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620B1 - 펠릿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펠릿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20B1
KR100230620B1 KR1019970009846A KR19970009846A KR100230620B1 KR 100230620 B1 KR100230620 B1 KR 100230620B1 KR 1019970009846 A KR1019970009846 A KR 1019970009846A KR 19970009846 A KR19970009846 A KR 19970009846A KR 100230620 B1 KR100230620 B1 KR 10023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ellet
needle
moving
hollow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161A (ko
Inventor
류제필
강이석
김동기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0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6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5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ga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Abstract

판형상의 몸체(20)와, 몸체(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바늘(22)과, 중공바늘(22)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펠릿을 중공바늘(22)에 장전하는 작동막대(24)와, 몸체(20)에 설치되고 작동막대(24)를 이동시키는 막대이동장치(30)와, 몸체(20)에 설치되고 중공바늘(22)을 이동시키는 바늘이동장치(40)와, 몸체(20)에 설치되고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장치(50)를 포함하는 펠릿 이식장치를 제공한다.
초기상태에서 작동스위치(72)가 동물의 몸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면 막대이동장치(30)를 작동막대(24)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이어서 바늘이동장치(40)에 의해 중공바늘(22)을 후진시킨 다음, 막대이동장치(30)를 작동막대(24)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계속하여 펠릿이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를 1단 전진시키어 카세트의 다음 펠릿이 장전되도록 펠릿공급장치(5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사이클을 이루는 공압작동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펠릿 이식장치
본 발명은 고형의 펠릿을 공압 또는 가스압을 이용하여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순간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펠릿 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에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 등을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에 는 주사 용액 제형으로 만들어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투여하거나,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 등을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펠릿(pellet) 형태로 만든 이식체(이하 펠릿이라 한다)를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이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펠릿을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이식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펠릿 이식장치는 대부분 사람의 힘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펠릿 이식장치는 도5∼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홈(14)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한 몸체(10)의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끝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된 중공바늘(12)과, 상기한 중공바늘(12)과 몸체(10)를 감싸고 상기한 중공바늘(12)의 날카롭게 형성된 끝부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는 덮개(2)와, 상기한 중공바늘(12)의 중앙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막대(4)와, 상기한 덮개(2)와 작동막대(4)가 함께 이동하도록 연결하고 이동손잡이(8)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부재(6)와, 상기한 몸체(10)의 다른쪽 끝부분에 접속부재(19)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손잡이(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펠릿 이식장치는 펠릿을 상기한 중공바늘(12)의 날카롭게 형성된 끝부분의 구멍(13)에 삽입한 다음, 한손으로 상기한 손잡이(18)를 잡고 다른 손으로 상기한 이동손잡이(8)를 잡은 뒤, 상기한 중공바늘(12)의 날카롭게 형성된 끝부분을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삽입하고, 상기한 이동손잡이(8)를 잡고 상기한 이동부재(6)에 힘을 가하면 상기한 덮개(2)와 작동막대(4)가 상기한 중공바늘(12)의 끝부분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막대(4)가 중공바늘(12)의 끝부분으로 이동하면 작동막대(4)의 끝부분이 상기한 중공바늘(12)의 끝부분에 삽입된 펠릿을 밀게 되고, 상기한 펠릿은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삽입된 상태로 되며, 손잡이(18)를 잡고서 상기한 중공바늘(12)을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으로부터 빼어내면 펠릿이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삽입된 상태에서 펠릿 이식장치만 동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펠릿 이식장치는 사람의 힘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순간적으로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 등을 포함하는 이식체를 동물에 투여하기가 어렵고, 투여할 때에 동물이 움직이므로 동물을 묶거나 돼지의 경우에는 코보정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이식체를 동물에 투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동물에 이식체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동물을 고정시키고 이식체를 