, 외부로 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검출된 수직 동기신호내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구간을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선택하여 수직 블랭킹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 생성된 수직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1 반전수단; 모드 판별신호, 클럭 발생 블록으로 부터의 클럭신호, 외부로 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내의 액티브 클럭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클럭 구간을 선택하여 수평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 생성된 수평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2 반전수단; 및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 부터의 선택 제어신호,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 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된 수직 블랭크 신호, 반전된 수직 블랭크 신호, 생성된 수평 블랭크 신호 및 반전된 수평 블랭크 신호 각각을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크 조합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APPARATUS FOR ADAPTIVELY GENERATING BLANK SIGNALS IN PDP TV}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소자에서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을 구현할 때 필요로 하는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 라 약칭함)에서 주화면상에 삽입되는 PIP 화면의 수직 및 수평위치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데 적합한 피디피(PDP)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이즈가 크고 높은 동작전압을 필요로 하는 표시장치의 대표주작격인 CRT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도처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CRT 의 대체기술로서는 박형화가 가능하고 고화질을 실현할 수 있는 EL, LED, PDP 등의 능동 디스플레이소자와 LCD, ECD 등의 수동 디스플레이소자가 있으며,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능동소자중의 하나인 PDP 표시장치의 개선, 즉 주화면내의 소정위치에 부화면이 삽입되는 PIP 기능을 PDP 텔레비젼에 채용할 때 필요로 하는 영상 블랭크 신호의 발생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IP 기능을 갖는 PDP 텔레비젼에 있어서, 주화면내 부화면의 수직 및 수평위치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IP 기능을 갖는 PDP 텔레비젼에서 주화면에 포함되는 부화면용 영상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 부터의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영상중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선택하는 동기 선택수단; 상기 동기 선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선택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블록; 상기 모드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의 카운트값을 달리함으로써, 수 MHz 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블록; 상기 모드 판별신호, 외부로 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된 수직 동기신호내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구간을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선택하여 수직 블랭킹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성된 수직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1 반전 수단; 상기 모드 판별신호, 상기 발생된 클럭신호, 외부로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내의 액티브 클럭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클럭 구간을 선택하여 수평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 상기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성된 수평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2 반전 수단; 및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 부터의 선택 제어신호, 상기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수직 블랭크 신호, 반전된 수직 블랭크 신호, 생성된 수평 블랭크 신호 및 반전된 수평 블랭크 신호 각각을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크 조합 블록으로 이루어진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PDP 영상 처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입력 영상이 NTSC 영상일 때 본 발명에 따라 수직 및 수평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최종 발생되는 수직 및 수평 블랭크 신호의 출력 조합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영상 처리 블록 120, 320 : A/D 변환 블록
140, 340 : 메모리 블록 200 : 블랭크 발생 블록
202 : 멀티플렉서 204 : 모드 판단 블록
206 : 클럭 발생 블록 208 :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
210 :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 212 : 블랭크 조합 블록
BF1, BF2 : 버퍼 INT1, INT2 : 인버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PIP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PDP 텔레비젼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로서는, 예를들면 주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채널과는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영상신호, PC 영상신호, VCR 로 부터의 재생 영상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서 주화면 또는 부화면용 영상신호로서 NTSC 방식의 방송 영상신호 또는 PC 영상신호가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통상의 NTSC 방식 영상신호는 525 라인의 한 프레임이 오드 필드와 이븐 필드로 구성되는 비월주사 방식(인터레이스 방식)을 갖는 데 반해, PC 영상신호는 순차주사 방식(넌인터레이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예로서, 본 발명에서 판별하고자하는 모드중 하나인 인터레이스 방식(예를들면, NTSC 방식)의 방송 영상신호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스펙을 갖는다.
특성 \ 필드 오드 필드 이븐 필드
총라인수 1H - 262.5H 262.5H - 525H
액티브 라인 22H - 263H 284H - 525H
유효 데이터 라인 23H - 262H 285H - 524H
블랭킹 구간 23H - 142H 285H - 404H
또한, 본 발명에서 판별하고자하는 다른 하나의 모드인 넌인터레이스 방식의 PC 영상신호, 예들들어 VGA 모드의 PC 영상신호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스펙을 갖는다.
