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84Y1 - 수지침용 자침기 - Google Patents

수지침용 자침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84Y1
KR970001184Y1 KR2019940001061U KR19940001061U KR970001184Y1 KR 970001184 Y1 KR970001184 Y1 KR 970001184Y1 KR 2019940001061 U KR2019940001061 U KR 2019940001061U KR 19940001061 U KR19940001061 U KR 19940001061U KR 970001184 Y1 KR970001184 Y1 KR 970001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ransfer
rod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797U (ko
Inventor
곽창근
천강일
Original Assignee
곽창근
천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창근, 천강일 filed Critical 곽창근
Priority to KR2019940001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84Y1/ko
Publication of KR950022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지침용 자침기
본 고안은 수지침용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침이 내장되는 하우징에 장착된 침통판에 의해 다수의 수지침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짧은 시간내에 자침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지침용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행하는 일종의 침술이 알려져 왔는데, 이 침술은 경락이나 경혈에 자극을 가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의술로서 호침과 같이 타박상이나 뼈가 접절린 경우에 놓는 침이 있는가 하면, 손바닥에 놓는 침등이 있다.
수지침을 자침하는 방식은 침관의 아래에 1개의 수지침을 끼워넣고 푸시로드를 눌러 수지침이 밀려 나면서 자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고안이 해결할려고 하는 문제점)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수지침을 자침하는 방식은 침관의 아래측에 1개의 수지침을 끼워넣고 푸시로드를 눌러 수지침이 밀려 나면서 자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식은 다수개의 수지침을 스스로 자침할 때 자침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또 자침수가 많아 질수록 한손은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지침이 내장되는 하우징에 장착된 침통판에 의해 다수의 수지침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짧은 시간 내에 자침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푸시로드의 슬라이드 작용으로 하우징내의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수지침을 밀어냄으로서 자침을 행하는 자침기에 있어서, 상기한 자침기는 하우징 선단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지도록 한 침통판에 배열 저장된 수지침을 밀어내도록 당김쇠에 의해 후진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버튼에 의해 전진이 제어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부 등의 슬라이딩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푸시로드를 후진함과 동시에 함께 후진이 진행되도록 장전너트부를 형성하면서 저부에 회동로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침장전부 등의 장전수단과; 상기 침장전부의 저부에 캠롤러로 연결 설치되면서 힌지축으로 고정되는 회동로드 등의 이송수단과; 상기 회동로드에 의한 회동에 의해 침통판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홈에 삽입되어 이송돌기를 밀어 이동하도록 수직이송부에 설치된 이송래치 등의 이송수단과; 상기 회동로드의 이송래치에 의해 이송되는 침통판을 지지 고정하도록 복수개 설치된 고정래치 등의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돌출된 당김쇠에 의해 침장전부 위를 슬라이딩 하면서 버튼에 의해 제어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침을 밀어내기 위하여 일체로 내장 되면서 침의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된 푸시로드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나사 결합하는 이송축의 후단에 결합되어 중량이 가해지도록 설치된 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버튼은 하우징의 장공 전측에 관통 형성된 버튼 홀에 끼워져 승강작동하는 원형의 헤드부와, 이 헤드부가 버튼 홀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게 형성된 플렌지부와, 이 헤드부의 저부 중심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3 탄성 부재로 탄지되도록 홈을 형성한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홈 상단이 슬라이드부의 선단후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마주하는 유무에 따라 걸림이 제어되도록 한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하우징에는 환자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락이나 경혈 부위를 압통하여 용이하게 침을 놓을 수 있도록 제 4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로드부와, 이 로드부의 끝단에 피부와 부드럽게 접촉되는 구형부재가 형성된 압통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하우징에는 환자의 통증이나 발생하는 경락이나 결혈 부위를 풀어주거나 지압하여 주도록 외주면을 너얼링하여 형성된 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하우징에는 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포켓 등에 꽂아 사용함이 