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853B1 -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853B1
KR100235853B1 KR1019970007629A KR19970007629A KR100235853B1 KR 100235853 B1 KR100235853 B1 KR 100235853B1 KR 1019970007629 A KR1019970007629 A KR 1019970007629A KR 19970007629 A KR19970007629 A KR 19970007629A KR 100235853 B1 KR100235853 B1 KR 10023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gas
sulfurous acid
oxidation
gas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552A (ko
Inventor
코오이찌로오 이와시타
수수무 오키노
나오히코 우카와
마사루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98000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3/00Chemistry of inorganic compounds
    • Y10S423/05Automatic, including comput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각종 운전 조건의 변동으로 추종성 훌륭하게 대응하여, 촉감이 섬세한 산화 제어가 실현할 수 있고, 운전 조건의 급격한 변동이 있어도 흡수액 속의 아황산 농도를 신뢰성 높고 또한 효율 훌륭하게 적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배연탈황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배연탈환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에 방법은, 주로서 산화환원전위 ORP에 의거하는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비례감도(K)의 값을 아황산 농도(PN)에 대한 산화환원전위 PRO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산화환원전위 ORP의 검출치(PV)가 목표치(SV)를 하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편차(ε)에 따라서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본 발명은, 석회석 등의 칼슘화합물을 흡수제로서 사용하는 습식 배연탈황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수액중의 아황산의 산화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습식 배연탈황 방법으로서, 흡수탑 저부에 설치된 탱크내에 공기를 송입하고, 이에 따라 아황산 가스를 흡수한 흡수제 슬러리(석회석으로 된 흡수제가 현탁된 흡수액)를 산화하여 석고를 부생하도록 하고, 산화탑을 불필요하게 한것(소위 탱크 산화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처리 중에 발생하는 주된 반응은 아래의 반응식(1)내지 (3)으로 된다.
Figure kpo00002
이 탱크 산화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한 식(1)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된 아황산을 아황산 칼슘으로서 석출시키지 않고, 즉석에서 대략 전량 산화하여 상기한 식(2) 및 식(3)의 반응을 촉진시켜, 흡수제 슬러리 중의 아황산 농도를 제로에 가까은 저범위(0.∼5mmol/리터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즉, 산화량이 부족하여 아황산 농도가 높아지고, 특히 아황산 칼슘이 석출된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한 식(1)의 반응이 저해되어서 탈황율이 현저하게 저하됨과 아울러, 석회석(칼슘화합물)의 반응성 저하 등의 결함이 발생하며, 더욱이 식(3)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석고(부생품)의 순도가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된다.
이 때문에, 보통은 흡수탑 탱크의 슬러리내로 산화용의 공기(산호함유기체)를 미세한 기포로서 연속적으로 불어 넣고, 강제적으로 상기한 식(2)의 산화 반응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 공기의 공급량이 과잉하에 되면, 운전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최근의 발명자 등의 연구에 의하면, 관산화 상태로 됨으로써 발생된 슬러리중의 과산화물에 의하여, 슬러리의 배수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흡착수지가 열화하여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조정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미산화 상태(산화량이 부족된 상태)로 되어서 아황산 농도가 높아지면, 슬러리로부터의 배수 중의 COD값이 증대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그래서 COD처리의 면에서도, 산화용 공기의 공급량을 필요 최소한의 유량으로 제어하여, 아황산의 농도를 상기한 저범위로 신뢰성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는, 종래에, 예컨대 특개소 60-226403호 공보나, 특개소 61-433호 공보(특공평 3-59731호 공보)에 명시된 것이 있다.
이중에서 특개소 60-226403호 공부에 표시된 것은, 흡수액의 아황산염 농도(이온의 상태로 존재하는 아황산도 함유하는 농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이 검출치와 아황산염 농도 설정치와의 편차 신호에 의하여 산화 촉매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황산염 농도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시료액을 정량 펌프로 채취하여 이 시료액에 염산 등을 첨가하여 발생시킨 기스 중의 하왕산 가스 농도로부터 시료액중의 아황산염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또, 특공평 3-59731호 공보에 표시된 것은, 흡수제 슬러리의 산화환원전위 (ORP)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이 검출치가 소망의 아황산 농도에 상당하는 목표치로 되도록 피이드백 제어함으로써, 아황산 칼슘을 완전 산화된 상태(즉, 아황산 농도가 0에 가까운 저범위로 있는 상태)로 유지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한 특개소 60-226403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방법에서는, 아황산염 논도의 측정으로 10∼20분 정도의 긴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배연유량×아황산 가스 농도) 등의 운전조건이 극히 천천히 변화하는 경우 문제는 없지만, 운전조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배연의 배출원인 보일러 등의 부하 변동은 일반으로 급격하다. 이와 같은 부하 변동에 따르는 운전조건의 변동에 대해서는, 거의 추종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실질적이 아니었다.
한편, 특공평 3-59731호 공부에 표시되어 있는 ORP를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ORP의 검출 시간이 극히 단시간이고, 또 이 ORP의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의 변화로 예민하게 반응함으로써, 단순히 비례제어 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실용적인 추종성 및 제어성이 얻어진다. 그런데 더욱이 고효율로 신뢰성이 높은 산화 제어를 실현하는데는, 상기한 제어 방법으로는 아래에 표시하듯이, 개선 해야할 점이 있다.
