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064B1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064B1
KR100204064B1 KR1019960059981A KR19960059981A KR100204064B1 KR 100204064 B1 KR100204064 B1 KR 100204064B1 KR 1019960059981 A KR1019960059981 A KR 1019960059981A KR 19960059981 A KR19960059981 A KR 19960059981A KR 100204064 B1 KR100204064 B1 KR 10020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lave
signal
process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754A (ko
Inventor
김건석
한태만
조평동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5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064B1/ko
Priority to US08/903,794 priority patent/US5911047A/en
Publication of KR1998004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용자의 정보를 다른 망에 접속되어 있는 망 구성 요소에 전송하고 망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의 동작 과정은,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전역 변수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을 초기화하는 제 2 단계; 및 슬레이브와의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의 동작 과정은,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시스템 로고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을 초기화하는 제 5 단계; 및 슬레이브가 얼라이브(alive) 상태임을 마스터에게 보고하고 프로토콜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SNAS)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처리시스템(CPS)은 공중통신망(PSTN)과 패킷교환데이터망(PSDN)을 연동하여 정보에 대한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중계하여 주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데이터 통신이 전화에 의한 음성 통신에 비하여 그 중요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정보제공자(IP)는 패킷교환데이터망(PSDN : Packet Switched Data Network)에 수용되어 있으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는 대체로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정보의 통신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중요한 정보가 이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종래의 통신처리시스템(CPS : Communications Processing System)과 다른 새로운 구조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 : Advanced Communications Processing System)에서 가입자 망에 접속되어 있는 이용자의 정보를 다른 망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 제공자(IP : Information Provider)들 및 망 관리 장치(OAM :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등과 같은 망 구성 요소에 전송하고 망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X3 패드 처리 기능과 트래픽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가입자 채널 상태 정보, DPA(Data Processing board Assembly) 성능, 고장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SPA(Service Processing board Assemly)를 통하여 망 관리장치(OAM)에 전달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DPA의 마스터 모듈 관련 태스크와 시그널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DPA의 슬레이브 모듈 관련 태스크와 시그널에 대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DPA 마스터 모듈 서비스 동작 절차의 전체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DPA 마스터 모듈 초기화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DPA 슬레이브 모듈 서비스 동작 절차의 전체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DPA 슬레이브 모듈 초기화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NIA 22 : HSNA
23 : SP 231 : DPA
232 : SP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의 동작 과정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시스템 로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전역 변수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마스터 모듈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SPA)과의 통신 기능, 슬레이브와의 통신 기능, 망 정합 모듈(NIA) 체크 기능, 및 슬레이브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슬레이브와의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고 마스터 실행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서비스 처리 모듈(SPA)로 알리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의 동작 과정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시스템 로고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슬레이브 모듈에서 지원하는 망 정합 모듈(NIA)과의 통신 기능, 마스터와의 통신 기능, 망 정합 모듈(NIA) 제어 기능, 채널별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슬레이브가 얼라이브(alive) 상태임을 마스터에게 보고하고 프로토콜 파라미터를 초기화하여 서비스 준비를 완료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개방형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은 공중통신망(PSTN)(11), 종합정보통신망(ISDN)(12), 패킷교환데이터망(PSDN)(13), 인터넷(Internet)(14), 프레임 릴레이망(Frame Relay Network)(14), 비동기 전달모드(ATM) 망(16) 등과 같은 다양한 공중망을 수용해야 하므로 종래의 통신처리시스템(CPS)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고, 보편적인 망 접속 인터페이스 기능이 필요하다.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는 다양한 망들간의 서비스 연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망 연동 범위는 크게 가입자측과 정보제공자측으로 나누어진다. 현재 가입자측과 연동하는 망에는 공중통신망(PSTN)(11)와 종합정보통신망(ISDN)(12)이 있고, 정보제공자측과 연동하는 망에는 패킷교환데이터망(PSDN)(13), 인터넷(14), 프레임 릴레이망(15), 비동기 전달모드(ATM) 망(16) 등이 있다.
