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30B1 - 취반용 물계량구 - Google Patents

취반용 물계량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30B1
KR100235430B1 KR1019970060236A KR19970060236A KR100235430B1 KR 100235430 B1 KR100235430 B1 KR 100235430B1 KR 1019970060236 A KR1019970060236 A KR 1019970060236A KR 19970060236 A KR19970060236 A KR 19970060236A KR 100235430 B1 KR100235430 B1 KR 10023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cooking
ove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966A (ko
Inventor
정관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4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반용 물계량구에 관한 것으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기준부(20,20')와, 상기 몸체(11)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른 물(W)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표시부(30,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는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10)를 사용하면 쌀(R)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상태의 밥을 용이하게 지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취반용 물계량구
본 발명은 취반용 물계량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내에 투입하여 취반에 필요한 물량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한 취반용 물계량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을 맛있게 하기 위해서는 쌀의 질, 물의 양, 가열 온도 및 시간, 뜸들이기 온도 및 시간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종래에는 취반시에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순전히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존하였다. 이와 같이, 쌀의 종류나 품질에 관계없이 물량을 맞춤에 있어 단순히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쌀의 종류나 품질이 달라짐에 따라 완성된 밥의 찰기나 맛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 내부 벽면에 눈금(2)을 형성하여 물(W)의 양을 맞추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오븐(1) 내부 벽면에 눈금(2)을 형성하여 물(W)의 양을 맞추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오븐(1) 벽면에 눈금(2)을 인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오븐(1) 표면에 1차코팅을 하고, 상기 1차코팅면 상에 눈금(2)을 인쇄한다. 그리고 상기 눈금(2)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눈금(2)을 덮도록 2차코팅을 한다. 이와 같이 눈금(2)의 형성을 위해 여러 가지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그리고, 눈금(2)이 오븐(1)의 내부 벽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기가 힘들고 정확한 계측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눈금(2)이 벽면에 형성되어 있어 사람이 몸을 낮추어야만 확인이 가능하고, 또 쌀(R)을 아무리 깨끗하게 씻더라도 밥물은 맑지 않고 불투명하기 때문에 눈금(2)을 정확하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밥솥 전체가 약간 기울어져 오븐(1)이 정확한 평면상에 있지 않게 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어 물(W)의 양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오븐(1)의 양측 벽면을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고, 설사 사용자가 양측 벽면을 모두 확인하더라도 눈금(2)이 벽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오븐(1)이 기울어진 것을 찾아낼 길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같이 오븐(1)이 기울어져 물(W)의 양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는 그 오차가 더욱 크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한눈에 밥물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밥맛을 보다 좋게 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일반적인 밥솥의 오븐에 쌀과 물을 넣어 취반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취반용 물계량구 11 : 몸체
20,20' : 기준면 30,30' : 표시눈금면
31,31' : 표시눈금 W : 물
R : 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기준부와,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른 물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바용 물계량구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눈금표시부는 상기 각각의 기준부에 대해 소정경사지게 형성되어 기준부의 상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쌀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상태의 밥을 짓기 위한 물량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물계량구(10)는 몸체(11)가 소정의 부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몸체(11)는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의 상하에는 각각 기준면(20,20')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준면(20,20')은 취반을 위한 쌀(R)의 종류(예를 들면 백미와 현미)에 따라 물(W)의 양의 측정을 위한 기준이 되는 면이다. 즉 백미로 취반을 할 경우 제2도에서와 같이 현미라고 표시된 기준면(20')이 쌀과 접촉되도록 오븐(15) 내에 위치되고, 반대로 현미로 취반을 할 경우 이와 반대로 백미라고 표시된 기준면(20)이 쌀(R)과 접촉되도록 위치되어 현미라고 표시된 기준면(20')이 오븐의 상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11)의 측면에는 상기 기준면(20,20')에 대해 일정 경사지게 표시눈금면(30,30')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눈금면(30,30')에는 상기 기준면(20,20')에 표시된 쌀(R)의 종류에 따라 물(W)의 양을 조절하여 밥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표시눈금(31,31')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눈금(31,31')으로 표시되어 있는 밥의 상태로는 진밥, 보통밥, 된밥이 있다. 상기 표시눈금(31,31')은 상기 몸체(11)를 둘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눈금면(30,30')은 상기 몸채911)의 상하에 구비된 기준면(20,20')에 대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표시눈금면(30,30')은 상기 몸체(11)의 중앙에서 서로 경사지게 만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눈금(31,31')은 백미의 경우나 현미의 경우에 각각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백미를 사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와 현미나 잡곡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물(W)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취반용 계량구(10)는 밥을 짓기 위한 오븐(15)에 투입하여 물(W)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미를 사용하여 밥을 하는 경우에는 오븐(15) 내에 쌀(R)을 평평하게 투입하고 상기 평평하게 투입된 쌀(R)의 표면에 상기 계량구(10)를 놓는다. 이때, 상기 계량구(10)의 기준면(20,20')중 백미하고 표시되어 있는 기준면(20)이 오븐(15)의 상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W)을 원하는 바의 상태에 맞게 투입한다. 즉, 된밥을 원하면 오븐(15)의 상부에서 보아 된밥이라고 표시된 표시눈금(31)까지 물(W)을 투입하고, 보통밥을 원하면 오븜(15)의 상부에서 보통밥이라고 표시된 표시눈금(31)까지 물(W)을 투입한다. 그리고 진밥을 원하면 진밥이라고 표시된 표시눈금(31)까지 물(W)을 투입한다. 이와 같이 원하는 양의 물(W)을 투입한 상태에서 취반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현미나 잡곡을 사용하여 밥을 하는 경우에는 현미하고 표시되어 있는 기준면(20')이 오븐(15)의 상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그리고 위에서와 같이 원하는 밥 상태에 맞게 물(W)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현미일 경우에 사용되는 표시눈금면(30')에 표시된 표시눈금(31')은 백미일 경우에 사용되는 표시눈금면(30)의 표시눈금(31')보다 기준면(20,20')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표시눈금(31')에 맞추어 물(W)을 투입하게 되면 정확하게 맞추어진다.
또한, 상기 취반용 물계량구(10)는 오븐(15)에 그대로 둔 상태로 취반 및 보온을 진행하게 된다. 이는 상기 취반용 물계량구(10)가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살균 및 보온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물계량구(10)는 오븐(15)의 중앙 쪽에 넣어져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한눈에 물(W)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1)를 둘러 기준면(20,20')에 대해 경사지게 표시눈금면(30,30')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눈금면(30,30')을 따라 표시눈금(31,31')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오븐(15)의 상부에서 상기 표시눈금(31,31')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물(W)의 양을 계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준면(20,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잇는 표시눈금면(30,30')의 표시눈금(31,31')을 확인하면 오븐(15)이 기울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즉, 기준면(20,20')을 중심으로 양측 표시눈금면(30,30')의 표시눈금(31,31')에 정확하게 물수위가 맞추어져 있지 않으면 오븐(15)이 기울어지거나 물계량구(10)가 기울어진 것이므로 오븐(15)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물계략구(10)의 상태를 확인하여 물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취반용 물계량구는 사용자가 오븐의 상부에서 표시눈금면에 있는 표시눈금을 기준으로 물량을 확인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쌀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밥을 위한 물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기준부와,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른 물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용 물계량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바이오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용 물계량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표시부는 상기 각각의 기준부에 대해 소정경사지게 형성되어 ??준부의 상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취반용 물계량구.
KR1019970060236A 1997-11-15 1997-11-15 취반용 물계량구 KR100235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36A KR100235430B1 (ko) 1997-11-15 1997-11-15 취반용 물계량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36A KR100235430B1 (ko) 1997-11-15 1997-11-15 취반용 물계량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6A KR19990039966A (ko) 1999-06-05
KR100235430B1 true KR100235430B1 (ko) 1999-12-15