(a) 즉, 이 종류의 배연탈황 장치의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의 ORP의 실제의 관계를 발명자 등이 상세하게 분석한 바, 예컨대 도4에 표시하게 되는 지수관수적인 곡선으로 되고, ORP의 저하시에 있어서는 감도가 극단으로 저하되는 특성을 보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비례 감도 일정의 단순한 비례제어(혹은 PID제어)에서는, 부하 변동에 의한 ORP의 하강시(아황산 농도의 증가시)에 산화공기 유량을 증대시키는 조작이 지연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를 장시간 초과하는 가능성이 높다.
(b) 또, ORP의 검출치가 목표치보다도 크게 증가하여 과산화의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산화 공기 유량을 그들의 편차에 따라서 한없이 줄여 버리면, 부하 변동에 의하여 상태가 역전하여 ORP가 급강화 된 경우의 산화공기 유량의 증가가 지연되어 버리며, 역시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를 장시간 초과하는 우려가 있었다.
(c) 또, 흡수액의 ORP와 아황산 농도와의 관계는 흡수액의 pH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이 판명하고 있으므로, ORP의 목표치를 일정하게 하는 단순한 비례제어에서는, 흡수액의 pH가 변동된 경우에, ORP가 적정 범위로 제어되어 있는 데도 불구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d) 또, 불순물의 혼입 등에 의한 흡수액의 액성상인 변화 등에 의하여, 흡수액의 ORP와 아황산 농도와의 관계가 이상하게 변화하는 경우나, 또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산화 공기량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전기의 단순한 비례제어에서는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e) 더욱이, 흡수액의 순환유량의 변화에 의하여 자연산화량이 변동하는 것에 의하여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산화 공기량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전기의 단순한 비례제어에서는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으며, 더욱이 공기의 공급이 과잉되는 우려도 있다.
발명은, 각종 운전 조건의 변동에 추종성 훌륭하게 대응할 수 있고, 원활한 산화 제어를 실현할 수 있고, 운전 조건의 급격한 변동이 있어도 흡수액 중의 아황산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산화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배연탈황 장치의 구성예를 표사한 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산화제어 방법의 구체적 처리내용으로 로직 시컨스의 일례를 표시한 도이다.
제3도는 상기한 로직 시컨스에 있어서의 각 요소 기호의 설명도이다.
제4도는 상기한 배연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아황산 농도와 산화환원전위(ORP)왕의 관계의 이례를 표시한 도이다.
제5도는 상기한 로직 시컨스에 있어서의 비례감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6도는 상기한 로직 시컨스에 있어서의 ORP 편차의 상한 제한을 서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7도는 상기한 배연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액의 pH와 ORP와의 관계(아황산 농도 일정)의 이례를 표시한 도이다.
제8도는 상기한 배연탈황 장치가 부설된 화력발전 설비에 있어서의 보일러부하와 처리가스(배연) 유량과의 관계의 일례를 표시한 도이다.
제9도는 상기한 배연탈황 장치에 있어서의 흡수액 순환 펌프 운전대수(순환유량)와 필요한 산화 공기량과의 관계의 일례를 표시한 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산화제어 방법의 작용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부하변동 시험결과(실시예)를 표시한 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산화제어 방법의 작용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부하변동 시험결과(비교예)를 표시한 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 제어 방법은 아래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1의 모드는, 베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히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안 편차에 대하여, 전기 산호함유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을 결정하는 전기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비례과도치를, 아황산농도에 대한 전기 산화환원전위의 변화특성에 대응시켜, 전기 검출치가 목표치를 하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전기 편차에 대응하여 증가시키도록 한다.
(2)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2모드는, 베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히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전기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인 편차에 대하여,상기한 검출치가 목표치를 상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한치를 설정하고, 이 상한치를 초과하여 상기한 편차가 변화하여도 상기한 산소 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이 과잉되게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3)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3의 모드는, 배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히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흡수액의 pH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의 목표치를, pH에 대한 전기의 산화환원전위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상기한 pH의 검출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4)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4의 모드는, 베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히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안 편차의 값을, 상기한 아황산농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이 변화량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증감시킨다.
(5)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5모드는, 베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함과 아울러, 비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면서, 검지된 아황산 가스량의 값에 따라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전기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을, 상기한 흡수액의 순환유량에 따라서 증감시켜, 자연 산화에 따른 부분만큼 상기한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절감한다.
(6) 본 발명의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의 제6의 모드는, 배연을 칼슘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소정의 목표치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함과 아울러,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면서, 검지된 아황산 가스량의 값에 따라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영에 가까운 낮은 범위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전기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 또는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편차의 값을, 상기한 흡수애그이 액성상에 의하여 증감시켜서, 상기한 흡수액의 액성상 변화에 의한 강제산화 필요양의 변화 특성에 따라서, 상기한 산호함유 기체의 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성취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제1의 모드에 의하면, 산화환원전위에 의거하는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비례감도의 값을 아황산 농도에 대한 산화환원전위의 변화특성에 대응시켜서, 산화환원전위의 검출치가 목표치를 하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편차에 따라 증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부하 변동에 의한 산화환원전위의 하강시(아황산 농도의 증가시)에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을 증감시키는 조작이 지연되며,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를 초과하는 가능성이 각별하게 저감된다.
