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946B1 -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946B1
KR100236946B1 KR1019970069700A KR19970069700A KR100236946B1 KR 100236946 B1 KR100236946 B1 KR 100236946B1 KR 1019970069700 A KR1019970069700 A KR 1019970069700A KR 19970069700 A KR19970069700 A KR 19970069700A KR 100236946 B1 KR100236946 B1 KR 10023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packet
processing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568A (ko
Inventor
김건석
한태만
조평동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9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ISDN에 접속되어 있는 이용자들과 다른 망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 제공자들 사이의 연동을 위한 가입자 호 처리 및 호 관리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호 관련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고 연결이 설정된 동안 채널 상태 및 호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제 1 단계;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IDPA)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IDPA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고속망 어셈블리(HSNA)를 통하여 패킷망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HSNA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IDPA를 통하여 수신한 패킷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IDPA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dvanced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이하 "ACPS"라 함)의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ISDN Network Access Subsystem)(이하, "INAS"라 함)에서의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이하, "PSTN"이라 함),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하, "ISDN"이라 함), 패킷 교환 데이터망(Packet Switching Data Network)(이하, "PSDN"이라 함) 등과 같은 공중 통신망 가입자와 PSDN, 인터넷 등과 같은 망에 접속된 정보 제공자를 연결해 주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중계해 주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종래의 전화망 가입자 위주로 이루어지던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되면서 점차 고속의 접속을 원하는 가입자들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ISDN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현실적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종래의 정보 제공자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망들과 ISDN사이의 연동을 위한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에 따라서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ISDN에 접속되어 있는 이용자들과 다른 망에 접속 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 제공자들 사이의 연동을 위한 가입자 호 처리 및 호 관리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정합 서브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ISDN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도 3의 채널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5 는 도 4의 메시지 수신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도 4의 메시지 송신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공중 교환 전화망 102 : 종합정보통신망
103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104 : 전화망 정합 서브시스템
105 :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 106 : 고속 스위칭 서브시스템
109 : 패킷망 정합 서브시스템 110 : 웹 인포샵 노드 정합 서브시스템
111 : 프레임망 정합 서브시스템 112 : ATM망 정합 서브시스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호 처리 및 관리를 수행하며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호 관련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고 연결이 설정된 동안 채널 상태 및 호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제 1 단계;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의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패킷망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의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상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패킷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dvanced Communications Processing System: ACPS)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통신 처리시스템(ACPS)(103)은 PSTN(101), ISDN(102), PSDN(113), 인터넷(114), 프레임 릴레이망(115), 비동기전달모드(ATM)망(116) 등의 접속을 수용한다. 고속 스위칭 서브시스템(High Speed Switching Fabric)(이하, "HSSF"라 함)(106)은 ACPS를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망 정합 서브시스템들과 서비스 지원 서브시스템 및 통신처리 서브시스템을 서로 고속으로 연결하고 서비스 트래픽의 수송을 담당하는 내부 고속 상호 연동망의 기능을 제공한다.
가입자측과 연동하는 망 정합 서브시스템에는 전화망 정합 서브시스템(TNAS)(101)와 ISDN 정합 서브시스템(INAS)(102)이 있고, 정보 제공자측과 연동하는 망 정합 장치에는 패킷망 정합 서브시스템(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이하, "PNAS"라 함)(109), 웹 인포샵 노드 정합 서브시스템(Webinfoshop Network Access Subsystem)(이하, "WNAS"라 함)(110), 프레임망 정합 서브시스템(Frame Network Access Subsystem)(이하, "FNAS"라 함)(111), 비동기전달모드망 정합 서브시스템(ATM Network Access Subsystem)(이하, "ANAS"라 함)(112) 등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정합 서브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종합정보통신망(ISDN)에 접속되어 있는 이용자에게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DN 정합 서브시스템(INAS)의 구성도이다.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INAS)(201)은 종합정보통신망(ISDN)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Primary Rate Interface Assembly)(이하, "PRIA"라 함) 모듈(203), HSSF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속망 어셈블리(High Speed Network Assembly)(이하, "HSNA"라 함) 모듈(205)과 이들을 제어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Service Processing : SP)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처리 모듈은 가입자 ISDN 모뎀 속도 판별, ISDN 모뎀 오류 검출, 가입자 정보 송수신, 초기화 및 자체 진단 등의 기능들을 처리하는 ISDN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ISDN Data Processing Assembly)(이하, "IDPA"라 함) 모듈(202)과 서비스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ISDN 서비스 처리 어셈블리(ISDN Service Processing Assembly)(이하, "ISPA"라 함) 모듈(204)로 이루어져 있다. ISDN 서비스 처리 어셈블리(ISPA) 모듈(204)은 IDPA 모듈(202)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프로세서간 통신(Interprocesser Communications : IPC)을 이용하고 공통 메모리를 통하여 인터럽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IPC 통신용 프로세서는 3개의 IDPA 모듈들과 각각 직렬 통신 버스(serial communication bus)를 통하여 통신한다. IDPA 모듈(202)은 하나의 메인과 두 개의 슬레이브로 이루어져 있다. IDPA 모듈(202)의 메인은 슬레이브와 ISPA 모듈(204)사이에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알람 포트를 통하여 PRIA 모듈(203)을 모니터링한다. IDPA 모듈(202) 보드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크게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듈로 나누어진다. 마스터 모듈은 슬레이브 모듈과 ISPA 모듈(204)사이에서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슬레이브 모듈은 망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마스터 모듈을 통하여 ISPA 모듈(204)로 전달하거나 ISPA 모듈(20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전달하고, PAD 처리, 가입자 채널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ISDN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PRIA) 모듈로부터 가입자 호의 설정(SETUP) 및 연결(CONNECT) 신호를 수신한다(301).