편리하도록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침장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부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벽과, 이 가이드벽의 후단에 슬라이드부와 함께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푸시로드의 밀어냄 정도를 조정하는 조절나사가 나사결합하도록 형성된 장전너트부와, 이 장전너트부를 이룬 저면에 돌출되어 탄지도록 하는 스프링시이트와, 이 스프링 시이트의 일측에 경사지면서 캠롤러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캠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회동로드는 하우징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볼트가 고정너트로 고정되는 로드부재와, 이 로드부재의 일단은 침장전부의 저면에 형성된 캠홈에 삽입되는 캠롤러가 고정볼트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이송부와 이 승강 이송부의 타단은 층으로 형성되어 제 2탄성부재로 탄지되는 이송래치가 설치되는 수직이송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이송래치는 수직이송부의 직선운동시 침통판을 용이하게 밀어내기 위하여 수직이송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봉 주위에 제 2탄성부재를 내장 층부를 탄지함으로서 슬라이딩 작동시 양측에 설치된 고정 래치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이송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선단에 전진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삼각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고정래치는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끼워지는 침통판의 저면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홀에 제1타성부재를 내장하여 층부가 슬라이딩시 탄지되도록 하면서 회동로드의 작용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양단에 설치되어 밀어낼 때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삼각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침통판은 상측면에 수지침이 다수개 저장되면서 푸시로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홈부와 이 홈부를 형성한 저부에는 이송래치에 의해 이송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이송홈과, 일방향으로 전진하도록 끝단이 형성된 이송돌기와 아울러 내부에 수지침의 부착을 쉽게 하도록 내장된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자침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침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침의 장전준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침의 장전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침기의 버튼부 작동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침기의 버튼부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침통판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침통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침 공급판의 이동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침기 10 : 슬라이드부
11 : 하우징 12 : 장공
13 : 당김쇠 14 : 침장전부
15 : 버튼 16 : 걸림턱
18 : 푸시로드 19 : 이송축
20 : 추 30 : 회동로드
31 : 힌지볼트 32 : 고정너트
34 : 고정볼트 35 : 승강이송부
36 : 제2탄성부재 37 : 수평이송부
40 : 이송래치 41 : 침통판
42 : 구멍 114 : 압통핀부
115 : 너얼링 116 : 로울러
상기한 수지침용 자침기는 수지침을 세트로 하는 케이스인 침통판을 자침기에 삽입하여 당김쇠를 당길 때 마다 침통판이 1하나의 홈부씩 전진하게 하여 버튼을 누름으로서 푸시로드가 전진하여 침통판에 내장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붙어 있는 수지침이 하우징에 형성된 침 가이드를 통해 인체의 피봉에 꽃히도록 함으로서 많은 부위에 대히 침술이 이루어질 때 침술부위마다 수지침을 가져다 시술하던 것을 침통판 하나만으로도 소정의 횟수만큼 여러부위에 침술의 의료행위를 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침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부호(1)은 자침기를 지칭한다.
상기한 자침기(1)는 자침을 행하는 하우징 선단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지도록 한 침통판에 배열 저장된 수지침을 밀어내도록 당김쇠에 의해 후진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버튼에 의해 전진이 제어되도록 푸시로드와 일체로 되어 설치된 슬라이드부(10)가 내장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푸시로드를 후진함과 동시에 함께 후진이 진행되도록 장전 너트부를 형성하면서 저부에 회동로드를 설치하여 침장전부(20)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침장전부(20)에는 저부에 형성된 캠홈에 장착된 캠롤러로 연결설치되면서 힌지축으로 고정되는 회동로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동로드(30)에는 회동에 의해 침통판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홈에 삽입되어 이송돌기를 밀어 이동하도록 수직이송부에 이송래치(40)가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로드(30)에는 이송래치(40)에 의해 이송되는 침통판을 지지고정하도록 복수개 설치 장착된 고정래치(50)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는 하우징(11)에 형성된 장공(12)을 통해 돌출된 당김쇠(13)에 의해 침장전부(14)위를 슬라이딩 하면서 버튼(15)에 의해 제어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6)을 형성하고 있으며, 침(17)을 밀어내기 위하여 일체로 내장 되면서 침(17)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푸시로드(18)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나사 