(2) 본 발명의 제2의 모드에 의하면, 산화환원전위의 검출치가 목표치를 상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편차의 상환치를 설정하고, 이 상한치를 초과하여 편차가 변화해도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이 과잉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산화환원전위의 검출치가 목표치보다도 증가하여 과산화 쪽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이 교축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 변동에 의하여 상태가 역전하여 산화환원전위가 급강하 된 경우의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의 증가가 지연되어 버리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를 초과해 버리는 염려가 없어진다.
(3) 본 발명의 제3의 모드에 의하면, 흡수액의 pHMF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의 목표치를, pH에 대한 산화환원전위의 변화특성에 대응시켜서, pH의 검출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흡수액의 pH가 변동한 경우에, 산화환원전위가 적정범위로 제어되어 있는 불구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결함이 회피된다.
(4) 본 발명의 제4의 모드에 의하면, 산화환원전위의 편차의 값을 아황산 농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증감시켜, 이 변화량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흡수액의 액성상의 이상한 변화 등에 의하여, 상정하여 있던 아황산 농도와 산화환원전위와의 관계가 실제와 합치되지 않도록 된 경우라더라도, 아황산 농도가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결함이 회피된다.
(5) 본 발명의 제5 모드에 의하면, 피이드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의 조작량을 흡수액의 순환 유량에 따라서 증감시켜 자연산화에 따른 부분만큼 공급유량을 절감하고, 조작량을 보다 실제의 필요산화량으로 균형이 잡힌 값으로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의 보다 원활한 피이드포워어드 제어기 이룩되어서, 아황산 농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적정 범위에 유지됨과 아울러, 불필요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을 보다 저감하여, 소비 동력의 삭감이나 과산화에 의한 결함의 방지가 보다 고도화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제6의 모드에 의하면, 피이드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의 조작량을 흡수액의 액성상에 의하여 증감시켜서, 흡수액의 액성상에 의하여 증감시켜서, 흡수액의 액성상 변화에 의한 강제산화 필요량의 변화 특성에 따라서,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분순물의 혼입 등에 의한 흡수액의 액성상 변화에 의해서,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강제 산화량이 변동하여도, 이것에 추종하여 역시 산소함유 기체의 공급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나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표시하듯이 아황산 가스(SO2)를 함유하는 배연은, 닥트(1)를 통하여 흡수탑(2)으로 도입되고, 탈황 후의 배연은 닥트(3)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흡수탑(2) 내에서는, 흡수액이 라인(4)을 통하여 흡수탑(2) 내로 스프레이되어, 충전재(2a)를 경유하여 흘러 떨어지는 흡수제 슬러리와 배연 등이 기액 접촉하여,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가 상기한(1)의 반응에 의하여 흡수된다. 아황산 가스를 흡수한 흡수제 슬러리는 흡수탑(2)의 저부에 형성된 탱크(5) 내에 있어서, 라인(6)을 지나서 분산 노즐(7)보다 미세기포로 되어 흡입되는 공기(산소함유기체)와 접촉하며, 상기한 식(2)의 산화반응과, 식(3)의 중화반응 등이 차례로 진행하고 석고(CaSO4·2H2O)가 생성된다. 또한, 식(2)의 산화반응은, 배연중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한 자연산화에 의해서도 진행한다.
흡수제 슬러리의 ORP는, 이 경우 탱크(5) 내로 설치된 전극(8)에 의하여 검출된다. 전극(8)으로서는 보통 사용되어 있는 백금전극이 사용할 수 있다. 전극(8)에 의하여 검출된 ORP는 , 신호라인(9)에 의하여 예컨대 아날로그 연산회로에서 구성되는 제어기(10)에 송출된다. 이 제어기(10)에서는 제2에 표시하는 후술의 제어처리에 의하여 산화공기유량 설정치를 결정하고, 신호라인(11)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2)에 대하여 그 개도를 조정하기 ??나 개폐신호를 보낸다.
탱크(5)내에는, 라인913) 보다 새로운 석회석 슬러리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결국 탱크(5)내의 슬러리는, 정상적으로는, 제어기(10)에 의한 강제 산화의 겅기유량 제어에 의하여 후술하듯이 아황산 농도가 저범위로 조정되어서, 미량의 미반응 석회석과 다량의 석고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슬러리로 되고, 순환펌프(14)에 의하여 라인(4)으로 송출되는 도상에서 라인(15)에 의해 뽑아 내어지며, 고액분리 되어서 석고가 채취된다.
또한, 흡수탑(2)의 구성은, 도1에 표시한 것 같은 충전식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프레이식이나 액주식 혹은 다른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또, ORP를 검출하는 전극은, 탱크(5) 내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라인(5) 상으로 설치해도 좋고, 별도로 설치된 샘플링 펌프에 의한 순화라인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2 내지 도9에 의하여, 상기한 제어기910)에 의하여 실시되는 본 발명의 산화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도3은, 도2의 로직시컨스에 있어서의 기로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어기(10)는, 상기한 전극(8)에서는 ORP의 검출치(PV), 흡수제 슬러리의 pH의 검출치(DpH), 흡수제 슬러리의 아황산 농도의 검출치(PN), 배연의 배출원인 화력발전 설비로부터의 발전량 지령신호(GO), 흡수탑(2)의 입구에 있어서의 아왕산 가스 농도의 검출치(Y) 흡수탑(2)에 있어서의 흡수제 슬러리의 순환 유량의 값(Q)의 입력을 각각 받아서, 이들의 입력치에 의거하여 도 2의 로직시컨스로 표시하는 처리에 의하여, 산화용 공기유량 설정치(F)(=F1+F2)를 결정한다.
