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486B1 -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 Google Patents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486B1
KR100231486B1 KR1019970028280A KR19970028280A KR100231486B1 KR 100231486 B1 KR100231486 B1 KR 100231486B1 KR 1019970028280 A KR1019970028280 A KR 1019970028280A KR 19970028280 A KR19970028280 A KR 19970028280A KR 100231486 B1 KR100231486 B1 KR 10023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s
asic
input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30A (ko
Inventor
홍연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4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3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ff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두 개의 P6 버스와 시스템 메모리 버스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로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의 데이터 스왑과 전송 방향에 따라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ASIC(100)와, 이 어드레스 ASIC(100)가 출력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로 역할을 하는 데이터 ASIC(2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본 발명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두 개의 P6 버스와 시스템 메모리 버스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로직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텔이 제공하는 펜티엄 프로를 이용한 시스템은 전기적인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P6 버스에 4개까지의 팬티엄 프로 프로세서만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4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요구하고 있으며 고유의 인텔 규격으로는 이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인텔 펜티엄 프로 프로세서가 가진 하나의 P6 버스에 대한 수적인 제한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P6 버스와 시스템 메모리 버스의 데이터 패스를 에이직(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하 "ASIC"라 칭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의 데이터 스왑과 전송 방향에 따라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ASIC와, 이 어드레스 ASIC가 출력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로 역할을 하는 데이터 ASI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데이터 패스 로직 상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P6 버스_A에서 메모리 버스로 라이트 라인을 할 경우 신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버스로부터 P6 버스_A로 리드 라인을 할 경우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P6 버스_B에서 P6 버스_A로 캐쉬 라인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드레스 ASIC 200 : 데이터 ASIC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으로서,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의 데이터 스왑과 전송 방향에 따라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ASIC(100)와, 이 어드레스 ASIC(100)가 출력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분리된 P6 버스_A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로 역할을 하는 데이터 ASIC(2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데이터 패스 로직 상세 블록로, P6버스와 메모리 버스 사이의 데이터 스왑과 전송 방향에 따라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ASIC(100)와, P6 버스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순차 교번하여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하고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 교번하여 P6 버스로 전송하는 A_outMUX8(202) 및 B_outMUX8(203)과, 메모리 버스로부터 데이터가 로우 비트와 하이 비트로 나뉘어 각각 전송되면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각각 저장하고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에 메모리 버스로 전송하는 hDramWrMUX(206) 및 IDramWrMUX(207)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1도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6 버스_A에서 메모리 버스로 라이트 라인을 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6 버스_A를 통해 첫 번째 64bits 데이터가 데이터 ASIC(200)로 입력되면 A_outMUX8(202)을 통해 첫 번째 데이터가 로우 SRAM(205)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P6버스_A를 통해 두 번째 64bits 데이터가 데이터 ASIC(200)로 입력된다.
그리고 A_outMUX8(202)을 통해 입력된 두 번째 데이터가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P6 버스_A를 통해 세 번째 64bits 데이터가 데이터 ASIC(200)로 입력된다.
즉, P6 버스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순차 교번하여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 버스의 크기가 128bits이므로 어드레스 ASIC(100)로부터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두 SRAM에 저장된 첫 번째 데이터와 두 번째 데이터가 동시에 각각 hDramWrMUX(206)와 IDramWrMUX(207)를 통해 메모리 버스로 전송되게 된다.
즉, P6 버스로부터 입력되어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된 데이터는 쌍으로 동시에 메모리 버스로 전송된다.
또한, P6 버스_B에서 메모리 버스로 라이트 라인을 할 경우에는 P6 버스_A가 아닌 P6 버스_B로 입력되는 것 외에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데이터 흐름을 가진다.
다음으로, 메모리 버스로부터 P6 버스_A로 리드 라인을 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버스로부터 첫 번째 128bits 데이터가 로우 비트와 하이 비트로 나뉘어 hDramWrMUX(206)와 IDramWrMUX(207)를 통해 데이터 ASIC(200)로 입력되게 된다.
그러면, 입력된 데이터가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두 번째 128bits 데이터가 hDramWrMUX(206) 와 IDramWrMUX(207)를 통해 데이터 ASIC(200)로 입력되게 된다.
즉, 각각 hDramWrMUX(206) 와 IDramWrMUX(207)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각각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로우 SRAM(205)에 저장된 데이터가 A_outMUX8(202)을 통해 P6 버스_A로 전송되게 된다.
이어서,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하이 SRAM(204)에 저장된 데이터가 A_outMUX8(202)을 통해 P6 버스_A로 전송되게 된다.
