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836B1 -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836B1
KR100230836B1 KR1019970039601A KR19970039601A KR100230836B1 KR 100230836 B1 KR100230836 B1 KR 100230836B1 KR 1019970039601 A KR1019970039601 A KR 1019970039601A KR 19970039601 A KR19970039601 A KR 19970039601A KR 100230836 B1 KR100230836 B1 KR 10023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du
class
processing
current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886A (ko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3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8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5Connection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연결형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 트래픽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입력 큐의 영역을 소정의 기준 어드레스를 중심으로 무조건 처리영역과 조건부 처리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 큐의 현재 저장상태를 현재 포인터로 표시하는 제 1 단계;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L-PDU)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 포인터가 가리키는 영역을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무조건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상기 입력 큐에 저장하고, 상기 현재 포인터값을 입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소정의 조건별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연결형 서버로 입력되는 트래픽을 일정 조건하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므로써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input traffic in connectionless server)
본 발명은 ATM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연결형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 트래픽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은 광대역 전송 및 교환기술을 기초로하여 집중 또는 이산되어 있는 가입자를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하여 폭넓은 대역 분포를 갖는 연속성의 실시간 서비스 혹은 군집성의 데이터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탈 통신망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트래픽 특성을 갖는 서비스들이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ITU-T 에서는 B-ISDN의 통신방식으로서 '비동기 전송모드 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채택하고 있다. 이 비동기 전송모드 방식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 의한 패킷형 전달방식으로서, 기존의 회선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의 장점을 받아들여 다양한 서비스를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장래의 비동기 전송모드망에서는 매우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이에 따라 각 서비스들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매우 상이한 트래픽 특성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 서비스들은 수율, 지연, 셀지연변이, 손실률 등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품질 요구조건(QoS: Quality of Service)을 가지고 있는데, ATM망에서는 상기 서비스 품질 요구조건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비동기 전송모드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특성에 따라 '연결위주의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연결위주의 서비스는 지연특성에 민감한 영상, 음성 등의 실시간 서비스이고, 비연결형 서비스는 컴퓨터간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로서 에러에 민감하다.
한편, 비연결형 서비스가 요구되는 LAN은 10Mbps의 저속 LAN에서 100Mbps 이상의 고속 LAN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고, 각각 서로 다른 프로토콜과 서비스 특성을 가지므로, 다른 망에 있는 사용자와 통신할 때 두 망간에 연동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 서로 다른 LAN간 통신은 전용선, 패킷 데이터 교환망 등이 이용되었는데, 이 경우 연동장치가 저속이어서 고속 LAN을 충분히 지원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LAN을 고속의 ATM망으로 연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리고 ATM 망을 이용하여 LAN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즉,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망에 각 랜(LAN) 사이에 영구가상연결(PVC)을 형성하는 방법과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연결형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의 (가)를 참조하면, 3개의 랜(LAN: 110a,110b,110c)이 각각의 게이트웨이(GW:120a,120b,120c)를 통해 종결되고 각 종단간에는 영구가상연결(PVC)를 통해 접속되는데, 이때 ATM/B-ISDN 망(130)은 단순히 연결 경로만을 제공한다. 도 1의 (나)를 참조하면, 3개의 랜(110a,110b,110c)이 각각의 게이트웨이(120a,120b,120c)를 통해 종결되고 게이트웨이와 ATM/B-ISDN망(130) 사이에는 하나의 PVC로 연결된다. 그리고 ATM/B-ISDN망(130)에서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CLSF: 130a, 130b, 130c)이 구현되어 있다.