고속 스위칭 구조(HSSF : High Speed Switching Fabric) 서브시스템(18)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를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망 정합 모듈들과 서비스 지원 모듈 및 통신처리 모듈을 서로 고속으로 연결하고, 서비스 트래픽의 수송을 담당하는 내부 고속 상호 연동망의 기능을 제공한다. 가입자측과 연동하는 망 정합장치에는 TNAS(Telephony Network Access Subsystem)(111)와 INAS(ISDN Network Access Subsystem)(121)가 있고, 정보제공자측과 연동하는 망 정합장치에는 PNAS(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131), KNAS(KORNET Access Subsystem)(141), FNAS(Frame relay Network Access Subsystem)(151), ANAS(ATM Network Access Subsystem)(161) 등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입자 망 정합장치의 구성도로서, 가입자 망에 접속되어 있는 이용자에게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ACPS)의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망 정합장치(SNAS)의 구성도이다.
가입자 망 정합장치(SNAS)는 가입자 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NIA(Network Interface Assembly) 모듈(21), 고속 스위칭 구조(HSSF) 서브시스템(18)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HSNA(High Speed Network Adaptor) 모듈(22),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SP : Service Processing) 모듈(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처리(SP) 모듈(23)은 가입자 모뎀 속도 판별, 모뎀 오류 검출, 가입자 정보 송수신, 초기화 및 자체 진단 등의 기능들을 처리하는 DPA(Data Processing board Assembly)(231)와 서비스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SPA(Service Processing board Assemly)(232)로 이루어져 있다.
SPA(232)는 DPA(231)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전용 통신 프로세서를 이용하고 1M 바이트의 공통 메모리를 통하여 인터럽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IPC 통신용 프로세서는 3개의 DPA(231)들과 각각 S 버스(serial communication bus)를 통하여 통신한다.
DPA(231)는 하나의 메인과 망 정합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슬레이브로 이루어져 있다. DPA(231)의 메인은 슬레이브 및 SPA(232) 사이에 직렬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경보 포트를 통하여 NIA(21)를 모니터한다. DPA(231)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크게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듈로 나누어진다. 마스터 모듈은 슬레이브와 SPA(232) 사이에서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슬레이브 모듈은 망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가입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마스터를 통하여 SPA(232)로 전달하거나 SPA(23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전달하고, PAD(Packet Assembler/Disassembler) 처리, 가입자 채널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DPA의 마스터 모듈 관련 태스크와 시그널에 대한 설명도이다.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31)는 SPA(232) 모듈로부터 두 종류의 시그널을 수신한다. 슬레이브 모듈의 명령어 제어 태스크로 전송될 시그널 종류에는 DPA 보드 초기화 요청, PAD 명령어 입력 모드, XON/XOFF 흐름 제어에 쓰이는 대기 시간, 수신 버퍼 리셋, 송신 큐 리셋, 칩의 동작 유무 체크, NIA 하드웨어 리셋, DPA 보드상의 부하 체크 등이 있다. 슬레이브 모듈의 채널별 전송 태스크로 전달될 시그널 종류에는 채널별 데이터 전송, 전송률 변경, X3 프로토콜 파라미터 변경, 채널의 로컬 루프백 모드 변환, 채널 로컬 루프백 모드 해제 등이 있다.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31)는 DPA 보드상의 부하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성능 감시 태스크(32)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마스터의 부하 상태를 SPA(232)에 보고한다.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33)는 슬레이브로부터 두 종류의 시그널을 수신한다. 슬레이브 명령어 제어 태스크로부터 수신될 시그널 종류에는 DPA 초기화 확인, DPA 부하 보고, PAD 재호출 문자 보고, DCD(Carrier Detect) 상태 보고, 칩의 동작 유무 보고 등이 있다. 슬레이브 모듈의 채널별 전송 태스크로부터 수신될 시그널 종류에는 채널별 데이터 전송, 인터럽트 패킷 전송, 리셋 패킷 전송, 인터럽트 패킷 중지 등이 있다.