이때에 ORP와 아황산 농도(PN)이와의 입력치의 검출은, 일반적인 것이고 기존의 검출수단을 시용할 수 있다. 또, 아황산 농도의 검출에는, 특개소 60-226403호 공보에 표시된 상기한 방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제 슬러리의 순환 유량의 값(Q)은, 유량센서에 의하여 검출하여도 좋지만, 순환펌프(14)에 정류량 타이프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운전대수로부터 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산화용 공기유량 설정치(F)를 구성하는 값(F1)은, 아래에 설명하는 ORP의 피이드백 제어에 의한 조작량이고, 한편 갑(F2)은, 후술하는 피이드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조작량이다.
제어기(10)에서는, 흡수제 슬러리의 pH의 검출치(DpH)의 입력을 받아서, pH대응최적 ORP설정치 테이블(21)에 의하여, ORP의 목표 초기치(SVO)가 출력된다. pH대응최적 ORP설정치 테이블(21)은, pH에 대한 ORP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ORP의 목표치(SV)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도7에 표시하게 되는 특성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아황산 농도를 일정(예컨대 2mmol/리터)하게 한 경우에는, 도7에 표시하게 되는 특성이 실험에 의하여 산츨되므로, 이 특성에 의하여 입력된 pH에 의거하여 ORP의 목표초기치(SVO)를 결정한다.
한편, 흡수제 슬러리의 아황산 농도를 검출치(PN)에서는, 아황산 농도 설정치(SV)와?? 차인 변화량ε2(=SN-PN)이 산출되며, 이것에 비례계수(K1)를 곱해서 ORP의 목표 보정치(SV1)가 산출된다. 그리고 이 목표보정치(SV1)와 상기하 목표 초기치(SVO)로부터, 최종적인 OPR의 목표치 SV(=SV1+SVO)가 산출된다.
이때에, 아황산 농도 설정치(SN)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하 아황산 농도의 적정 범위의 중심적인 값(예컨대, 0.5∼3mmol/리터 정도)를 설정해 둔다. 또 목표치정치(SV1)는, 흡수제 슬러리 성상의 이상한 변화 등에 의하여 ORP와 아황산 농도와의 실제의 관계가 pH대응최적 ORP설정치 테이블(21)의 특성에 대하여 변화하고, ORP자체는 목표치 근방에 정상으로 제어되어 있는데 아황산 농도가 정상적으로 바람직한 범위에서 벗어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ORP의 제어목표치(SV)를 아황산 농도의 검출치(PN)에 의거하여 직접 보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아황산 농도(PN)가 설정치(SN)보다도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RP의 제어목표치(SV)를 아황산 농도의 검출치(PN)에 의거하여 직접 보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아황산 농도(PN)가 설정치(SN)보다도 증가하여 변화량 ε2(=SN-PN)이 부수의 값으로 되었을 때(산화부족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이 목표 보정치(SV1)가 변화량(ε2)에 비례된 정수의 값으로 되어서 ORP의 목표치(SV)가 이 변화량(ε2)을 부정하는 정도로 위쪽이 수정되도록, 비례계수(K1)의 크기와 극성을 설정하면 좋다.
또, 상기한 전극(8)에서의 ORP의 검출치(PV)는 상기한 최종적인 ORP의 목표치(SV)로부터 감산되어서, ORP피드백 제어 때문에 편차원래치ε0(SV-PV)가 산출되며, 더욱이 이 편차 원래치(ε0)는 도2에 표시하는 하한제어 요소를 거쳐서 최종편차 ε[ε=ε0(ε0>0L), ε=-L (ε0??-L_]가 출력된다. 또한 이때의 하한치(L)는 ORP의 검출치(PV)가 대폭으로 목표치(SV)를 상회하고, 산화용?? 공기량도 극단으로 교착되어 들어간 상태로 도달한 경우에, 도6에 표시하듯이 편차(??)를 이것 이상 하강시키지 않고, 산화용 공기유량 설정치(즉, 제어주작량)를 과잉하게 변화시키지 않도로 하는 것이고, 예컨데 ORP값으로 -150㎷정도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최종 편차(ε)로부터는, 도2에 표시된 비례요소, 적분요소 및 미분요소에 의하여, 하기식(4)에 표시되는 소위(PID)연산이 실시되어서, 산화용 공기 유량의 피리드백 제어에 의한 조작량(F1)이 출
Figure kpo00003
력된다.
이때에, 상기한 시기(4)의 비례 게인(gain)(비례 감도)K는, 상기한 편차(ε)의 극성을 반전시켜서 이루는 편차(ε1)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즉, 우선 비례감도 최적계산 요소(22)에 의하여, 하기식(5)으로 표시하는 연산을 실시하여, 감도 계산 중간치(KA)를 산출한다.