결합하는 이송축(19)의 후단에 결합되어 중량이 갖도록 설치된 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버튼(15)은 하우징(11)의 장공(12) 전측에 관통 형성된 버튼홀(151)에 끼워져 승강작동하는 원형의 헤드부(152)와, 이 헤드부가 버튼홀(151)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게 형성된 플렌지부(153)와, 이 헤드부의 저부 중심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3탄성부재(154)로 탄지되도록 홈(155)을 형성한 걸림부(156)와, 이 걸림부 홈(155)상단 (157)이 슬라이드부의 걸림턱(16)과 마주하는 유무에 따라 걸림이 제어되도록 한 경사부(158)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하우징(11)에는 환자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략이나 경혈부위를 압통하여 용이하게 침을 놓을 수 있도록 제4타성부재(111)에 의해 탄지되는 로드부(112)와, 이 로드부의 끝단에 피부와 부드럽게 접촉되는 구형부(113)로 형성된 압통핀부(114)가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하우징 (11)에는 환자의 통증이나 발생하는 경락이나 경혈 부위를 풀어주거나 지압하여 주도록 외주면을 너얼링(115)하여 회전되게 형성된 로울러(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11)에는 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포캣 등에 꽂아 사용함이 편리하도록 홀더(117)와 일체로 형성된 클립(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침장전부(14)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0)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벽(141)과, 이 가이드벽의 후단에 슬라이드부(10)와 함께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푸시로드(18)의 밀어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142)가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된 장전너트부(143)와 이 장전너트부를 이룬 저면에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시이트(144)와 이 스프링시이트 일측에 캠롤러(145)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사진 캠홈(14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스프링시이트(144)는 하우징(11)에 설치된 가이드로드(L)를 타고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S)에해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동로드(30)는 하우징(11)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볼트(31)가 고정너트(32)로 고정되는 로드부재(33)와, 이 로드부재의 일단은 침장전부(14)의 저면에 형성된 캠홈(146)에 삽입되는 캠롤러(145)가 고정볼트(34)로 회전 가능하에 설치된 승강이송부(35)와, 이 승강이송부의 타단은 층으로 형설되어 제2 탄성부재(36)로 탄지되는 이송래치(40)가 설치되는 수직이송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송래치(40)는 수평이송부(37)의 직선운동시 침통판(41)을 용이하게 밀어내기 위하여 수평이송부(37)에 형성된 구멍(42)에 삽입되는 가이드부(43) 주위에 제 2탄성부재(36)를 내장 층부(38)를 탄지함으로서 슬라이딩 작동시 양측에 설치된 고정래치(5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진이 용이하도록 경사각을 갖는 삼각돌출부(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고정래치(50)는 침통판(41)의 저면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홀(51)에 제 1탄성부재(52)를 내장하여 층부(53)가 슬라이딩시 탄지되도록 하면서 회동로드(30)의 작용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양단에 설치되어 밀어낼 때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삼각지지돌출부(54)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침통판(41)은 상측면에 수지침(17)이 다수개 저장 되면서 푸시로드(18)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홈부(411)와, 이 홈부를 형성한 저부에는 이송래치(40)에 의해 이송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이송홈(412)과, 일방향으로 전진하도록 끝단이 형성된 이송돌기(413)와 아울러 내부에 수지침(17)의 부착을 쉽게 하도록 내장된 자성체(414)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침통판(41)은 하우징(11)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55)와 이 삽입구(55)에 침통판(41)이 삽입됨으로서 작동에 의해 수지침(17)이 안내되는 침가이드(56)가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통판(41)이 하우징(11)에 형성된 삽입구(55)에 삽입됨에 따라 푸시로드(18)를 후진시키기 위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당김쇠(13)를 장전너트부(143)가 위치한 부분까지만 일단 후진시킨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는 침장전부(14)에 형성된 가이드벽(141)에 의해 안내되면서 미끄러지게 되고, 내장된 푸시로드(18)와 일체인 이송축(19)과, 그 끝단에 나사 결합된 추(20)는 당김쇠(13)가 후진한 만큼 후진하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가 후진할 때 침장전부(14)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시이트(144)가 가이드로드(L)에 끼워져 스프링 (S)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침장전부(14)가 후진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시이트(144)의 일측에 형성된 캠홈(146)에 설치된 회동로드(30)의 승강이송부(35)에 장착된 캠롤러(145)는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 머물게 한다.
