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602B1 - Atm 셀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Atm 셀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602B1
KR100235602B1 KR1019970004376A KR19970004376A KR100235602B1 KR 100235602 B1 KR100235602 B1 KR 100235602B1 KR 1019970004376 A KR1019970004376 A KR 1019970004376A KR 19970004376 A KR19970004376 A KR 19970004376A KR 100235602 B1 KR100235602 B1 KR 10023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ignal
outputting
atm cells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981A (ko
Inventor
한규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6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asynchronous transmission, e.g. token ring, register insertion

Abstract

본 발명은 ATM 고속 전송망의 서비스 품질을 최대화하면서 전송망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ATM 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AIMUX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 셀들의 개수를 판별하는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FIFO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 ATM 고속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데이터의 손실 등에 의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ATM 셀 전송 장치
본 발명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ATM 고속 전송망의 서비스 품질을 최대화하면서 전송망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는 ATM 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정보 통신망의 핵심 기술인 ATM은 기존의 개별적인 망을 하나의 통합된 망으로 통일하여 저속의 텍스트 데이터(text data) 및 음성 데이터, 그리고 고속의 화상 데이터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광 케이블을 통해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서 근래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도 1에는 상술한 ATM 전송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00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망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200은 가입자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300은 ATM 통신 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매체로서 가장 적합한 전송 매체로 각광받고 있는 광케이블을 나타낸다.
그러나, ATM 통신망의 전송 매체로서 광케이블이 가장 적합하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가입자에게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통신망 구축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매우 크다.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가입자의 대부분이 데이터비(data rate)가 25MHz 이하이기 때문에 고속의 전송 매체인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에 부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ATM 고속 전송망의 서비스 품질을 최대화하면서 전송망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ATM 셀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ATM 전송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전송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셀 전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셀 전송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ITU-T 망 200 : 가입자
300 : 광케이블망 210, 410 : AIMUX
420 : T1/E1 망 430 : 셀 판단정렬부
440 : 유효 셀 출력 제어부 450 : ATM 셀 출력부
431 : 셀 시작점 검출부 432 : 셀 유/무효 판단부
433 : 유효셀 정렬부 441 : 라우터부
442 : 어드레스 발생부 451 :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
452 : FIFO 메모리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ATM 셀 전송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 유/무효 여부를 판별하고, 유효로 판별된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인가받고, 이에 대응되는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고, 상기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은 AIMUX이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은,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 셀들의 개수를 판별하여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은,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입력된 각 ATM 셀들 중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은,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이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은 FIFO 메모리인 ATM 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AIMUX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한 셀들의 개수를 판별하여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FIFO 메모리를 포함한다.
(작용)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 ATM 고속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의 손실 등에 의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및 도 4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TM 셀 전송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 유/무효 여부를 판별하고, 유효로 판별된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인가받고, 이에 대응되는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고, 상기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ATM 고속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데이터의 손실 등에 의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ATM 셀 전송 장치의 구성 요소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2에는 근래에 제안되고 있는 ATM 전송망의 개념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ATM 전송망은, ITU-T 망(10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는 광케이블(300)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후, 가입자(200)까지는 종래의 T1/E1급 전용 전화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때, AIMUX(ATM Inverse Multiplex ;41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들을 저속의 T1/E1급 신호 비(rate)로 역 다중화시켜 각 채널로 분리한 후, T1/E1급(420)전송망을 통해 가입자(200)에게 전송하고, 다시 가입자(200)의 근거리에서 AIMUX(210)를 통해 역다중화하여 가입자(200)에게 제공하면 T1/E1급 전용 전화선(420)이 광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속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데이터의 전송 지연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셀 전송 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셀 전송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AIMUX(410)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된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start of cell ;SOC)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T [1:N])를 출력하는 셀 시작점 검출부(431)와,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T [1:N])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cell delay variation ;CDV)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한 셀들의 개수를 판별하는 셀 판별 신호(CELL_V/INV) 및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를 출력하는 셀 유/무효 판단부(432)와, 상기 셀 판별 신호(CELL_V/INV) 및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RA [1th:Nth]) 및 프레임 포기 신호(frame discard ;FD)를 출력하는 유효셀 정렬부(433)와,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RA [1th:Nth]) 및 프레임 포기 신호(FD)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W_add [1th:Nth)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WE [1:N])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부(442)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W_add [1th:W_add Nth)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Rout [1:Log2N)를 출력하는 라우터부(router ;441)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Rout [1:Log2N)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reverse banyan matrix ;451)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WE [1:N])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Rout [1:Log2N)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RE [1:N])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FIFO 메모리(first in first out memory ;45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ATM 셀 전송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TU-T 망(100)으로부터 광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ATM 셀들은 AIMUX(410)에 의해 T1/E1급 전송망의 데이터 비(data rate)를 갖도록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된다.
다음, 상기 셀 시작점 검출부(431)는 상기 AIMUX(410)로부터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시작점(SOC)을 검출하여 각 ATM 셀들의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C [1:N])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들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C [1:N])를 입력받은 셀 유/무효 판단부(432)는 각 채널에서 검출된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C [1:N])로부터 수신 ATM 셀들의 지연(delay)값을 계산하고, 이 지연값을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cell delay variation ;이하 'CDV'라 함)값과 비교하여 수신 ATM 셀들의 지연값이 CDV 보다 작을 때는 해당되는 ATM 셀이 유효한 데이터이고, CDV 보다 클 때는 해당되는 ATM 셀이 무효한 데이터임을 선언하는 셀 판별 신호(CELL_V/INV)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셀 유/무효 판별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IMUX(410)에서 첫 번째 ATM 셀의 전송시 상기 셀 유/무효 판단부(432)내의 CDV 계수기를 인에이블시켜 계수를 시작한다. 이어, 상기 셀 시작점 검출부(431)로부터 셀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C [1:N])가 입력되면 최초의 셀 시작점 검출 신호(SOC_DEC [first] ; first : 처음 셀 시작점 검출 신호가 검출된 특정 번째의 채널)의 CDV값(CDV_first)을 저장하고 계속 계수해 나간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CDV값을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준 CDV값(CDV_ref)과 비교하여 CDV값(CDV_first)이 기준 CDV값(CDV_ref)보다 작으면 첫 번째 셀 유효 신호(CELL_V[first])를 발생하고, CDV값(CDV_first)이 기준 CDV값(CDV_ref)보다 크면 첫 번째 셀 무효 신호(CELL_INV[first])를 발생한다.
여기에서, 만일 셀 무효 신호(CELL_INV[first])가 발생된 경우에는 그 이후의 셀들에 대해서는 발생된 순서에 따른 정렬 즉, SN(Sequence Number)을 정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셀 개수 판별 신호를 디세이블(SN_DISEN [first:Nth])시키고, 셀 유효 신호(CELL_V[first])가 발생된 경우에는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 [first])를 인에이블시킨다.
그리고, 첫 번째 셀에 대하여 셀 유효 신호(CELL_V[first])가 발생되면 두 번째 셀도 동일한 셀 유/무효 판단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마지막 셀(N번째 셀)까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셀 판별 신호(CELL_V/INV)들은 하나의 ATM 셀들이 가지는 크기인 53 바이트(byte)동안만 인에이블되고,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 [1:N])는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이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는 하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며, 다음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에는 이전의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가 클리어(clear)된 후, 다음 프레임에 대한 셀 개수 판별 신호를 다시 발생하게 된다.
다음, 상기 셀 유/무효 판단부(432)로부터 셀 판별 신호(CELL_V/INV) 및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를 인가받은 유효셀 정렬부(433)는, 유효인 ATM 셀들을 제일 먼저 발생되어 전송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정렬 순서값(RA [1th:Nth])을 출력한다.
또한, 셀 개수 판별 신호(SN_EN/DISEN)의 값이 전송망에서 정해진 셀 개수의 임계치(SN_ref)이상의 편차가 발생되면 현재 전송되고 있는 전체 프레임의 데이터를 폐기시키기 위한 프레임 포기 신호(FD)를 발생시킨다.
즉, 프레임 포기 신호(FD)가 인에이블되면 유효한 ATM 셀들에게 부여된 정렬 순서값(RA [1th:Nth])이 모두 클리어되고, 프레임 포기 신호(FD)가 디세이블되면 유효한 ATM 셀들의 정렬 순서값(RA [1th:Nth])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 순서값(RA [1th:Nth])을 입력받은 어드레스 발생부(442)는 유효한 데이터로 판별된 ATM 셀들의 해당 채널의 ATM 셀들을 상기 FIFO 메모리(FIFO memory ;452)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W_add [1th:Nth])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WE[1:N])를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효한 ATM 셀들의 어드레스 신호(W_add [1th:Nth])를 인가받은 상기 라우터부(441)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W_add [1th:Nth])를 이용하여, 상기 AIMUX(410)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로 입력되는 실제 입력 채널의 데이터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Rout [1:Log2N])를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의 입력단에서 랜덤(random)하게 입력되는 ATM 셀들 중 유효하다고 판별된 ATM 셀들은 상기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Rout [1:Log2N])에 의해 상기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의 출력단의 상위부터 하위까지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다음, 상기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로부터 출력된 ATM 셀들은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442)로부터 쓰기 인에이블 신호(WE [1:N])를 인가받은 FIFO 메모리(452)에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FIFO 메모리(452)에 저장된 ATM 셀들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RE [1:N])에 응답하여 저장된 ATM 셀들을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FIFO 메모리(452)는 입력 순서대로 출력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이기 때문에 상기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로부터 입력된 순서대로 ATM 셀들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ATM 셀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의해서, ATM 고속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데이터의 손실 등에 의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8)