이외에도 NIA(Network Interface Assembly) 체크 태스크(34)는 NIA의 동작 유무를 체크하고, 슬레이브 얼라이브(alive) 체크 태스크(35)는 슬레이브 보드의 동작 여부를 체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DPA의 슬레이브 모듈 관련 태스크와 시그널에 대한 설명도이다.
채널별 수신 태스크(41)는 NIA(2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시그널을 사용하여 마스터 모듈에 전송한다.
채널별 송신 태스크(42)는 마스터 모듈로부터 수신한 채널별 데이터 전송, X3 프로토콜 파라미터 변경, 전송률 변경, 채널의 로컬 루프백 모드 변환, 채널 로컬 루프백 모드 해제 등의 시그널들을 처리한다. 채널별 송신 태스크(42)는 채널별 NIA 메일박스(Mailbox)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명령어 제어 태스크(43)는 마스터로부터 DPA 보드 초기화 요청, PAD 명령어 입력 모드, XON/XOFF 흐름 제어에 쓰이는 대기 시간, 채널 해제 요구, 수신 버퍼 리셋, 송신 큐 리셋, 칩의 동작 유무 체크, NIA 하드웨어 리셋, 슬레이브 보드의 동작 여부 체크, DPA 보드상의 부하 체크 등의 시그널을 수신한다. 명령어 제어 태스크(43)는 NIA 메일박스(mailbox), 메모리 분할 식별자(ID), 서비스 종료 큐 등을 이용하여 마스터로부터 수신한 시그널들을 처리하며, 성능 감시 태스크(44)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슬레이브의 부하 상태를 마스터에 보고한다.
DCD 체크 태스크(45)는 NIA 메일박스를 이용하여 DCD 상태를 마스터에 보고하며, 서비스 종료 처리 태스크(46)는 채널별 가입자의 서비스 종료와 관계된 일들을 처리한다. 흐름 제어 채크 태스크(47)는 각 채널별로 데이터 전송 중의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DPA 마스터 모듈 서비스 동작 절차의 전체 흐름도이다.
DPA 마스터 모듈은 가입자 망 정합장치(SNAS)의 SPA(232)와 DPA(231)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태스크들과 시스템 자원을 생성하고 다양한 서비스 처리를 담당한다.
먼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 관련 초기화를 수행한다(51). 하드웨어 초기화가 끝나면 시스템 로고를 콘솔(Console) 화면에 출력하며(52), 전역 변수들을 초기화한다(53).
DPA 마스터 초기화(54)에서는 마스터 모듈에서 지원하는 SPA와의 통신 기능, 슬레이브와의 통신 기능, NIA 체크 기능, 슬레이브 체크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마스터의 시스템 초기화 기능이 완료되면 슬레이브와의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고(55), 마스터 실행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SPA(232)에게 알린다(56).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DPA 마스터 모듈 초기화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로서, 도 5 의 DPA 마스터 초기화 과정(54)의 상세한 동작 절차이다.
먼저, 마스터 모듈에서 수행되는 태스크들의 식별자(ID : IDentification)를 설정하고(61), 슬레이브 상태 변수, NIA 상태 변수, PM 사건 카운터 등과 같은 지역 버퍼를 초기화한다(62).
이후, 마스터 모듈은 SPA 및 슬레이브와 통신하기 위하여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와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를 생성한다(63,64). NIA 및 슬레이브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NIA 체크 태스크 및 슬레이브 얼라이브 체크 태스크를 생성한다(65,66). 콘솔에서 DPA 마스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온라인 명령어를 설정하고(67), 마지막으로 DPA 마스터의 프롬프트(Prompt)를 생성한다(68).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로서, 도 6 의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 생성 과정(63)의 상세한 동작 절차이다.
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31)는 SPA(232)로부터 수신한 명령어 제어 및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다.