Figure kpo00004
다음에, 도2에 표시하는 하한 제한 요소 및 상한 제한 요소에 의하여, KA의 값을 하한치(MIN)와 상한치(MAX)에서 제한하여 이룩하는 감도 계산 중간치(KB)(예컨데 도5에 표시함)가 생성되며, 더욱이 이 값(KB)에 일률적으로 비례 계수(KO)를 곱해서 비례 감도(K)(=KO·KB)가 출력된다.
이때에, 비례 감도 최적계산 요소(22)는, 예컨대 도4에 표시하게 되는 아황산 농도에 대한 ORP의 변화특성에 대응시켜서, ORP의 검출치(PV)가 설정치(SV)를 하회하는 영역에서 비례 감도(K)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아황산 농도에 대한 ORP의 변화 특성은, 예컨대 도4에 표시하듯이 미산화측(아황산 농도 증가측)에 있어서 지수가 관수적으로 기운정도나 느슨하게 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것은 ORP의 검출치에 의하여 산화공기량을 조정하여 아황산 농도를 일정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공기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되므로, 이 것을 부정하도록 예컨대 도5와 같이 비례 감도(K)를 증가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식95)에 있어서의 정수(m,a,b)는 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실제의 ORP의 변화 특성으로 대응시켜서 설정하면 좋지만, 400㎹발전 설비의 배연탈황 장치의 경우에는, 예컨대 m=13.0, a=17, b=0.0205정도로 설정하면 좋다.
또, 비례계수(KO)나, 식(4)에 있어서의 적분시간(T1) 및 미분시간(TD)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적조정법에 의하여, 시스텀의 안정성 등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감도가 최고로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다음에 조작량(F2)을 생성하는 피이도포워어드 제어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발전량 지령신호(GO)를 받아서, 처리 가스 유량테이브(23)에 의하여 처리가스량(G)을 판정한다. 처리가스 유량테이블(23)은, 발전량 지령신호(GO)(보일러 부하)로부터 처리가스량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400㎹발전 설비의 경우에는 보통은 도8에 표시하게 된다.
처리가스량(G)에는 아황산 가스 농도의 검출치(Y)가 누계되고, 아황산 가스량(SV)이 산출된다. 이 아황산 가스량(SV)에 비례계수(K2)가 누계되며, 더욱이 흡수제 슬러리으 순환유량의 검출치(Q)에 비례계수(K3)를 곱한 것이 가산된다. 그리고, 이 가산결과에 액성상 변화시에 공기량 보정계수(K4)가 누계된 것이, 조작량(F2)으로서 출력된다.
즉, F2=K4(K2· SV+K3· Q)로 된다.
이때에, 비례계수(K2)는, 아황산 가스량(SV)의 단위량에 대한 피룡 공기량의 비에 따른 값이고 K2·SV는, 자연 산화를 고려하지 않고 흡수제 슬러리의 성상이 보통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그 양의 아황산 가스를 전량 산화하기 위한 팔요공기량에 상당하는 값으로 된다. 또한, 이 필요공기량은 최종적으로 실험이나 시운전 등에 의하여 실기의 운전조건마다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 보통이고, 그것에 따라서 비례 계수(K2)의 값을 조정한다. 덧붙여서 보통의 필요공기량은, 그 아황산 가스량을 전량 산화하기 위한 화학량론적으로 산출된 공기량의 약 2배 정도의 양이 필요한 것을 알고 있다.
또, 비례계수(k3와 k4)는, 최종적인 공기유량 조작량(f2)을, 자연산화의 양이나 흡수제 슬러리의 성상에 의하여 변화하는 실제의 필요 공기량에 의하여 정확하게 합치시키기 위하여, 아황산 가스량(SV)으로부터 산출된 상기한 필요 공기량(K2·SV)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컨대 도9는, 400㎿ 발전 설비용의 배연탈황 장치에 있어서, 순환펌프의 운전대수를 2∼5대로 변경된 경우의 보일러 부하의 빌요산화 공기량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한 예이다.
이 도9로부터, 운전대수가 증가되며 순환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필요산화 공기량이 똑같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흡수제 슬러리의 순환유량이 증가하면, 소위 「용추산화」등이 배연중의 산소에 의한 자연산화의 양이 증가되고, 그 정도 강제산화 때문에 공급해야 할 필요공기량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재어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흡수제 슬러리의 순환유량에 의거하는 필요 산화 공기량의 증감량을 미리 실험 등에 의하여 산출해 두고, 그 부분이 아황산 가스량(SV)으로부터 산출된 상기한 필요공기량(K2·SV)에서 공제되도록 비례계수(K3)를 설정한다.
또, 흡수제 슬러리에는 배연중이나. 용수 중에서 혼입된 각종불순물(Mg, Cl, F, Al, Mn등)이 용해하여 있고, 이들 불순물은 그 농도나 pH 등의 조건(즉, 액성상)에 따라서는, 상기한 반응식(1)∼(3)의 진행을 저해하여, 실제의 필요 산화 공기량을 변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들 분순물의 농도는, 예컨대 배연탈황장치의 앞 흐름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기의 불편함 등에 의하여, 경우 따라서는 이상하게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제어방법에서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하여 상기한 액성상과 필요산화 공기량의 변동 비율을 산출하고, 이것을 데이터 테이블로서 설정해 둔다. 그리고, 흡수제 슬러리 중의 cl농도 등의 불순물 농도를 예컨대 정기적으로 손수 분석에 의하여 검출하고, 이 농도와 슬러리의 pH의 검출치(특, 액성상)로부터 상기한 데이터 테이블에 의하여 판정된 값으로 비례 계수(K4)를 설정 변경한다.