투여하면 동물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게 되므로 약물 투입의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압 또는 가스압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 등을 포함하는 이식체인 펠릿을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투여할 수 있는 펠릿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펠릿 이식장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펠릿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공바늘과, 상기한 중공바늘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펠릿을 상기한 중공바늘에 형성된 구멍으로 장전하는 작동막대와,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작동막대를 이동시키는 막대이동수단과,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중공바늘을 이동시키는 바늘이동수단과,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펠릿 이식장치는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동물의 몸에 삽입되는 상기한 중공바늘과 작동막대를 소독하기 위한 소독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을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막대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한 작동막대의 한쪽 끝부분이 고정된다.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은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바늘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중공바늘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의 로드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은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의 막대이동실린더에 의하여 상기한 작동막대와 함께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은 펠릿이 담겨지는 카세트와, 상기한 카세트를 지지하는 카세트 지지부재와, 상기한 카세트 지지부재에 지지된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카세트이동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몸체에는 상기한 작동막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한 몸체의 앞부분에는 동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고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작동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펠릿 이식장치는 동물과 접촉시키면 상기한 작동스위치가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에 공압 또는 가스압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가 작동하면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된 작동막대가 전진(동물쪽으로 이동)을 하면서 상기한 카세트에 적재된 펠릿을 밀어내어 상기한 중공바늘에 장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가 계속하여 작동하면 상기한 작동막대와 바늘이동수단이 함께 전진하게 되고,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에 고정된 상기한 중공바늘의 끝부분이 동물의 몸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의 바늘이동실린더에 공압 또는 가스압이 공급되면 바늘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된 중공바늘이 후진(동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여 동물의 몸에서 이탈되고, 상기한 작동막대는 끝부분이 펠릿을 밀면서 동물의 몸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막대이동실린더가 작동하여 상기한 작동막대를 후진시키면 동물의 몸으로부터 작동막대가 이탈되고 펠릿은 동물의 몸에 주입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에 의하여 다음에 주입할 펠릿이 적재된 카세트가 공급되고 상기한 소독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중공바늘과 작동막대에 대한 소독이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막대와 중공바늘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막대와 중공바늘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종래 펠릿 이식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6은 종래 펠릿 이식장치를 나타내는 도5의 A-A 단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일실시예는 판형상의 몸체(20)와, 상기한 몸체(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펠릿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공바늘(22)과, 상기한 중공바늘(2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펠릿을 상기한 중공바늘(22)에 형성된 구멍으로 장전하는 작동막대(24)와, 상기한 몸체(20)에 설치되고 상기한 작동막대(24)를 이동시키는 막대이동수단인 막대이동장치(30)와, 상기한 몸체(20)에 설치되고 상기한 중공바늘(22)을 이동시키는 바늘이동수단인 바늘이동장치(40)와, 상기한 몸체(20)에 설치되고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수단인 펠릿공급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인 막대이동장치(30)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막대이동실린더(31)를 포함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32)에는 상기한 작동막대(24)의 한쪽 끝부분이 고정된다.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는 상기한 몸체(20)에 고정부재(34)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부재(34)는 ㄴ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부를 상기한 몸체(20)에 고정하고, 수직부에는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부재(34)는 한쌍으로 구성하여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를 양쪽 끝에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작동막대(24)는 막대연결부재(26)를 통하여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32)에 고정된다.