이후에, ISDN 서비스 처리 어셈블리(ISPA) 모듈내의 상태를 검색하여 가입자 호가 수용 가능한지를 판단하여(302) 가입자 호를 수용할 수 없으면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PRIA) 모듈로 비연결(DISCONNECT) 신호를 송신하여 가입자 호 설정이 실패하였음을 통보하고(303), 가입자 호를 수용할 수 있으면 해당 호의 내부 채널 및 논리 유닛 번호(Logical Unit Number : LUN)를 획득한다.
이후에, 서비스 시작상태, 초기 화면 출력상태, IP 접속상태, IP 접속 해제상태, 서비스 종료상태 등을 나타내는 채널에 대한 호 처리 관련 변수들을 초기화하고, IP 접속 시도회수, IP 접속 성공회수, IP 접속 실패회수 등과 같은 통계 관련 변수값들을 갱신한다(304).
이후에, 해당 호에 대한 채널 태스크를 생성하여 가입자와 정보 제공자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채널 태스크를 종료하면(305) PRIA 모듈로 비연결(DISCONNECT) 신호를 송신하여 연결된 호를 해제하도록 하고(306), 호 관련 통계 자료를 갱신하며 IP 접속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를 운용 관리(OAM)망 정합 서브시스템에 보고한다(307). 이후에, 논리 유닛 번호(LUN)를 반환하고 내부 변수들을 리셋하여 다음에 접속하는 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308).
도 4 는 도 3의 채널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채널 태스크가 생성되면 채널 관련 내부 변수들을 초기화하고(401), IDPA 메시지 수신 큐 및 HSNA 패킷 수신 큐를 생성하여 IDPA 모듈 및 HSNA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402).
이후에, 큐 생성에 오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403) 메모리나 시스템에서 최대 수용 가능한 채널의 수 등과 같은 자원의 부족으로 큐를 생성할 수 없으면 해당 채널 태스크를 종료하고(407), 큐 생성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송신 및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HSNA 모듈을 통해서 수신한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과 가입자 데이터를 정보 제공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IDPA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동작을 각각 수행하도록 한다(404).
이후에, 메시지 송신 및 수신 태스크 생성에서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405) 오류가 존재하면 소정 시간이 지연된 후에 태스크 생성 동작을 재시도하고,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송신 및 수신 태스크들이 동작을 종료하기를 대기한다(406). 메시지 송신 및 수신 태스크들의 동작이 종료하게 되면, 채널 태스크는 내부 시스템 호출(kc_tstop)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 및 수신 태스크를 종료한다(407).
도 5는 도 4의 메시지 수신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4의 채널 태스크 동작중에서 메시지 수신 태스크의 생성 단계(404)에서 생성된 수신 태스크의 동작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IDPA 메시지 수신 큐가 생성이 되면, 메시지 수신 태스크는 생성된 IDPA 메시지 수신 큐를 검색하고(501)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502)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동안 지연한 다음 계속 검색하고, IDPA 메시지 수신 큐에 메시지가 존재하면 수신된 가입자 메시지로부터 HSNA 모듈을 통하여 정보 제공자로 송신할 패킷을 생성한다(503). 생성된 패킷을 정보 제공자로 송신하기 전에 흐름 제어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 가능한지를 검색한다(504). 패킷을 전송 가능한 상태이면 내부 프로세서간 통신(IPC) 프리미티브(hssf_data_send)를 이용하여 고속망 어셈블리(HSNA) 모듈을 통하여 정보 제공자로 패킷을 송신한다(505). 그리고 IDPA 메시지 수신 큐에 수신된 메시지가 존재하면 전술한 절차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메시지 송신 태스크의 수행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4의 채널 태스크 동작 중에서 메시지 송신 태스크의 생성 단계(404)에서 생성된 송신 태스크의 동작의 상세 흐름도이다.