[변형예]
상기한 실시예는 아래의 변형예를 함유하고 있다. 즉 도2에 표시하는 구성예로 한정되지 않고, 상식적인 범위에서 마찬가지의 사상을 실현하는 로직 구성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또 예컨대 ORP제어 때문의 미분 동작이나 적분동작, 혹은 아황산 가스량에 의거하는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는, 조건에 따라서는 삭제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한 도2에 표시하는 구성예는, 본 발명의 각 모드에 기재된 각 특징을 전부 구비하는 상태(가장 바람직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각각의 특징을 독립으로 혹은 몇 개를 조합해서 적용해도 좋다. 또 흡수제 슬러리의 액성상 변화에 의한 보정은, ORP의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예컨대 목표치(SV)의 값에 비례 계수를 곱하게 하므로서, 편차(ε0)의 값을 액성상에 의하여 증감시켜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
도10은, 400㎿ 발전 설비용의 배연탈황 장치로서, 도1 및 도2 등에표시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의구성된 장치(단, 아황산 농도의 변화량(ε2)에 의한 ORP의 목표치(SV)의 보정처리는 없음)에 의하여 실시된 80㎿∼400㎿의 부하 변동시험 결과(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10의 실험 결과에선,S 급격한 부하 변동이 있어도 탈황율이 항상 96.8%이상 유지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법위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ORP값도, 100㎷정도에 인정적으로 유지되고, 가령 단시간에서도 과산화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도11의 실험결과 에서는, 탈황율이 96.5%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ORP값이, 부하 변동에 의하여 낮은 부하로 될 때마다 대폭적으로 증가하여 300㎷를 크게 초과해 버리고, 낮은 부하시에 있어서 명확하게 과산화의 상태로 되어서 COD값도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순한 PID제어에 의한 산화제어 방법에선,S 이와 같은 과산화의 상태를 개선할려고 하면, 단순히 ORP의 목표치를 내리지 않게 할 수 없고, 이 경우에는, 역으로 고부하시에 ORP값이 저하되어 산화부족(아황산 농도 부적정)의 상태로 되고, 높은 탕황율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은 명확하다.
이상으로 설명된 본 산화제어 방법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필요 최소한의 산화 공기량으로 흡수제 슬러리 중의 아황산 농도를 효율높고 또한 확실하게 적정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또 급한 부하 변동이 있을 때라도 양호하게 추종하여, 탈황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과산화물의 발생이나 COD값의 증가라는 결함을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회피할 수 있다.
(1) 즉, ORP값에 의거하는 피이드백 제어의 PID연산에 있어서 비례감도(K)의 값을, 도5에 표시하듯이 아황산 농도에 대한 ORP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ORP의 검출치(PV)가 목표치(SV)를 하회하는 영역(ε1<0의 영역에 있어서 편차(ε1)에 따라서 지수 관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 때문에, 부하 변동에 의한 ORP의 하강시(아황산 농도의 증가시)에 산화 공기 유량을 늘리는 조작이 지연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가능성이 각별하게 저감된다.
(2) 또, 도6에 표시하듯이 ORP의 검출치(PV)가 목표치(SV)를 상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편차의 상한치(L)를 설정하며, 이 상한치를 초과하여 편차(ε0)가 변화해도 산화용 공기 유량의 조작량(F)이 과잉하여 변화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ORP의 검출치(PV)가 목표치(SV)보다도 증가하여 과산화 쪽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산화 공기 유량이 교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변동이 보다 상태가 역전하여 ORP가 급강화 된 경우의 산화 공기 유량의 증가가 지연되어, 아황산 농도가 적정 범위를 초과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3) 또, 흡수제 슬러리의 pH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ORP의 목표피(SV)를, pH에 대한 ORP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pH의 검출치(DpH)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흡수액의 pH가 변동된 경우에, ORP가 적정범위로 제어되어 있는 데도 불구하고, 아황산 농도가 적정 범위로부터 밋나가 버리는 결함이 회피된다.
(4) 또, 본 제어방법의 경우에는 ORP의 목표치(SV)의 값을 증감시키므로써, 간접적으로 편차(ε0)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산화용 공기유량(F)을 조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흡수제 슬러리의 액성상의 이상한 변화 등에 의하여, 상정하고 있던 아황산 농도와 ORP와의 관계가 실제와 합치되지 않도록 된 경우라도, 아황산 농도가 정상적으로 적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흡수제 슬러리 중의 아황산 농도의 검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저라도 10∼20분 정도가 필요하며, 이 아황산 농도의 검출에 의한 ORP에서의 보정에는 높은 응답성은 기대할 수 없지만, 상기한 액성상의 이상 등의 변화는 보통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용상으로 충분하다.