상기한 몸체(20)에는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의 이동을 안내하고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막대(28)를 설치하고,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에는 상기한 안내막대(28)가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의 안내구멍에 상기한 안내막대(28)를 삽입하여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가 상기한 안내막대(28)를 따라 흔들림이 없이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안내막대(28)는 브라켓(29)을 사용하여 상기한 몸체(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에는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로드용 구멍과, 상기한 작동막대(24)의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막대홈과, 상기한 안내막대(28)가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된다.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에 형성되는 로드용 구멍에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피스톤 로드(32)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와 피스톤 로드(32)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막대연결부재(26)를 막대이동실린더(31)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에 형성되는 막대홈과 연통되게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나사홈을 형성하여, 상기한 작동막대(24)를 상기한 막대홈에 삽입하고 상기한 나사홈에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작동막대(24)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인 바늘이동장치(40)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바늘이동실린더(41)를 포함하고,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의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전진력이 중공바늘(22)에 전달되어 상기한 중공바늘(22)이 작동막대(24)와 동시에 전진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의 피스톤 로드에는 이동판(42)을 설치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에 설치되는 막대연결부재(26)가 전진함에 따라 이동판(42)과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중공바늘(22)을 작동막대(24)와 동시에 전진(도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가 작동하여 이동판(42)을 도1에서 보아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전진(도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막대연결부재(26)와 접하도록 하고, 상기한 중공바늘(22)만 후진(도1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가 작동하여 이동판(42)을 도1에서 보아서 위쪽으로 이동시켜 막대연결부재(26)와 접한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중공바늘(22)의 한쪽 끝에는 전진(도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이 완료된 뒤에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가 후진(도1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중공바늘(22)을 후진(도1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38)가 설치된다. 상기한 탄성부재(38)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바늘이동실린더(41)와 중공바늘(22)의 연결은 연결막대(44)를 통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와 연결막대(44)는 상기한 몸체(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브라켓(48)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인 펠릿공급장치(50)는 펠릿이 1회 주입되는 분량씩 적재되는 카세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와, 상기한 카세트를 지지하는 카세트 지지부재(54), (56)와, 상기한 카세트 지지부재(54), (56)에 지지된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카세트 이동장치(51)로 구성된다.
상기한 카세트이동장치(51)는 공압실린더로 작동된다.
또 상기한 몸체(20)의 앞부분에는 동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고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작동스위치(72)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20)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안전을 위하여 작동을 억제하는 안전장치(74)가 더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펠릿 이식 장치는 상기한 몸체(20)에 설치되고 동물의 몸에 삽입되는 상기한 중공바늘(22)과 작동막대(24)를 소독하기 위한 소독수단인 소독장치(6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소독수단인 소독장치(60)는 소독약을 공급받아 상기한 중공바늘(22)과 작동막대(24)에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6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노즐(62)은 중공바늘(22)의 끝부분과 중공바늘(22)에 작동막대(24)가 삽입 및 이탈되는 부분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는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인 막대이동장치(30)의 막대이동실린더(31)와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인 바늘이동장치(40)의 바늘이동실린더(41)와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인 펠릿공급장치(50)의 카세트이동장치(51)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은 초기상태에서 상기한 펠릿공급장치(50)의 카세트지지부재(54), (56)에 펠릿이 1회 주입되는 분량씩 적재되는 다수의 적재구멍을 갖는 카세트를 적재하고 상기한 펠릿공급장치(50)의 카세트이동장치(51)를 펠릿이 적재된 카세트를 상기한 작동막대(24)와 중공바늘(2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한 작동스위치(72)가 동물의 몸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내보내면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를 상기한 작동막대(24) 및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를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동물의 몸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를 상기한 중공바늘(22)을 후진(동물의 몸으로부터 이탈되는 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를 상기한 작동막대(24)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카세트이동장치(51)를 펠릿이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의 다음 적재구멍이 작동막대(24)와 중공바늘(22)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작동시키는 것으로 한 사이클(cycle)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은 복수의 방향제어밸브를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와 바늘이동실린더(41) 및 카세트이동장치(51)에 각각 연결된 방향제어밸브를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펠릿공급장치(50)의 카세트지지부재(54), (56)에 펠릿이 적재된 카세트를 적재한 다음 동물과 접촉시키면 상기한 작동스위치(72)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이 작동한다.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이 작동하면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인 막대이동장치(30)의 막대이동실린더(31)에 공압 또는 가스압이 공급되어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한 작동막대(24)가 전진(동물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막대(24)가 전진하면 상기한 작동막대(24)와 중공바늘(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세트에 적재된 펠릿을 상기한 작동막대(24)가 밀게 되고, 상기한 중공바늘(22)의 안으로 펠릿이 삽입 장전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바늘(22)의 안으로 펠릿을 삽입하면서 작동막대(24)가 전진할 때에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가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에 접하게 되면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도 상기한 작동막대(24)와 함께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한 중공바늘(22)의 안에 펠릿과 작동막대(24)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전진이 이루어진다.