특성 \ 모드 수직주파수(60 MHz) 수직주파수(70 MHz)
총라인수 525H 449H
액티브 라인 45H - 524H 45H - 444H
블랭킹 구간 45H - 284H 45H - 244H
즉, NTSC 방식 영상신호는 필드 단위로 구성되고, PC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며, 판별된 모드에 따라 적응적(또는 선택적)으로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젼의 개선된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PDP 영상 처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형적인 PDP 영상 처리 시스템은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 제 1 A/D 변환 블록(120), 제 1 메모리 블록(140), 블랭크 발생 블록(200),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 제 2 영상 처리 블록(300), 제 2 A/D 변환 블록(320) 및 제 2 메모리 블록(34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영상 처리 블록(100,300)은,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 즉 노이즈 제거, 레벨증폭, 이득보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또한 입력 영상에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한다. 이러한 각 영상 처리 블록(100,300)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 영상으로서는 텔레비젼 영상신호(예를들면, NTSC 영상신호), PC 영상신호, VCR 에서의 재생 영상 등이 있다.
이때,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에서 최종 출력되는 영상신호(예를들면, NTSC 영상, PC 영상 등)는 라인 L11을 통해 제 1 A/D 변환 블록(120)으로 제공되고,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H1) 및 수직 동기신호(V1)는 후술하는 블랭크 발생 블록(200)으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영상 처리 블록(300)에서 최종 출력되는 영상신호(예를들면, PC 영상, NTSC 영상 등)는 라인 L12을 통해 제 2 A/D 변환 블록(320)으로 제공되고,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H2) 및 수직 동기신호(V2)는 후술하는 블랭크 발생 블록(200)으로 제공된다.
한편, 블랭크 발생 블록(200)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는 부분인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선택)에 기초하여 도시 생략된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제어신호(SEL 0)에 응답하여,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에서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1,V1)를 주화면용 영상의 동기신호로 선택하거나 제 2 영상 처리 블록(200)에서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2,V2)를 주화면용 영상의 동기신호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주화면용 동기신호로서 H1,V1 이 선택된다는 것은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예를들면, NTSC 영상, PC 영상, 재생 영상 등)가 주화면용 영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화면용 동기신호로서 H2,V2 가 선택된다는 것은 제 2 영상 처리 블록(200)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예를들면, NTSC 영상, PC 영상, 재생 영상 등)가 주화면용 영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블랭크 선택 블록(200)에서는 선택 제어신호(SEL 0)에 따라 주화면용 동기신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화면용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영상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며, 여기에서 생성된 영상 블랭크 신호는 라인 L13 상에 출력됨과 동시에 라인 L14 또는 라인 L15 상에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즉, 블랭크 선택 블록(200)은, 주화면용 영상으로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의 영상이 선택될 때,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1,V1)에 의거하여 영상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며, 이때 생성된 영상 블랭크 신호는 라인 L13 및 라인 L14를 통해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 및 제 1 A/D 변환 블록(120)으로 각각 제공된다.
또한, 블랭크 선택 블록(200)은, 주화면용 영상으로 제 2 영상 처리 블록(200)의 영상이 선택될 때,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2,V2)에 의거하여 영상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며, 이때 생성된 영상 블랭크 신호는 라인 L13 및 라인 L15를 통해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 및 제 1 A/D 변환 블록(320)으로 각각 제공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A/D 변환 블록(120,320)은 라인 L11 및 라인 L12를 통해 각각 제공되는 주화면 및 부화면(또는 부화면 및 주화면)용 영상신호 각각에 대해 기설정되는 소정의 각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제 1 A/D 변환 블록(120)은 라인 L11 상의 영상신호가 주화면용 영상으로 선택(이때, 라인 L12 상의 출력 영상신호는 부화면용 영상이 됨)될 때 라인 L11 상의 출력 영상신호와 라인 L14 상의 영상 블랭크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메모리 블록(140)으로 제공하고, 제 2 A/D 변환 블록(320)은 라인 L12 상의 영상신호가 주화면용 영상으로 선택(이때, 라인 L11 상의 출력 영상신호는 부화면용 영상이 됨)될 때 라인 L12 상의 출력 영상신호와 라인 L15 상의 영상 블랭크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메모리 블록(340)으로 제공한다.
다른한편, 제 1 및 제 2 메모리(140,340)에는 주화면용 영상 데이터 및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또는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 및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는 데, 여기에 각각 저장되는 부화면 또는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영상 블랭크 신호는 후술하는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으로부터 제공되는 독출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독출되어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된다.