그런데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비연결형 서버는 입력 트래픽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아질 경우, 중요한 데이터들이 손실될 우려가 있었다. 즉, 종래의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하나의 비연결형 서버에 연결된 가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적어 비연결형 서버로의 입력 트래픽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았으나 LAN 사용자의 서비스 종류가 다양해져 FTP서비스와 telenet 및 기본적인 인터넷 사용에서 발전되어서 전자 금융서비스, 전자 쇼핑 서비스 등으로 서비스 폭이 넓어짐에 따라 중요도에 따라 트래픽을 효과적인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비연결형 서버에 있어서 입력 트래픽을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입력 큐의 영역을 소정의 기준 어드레스를 중심으로 무조건 처리영역과 조건부 처리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 큐의 현재 저장상태를 현재 포인터로 표시하는 제 1 단계;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L-PDU)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 포인터가 가리키는 영역을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무조건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상기 입력 큐에 저장하고, 상기 현재 포인터값을 입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소정의 조건별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ATM/B-ISDN망에서 LAN과 LAN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ATM망에서 비연결형 서버를 이용하여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구성도,
도 3은 ATM통신방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위한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L-PDU)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트래픽을 제어할 경우에 사용되는 입력 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비연결형 서버에서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건별 처리절차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a,110b,110c: LAN 120a,120b,120c: 게이트웨이
130: ATM/B-ISDN망 206: ATM교환기
210: 비연결형 서버 212: 프로세서 제어부
214: CL처리부 216: 셀 송수신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ATM망에서 비연결형 서버를 이용하여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ATM통신방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위한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의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TM교환기(206)와 비연결형 서버(210)가 UNI/NNI로 접속되어 있고, 비연결형 서버(210)는 프로세서 제어부(212), CL처리부(214), 셀 송수신부(216)로 구성되어 있다. LAN(202)은 게이트웨이(204) 혹은 B-TA를 통해 ATM교환기(206)와 연결되어 LAN(202)에 의한 비연결형 서비스를 ATM교환기(206)에 연결된 비연결형 서버(210)가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비연결형 서버가 수행하는 포로토콜 스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계층, ATM계층, AAL 3/4 계층, 비연결망 억세스 프로토콜(CLNAP: Connectionless Network Access Protocol)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CLNAP계층에서 제공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L-PDU)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네이션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 제어필드, 헤더 확장자(Header Extension), 유료부하, 패드(PAD), CRC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는 8옥텟으로 유료부하가 전달될 목적지를 나타내고, 소스 어드레스도 8옥텟으로 CL-PDU가 제공되는 출발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콘트롤 필드는 HLPI(6비트), PAD 길이(2비트), QoS(4비트), CIB(1비트), HEL(3비트), Reserved 등으로 이루어지며, 헤더 확장자(Header Extension)는 0에서 20 옥텟까지 가능하다. 유료부하는 최대 9188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패드(PAD)는 0 내지 3옥텟으로 이루어지고, 마지막에 에러를 체크하기 위하여 CRC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CL-PDU의 구조는 해당 규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트래픽을 제어할 경우에 사용되는 입력 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큐에는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들(통상, CL-PDU들)이 스타트 어드레스(Start Add)부터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입력 큐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도시되지 않은 서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입력 큐의 최대 크기는 "MAX_CLb"이고, 입력 큐는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를 기준으로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스타트 어드레스(Start Add)에서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 이전까지의 영역은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이고,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부터 마지막 어드레스(end Add)까지의 영역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입력 큐의 영역(Cur_CLb)은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이하 Cur_CLb 로 표기함)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 예컨대,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스타트 어드레스를 가리키고 있다면 입력 큐가 비어 있는(Empty) 상태로서 처리될 데이터가 하나도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이전의 임의의 값을 가리키고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입력 큐의 영역이 무조건 처리영역에 해당되는 것을 나타내며,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이상의 값을 가리키고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입력 큐의 영역이 조건부 처리영역에 해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마지막 어드레스(end Add)를 가리키고 있으면 입력 큐가 완전히 찼음(Full)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력 큐의 영역을 구분해 놓은 다음 본 발명에서는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에 속하면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종래와 같이 무조건 처리(저장)하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면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한다. 즉, 입력 큐의 최대 크기(MAX_CLb)안에 적당한 범위를 설정하여 처리해야 될 데이터가 여기에 속하면 아직 입력 큐의 빈공간이 충분하므로 입력된 CL-PDU를 무조건 큐에 저장하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면 입력 큐의 빈 공간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므로써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입력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CL-PDU의 헤더에서 "QoS필드"를 사용할 경우 쉽게 정의할 수 있다. 즉, QoS필드는 4비트이므로 총 16 레벨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으므로 이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2비트를 사용하여 클래스1 내지 클래스4 까지 4 레벨의 우선순위를 정의하여 사용한다.