이에 따라 제4도에서와 같이 당김쇠(13)를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장저너트부(143)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142)의 끝단이 장공(12)의 일 끝에 닿음으로서 후진이 되지 않으면서 장공(12)의 전측에 설치된 버튼(15)은 제3탄성부재(154)의해 탄지 상태에 있기 때문제 슬라이드부(10)의 후진이 거의 이루어질 부분에서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턱(16)이 버튼(15)의 홈(155)를 슬라이딩하여 빠져 나감과 동시에 걸림부(156)의 홈(155)에 형성된 경사부(158)의 상단 (157)이 솟아오름으로서 탄지된 상태에서 멈추게 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가 버튼(15)에 의해 멈추어 있게 됨에 따라 침장전부(14) 저면에 설치된 스프링시이트(144)는 스프링(S)의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가 후진하면서 침장전부(14)도 후진하게 됨에 따라 저면에 경사각을 갖는 캠홈(146)을 따라 회동하도록 한 캠롤러(145)가 좌측으로 이동됨으로서 회동로드(30)의 일단에 형성된 수평이송부(37)가 수평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수평이송부(37)가 캠홈(146)의 경사각 만큼 움직임에 따라 침통판(41)의 전진이 가능하게 되는데, 침통판(41)의 전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평이송부(37)에 설치된 이송래치(40)는 선단에 삼각돌출부(39)가 형성된다. (제9도 참조)
이 삼각돌출부(39)는 침통판(41)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홈(412)과 이송돌기(413)가 갖는 경사를 반대로 형성함으로서 일방향으로만 침통판(41)이 전진하도록 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래치(40)에 의해 침통판(41)의 전진이 이루어질 때 전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즉, 이송래치(4)가 이송돌기(413)를 타고 넘을 때 침통판(41)이 딸려 가거나 침통판(41)이 흔들리거나 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측과 출구측에 복수개의 고정래치(50)를 하우징(11)의 저면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래치(50)를 하우징(11)의 저면에 설치함에 있어 선단에 형성된 삼각 지지돌출부(54)의 직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설치하게 되면 전진과 출구측으로 빠짐이 용이하게 된다. (제4,9도 참조)
상기와 같이 침통판(41)이 새로운 하나의 홈부(411)가 푸시로드(18) 선단과 침가이드(56)와의 사이에 1자 형태로 정렬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따라 상기한 침통판(41)의 전진이 이루어지고 수지침(17)이 장전되었다 판단되면 하우징(11)의 버튼홀(151)에 설치된 버튼(15)을 누르면 버튼(15)의 저부에 형성된 홈(155)을 이루는 경사부(158)의 상단(157)이 슬라이드부(10)의 걸림턱(16)을 벗어나자 마자 침장전부(14)의 저부에 설치된 스프링(S)의 탄성력은 스프링시이트(14)를 밀게 됨으로서 침장전부(14)를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한 침장전부(14)가 전진하게 됨에 따라 저면에 형성된 캠홈(146)에 설치된 캠롤러(145)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회동로드(30)의 일단에 설치된 이송래치(40)는 침통판(41)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침통판(41)의 이송돌기(413)를 타고 후진한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된다. (제 2도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침장전부(14)는 전진한 상태이고, 회동로드(30)의 수평이송부(37)에 설치된 이송래치(40)는 후진한 상태가 될 때, 슬라이드부(10)는 침장전부(14)에 대해서 멈춤제어가 해제되면서 이송축(19) 후단에 설치되어 중량을 갖는 추(20)의 무게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제2,3도 참조)
이때 상기한 이송축 (19)과 일체인 슬라이드부(10)가 미끄러질 때 침장전부(14)의 후측에 형성된 장전너트부(143)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142)의 조임정도를 조절하여 푸시로드(18) 선단에 닿는 수지침(17)이 피부에 꽂히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10)가 미끄러질 때 일체로 설치된 푸시로드(18)는 침통판(41)의 홈부(411)로 진입하여 자력에 의해 붙어 있는 수지침(17)을 홈부(411)로 부터 침가이드(56)를 통해 밀어내어 인체의 피부에 꽂히도록 한다.