즉,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전술한 블랭크 발생 블록(200)에서 제공되는 블랭크 신호에 의거하여 데이터 독출을 위한 독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며, 여기에서 발생된 독출 어드레스 신호는 라인 L16 및 라인 L17을 통해 제 1 메모리 블록(140) 및 제 2 메모리 블록(340)으로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PIP 화면이 선택될 때, 이러한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으로 부터의 독출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주화면용 동기신호 구간에서는 주화면용 영상 데이터가 독출되고, 주화면용 동기신호의 블랭킹 구간에서는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가 독출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 발생 블록(200)의 상세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는 멀티플렉서(MUX)(202), 모드 판단 블록(204), 클럭 발생 블록(206),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10), 두 개의 버퍼(BF1,BF2), 두 개의 인버터(INT1,INT2) 및 블랭크 조합 블록(21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플렉서(202)는, 스위치의 일종인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두 입력 영상중 주화면의 선택)되는 선택 제어신호(SEL 1)에 의거하여, 도 1의 제 1 영상 처리 블록(100)에서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1,V1) 및 제 2 영상 처리 블록(300)에서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2,V2)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의 출력 라인 L21 및 L22에 각각 연결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1,V1)는 NTSC 영상에서 검출한 신호이고,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2,V2)는 PC 영상에서 검출한 신호라고 가정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NTSC 영상이 주화면용 영상으로 선택된 것이라 가정한다.
따라서, 라인 L21 및 라인 L22 상의 선택된 주화면용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2,V2)는 후술하는 모드 판단 블록(204),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 및 수평 블랭 선택 블록(210)으로 각각 제공되며, 또한 라인 L21 상의 수평 동기신호(H2)는 클럭 발생 블록(206)으로 제공된다.
다음에, 모드 판단 블록(204)에서는 라인 L21 및 라인 L22를 통해 제공되는 주화면용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에 의거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모드를 판별, 입력 영상이 인터레이스 방식의 방송 영상신호(즉, NTSC 영상)인지 또는 넌인터레이스 방식의 PC 영상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수직 동기신호(V)내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신호(H)의 개수는 인터레이스 방식(즉, NTSC 방식 영상신호)과 넌인터레이스 방식(즉, PC 영상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데, 모드 판별 블록(204)에서 수행되는 입력 영상의 모드 판별은, 수직 동기신호(V)내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신호(H)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수행되며, 이러한 수평 동기신호(H)의 개수 카운트 결과에 상응하여 라인 L25 상에 발생되는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모드 판별신호는 후술되는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 및 수평 블랭킹 선택 블록(210)으로 각각 제공된다. 또한, 라인 L23 상의 모드 판별신호는 클럭 발생 블록(206)으로 제공된다.
이때, 라인 L25 상에는 입력 영상이 인터레이스 방식(즉, NTSC 영상신호)의 영상인 경우 하이레벨의 판별신호가, 넌인터레이스 방식(PC 영상신호)의 영상인 경우 로우레벨의 판별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하이레벨의 모드 판별신호가 발생될 것이다.
다음에, 클럭 발생 블록(206)은, 예를들면 PLL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라인 L21을 통해 제공되는 수평 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발생하며, 이때 라인 L23을 통해 모드 판별 블록(204)에서 제공되는 모드 판별신호에 따라 카운트값을 달리한다. 즉, 라인 L23 상의 모드 판별신호가 하이레벨(즉, 입력 영상이 NTSC 방식 영상신호)일 때 1600 을 카운트하여 25.175 MHz 의 클럭신호를 라인 24 상에 발생하고, 라인 L23 상의 모드 판별신호가 로우레벨(즉, 입력 영상이 PC 영상신호)일 때 800 을 카운트하여 25.175 MHz 의 클럭신호를 라인 24 상에 발생하며, 라인 L24 상에 발생된 클럭신호는 후술되는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10)으로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이 어떤 영상인지의 판별결과에 따라 카운트값을 달리하는 클럭신호 발생을 통해 NTSC 영상신호 또는 PC 영상신호 등에 적합한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은, 라인 L25를 통해 상술한 모드 판단 블록(204)에서 제공되는 모드 판별신호, 사용자의 화면선택(주화면 및 부화면)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수직위치 신호(VP), 주화면용 영상에서 검출한 라인 L21 및 라인 L22 상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수직 블랭크 라인을 선택, 즉 주화면용 영상이 NTSC 영상일 때 일예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은 한 필드내 액티브 라인 구간(23H - 263H : 240 라인)중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은 블랭킹 구간(23H - 142H : 120 라인)을 갖는 수직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같은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의 구체적인 구현예로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어“피디피 텔레비젼의 수직 블랭크 발생 장치”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동일자로 출원된 것이 있다.