우선순위 QoS값 서비스 예
클래스 1 0000 전자 상거래, 금융결재 서비스
클래스 2 0001 전자도서관
클래스 3 0010 FTP
클래스 4 0011 사업자를 위한 서비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금융결재서비스 등과 같이 매우 중요하고 트래픽 손실이 없어야 하는 서비스는 클래스 1(Class 1)을 할당하고 이를 QoS필드상에 "0"로 표시한다. 전자 도서관이나 상용 금전관련 서비스등과 같이 중요하나 약간의 트래픽 손실이 허용되는 것은 클래스 2(Class 2)를 할당하고 이를 QoS상에 "1"로 나타낸다. FTP서비스와 같이 보통의 서비스는 클래스 3(Class3)을 할당하고 QoS에 "10"로 나타내며, 사업자를 위한 특수한 서비스와 같이 중요하지 않고 등급이 낮은 서비스는 클래스 4(Class 4)를 할당하며 QoS필드상에 "11"로 표시한다.
따라서 입력된 CL-PDU의 QoS필드를 체크하면 해당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알 수 있고, 현재 입력 큐의 상태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해당할 경우에는 이 우선순위에 따라 클래스 1, 클래스 2, 클래스 3, 클래스 4 순으로 처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을 미리 정의한다.
클래스 1의 길티 카운트 카운트(guilty count)값은 "GC-1"으로 나타내는데, 클래스 1의 처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한 번의 처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증가한다. 클래스 1의 최대 허용 길티 카운트값은 "GO-1"로 나타내며 GC-1값이 GO-1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클래스 1의 CL-PDU가 처리될 수 있다.
클래스 2의 길티 카운트 카운트값(guilty count)은 "GC-2"로 나타내는데, 클래스 2의 처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한 번의 처리가 이루어질 때마다 증가한다. 클래스 2의 최대 허용 길티 카운트값은 "GO-2"로 나타내며, GC-2값이 GO-2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클래스 2의 CL-PDU가 처리될 수 있다.
클래스 3의 길티 카운트 카운트(guilty count)값은 "GC-3"으로 나타내는데, 클래스 3의 처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한 번의 처리가 이루어질 때마다 증가한다. 클래스 3의 최대 허용 길티 카운트값은 "GO-3"로 나타내며, GC-3값이 GO-3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클래스 3의 CL-PDU가 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클래스 4의 길티 카운트 카운트(guilty count)값은 "GC-4"으로 나타내는데, 클래스 4의 처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한 번의 처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증가한다. 클래스 4의 최대 허용 길티 카운트값은 "GO-4"로 나타내며 GC-4값이 GO-4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클래스 4의 CL-PDU가 처리될 수 있다.
이때, 통상 GO-1 〉 GO-2 〉 GO-3 〉 GO-4의 관계를 갖도록 각 카운트값이 설정된다.
그리고 입력 큐의 현재 상태(즉,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영역변수를 "B_Over"로 표시하는데, B_Over가 참(True)이면 입력 큐의 현재 상태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해당되는 것을 나타내고, B_Over가 거짓(False)이면 입력 큐의 현재 상태가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에 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B_Over값은 초기에 거짓(False)으로 설정되며 트래픽 처리 후 주기적으로 체크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비연결형 서버에서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건부 처리절차의 세부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CL서버로 들어오는 입력 트래픽이 어느 정도의 허용량을 넘어설 경우에 트래픽을 모두 폐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CL-PDU 트래픽에 클래스를 부여하여 클래스별로 우선순위를 두어 트래픽을 처리한다. 즉, CL서버에 들어오는 입력 트래픽이 어느 정도의 허용량을 넘어설 경우에 클래스 1에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처리하고, 클래스4에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처리한다.
CL-PDU 트래픽 클래스는 CL-PDU 포맷의 QoS 필드를 이용한다. 즉, 현재에는 QoS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 디폴트값인 0값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필드에 표 1과 같이 클래스를 부여하여 CL-PDU의 등급을 구분하여 처리한다.
