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706B1 -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706B1
KR100236706B1 KR1019970046842A KR19970046842A KR100236706B1 KR 100236706 B1 KR100236706 B1 KR 100236706B1 KR 1019970046842 A KR1019970046842 A KR 1019970046842A KR 19970046842 A KR19970046842 A KR 19970046842A KR 100236706 B1 KR100236706 B1 KR 10023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support shaft
gea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280A (ko
Inventor
최용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7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축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중간부에 형성된 보스가 상기 지지축의 상단 힌지부에 축착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요소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피디피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으로 피디피의 좌우 방향을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나친 하중이나 과부하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회전 플레이트의 궤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 장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APPARATUS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IGHT FOR PDPS)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청화면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기 위한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구동력으로 피디피의 좌우 방향을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기간 안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디피(plasma display pannel)는 칼라 브라운과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박형으로 제작되므로 칼라 브라운과 대체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경박단소화가 가능하므로 벽걸이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피디피의 이면에 고정한 체결판의 네 모서리부에 돌출편이 각각 형성되고, 각 돌출편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어, 이 돌출편의 고정공에 삽입되는 나사로 벽면에 체결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종래의 피디피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각도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피디피는 시청 각도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일부 제한된 범위에서만 시청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최적의 시청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 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력으로 피디피의 좌우 방향을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기간 안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축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중간부에 형성된 보스가 상기 지지축의 상단 힌지부에 축착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요소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피디피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결정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볼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공 주위에는 다수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형성된 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조절기어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하부기어,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하부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이중 전동기어와, 상기 상부기어와 상기 조절기어를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지지축
111 : 힌지부 112 : 원통부
113 : 키 200 : 가이드 플레이트
210 : 결합공 211 : 키홈
230 : 안내돌부 240 : 홈
300 : 회전 플레이트 301 : 고정홈
310 : 보스 320 : 가이드 요소
321 : 안내홈 330 : 결합부
400 : 피디피 500 : 위치 결정수단
510 : 볼 511 : 스프링
600 : 구동수단 610 : 모터
611 : 축 620 : 구동기어
640 : 이중 전동기어 641,642 : 상,하부기어
650 : 조절기어 660 : 타이밍 벨트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부분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110)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지지축(110)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와, 중간부에 형성된 축보스(310)가 상기 지지축(110)의 상단 힌지부(111)에 축착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와 가이드 요소(320)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30)에 피디피(400)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300)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500)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지지축(110)과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결합구조는 예컨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지지축(110)의 중간 원통부(112)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공(210)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원통부(112)와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결합공(210)에는 키(113)와 키홈(211)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가 지지축(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210)에 삽입되는 나사(202)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보스(101)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요소(320)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의 저면에 형성된 원형 안내홈(321)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안내돌부(230)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가 지지축(110)의 힌지부(111)를 중심으로 원활하고 안정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수단(500)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의 저면에 고정홈(301)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301)에 스프링(511)을 개재하여 볼(510)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결합공(210) 주위에는 다수개의 반구형 홈(240)이 형성되어 상기 볼(51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600)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축보스(3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조절기어(65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모터(610)와, 상기 모터(610)의 축(611)에 고정된 구동기어(620)와, 상,하부기어(641),(642)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하부기어(642)가 상기 구동기어(620)와 맞물리는 이중 전동기어(640)와, 상기 상부기어(641)와 상기 조절기어(650)를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6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610)는 모터 베이스(630)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630)는 체결공(631)에 삽입되는 나사(632)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보스(220)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 전동기어(64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축지부(221)에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6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회로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를 수조작하여 구동시키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610)를 구동시켜 구동기어(6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620)와 하부기어(642)로 맞물려 있는 이중 전동기어(6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중 전동기어(640)의 상부기어(641)와 타이밍 벨트(660)로 연결된 조절기어(6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와 같이 조절기어(65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300)가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고 이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300)의 선단 결합부(330)에 고정된 피디피(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방향이 조절된다.
이 때 회전 플레이트(300)는 그의 중간부에 형성된 축보스(310)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지지축(110)에 축착되고, 축보스(310)의 주위로 형성된 안내홈(321)에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안내돌부(230)가 삽입되어 안내 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위치를 이탈함이 없이 매우 안정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300)가 회전하여 피디피(400)의 방향이 조절되는 동안 회전 플레이트(300)에 탄지된 볼(510)이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반구형 홈(240)에 반복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므로 미세 조정이 가능하고 피디피(400)의 조절된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피디피(400)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동작이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피디피(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위치가 반대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피디피의 좌우 방향을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나친 하중이나 과부하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회전 플레이트의 궤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 장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지지축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중간부에 형성된 보스가 상기 지지축의 상단 힌지부에 축착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요소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피디피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축과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는 예컨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지지축의 중간 원통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통부에 형성된 키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공에 형성된 키홈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원형 안내홈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내돌부가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볼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공 주위에는 다수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형성된 보스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조절기어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하부기어,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하부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이중 전동기어와; 상기 상부기어와 상기 조절기어를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의 방향 조절장치.
KR1019970046842A 1997-09-11 1997-09-11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0023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842A KR100236706B1 (ko) 1997-09-11 1997-09-11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842A KR100236706B1 (ko) 1997-09-11 1997-09-11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280A KR19990025280A (ko) 1999-04-06
KR100236706B1 true KR100236706B1 (ko) 2000-07-01

Family

ID=1952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842A KR100236706B1 (ko) 1997-09-11 1997-09-11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810B1 (ko) * 2015-12-09 2017-04-27 동인이엔티(주) 각도조절형 편향 반사판 횡단 보도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729B1 (ko) * 2008-12-08 2011-06-30 안용우 식품포장 꼬임기의 각도조절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810B1 (ko) * 2015-12-09 2017-04-27 동인이엔티(주) 각도조절형 편향 반사판 횡단 보도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280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US5687944A (en) Angle controller for image display
US8130488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and television set
EP2149865A1 (en) Display device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36706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00293037B1 (ko) Pdp텔레비전화면부의각도조절장치
KR0163133B1 (ko)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장치
JP4307199B2 (ja) 回転台及び該回転台を具えた画像表示装置ユニット
JPS5943586Y2 (ja) 表示素子
KR100286320B1 (ko) 영상 표시기기의 화면 조정장치
US5377168A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timepiece
KR100589792B1 (ko) 벽걸이와 스탠드겸용 lcd모니터
KR100271445B1 (ko) 피디피의시청방향조절장치
KR20000073609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KR100266710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00305889B1 (ko) 피디피의시청방향조절장치
KR100366410B1 (ko)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100283961B1 (ko) Pdp 텔레비전의 화면부 높이조절장치
KR100257727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920005286B1 (ko)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KR200241174Y1 (ko) 경로형 틸트 구조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KR20000014351A (ko) 액정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US20060268188A1 (en) Wir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C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