먼저, SPA(232)로부터 수신될 시그널을 실시간 운영체계(RTOS)의 커널(kernel)에 등록한다(71). SPA(232)로부터 시그널을 수신하여(72) 이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인지를 검사한다(73). 수신된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면 이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75).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 처리에는 DPA 보드 초기화 요청, PAD 명령어 입력 모드, XON/XOFF 흐름 제어에 쓰이는 대기 시간, 수신 버퍼 리셋, 송신 큐 리셋, 칩의 동작 유무 체크, NIA 하드웨어 리셋, DPA 보드상의 부하 체크 등이 있다.
SPA(232)로부터 수신된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인지를 판단하여(74)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면 이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76).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 처리에는 채널별 데이터 전송, 전송률 변경, X3 프로토콜 파라미터 변경, 채널의 로컬 루프백 모드 변환, 채널 로컬 루프백 모드 해제 등이 있다.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SPA(232)로부터 시그널 수신 과정(72)로 천이하여 새로운 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위의 같은 처리를 반복 수행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로서, 도 6 의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 생성 과정(64)의 상세한 동작 절차이다.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33)는 슬레이브로부터 수신한 명령어 제어 및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다.
먼저, 슬레이브로부터 수신될 시그널을 실시간 운영체계(RTOS)의 커널(kernel)에 등록한다(81). 슬레이브로부터 시그널을 수신하여(82) 이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인지를 검사한다(83). 수신된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면 이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85).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 처리에는 DPA 초기화 확인, DPA 부하 보고, PAD 재호출 문자 보고, DCD 상태 보고, 칩의 동작 유무 보고 등이 있다.
슬레이브로부터 수신된 시그널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인지를 검사하여(84)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면 이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86).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 처리에는 채널별 데이터 전송, 인터럽트 패킷 전송, 리셋 패킷 전송, 인터럽트 패킷 중지 등이 있다.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상기 시그널 수신 과정(82)으로 천이하여 슬레이브로부터 새로운 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위의 같은 처리를 반복 수행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DPA 슬레이브 모듈 서비스 동작 절차의 전체 흐름도이다.
DPA 슬레이브 모듈은 가입자 망 정합장치(SNAS)의 NIA(21)와 DPA(231)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태스크들과 큐들 등과 같은 시스템 자원을 생성하고 다양한 서비스 처리를 담당한다.
먼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 관련 초기화를 수행한다(91). 하드웨어 초기화가 끝나면 시스템 로고를 콘솔 화면에 출력한다(92).
DPA 슬레이브 초기화(93)에서는 슬레이브 모듈에서 지원하는 NIA와의 통신 기능, 마스터와의 통신 기능, NIA 제어 기능, 채널별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슬레이브의 시스템 초기화 기능이 완료되면 슬레이브가 얼라이브(alive) 상태임을 마스터에게 보고한다(94). 마지막으로 X3 프로토콜 파라미터를 초기화하여 서비스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95).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DPA 슬레이브 모듈 초기화 동작 절차의 상세 흐름도로서, 도 9 의 DPA 슬레이브 초기화 과정(93)의 상세한 동작 절차이다.
먼저, 프린트 플래그 변수, 채널 상태 변수 등과 같은 지역 버퍼를 초기화하고(101), 슬레이브 모듈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큐, 메일박스, 메모리 파트 등의 식별자(ID)를 설정한다(102). 슬레이브 모듈은 NIA(21)와 통신하기 위하여 NIA 통신 관련 변수를 초기화하고 NIA 송신 기능, NIA 수신 기능, NIA 오류 처리 기능 등과 같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들을 등록한다(103). NIA 리셋 및 드라이버를 초기화하여 NIA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104).