도 6에 있어서, 서버가 초기화된 후에 CL-PDU가 비연결형 서버로 입력되면 먼저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최대 허용 가능한 입력 큐의 크기(MAX_CLb)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초과하면 입력 큐가 Full상태이므로 단계 604에서 입력되는 모든 CL-PDU를 폐기한다(601,602,603). 통상 초기화 단계에서 영역변수(B_over)는 거짓으로 설정되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는 스타트 어드레스를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비연결형 서버로 입력되는 CL-PDU들은 입력 큐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후 서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될 것이다. 이때 입력 큐에 저장된 CL-PDU가 증가함에 따라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 CL-PDU를 처리하는 절차가 달라지게 된다.
단계 603에서 입력 큐의 포인터가 최대 허용가능한 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605에서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영역변수(B_over)가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를 판단하므로써 알 수 있는데, 영역변수(B_over)가 참이면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한 것을 나타낸다.
단계 605에서 판단결과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면 단계 606에서 조건별 처리절차에 따라 입력 CL-PDU를 처리하고, 조건부 처리영역이 아닌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에 속하면 입력된 CL-PDU를 무조건 입력 큐에 저장한 후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를 입력된 CL-PDU의 크기만큼 증가시킨다(607,608).
즉,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을 가리키고 있으면 입력 큐의 빈공간이 충분하므로 입력된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한 후 입력 큐의 포인터값을 증가시키고,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가 조건부 처리영역을 가리키고 있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별 처리절차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CL-PDU일 경우 저장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CL-PDU일 경우 해당 CL-PDU를 폐기한다.
이와 같이 입력 CL-PDU를 처리한 후 단계 609에서는 증가된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값이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보다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여 영역변수(B-over)값을 갱신한다. 즉, 증가된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이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보다 같거나 크면 조건부 처리영역(Con_CLb)에 속하므로 영역변수(B_over)를 참(True)값으로 설정하여 다음에 입력되는 CL-PDU에 대해 조건별 처리절차를 거치게 하고, 증가된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이 기준 어드레스(B_over Add)보다 작으면 무조건 처리영역(Un_CLb)에 속하므로 영역변수(B_over)를 거짓(False)으로 설정하여 다음에 입력되는 CL-PDU에 대해 무조건 처리절차를 거치게 한다(609,610,611).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영역변수(B_over)가 참(True)일 경우에 처리하는 조건별 처리절차(단계6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701 내지 단계 744로 이루어진다.
단계 701에서는 입력된 CL-PDU의 QoS필드를 체크한다. 단계 701에서 체크 결과 QoS필드가 클래스 1을 나타내면 단계 710 내지 단계 715에서 클래스 1 처리절차를 수행하고, QoS필드가 클래스 2를 나타내면 단계 720 내지 단계 725에서 클래스 2 처리절차를 수행하고, QoS필드가 클래스 3을 나타내면 단계 730 내지 단계 735에서 클래스3 처리절차를 수행하며, QoS필드가 클래스 4을 나타내면 단계 740 내지 단계 745에서 클래스4 처리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710에서 QoS필드가 클래스 1을 나타내면 단계 711에서 클래스 1의 길티 카운트값(GC-1)을 증가시키고, 단계 712에서는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1)과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1)을 비교한다. 단계 712에서 비교결과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1)이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1)을 초과하면 단계 713에서 입력된 CL-PDU를 폐기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714에서 입력된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한 후, 단계 715에서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을 저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킨다.
단계 720에서 QoS필드가 클래스 2를 나타내면 단계 721에서 클래스 2의 길티 카운트값(GC-2)을 증가시키고, 단계 722에서는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2)과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2)을 비교한다. 단계 722에서 비교결과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2)이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2)을 초과하면 단계 723에서 입력 CL-PDU를 폐기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입력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한 후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을 저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킨다(724,725).