즉 막대연결부재(26)가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의 이동판(42)에 접하게 되면,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도 상기한 작동막대(24)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이 이루어지면 상기한 중공바늘(22)의 끝부분이 상기한 몸체(20)로부터 돌출되어 동물의 몸안으로 삽입되고,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가 작동을 하여 상기한 중공바늘(22)을 탄성부재(38)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진(동물의 몸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41)가 작동을 하여 상기한 이동판(42)을 도 3에서 보아서 위쪽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막대연결부재(26)와 접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면, 상기한 중공바늘(22)은 탄성부재(38)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진한다.
상기에서 막대이동실린더(31)는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작동막대(22)는 동물의 몸안에 삽입된 펠릿을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어 펠릿은 동물의 몸안에 삽입된 채로 상기한 중공바늘(22)만 후진한다.
상기와 같이 중공바늘(22)이 후진하여 동물의 몸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이 작동하여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31)를 상기한 작동막대(24)를 후진시키도록 작동시킨다. 이 때 펠릿은 동물의 몸안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한 작동막대(24)만 후진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막대(24)가 후진하여 상기한 중공바늘(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히 이탈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이 작동하여 상기한 펠릿공급장치(60)의 카세트이동장치(51)를 작동시켜 펠릿이 적재된 다음 카세트의 적재구멍을 상기한 작동막대(24)와 중공바늘(22)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상기에서 중공바늘(22)이 후진하여 상기한 몸체(20)쪽으로 복귀하거나 상기한 작동막대(24)가 후진하여 상기한 중공바늘(22)로부터 이탈될 때에 상기한 소독장치(60)의 노즐(62)을 통하여 상기한 중공바늘(22)과 작동막대(24)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소독을 행한다.
또 상기한 바늘이동장치(40)의 바늘이동실린더(41)가 작동을 하여 이동판(42)을 도1에서 보아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작동막대(24)가 전진할 때에 막대연결부재(26)와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사이클(cycle)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동물의 몸안에 펠릿을 이식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에 의하면, 동물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 등이 포함된 이식체인 펠릿을 간단하게 동물의 피하 또는 근육에 투여할 수 있다.
또 소독장치를 설치하면 매번 사용할 때마다 손쉽게 중공바늘의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병균의 전염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는 사람의 힘에 의하여 작동하지 않고 공압 또는 가스압에 의하여 작동하므로 인력의 소모가 적고, 투여에 소요되는 시간도 절약되므로 많은 수의 동물에 단백질약물이나 성장호르몬이 포함된 이식체인 펠릿을 투여할 때에 더욱 효과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이식장치는 공압 뿐만 아니라 프로판가스 등의 가스압에 의하여도 작동이 가능하므로, 소정의 용기(예를 들면 캔 등의 용기)에 프로판가스 등을 소정의 압력으로 채운 다음 몸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고 이동이 용이하다.