이때,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에서 생성되는 수직 블랭킹 구간을 갖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직 블랭크 신호는 버퍼(BF1) 및 라인 L26을 통해 블랭크 조합 블록(212)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인버터(INT1)를 통해 반전된 신호,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전되어 라인 L27을 통해 블랭크 조합 블록(212)으로 제공된다.
다른한편,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10)은, 라인 L25를 통해 상술한 모드 판단 블록(204)에서 제공되는 모드 판별신호, 사용자의 화면선택(주화면 및 부화면)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수평위치 신호(HP), 주화면용 영상에서 검출한 라인 L21 및 라인 L22 상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수평 블랭크 라인을 선택, 즉 주화면용 영상이 NTSC 영상일 때 일예로서 도 3e에 도시된 바와같은 한 라인내 액티브 클럭 펄스 구간(640 클럭)중에서 도 3f에 도시된 바와같은 블랭킹 클럭 구간(320 클럭)을 갖는 수평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같은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10)의 구체적인 구현예로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어“피디피 텔레비젼의 수평 블랭크 발생 장치”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동일자로 출원된 것이 있다.
이때,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08)에서 생성되는 수평 블랭킹 구간을 갖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 블랭크 신호는 버퍼(BF2) 및 라인 L28을 통해 블랭크 조합 블록(212)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인버터(INT2)를 통해 반전된 신호, 즉, 도 3g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전되어 라인 L29를 통해 블랭크 조합 블록(212)으로 제공된다.
한편, 블랭크 조합 블록(212)에서는, 사용자 선택조작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제어신호(SEL 2), 화면선택(주화면 및 부화면) 조작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수직위치 신호(VP) 및 수평위치 신호(HP)에 의거하여,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208) 및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210)에 의해 생성된 수직 및 수평 블랭크 신호를 조합하여 최종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며, 여기에서 발생된 영상 블랭크 신호는 라인 L13을 통해 도 1의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으로 제공된다.
즉, 라인 L26 및 라인 L27을 통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은, 두 개의 수직 블랭크 신호가 입력되고, 라인 L28 및 라인 L29를 통해, 도 3f 및 도 3g에 도시된 바와같은, 두 개의 수평 블랭크 신호가 입력된다고 가정할 때, 외부로 부터의 선택 제어신호(SEL 2)에 의거하여 조합되는 블랭크 조합 블록(212)에서의 출력 영상 블랭크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네가지 신호중의 한 신호가 될 것이다.
예를들어, 외부로 부터의 선택 제어신호(SEL 2)에 의거하여, 라인 L26 상의 수직 블랭크 신호(도 3b) 및 라인 L28 상의 수평 블랭크 신호(도 3f)가 선택되면, 라인 L13 상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상 블랭크 신호가 출력되고, 라인 L26 상의 수직 블랭크 신호(도 3b) 및 라인 L29 상의 수평 블랭크 신호(도 3g)가 선택되면, 라인 L13 상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상 블랭크 신호가 출력되며, 라인 L27 상의 수직 블랭크 신호(도 3c) 및 라인 L28 상의 수평 블랭크 신호(도 3f)가 선택되면, 라인 L13 상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상 블랭크 신호가 출력되고, 라인 L27 상의 수직 블랭크 신호(도 3c) 및 라인 L29 상의 수평 블랭크 신호(도 3g)가 선택되면, 라인 L13 상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상 블랭크 신호가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에서는, 라인 L13 을 통해 전술한 블랭크 발생 블록(2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블랭크 신호에 의거하여 데이터 독출을 위한 독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여 제 1 메모리 블록(140) 및 제 2 메모리 블록(340)으로 각각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PIP 화면이 선택될 때, 이러한 어드레스 발생 블록(220)으로 부터의 독출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주화면용 동기신호 구간에서는 주화면용 영상 데이터가 독출되고, 주화면용 동기신호의 블랭킹 구간에서는 부화면용 영상 데이터가 독출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DP 텔레비젼에서 PIP 화면을 구현할 때 주화면과 이 주화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주화면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의 위치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 PDP 텔레비젼에서의 효과적인 PIP 기능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PIP 기능을 갖는 PDP 텔레비젼에서 주화면에 포함되는 부화면용 영상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부터의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영상중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선택하는 동기 선택 수단;
    상기 동기 선택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선택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블록;
    상기 모드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수평 동기신호의 카운트값을 달리함으로써, 수 MHz 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블록;