(5) 또,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산화용 공기 유량의 조작량(F2)을, 흡수제 슬러리의 순환유량(Q)에 따라서 증감시켜, 자연산화에 따른 부분만큼 공기 유량을 절감하고, 조작량(F2)을 보다 실제의 필요 공기량을 균형이 잡힌 값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산화 공기 유량의 보다 원활한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가 이루어져서 아황산 농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적정 범위에 유지됨과 아울러, 불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보다 저감하여, 소비 동력의 삭감이나 과산화에 의한 결함의 방지가 보다 많이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6) 또, 본 제어 방법의 경우에는,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산화용 공기 유량의 조작량(F2)을, 흡수제 슬러리 중의 용해성분(예컨대 C1)의 농도가 pH에 의하여 검지되는 액성상에 따라서 증감시켜, 흡수제 슬러리의 액성상의 변화에 의한 강제 산화 필요량이 변화 특성에 따라서 공급 공기 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한다.
이 때문에, 불순물의 혼입 등에 의한 흡수액의 액성상 변화에 의하여,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산화 공기량이 변동하여도, 이것에 추종하여 역시 산화용 공기 공급 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 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하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인 편차에 대하여 상기한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을 결정하고,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비례 감도의 값을, 아황산 농도에 대한 상기의 산화환원전위의 변화 특성에 대응시켜서, 상기한 검출치를 산화환원전위의 목표치로 하는 140㎷미만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한 편차에 따라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2.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하므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인 편차에 대하여, 상기한 검출치가 목표치를 상회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한치를 설정하고, 이 상한치를 초과하여 상기한 편차가 qkus화하여도 상기한 산소 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이 과잉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3.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함과 아울러,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면서, 검지된 아황산 가스량의 값에 따라서 상기한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를 실시함으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흡수액의 pH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산화환원전위의 목표치를 pH에 대한 상기한 산화환원전위의 변화 특성에 대응 시켜서 상기한 pH의 검출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4.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하므러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치와 검출치와의 차인 편차의 값을 상기한 아황산 농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그 변화량을 부정하는 ??향으로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5.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는 산화용의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함과 아울러,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면서, 검지된 아황산 가스량의 값에 따라서 상기한 산소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를 실시함으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서, 상기한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상기 의 산호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을, 상기한 흡수액의 순환 유량에 따라서 증감시켜, 자연 산화에 따른 부분만큼 상기한 산호함유 기체의 유량을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6. 배연을 칼슘 화합물을 함유하는 흡수액에 접촉시켜서 배연중의 적어도 아황산 가스를 제거할 때에, 상기한 흡수액의 산화환원전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면서, 이 검출치가 아황산 농도가 0.∼5mmol/1에 대응하는 산화환원전위로 되도록 상기한 흡수액내로 불어 넣은 산화용의 산호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백 제어를 실시함과 아울러, 배연중의 아황산 가스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면서, 검지된 아황산 가스량의 값에 따라서 상기한 산호 함유 기체의 유량을 증감시키는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를 실시함으로서, 상기한 흡수액중의 아황산 농도를 0.∼5mmol/1로 유지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으로, 상기한 피이드 포워어드 제어에 의한 상기한 산호 함유 기체의 유량의 조작량, 또는 상기한 피이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편차의 값을, 상기한 흡수애그이 액성상에 의하여 증감시켜서, 상기한 흡수액의 액성상 변화에 의한 강제 산화 필요량의 변화 특성에 따라서, 상기한 산소 함유 기체의 유량을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KR1019970007629A 1996-06-28 1997-03-07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KR10023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85996A JP3150615B2 (ja) 1996-06-28 1996-06-28 排煙脱硫処理における酸化制御方法
JP96-169859 1996-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552A KR980000552A (ko) 1998-03-30
KR100235853B1 true KR100235853B1 (ko) 1999-12-15

Family

ID=1589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629A KR100235853B1 (ko) 1996-06-28 1997-03-07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29100A (ko)
EP (2) EP0815923B1 (ko)
JP (1) JP3150615B2 (ko)
KR (1) KR100235853B1 (ko)
DK (2) DK1386654T3 (ko)
ES (2) ES2219741T3 (ko)
PL (1) PL188797B1 (ko)
TW (1) TW328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0003024A (es) * 1999-03-31 2002-03-08 Mcdermott Technology Inc Control incrementado de mercurio en un depurador humedo a traves de flujo reducido de aire de oxidacion.