메시지 송신 태스크는 먼저 도 4의 HSNA 패킷 수신 큐 생성 단계(402)에서 생성된 HSNA 패킷 수신 큐를 검색하고(601)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602),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동안 지연한 다음 계속 HSNA 패킷 수신 큐를 검색하고, HSNA 패킷 수신 큐에 패킷이 존재하면 수신된 정보 제공자의 패킷으로부터 IDPA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 송신할 메시지를 생성한다(603).
이후에, 생성된 메시지를 가입자로 송신하기 전에 흐름 제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여(604),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 상태이면 내부 시스템 호출(kc_sendsig)을 이용하여 IDPA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 메시지를 송신하고(605), HSNA 패킷 수신 큐에 수신된 패킷이 존재하면 전술한 절차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SDN 정합 장치에서의 호 처리 및 가입자와 정보 제공자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능들의 동작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고속의 ISDN 회선 접속을 통하여 가입자들은 정보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대용량의 정보를 보다 빠르고 쉽게 이용할 수 있어서 ISDN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정보 사회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호 처리 및 관리를 수행하며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호 관련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고 연결이 설정된 동안 채널 상태 및 호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제 1 단계;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의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패킷망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의 메시지 수신 큐 및 메시지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여 상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패킷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 태스크 및 메시지 송신 태스크가 종료되면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 모듈로 비연결 신호를 송신하고 호 관련 통계 자료 갱신 및 자료 데이터를 운용 관리 서브시스템에 보고하여 논리 유닛 번호를 반환하며 내부 변수를 리셋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 모듈로부터 호 설정 및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가입자 호를 수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가입자 호를 수용할 수 없으면 상기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어셈블리 모듈로 비연결 신호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및
    가입자 호를 수용할 수 있으면 해당 호의 채널 및 논리 유닛 번호를 획득하고 채널에 대한 호 처리 관련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의 메시지 수신 큐 및 상기 메시지 수신 태스크를 생성하고 메시지 큐를 검색하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존재하면 수신된 가입자 메시지로부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정보 제공자로 송신할 패킷을 생성하는 제 8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을 정보 제공자로 송신하기 전에 흐름 제어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 가능한지를 검색하여 패킷을 전송 가능한 상태이면 내부 프로세서간 통신 프리미티브(hssf_data_send)를 이용하여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정보 제공자로 패킷을 송신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고속망 어셈블리 모듈의 패킷 수신 큐 및 상기 메시지 송신 태스크를 생성하고 패킷 수신 큐를 검색하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존재하면 수신된 정보 제공자의 패킷으로부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 송신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10 단계; 및
    생성된 메시지를 가입자로 송신하기 전에 흐름 제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 상태이면 내부 시스템 호출(kc_sendsig)호출을 이용하여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데이터 처리 어셈블리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9970069700A 1997-12-17 1997-12-17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3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00A KR100236946B1 (ko) 1997-12-17 1997-12-17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00A KR100236946B1 (ko) 1997-12-17 1997-12-17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68A KR19990050568A (ko) 1999-07-05
KR100236946B1 true KR100236946B1 (ko) 2000-01-15

Family

ID=1952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700A KR100236946B1 (ko) 1997-12-17 1997-12-17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44B1 (ko) * 2001-02-01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호 서비스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6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4439B2 (ja) 交換網プロトコル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434120B1 (en) Autosensing LMI protocols in frame relay networks
KR100236946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59768B1 (ko) 분산 노드 환경에서 점대점 프로토콜 및 다중링크 프로토콜을이용한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00058768A (ko) 범용스위치제어 기술을 적용한 개방형 통신 시스템
KR100241337B1 (ko) 비동기 전송모드(atm)망 정합 서브시스템 장치
KR100204581B1 (ko) 서비스 플랫폼 교환기에서의 브이오디이 서비스 접속방법
KR100249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신호방식을이용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호 처리 방법
KR20010063747A (ko) 인터넷과 비동기전송모드 망간 접속장치에서의 비대칭디지털 가입자 선 가입자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다중링크 호 처리 방법
KR100204064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KR100224312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장치에서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68182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이기종 망간 호 처리방법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281422B1 (ko) 비동기 단말기 이용자 및 프레임 릴레이 망에 접속된 티시피아이피 기반의 정보 제공자를 프레임 릴레이 망 정합 장치에 연동시킬 때의 호 처리 방법
KR100211023B1 (ko) 초고속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티.엠(atm) 서비스 노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01733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팀에서 입중계 중계선 호제공 방법
KR100281423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RU22003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учрежденческой атс с сетью, работающей в асинхронном режиме передачи
KR100226435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입중계되는 발신 가입자 호처리 방법
KR950001512B1 (ko) 통신처리 망관리장치 및 통신방식
KR100299660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KR100249511B1 (ko) 패킷망 정합장치에서의 사용자 정보 처리 방법
KR100236959B1 (ko)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방법
JP2000013406A (ja) Atm網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専用回線管理方法
KR100248417B1 (ko) 에이티엠 교환시스템에서 프로세스식별자 승계 기능을 이용한다양한 호/연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