즉,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두 SRAM(204)(205)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 교번되어 A_outMUX8(202)을 통해 P6 버스_A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메모리 버스로부터 P6 버스_B로 리드 라인을 할 경우에는 A_outMUX8(202)이 아닌 B_outMUX8(203)로 전송되는 것 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데이터 흐름을 가진다.
한편, P6 버스_B에서 P6 버스_A로 캐쉬 라인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6 버스_B에서 데이터 ASIC내의 B_outMUX8(203)로 첫 번째 64bits 데이터가 입력되면 B_outMUX8(203)을 통해 첫 번째 데이터가 로우 SRAM(205)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두 번째 데이터가 B_outMUX8(203)로 입력된다.
그리고, B_outMUX8(203)을 통해 입력된 두 번째 데이터가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세 번째 데이터가 B_outMUX8(203)로 입력된다.
이어서, B_outMUX8(203)을 통해 입력된 세 번째 데이터가 로우 SRAM(205) 에 저장되게 된다. 즉, B_outMUX8(203)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순차 교번하여 로우 SRAM(205)과 하이 SRAM(204)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ASIC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두 SRAM(204)(205)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 교번하여 A_outMUX8(202)을 통해 P6 버스_A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P6 버스_A에서 P6 버스_B로 캐쉬 라인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는 B_outMUX8(203)과 A_outMUX8(202)이 바뀌어 질 뿐 전체적인 데이터 패스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텔의 프로세서가 4개까지밖에 지원되지 않는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여 4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함께 연결함으로써 동작 속도나 성능 면에서 뛰어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로 분리된 P6 버스_A 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의 데이터 스왑과 전송 방향에 따라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ASIC와, 상기 어드레스 ASIC가 출력하는 선택 신호와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분리된 P6 버스_A 와 P6 버스_B 및 메모리 버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로 역할을 하는 데이터 ASI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ASIC가, P6 버스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순차 교번하여 로우 버퍼와 하이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ASIC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우 버퍼와 하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 교번하여 P6버스로 전송하는 제1,제2 멀티플렉서와, 메모리 버스로부터 데이터가 로우 비트와 하이 비트로 나뉘어 각각 전송되면 상기 로우 버퍼와 하이 버퍼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ASIC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우 버퍼와 하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에 메모리 버스로 전송하는 하이 멀티플렉서 및 로우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KR1019970028280A 1997-06-27 1997-06-27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KR10023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80A KR100231486B1 (ko) 1997-06-27 1997-06-27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80A KR100231486B1 (ko) 1997-06-27 1997-06-27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30A KR19990004230A (ko) 1999-01-15
KR100231486B1 true KR100231486B1 (ko) 1999-11-15

Family

ID=1951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280A KR100231486B1 (ko) 1997-06-27 1997-06-27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4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30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246A (en) Bit-slice processing unit having M CPU's reading an N-bit width data element stored bit-sliced across M memories
US7424552B2 (en) Switch/network adapter port incorporating shared memory resources selectively accessible by a direct execution logic element and one or more dense logic devices
US20090106531A1 (en)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microcontroller system-on-a-chip
KR910010315A (ko) 2방향 데이타 전송 장치
US73866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massively parallel processor array to a memory array in a bit serial manner
US5809557A (en) Memory array comprised of multiple FIFO devices
KR950015070A (ko) 메모리어레이를 사용한 병렬연산장치
WO1989003564A1 (en) Enhanced input/ouput architecture for toroidally-connected distributed-memory parallel computers
JPS59216269A (ja) 通信用共有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KR920000024A (ko) 다중 클러스터 신호 처리기
EP1345126B1 (en) Logic circuitry-implemented bus buffer
JPH04230558A (ja) ダイレクト・メモリ・アクセス装置
KR100476895B1 (ko) 가변 가능한 데이터 전송 모드를 갖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그것의 동작 방법
KR100231486B1 (ko)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스 로직
US6580288B1 (en) Multi-property microprocessor with no additional logic overhead to shared pins
EP0442666A2 (en) Diagnostic system for integrated circuits using existing pads
KR100261154B1 (ko)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 장치
KR960016409B1 (ko) 버스 사이징(sizing)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
US6442097B2 (en) Virtual channel DRAM
US5710944A (en) Memory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s system
KR100299179B1 (ko) 고속동작용반도체메모리소자
KR0172434B1 (ko) 바이트단위로 레지스터를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214744B2 (ko)
JP4297970B2 (ja) バッファ装置、バッファ配置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920002073B1 (ko) 데이터 메모리 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