US6594553B1 (en) * 2000-04-18 2003-07-15 Alstom (Switzerland) Ltd Process for enhancing the sulfur capture capability of an alkaline earth material
US7771514B1 (en) * 2004-02-03 2010-08-10 Airgar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ted effluent gases to a scrubber
DE102005044779A1 (de) 2005-09-20 2007-03-22 Messer Group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chwefeldioxidkonzentration in Rauchgasen
US7611684B2 (en) * 2006-08-09 2009-11-03 Airgard, Inc. Effluent gas scrubber and method of scrubbing effluent gasses
US7524473B2 (en) * 2007-03-23 2009-04-28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of mercury removal in a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CN101610974B (zh) * 2007-12-07 2012-06-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氢生成装置和燃料电池系统
JP2009166010A (ja) * 2008-01-21 200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焚ボイラの排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7854792B2 (en) * 2008-09-17 2010-12-21 Airgard, Inc. Reactive gas control
SE533938C2 (sv) * 2009-07-14 2011-03-08 Marketing I Konsulting Per Anders Brattemo Förfarande samt anordning för rening av gaser
FR2954177B1 (fr) * 2009-12-23 2012-02-03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de determination d'un taux de charge en gaz acide dans une solution absorbante et son application a un suivi d'un procede de desacidification
KR101145107B1 (ko) * 2010-03-30 2012-05-11 김진민 워엄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JP5898885B2 (ja) * 2011-08-30 2016-04-06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における不活性化現象の予防方法
US9321025B2 (en) 2012-05-11 2016-04-26 Alstom Technology Ltd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US9321006B2 (en) 2012-05-11 2016-04-26 Alstom Technology Ltd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DE102013008756A1 (de) 2013-05-23 2014-11-27 Messer Austr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mit Schwefeldioxid beladenen Gasstroms
US9873082B2 (en) * 2015-03-27 2018-01-23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Wet type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919016B2 (en) 2017-02-15 2021-02-1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xidation cont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CN110559816B (zh) * 2018-06-05 2021-10-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烟气脱硫塔和烟气除尘、脱硫及废水处理工艺
CN109092045B (zh) * 2018-10-11 2020-07-21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石灰石-石膏法烟气脱硫浆液氧化控制方法
CN113758978B (zh) * 2021-08-31 2024-03-2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基于orp值计算湿法脱硫浆液液相含硫(iv)物质含量的方法
CN113898581B (zh) * 2021-09-30 2023-10-03 江苏昆仑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湿法脱硫罗茨风机节能控制系统及方法
CN115193232B (zh) * 2022-07-14 2023-09-2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脱硫浆液中Ca2+浓度与pH在线控制浆液氧化状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403A (ja) * 1984-04-20 1985-11-11 Mitsubishi Heavy Ind Ltd 亜硫酸塩濃度調整方法
DE3431662A1 (de) * 1984-08-29 1986-03-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Regelverfahren fuer sorptionsmittel
EP0224627A1 (en) * 1985-12-06 1987-06-1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esulfurizing exhaust gas
JPH02174914A (ja) * 1988-12-27 1990-07-06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装置の流量制御方法
JP2738750B2 (ja) * 1989-08-14 1998-04-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排ガス脱硫設備の制御方法
SE9000166L (sv) * 1990-01-17 1991-07-18 Eka Nobel Ab Redoxreglering
JP3091247B2 (ja) * 1991-03-19 2000-09-25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湿式排ガス脱硫装置の吸収塔への吸収液循環流量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268127B2 (ja) * 1994-07-11 2002-03-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亜硫酸塩の酸化制御方法
TW276189B (ko) * 1994-11-08 1996-05-21 Gen Electric Environment
JP3358926B2 (ja) * 1995-12-19 2002-12-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脱硫方法における亜硫酸塩の酸化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6659T3 (es) 2005-07-16
EP0815923A3 (en) 1998-09-30
DK0815923T3 (da) 2004-08-23
US6029100A (en) 2000-02-22
EP1386654B1 (en) 2005-04-06
EP1386654A1 (en) 2004-02-04
PL188797B1 (pl) 2005-04-29
EP0815923A2 (en) 1998-01-07
KR980000552A (ko) 1998-03-30
JP3150615B2 (ja) 2001-03-26
EP0815923B1 (en) 2004-05-26
ES2219741T3 (es) 2004-12-01
PL319049A1 (en) 1998-01-05
JPH1015343A (ja) 1998-01-20
TW328054B (en) 1998-03-11
DK1386654T3 (da) 2005-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53B1 (ko) 배연탈황 처리에 있어서의 산화제어 방법
CN109092045B (zh) 一种石灰石-石膏法烟气脱硫浆液氧化控制方法
KR0145215B1 (ko) 아황산염의 산화제어방법
CN209968041U (zh) 一种新型的石灰石石膏法脱硫氧化风机调节系统
KR20110097969A (ko) 배기 가스 처리 방법
CA2239390A1 (en) Desulfurization process for flue gases
JP3836048B2 (ja) 湿式排煙脱硫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04448A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と方法
EP0224627A1 (en) Method for desulfurizing exhaust gas
JPS61433A (ja) 排煙脱硫方法
JPH1157395A (ja) 排煙処理方法及び排煙処理装置
JPH06238126A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H0243473Y2 (ko)
JPH09327616A (ja) 排煙脱硫装置の酸化性物質濃度制御方法及び装置
US20230009711A1 (en) Continuous process to treat a hydrogen sulphide comprising gas
JPH0125675Y2 (ko)
JPS6150618A (ja) 吸収塔ph制御装置
JPH10202050A (ja) 排煙脱硫装置におけるセレン酸化抑制方法及び装置
JPH07204459A (ja) 吸収液中の亜硫酸カルシウムの酸化制御方法
JPH04222620A (ja) タンク酸化湿式脱硫方法
TH35216A (th) วิธีการสำหรับควบคุมการออกซิไดซ์ในการขจัดกำมะถันในแก๊สจากท่อควัน
TH27589B (th) วิธีการสำหรับควบคุมการออกซิไดซ์ในการขจัดกำมะถันในแก๊สจากท่อควัน
JPS61259733A (ja) 吸収塔pH制御装置
JPH11169658A (ja) 排煙脱硫装置の酸化空気供給制御方法及び装置
JPH05793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