마스터로부터의 명령어 시그널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 제어 태스크를 생성하고(105), DCD 체크 기능, 채널별 수신 기능, 채널별 송신 기능, 서비스 종료 처리 기능, 흐름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는 태스크들을 생성한다(106). 콘솔에서 DPA 슬레이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온라인 명령어를 설정하고(107), 마지막으로 DPA 슬레이브의 프롬프트(Prompt)를 생성한다(1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입자 망 정합장치(SNAS)의 DPA에서 실행되는 태스크, 태스크간의 통신을 위한 큐, 및 메일박스 등과 같은 자원들의 구성과 DPA가 제공하는 여러가지 기능들의 동작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통신처리시스템(CPS)을 통하여 정보제공자(IP)들은 유용한 정보를 필요한 사람들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정보 사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 적용되는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의 동작 과정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시스템 로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전역 변수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마스터 모듈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SPA)과의 통신 기능, 슬레이브와의 통신 기능, 망 정합 모듈(NIA) 체크 기능, 및 슬레이브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슬레이브와의 통신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고 마스터 실행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서비스 처리 모듈(SPA)로 알리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의 동작 과정은,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에 시스템 로고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슬레이브 모듈에서 지원하는 망 정합 모듈(NIA)과의 통신 기능, 마스터와의 통신 기능, 망 정합 모듈(NIA) 제어 기능, 채널별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슬레이브가 얼라이브(alive) 상태임을 마스터에게 보고하고 프로토콜 파라미터를 초기화하여 서비스 준비를 완료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마스터 모듈에서 수행되는 태스크들의 식별자(ID)를 설정하고 지역 버퍼를 초기화하는 제 7 단계;
    마스터 모듈은 서비스 처리 모듈(SPA)과 통신하기 위하여 서비스 처리 모듈(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를 생성하고, 슬레이브와 통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를 생성하며, 망 정합 모듈(NIA)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망 정합 모듈(NIA) 체크 태스크를 생성하고 슬레이브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얼라이브 체크 태스크를 생성하는 제 8 단계; 및
    콘솔에서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라인 명령어를 설정하고 데이터 처리 마스터 모듈의 프롬프트(Prompt)를 생성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지역 버퍼는,
    슬레이브 상태 변수, 망 정합 모듈(NIA) 상태 변수, 및 주기적인 관리(PM) 사건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의 서비스 처리 모듈(SPA) 데이터 전송 태스크 생성 과정은,
    서비스 처리 모듈(SPA)로부터 수신될 시그널을 실시간 운영체계(RTOS)의 커널(kernel)에 등록하는 단계;
    서비스 처리 모듈(SPA)로부터 시그널을 수신하여 시그널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 후에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면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 후에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나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바로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 처리 과정은,
    데이터 처리 모듈(DPA) 초기화 요청, 패드(PAD) 명령어 입력 모드, 흐름 제어에 쓰이는 대기 시간, 수신 버퍼 리셋, 송신 큐 리셋, 칩의 동작 유무 체크, 망 정합 모듈(NIA) 하드웨어 리셋, 및 데이터 처리 모듈(DPA)상의 부하 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 처리 과정은,
    채널별 데이터 전송, 전송률 변경, X3 프로토콜 파라미터 변경, 채널의 로컬 루프백 모드 변환, 및 채널 로컬 루프백 모드 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의 슬레이브 데이터 전송 태스크 생성 과정은,
    슬레이브로부터 수신될 시그널을 실시간 운영체계(RTOS)의 커널(kernel)에 등록하는 단계;
    슬레이브로부터 시그널을 수신하여 시그널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면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 후에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면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을 처리한 후에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검사 결과,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이나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이 아니면 바로 상기 시그널을 수신하여 검사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제어 관련 시그널 처리 과정은,
    데이터 처리 모듈(DPA) 초기화 확인, 데이터 처리 모듈(DPA) 부하 보고, 패드(PAD) 재호출 문자 보고, DCD 상태 보고, 및 칩의 동작 유무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전송 관련 시그널 처리 과정은,
    채널별 데이터 전송, 인터럽트 패킷 전송, 리셋 패킷 전송, 및 인터럽트 패킷 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프린트 플래그 변수 및 채널 상태 변수와 같은 지역 버퍼를 초기화하고 슬레이브 모듈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큐, 메일박스, 메모리 파트의 식별자(ID)를 설정하는 단계;