상기한 수지침(17)을 사용하기 전에 경혈 부위의 통증 부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눌러주는 압통핀부(114)가 하우징(11)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환자 진료시 등에 자침기(1)의 구비가 편리하도록 클립(118)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1)를 조이는 홀더(117)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외주연에 너얼링(115)을 형성한 로울러(116)가 장착되어 인체의 피부에 위에서 회전시킴으로서 경혈부위가 지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지침을 이용한 침술시 침술부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세트로 이루어진 침통판만 교환하면, 하나의 침통판에 저장되는 수지침의 수량의 다양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종전처럼 하나의 수지침을 장전후 반복 교환하면서 사용하던 불편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지침의 교환이 다수의 침술 부위를 시술후 침통판의 교환이 이루어짐으로서 짧은 시간후에 침술의 시술이 이루어짐으로서 시간의 단축은 물론 시술자의 피로를 가중시키지 않고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자침기에 경혈부위 등의 압통 부위를 쉽게 체크할 수 있는 압통핀부를 설치함으로서 다른 기구나 압통부위를 찾는데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압통부를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자침기를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클립이 장착됨으로서 자침기를 수납하는 케이스 등를 가지고 다니던 불편이 해소되면서 하우징 외측으로 드러나는 지압용 로울러가 장착되어 있어 침술부위를 지압해주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푸시로드의 슬라이드 작용으로 하우징내의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수지침을 밀어냄으로서 자침을 행하는 자침기에 있어서, 상기한 자침기(1)는 하우징 선단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지도록 한 침통판에 배열 저장된 수지침을 밀어내도록 당김쇠에 의해 후진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버튼에 의해 전진이 제어되도록 푸시로드와 일체로 설치된 슬라이드부(10) 등의 슬라이딩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부(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푸시로드를 후진함과 동시에 함께 후진이 진행되도록 장전너트부를 형성하면서 저부에 회동로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침장전부(20) 등의 장전수단과; 상기 침장전부의 저부에 캠롤러로 연결 설치되면서 힌지축으로 고정되는 회동로드(30)등의 이송수단과;
    상기 회동로드에 의한 회동에 의해 침통판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홈에 삽입되어 이송돌기를 밀어 이동하도록 수직이송부에 설치된 이송래치(40) 등의 이송수단과; 상기 회동로드(30)에는 이송래치(40)에 의해 이송되는 침통판을 지지고정하도록 복수개 설치 장착된 고정래치(50) 등의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용 자침기.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부(10)는 하우징(11)에 형성된 장공(12)을 통해 돌출된 당김쇠(13)에 의해 침장전부(14)위를 슬라이딩 하면서 버튼(15)에 의해 제어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6)을 형성하고 있으며, 침(17)을 밀어내기 위하여 일체로 내장 되면서 침(17)의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된 푸시로드(18)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나사 결합하는 이송축(19)의 후단에 결합되어 중량이 가해지도록 설치된 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3. 제1항에 있어서, 버튼(15)은 하우징(11)의 장공(12) 전측에 관통 형성된 버튼 홀(151)에 끼워져 승강작동하는 원형의 헤드부(152)와, 이 헤드부가 버튼 홀(151)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게 형성된 플렌지부(153)와, 이 헤드부의 저부 중심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3탄성부재(154)로 탄지되도록 홈(155)을 형성한 걸림부(156)와, 이 걸림부의 홈(155) 상단(157)이 슬라이드부의 걸림턱(16)과 마주하는 유무에 따라 걸림이 제어되도록 한 경사부(1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에는 환자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락이나 경혈 부위를 압통하여 용이하게 침을 놓을 수 있도록 제4탄성부재(111)에 의해 탄지되는 로드부(112)와, 이 로드부의 끝단에 피부와 브드럽게 접촉되는 구형부(113)로 형성된 압통핀부(1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에는 환자의 통증이나 발생하는 경락이나 경혈 부위를 풀어주거나 지압하여 주도록 외주면을 너얼링(115)하여 회전되게 형성된 로울러(116)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6.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에는 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포켓 등에 꽂아 사용함이 편리하도록 홀더(117)와 일체로 형성된 클립(118)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7. 제1항에 있어서, 침장전부(14)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0)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벽(141)과, 이 가이드벽의 후단에 슬라이드부(10)와 함께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푸시로드(18)의 밀어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142)가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된 장전너트부(143)와, 이 장전너트부를 이룬 저면에 돌출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시이트(144)와, 이 스프링시이트의 일측에 캠롤러(145)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사진 캠홈(14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8. 