Claims (13)

  1. 몸체와, 상기한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펠릿이 이동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공바늘과, 상기한 중공바늘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펠릿을 상기한 중공바늘에 형성된 구멍으로 장전하는 작동막대와,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작동막대를 이동시키는 막대이동수단과,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중공바늘을 이동시키는 바늘이동수단과,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펠릿 이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을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막대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한 작동막대의 한쪽 끝부분이 막대연결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펠릿 이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는 상기한 막대연결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막대를 설치하고, 상기한 막대연결부재에는 상기한 안내막대가 흔들림이 없이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막대연결부재의 안내구멍에 상기한 안내막대를 삽입하여 상기한 막대연결부재가 상기한 안내막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한 펠릿 이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은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바늘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한 바늘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한 막대이동실린더의 전진력이 상기한 중공바늘에 전달되어 상기한 중공바늘이 상기한 작동막대와 함께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펠릿 이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은 1회 주입되는 분량의 펠릿이 적재되는 다수의 적재구멍을 갖는 카세트와, 상기한 카세트를 지지하는 카세트 지지부재와, 상기한 카세트 지지부재에 지지된 카세트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카세트 이동장치로 구성되는 펠릿 이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앞부분에는 동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고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작동스위치가 더 설치되는 펠릿 이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전을 위하여 작동을 억제하는 안전장치가 더 설치되는 펠릿 이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동물의 몸에 삽입되는 상기한 중공바늘과 작동막대를 소독하기 위한 소독수단을 더 포함하는 펠릿 이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독수단은 소독약을 공급받아 상기한 중공바늘의 끝부분과 상기한 중공바늘로부터 작동막대가 이탈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펠릿 이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막대이동수단과 상기한 바늘이동수단과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을 포함하는 펠릿 이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은 작동신호가 전달되면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을 상기한 작동막대를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키도록 작동시키고,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을 상기한 중공바늘을 후진시키도록 작동시키며, 상기한 바늘이동수단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막대이동수단을 상기한 작동막대를 후진시키도록 작동시키고, 상기한 막대이동 수단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펠릿공급수단을 펠릿이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의 다음 적재구멍을 상기한 작동막대와 중공바늘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작동시키는 것으로 한 사이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펠릿 이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은 복수의 방향제어밸브를 조합하여 형성하는 펠릿 이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압 또는 가스압 작동시스템은 상기한 막대이동수단과 바늘이동수단 및 펠릿공급수단에 각각 연결된 방향제어밸브를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펠릿 이식장치.
KR1019970009846A 1997-03-21 1997-03-21 펠릿 이식장치 KR10023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46A KR100230620B1 (ko) 1997-03-21 1997-03-21 펠릿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46A KR100230620B1 (ko) 1997-03-21 1997-03-21 펠릿 이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61A KR19980074161A (ko) 1998-11-05
KR100230620B1 true KR100230620B1 (ko) 1999-11-15

Family

ID=195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846A KR100230620B1 (ko) 1997-03-21 1997-03-21 펠릿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6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61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8249A1 (en) Kit f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pplicator for inserting an implant
US4451254A (en) Implant system
US4077406A (en) Pellet implanter for animal treatment
KR101309718B1 (ko) 2챔버 앰퓰러를 위한 자동주입장치
CA2292402C (en) Intra-vaginal device for pigs
KR100246044B1 (ko) 투여장치
US5817054A (en) Veterinary implanter with disinfectant dispenser
JPH07509622A (ja) 固形状の調合剤を注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MXPA04004603A (es) Aparato de suminstro de inyeccion para aves de corral automatico.
HUT68041A (en) Apparatus for implanting implants
EP0522803B1 (en) Injector
KR100230620B1 (ko) 펠릿 이식장치
AU6150900A (en) Automatic machine for vaccinating chicks and similar birds
WO2004101060A2 (en) Automatic injector for mass injections
KR20000023901A (ko) 공압식 가축 방역 주사장치
KR20180065287A (ko) 동물용 주사기
KR101966547B1 (ko) 동물용 주사기
EP0526986A1 (en) Injector and method for the insertion of an object into part of the body
KR102021520B1 (ko) 동물용 주사기
KR20190105558A (ko) 동물용 주사기
KR102467542B1 (ko) 동물용 연속주사기
CN209827093U (zh) 一种猪用注射器夹持装置
KR970001184Y1 (ko) 수지침용 자침기
AU2007206957B2 (en) Kit f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pplicator for inserting an implant
RU1806762C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