Family

ID=1952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36A KR100235430B1 (ko) 1997-11-15 1997-11-15 취반용 물계량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3519A (ja) * 2018-12-27 2020-07-09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および水位検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347A (ko) * 2002-09-13 2002-11-18 김창범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물조절이 가능한 쌀포장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3519A (ja) * 2018-12-27 2020-07-09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および水位検知装置
JP7222704B2 (ja) 2018-12-27 2023-02-15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および水位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6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2374B1 (en) Device for measuring liquid flow volume with temperature compensating
US4417401A (en) Garment measuring device
WO2019192778A1 (en) A coffee machine
GB2162029A (en) Microwave oven with weight measurement
KR100235430B1 (ko) 취반용 물계량구
US4333241A (en) Pasta measurer
KR20100085741A (ko) 테이블 저울
CN107550229A (zh) 提示烹饪器具内锅信息的方法、烹饪器具内锅和烹饪器具
US5811740A (en) Weight measuring device for cooking appliance
CN109380986A (zh) 煮饭器
KR20120122619A (ko) 밥솥용 물 계량컵
KR19990018753U (ko) 조리기용 주걱
US20220099476A1 (en) Scales, such as for use with cooking appliances
KR200206824Y1 (ko) 취반기의 재료배합 표시장치
JPH10267728A (ja) 米計量カップ
KR200423647Y1 (ko) 음식조리용 수위 계량기
JPS61119212A (ja) 炊飯器
KR200404697Y1 (ko) 전기압력밥솥용 계측장치
KR20020059272A (ko) 라면 조리시 필요한 물의량을 계량할 수 있는 라면 계량봉지
KR19990001247U (ko) 전기보온밥솥용 내통
KR200348570Y1 (ko) 수위량 표시부를 갖는 취사용기
JPH03184515A (ja) 水量表示装置
CN107550230A (zh) 烹饪器具及内锅、烹饪器具内锅信息提示系统及方法
JP2917340B2 (ja) 水量表示装置
RU2397698C2 (ru) Прибор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става тела, содержащий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к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