단계 730에서 QoS필드가 클래스 3을 나타내면 단계 731에서 클래스 3의 길티 카운트값(GC-3)을 증가시키고, 단계 732에서는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3)과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3)을 비교한다. 단계 732에서 비교결과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3)이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3)을 초과하면 단계 733에서 입력 CL-PDU를 폐기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입력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한 후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을 저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킨다(734,735).
단계 740에서 QoS필드가 클래스 4을 나타내면 단계 741에서 클래스 4의 길티 카운트값(GC-4)을 증가시키고, 단계 742에서는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4)과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4)을 비교한다. 단계 742에서 비교결과 증가된 길티 카운트값(GC-4)이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GO-4)을 초과하면 단계 743에서 입력 CL-PDU를 폐기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입력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한 후 입력 큐의 현재 포인터(Cur_CLb)값을 저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킨다(744,745).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비연결형 서버로 입력되는 트래픽을 일정 조건하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므로써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입력 큐의 영역을 소정의 기준 어드레스를 중심으로 무조건 처리영역과 조건부 처리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 큐의 현재 저장상태를 현재 포인터로 표시하는 제 1 단계;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L-PDU)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 포인터가 가리키는 영역을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무조건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상기 입력 큐에 저장하고, 상기 현재 포인터값을 입력된 CL-PDU의 길이만큼 증가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현재 포인터가 조건부 처리영역을 가리키면 입력된 CL-PDU를 소정의 조건별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가
    입력된 CL-PDU의 QoS필드를 검사하여 우선순위를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된 CL-PDU를 입력 큐에 저장하거나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구분하는 단계는 QoS필드의 값에 따라 클래스1, 클래스2, 클래스3, 클래스4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큐에 저장하거나 폐기하는 단계는 구분된 우선순위에 따라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을 설정한 후, 처리빈도에 따라 현재 길티 카운트값을 계산하여 현재 길티 카운트값이 상기 허용 가능한 최대 길티 카운트값 이하일 경우에는 입력된 CL-PDU를 저장하고, 초과할 경우에는 입력된 CL-PDU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KR1019970039601A 1997-08-20 1997-08-20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KR10023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01A KR100230836B1 (ko) 1997-08-20 1997-08-20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01A KR100230836B1 (ko) 1997-08-20 1997-08-20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86A KR19990016886A (ko) 1999-03-15
KR100230836B1 true KR100230836B1 (ko) 1999-11-15

Family

ID=1951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601A KR100230836B1 (ko) 1997-08-20 1997-08-20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8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86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3049B1 (en) Packet network
Clark et al. Explicit allocation of best-effort packet delivery service
EP1122916B1 (en) Dynamic buffering system having integrated radom early detection
Suter et al. Buffer management schemes for supporting TCP in gigabit routers with per-flow queueing
US73024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ired service policies to subscribers accessing the internet
JP4436981B2 (ja) ハイブリッドip−atmネットワーク内で混雑状態を管理するためのecnベースの方法
US7519727B2 (en) Bandwidth management algorithm
US6147970A (e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for aggregated flows in a network system
US200200073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information received by a communications system
EP1086555A1 (en) Admission control method and switching node for integrated services packet-switched networks
US20040008625A1 (en) Method for monitoring traffic in packet switched network
KR20030064775A (ko) 광통신네트워크의 하향스트림 패킷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8649A (ko) 우선 순위와 예약 대역폭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에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는 메커니즘
WO20020845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ip data
US62789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binary range tree search
US69524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processor scheduling outputs using queueing
JP2002532960A (ja) プライオリティベースのサービスクオリティ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クラスにおいてネットワークノードの低プライオリティパケットを前フィルタリング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152863B (zh) 分布式带宽分配方法及装置
US7088724B2 (en) Communication system interfacing control of quality of service (QOS)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nd internet protocol (IP)
Baumgartner et al. Differentiated Services: A new approach for Quality of Service in the Internet
US20020146036A1 (en) Flexible bandwidth negotiation for the block transfer of data
Basturk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QoS capable switch-router
JP2000049820A (ja) 固定レートコネクションを制御するセル交換装置
KR100230836B1 (ko)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입력 트래픽 제어방법
JP3922567B2 (ja) パケット転送制御システムとパケット転送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ル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