    망 정합 모듈(NIA) 통신 관련 변수를 초기화하고 망 정합 모듈(NIA) 송신 기능, 망 정합 모듈(NIA) 수신 기능, 및 망 정합 모듈(NIA) 오류 처리 기능과 같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등록한 후에 망 정합 모듈(NIA) 리셋과 드라이버를 초기화하여 망 정합 모듈(NIA)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마스터로부터의 명령어 시그널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 제어 태스크를 생성하고, DCD 체크 태스크, 채널별 수신 태스크, 채널별 송신 태스크, 서비스 종료 처리 태스크, 및 흐름 제어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콘솔에서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라인 명령어를 설정하고 데이터 처리 슬레이브 모듈의 프롬프트(Prompt)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KR1019960059981A 1996-11-29 1996-11-29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KR10020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981A KR100204064B1 (ko) 1996-11-29 1996-11-29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US08/903,794 US5911047A (en) 1996-11-29 1997-07-31 Data traffic processing method in a subscriber network access subsystem of advanced communications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981A KR100204064B1 (ko) 1996-11-29 1996-11-29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754A KR19980040754A (ko) 1998-08-17
KR100204064B1 true KR100204064B1 (ko) 1999-06-15

Family

ID=1948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981A KR100204064B1 (ko) 1996-11-29 1996-11-29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11047A (ko)
KR (1) KR100204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0274B2 (en) * 2007-04-15 2012-05-2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ma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426A (en) * 1980-03-10 1982-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processor initialization in a multi-station peer-to-peer intercommunication system
US4354229A (en) * 1980-03-10 1982-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op initialization mechanism for a peer-to-peer communication system
GB2301717B (en) * 1995-06-02 1999-08-11 Dsc Communications Network controller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754A (ko) 1998-08-17
US5911047A (en) 199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558A (en) Apparatus for bridging non-compatible network architectures
US6230193B1 (e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network communications
US67356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protocol analysis using an active and adaptive auto-throtting CPU allocation front end process
US5854789A (en) ATM communication system with a modular structure and communication modules
KR100204064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방법
JPH08163611A (ja) 電子交換装置および交換機能を備えた汎用計算機
KR100224312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망 정합장치에서의 서비스 처리 방법
Cisco Troubleshooting the Cisco 1400 Series Routers
Cisco CLI reference
KR100236946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정합 서브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49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신호방식을이용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호 처리 방법
KR100204581B1 (ko) 서비스 플랫폼 교환기에서의 브이오디이 서비스 접속방법
KR100199859B1 (ko) 비동기전송모드 단말에서의 착신처리방법
KR100316185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제어시스팀의 모의시험 장치 및 방법
KR960011135B1 (ko) 위성망에서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의 이중화 시스팀 및 제어방법
KR100279947B1 (ko) 전자교환기의터미널포트사용방법
KR20010063747A (ko) 인터넷과 비동기전송모드 망간 접속장치에서의 비대칭디지털 가입자 선 가입자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다중링크 호 처리 방법
US7142649B2 (en) Dedicated data modem system and method
KR100226435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입중계되는 발신 가입자 호처리 방법
KR100249511B1 (ko) 패킷망 정합장치에서의 사용자 정보 처리 방법
KR100257561B1 (ko) X.25 통신 회선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281422B1 (ko) 비동기 단말기 이용자 및 프레임 릴레이 망에 접속된 티시피아이피 기반의 정보 제공자를 프레임 릴레이 망 정합 장치에 연동시킬 때의 호 처리 방법
Debenham Packet switching—a user viewpoint
US20030035443A1 (en) Integrated access device-resident, robbed in-band time slot mechanism for effecting contemporaneous management of remote digital communication units
KR20020055453A (ko) 인터넷 프로토콜 / 비동기 전송 모드 인터워킹 유닛에서비동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의 비동기 전송모드상의 점대점 프로토콜의 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