    상기 모드 판별신호, 외부로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된 수직 동기신호내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구간을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선택하여 수직 블랭킹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성된 수직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1 반전 수단;
    상기 모드 판별신호, 상기 발생된 클럭신호, 외부로부터의 수직위치 신호,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조합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내의 액티브 클럭 구간중 기설정된 소정클럭 구간을 선택하여 수평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
    상기 수평 블랭크 선택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성된 수평 블랭킹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 2 반전 수단; 및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외부로 부터의 선택 제어신호, 상기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수직 블랭크 신호, 반전된 수직 블랭크 신호, 생성된 수평 블랭크 신호 및 반전된 수평 블랭크 신호 각각을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상기 주화면용 입력 영상의 블랭크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크 조합 블록으로 이루어진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별 블록은, 상기 검출된 수직 동기신호내의 수평 동기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입력 영상이 인터레이스 방식 영상인지 넌인터레이스 방식 영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은, 상기 선택된 주화면용 입력 영상이 NTSC 영상일 때, 상기 입력 NTSC 영상에서 검출한 오드 및 이븐 필드의 수직 동기신호내의 각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선행하는 각 120H 라인을 상기 오드 및 이븐 필드의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각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은, 상기 입력 영상이 60 MHz 의 수직주파수를 갖는 PC 영상일 때, 상기 입력 PC 영상에서 검출한 수직 동기신호내의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선행하는 240H 라인을 상기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은, 상기 입력 영상이 70 MHz 의 수직주파수를 갖는 PC 영상일 때, 상기 입력 PC 영상에서 검출한 수직 동기신호내의 유효 액티브 라인 구간중 선행하는 200H 라인을 상기 수직 블랭킹 구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선택 블록은, 상기 검출된 수평 동기신호의 액티브 클럭 구간이 640 개의 클럭일 때, 상기 기설정된 수평 블랭킹 구간은 320 개의 클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조합 블록은, 상기 생성된 수직 블랭크 신호 및 반전된 수직 블랭크 신호와 생성된 수평 블랭크 신호 및 반전된 수평 블랭크 신호간의 교차조합을 통해 얻어지는 적어도 네가지 조합중의 어느 한 조합을 상기 영상 블랭크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 장치.
KR1019960060628A 1996-11-30 1996-11-30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KR10023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28A KR100237918B1 (ko) 1996-11-30 1996-11-30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28A KR100237918B1 (ko) 1996-11-30 1996-11-30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27A KR19980041327A (ko) 1998-08-17
KR100237918B1 true KR100237918B1 (ko) 2000-01-15

Family

ID=1948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628A KR100237918B1 (ko) 1996-11-30 1996-11-30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6204B2 (en) * 2006-08-10 2013-11-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isplay str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27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9213A (en) Picture-in-picture television receiver
KR910006295B1 (ko) 텔레비전 수상기
JP5008826B2 (ja) 高精細度デインタレース/フレーム倍増回路およびその方法
US6025884A (en) Multimedia display monitor apparatus
EP0551168A1 (en) Display apparatus
KR950014577B1 (ko) 고화질 텔레비젼의 픽쳐인픽쳐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9754A (ko) 버퍼를 통해 텔레비젼 화상을 수신, 표시 및 동시 기록하는 장치
US5021887A (en) Method and circuit for composing still image of picture-in-picture
EP0717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wo video pictures simultaneously
KR100237918B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적응적인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KR100213295B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수직 블랭크 발생장치
KR100213294B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수평 블랭크 발생장치
JPS6222506B2 (ko)
JP2687346B2 (ja) 映像処理方法
JPH0423993B2 (ko)
KR910010092B1 (ko)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JP3712287B2 (ja) ビデオ画像表示方式
KR100220696B1 (ko) 피디피 텔레비젼에서의 적응적인 수직 블랭크 발생장치
JP2558899B2 (ja) 映像表示装置
JPS6223507B2 (ko)
JPH0320116B2 (ko)
JPH08317345A (ja) 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2359819A (ja) 順次走査変換回路、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順次走査変換方法
KR19990003970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JPH10105143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