제1항에 있어서, 회동로드(30)는 하우징(11)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볼트(31)가 고정너트(32)로 고정되는 로드부재(33)와, 이 로드부재의 일단은 침장전부(14)의 저면에 형성된 캠홈(146)에 삽입되는 캠롤러(145)가 고정볼트(34)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이송부(35)와, 이 승강이송부의 타단은 층으로 형성되고 제2탄성부재(36)로 탄지되는 이송래치(40)가 설치되는 수직이송부(3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9. 제1항에 있어서, 이송래치(40)는 수평이송부(37)의 직선운동시 침통판(41)을 용이하게 밀어내기 위하여 수평이송부(37)에 형성된 구멍(42)에 삽입되는 가이드부(43) 주위에 제2탄성부재(36)를 내장층부(38)를 탄지함으로서 슬라이딩 작동시 양측에 설치된 고정래치(5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진이 용이하도록 경사각을 갖는 삼각돌출부(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10. 제1항에 있어서, 고정래치(50)는 침통판(41)의 저면에서 지지가능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홀(51)에 제1탄성부재(52)를 내장하여 층부(53)가 슬라이딩시 탄지되도록 하면서 회동로드(30)의 작용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양단에 설치되어 밀어낼 때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선단에 형성된 삼각지지돌출부(54)가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11. 제1항에 있어서, 침통판(41)은 상측면에 수지침(17)이 다수개 저장 되면서 푸시로드(18)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홈부(411)와, 이 홈부를 형성한 저부에는 이송래치(40)에 의해 이송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이송홈(412)과, 일방향으로 전진하도록 끝단이 형성된 이송돌기(413)와 아울러 내부에 수지침(17)의 부착을 쉽게 하도록 내장된 자성체(414)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침용 자침기.
KR2019940001061U 1994-01-20 1994-01-20 수지침용 자침기 KR970001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061U KR970001184Y1 (ko) 1994-01-20 1994-01-20 수지침용 자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061U KR970001184Y1 (ko) 1994-01-20 1994-01-20 수지침용 자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97U KR950022797U (ko) 1995-08-18
KR970001184Y1 true KR970001184Y1 (ko) 1997-02-19

Family

ID=1937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061U KR970001184Y1 (ko) 1994-01-20 1994-01-20 수지침용 자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9010A2 (en) * 2002-07-18 2004-01-29 Lai-Shing Tzou The apparatus of continuous pricking needles for a herb doctor
WO2006095944A1 (en) * 2005-03-09 2006-09-14 Neo Dr. Inc. Automatic acupuncture device
KR100911287B1 (ko) * 2008-07-24 2009-08-06 송경진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9010A2 (en) * 2002-07-18 2004-01-29 Lai-Shing Tzou The apparatus of continuous pricking needles for a herb doctor
WO2004009010A3 (en) * 2002-07-18 2004-06-24 Lai-Shing Tzou The apparatus of continuous pricking needles for a herb doctor
WO2006095944A1 (en) * 2005-03-09 2006-09-14 Neo Dr. Inc. Automatic acupuncture device
KR100911287B1 (ko) * 2008-07-24 2009-08-06 송경진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97U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909A (en) Seed applicator for use in radiation therapy
US5250026A (en) Adjustable precision transponder injector
US5106370A (en) Pellet carrier fed pellet implanter apparatus
US5507807A (en) Apparatus for the release of a substance within a patient
US8262618B2 (en) System consisting of an insertion head and an inserter
US20230046798A1 (en) Needle gadget used with an automatic acupuncture device
US20050245956A1 (en) Insertion device for needle units
JPS6468277A (en) Implant inserting apparatus
AU2002301783A1 (en) Self controlled image guided device for inserting a needle in an animal body for effecting radiation therapy in said body
JPS6452478A (en) Sheath part for medical butterfly type needle
KR100589077B1 (ko)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KR970001184Y1 (ko) 수지침용 자침기
KR101368920B1 (ko)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CN210933172U (zh) 一种一次性医疗注射器自动注射装置
KR101966547B1 (ko) 동물용 주사기
WO2004009010A2 (en) The apparatus of continuous pricking needles for a herb doctor
DE60208565T2 (de) Applikator zum einbringen eines gegenstandes in die vagina
CN209967055U (zh) 一种进针仪
CN211434641U (zh) 一种重症临床局部麻醉装置
KR200278918Y1 (ko) 쑥뜸기
KR970000475Y1 (ko) 동물용 주사기
CN111084672A (zh) 断喙注射方法
CN217245574U (zh) 针灸进针器
CN216091417U (zh) 一种中医艾灸治疗用辅助装置
CN217219766U (zh) 一种胰岛素注射笔用新型握持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