  1.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410)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 유/무효 여부를 판별하고, 유효로 판별된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0)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세 개수 판별 신호를 인가받고, 이에 대응되는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0)과;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고, 상기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450)을 포함하는 ATM 셀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수단(410)은 AIMUX인 ATM 셀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0)은, 상기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1)과;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한 셀들의 개수를 판별하는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2)과;
    상기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3)을 포함하는 ATM 셀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0)은,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2)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1)을 포함하는 ATM 셀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450)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451)과;
    상기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452)을 포함하는 ATM 셀 전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입력된 각 ATM 셀들 중 유효셀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451)은,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인 ATM 셀 전송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수단은 FIFO 메모리인 ATM 셀 전송 장치.
  8. 외부로부터 입력된 ATM 셀들을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AIMUX(410)와;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의 셀 시작점을 검출하여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1)과;
    상기 셀 시작점 검출 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이미 설정된 셀 지연 편차와 비교하여 각 ATM 셀들의 유/무효 여부 및 소정 개수의 ATM 셀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각 프레임의 유효한 셀 개수를 판별하는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2)과;
    상기 셀 판별 신호 및 셀 개수 판별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유효인 ATM 셀들을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33)과;
    상기 유효셀 정렬 순서값 및 프레임 포기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2)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441)과;
    다수 개의 채널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각 ATM 셀들을 입력받고, 이 ATM 셀들 중 외부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ATM 셀들을 출력하는 리버스 배니안 매트릭스(451)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위칭 경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된 ATM 셀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ATM 셀들을 출력하는 FIFO 메모리(452)를 포함하는 ATM 셀 전송 장치.
KR1019970004376A 1997-02-14 1997-02-14 Atm 셀 전송 장치 KR10023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376A KR100235602B1 (ko) 1997-02-14 1997-02-14 Atm 셀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376A KR100235602B1 (ko) 1997-02-14 1997-02-14 Atm 셀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981A KR19980067981A (ko) 1998-10-15
KR100235602B1 true KR100235602B1 (ko) 1999-12-15

Family

ID=1949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376A KR100235602B1 (ko) 1997-02-14 1997-02-14 Atm 셀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981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0341A (en) Stochastic time division multiplexing
US5623493A (en) Multiplexer demultiplexer switching device and network adapter
KR0150367B1 (ko) 완결 결합형 에이티엠 스위칭 장치
US441333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for circuit mode and packet mode lines
US5875177A (en) Path test system for ATM switch
WO1998024228A2 (en) Optical network unit for communicating telephony and video information
US5732085A (en) Fixed length packet switching apparatus using multiplexers and demultiplexers
US6188697B1 (en) ATM cell transport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331989B1 (en) Multiplex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0174690B1 (ko) 교환기에서 비동기 전송모드 인터프로세서 통신셀의 다중화/역다중화방법 및시스템
US7075944B1 (en) Accommodation frame and transmission device of different data traffics on common carrier wave
US6144665A (en) Subscriber network system
US6975649B1 (en) Hyper-concatenation across independent pointer processors
US6700903B1 (en) Upstream scrambler seeding system and method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EP1169823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based very-high-bit-rate digital (vdsl) subscrib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235602B1 (ko) Atm 셀 전송 장치
US6628659B1 (en) ATM cell switching system
RU22330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мутации для асинхронного режима передачи
JP2785005B2 (ja) Fc/atm網相互変換装置における多重/分離方式
EP1096731A1 (en)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access method
KR20020054194A (ko) 에이티엠-폰 광 선로 종단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
KR20000032948A (ko) 에이.디.에스.엘 디.에스.엘.에이.엠의 에이.티.엠다중화 및역다중화장치
KR0131851B1 (ko) 단일링 구조하의 비동기전달모드(atm) 셀 송수신장치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JPH1174890A (ja) Atm−pds光加入者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