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562B1 -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 Google Patents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562B1
KR100230562B1 KR1019930702544A KR930702544A KR100230562B1 KR 100230562 B1 KR100230562 B1 KR 100230562B1 KR 1019930702544 A KR1019930702544 A KR 1019930702544A KR 930702544 A KR930702544 A KR 930702544A KR 100230562 B1 KR100230562 B1 KR 10023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syrup
flow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200A (ko
Inventor
브루스디. 브로우
Original Assignee
브루스 디. 브로우
엡테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스 디. 브로우, 엡테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루스 디. 브로우
Publication of KR93070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3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flow or pressure sensors, e.g. for controll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B67D1/0079Ingredient cartridges having their own dispens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개선된 밸브작동기(18)는 청량음료 자동판매기(10)등에 사용되는 형태의 액체분배밸브(1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자동판매기는 시럽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병목 부위에 분배밸브를 가지는 시럽 함유병(12)으로부터 컵으로 분배된 선별된 가미시럽으로 혼합시키기 위하여 물분배 도관(84)을 통해서 음료컵(26)으로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탄산수(20)의 가압공급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작동기는 탄산수가 도관을 통해서 음료컵으로 공급될때마다 분배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유동 제어기(86)의 상부 흐름 위치에 있는 물분배 도관을 따라서 가압시키는 것에 응답하고 분배 밸브에 역학적으로 연결된다. 물공급의 결론으로, 밸브 작동기는 분배밸브를 밀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물분배 도관을 따라서 감소된 압력에 응답한다.

Description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을 사용하는 개선된 밸브작동기를 포함하게 적용된 청량음료 분배기의 전면사시도.
제2도는 설치된 시럽 분배기 밸브를 갖고 있는 예시적인 가미시럽병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취한 부분확대사시도.
제4도는 밀폐상태의 시럽분배 밸브를 나티내는 제3도와 유사한 부분확대 단면도.
제5도는 개방상태의 분배밸브를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부분수직 단면도.
제6도는 시럽 함유병 및 분배기 밸브와 관련해 작동하는 바람직한 밸브 작동기를 나타내는 개략 다이아그램.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예의 개략 다이아그램.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에서, 제1도의 청량음료 분배기(10)는 청량음료를 만드는데 사용하기 위한 가미 시럽을 함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교적 작은병(12)을 포함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시럽 함유병(12)은 병목(16)에 직접 설치된 압착 시럽 분배 밸브(14)를 포함하고, 여기서 분배밸브(14)는 분배기의 정상작동중 병(12)으로부터 흘러나와 분배되는 시럽을 아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된다. 개량 밸브 작동기(18)(제6도)는 각각의 시럽 함유병(12)과 연계해 분배기 밸브작동기(14)를 유압으로 작동시키도록 탄화수의 압축공급기(20)를 활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에 나타난 도식적 청량음료 분배기(10)는 편리하게 압축 카운터탑 설치를 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인 고정하우징(22)을 포함하게 종래 기술로 구성한다. 예시적인 이 하우징(22)은 세계의 분리된 분배 노즐(28, 30, 32)중 어느 하나의 아래에 직접 놓여지는 충진위치에서 음료컵(26)(제6도 및 제7도)등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수용기(24)를 전방으로 한정한다. 이들 분배노즐(28, 30, 32)은 고정하우징(22)내에서 제거할 수 있게 설치하기 위해 채택된 대응되는 숫자의 시럽 함유병(12)과 각각 연계된다. 또한, 분배노즐은 분배 버튼(34, 36, 38)과 같은 각각의 분배 작동기와 연계된다. 분배버튼(34, 36, 38)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고정하우징 내의 물 저장기(20)(제6도 및 제7도)로부터의 냉각 탄산수와 선택된 병(12)으로부터의 가미시럽의 적절한 양을 전달혼합하는 방법으로 작동이 시작된다. 이러한 형태의 청량음료 분배기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하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62,244호에 잘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식적인 도면에서는 카운터 탑 크기의 분배장치(10)와 비교적 적은 용적의 시럽 함유병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러가지 크기 및 형태의 다른 유체 분배장치와 분배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량된 밸브작동기(18)는 청량음료를 만들기 위한 선택된 가미시럽과 탄산수의 적절한 양을 분배하기위한 통합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밸브작동기는 선택된 가미시럽병(12)상의 시럽 분배밸브(14)를 상대하여 작동시키게 물이 분배될때 탄산수 공급장치의 압력에 감응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밸브 작동기(18)를 작동시키는데 활용되는 탄산수 공급량은 가미시럽과 혼합하기 위해 음료컵(26)으로 선발되는 물공급량을 포함한다.
각각의 병(12)과 연계된 시럽 분배기 밸브(14)의 특정구조는 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분배 밸브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언급하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813,782호(199. 12. 27일 출원, 발명의 명칭; 시럽 분배기 및 밸브 조립체)에 나타나고 기술된 분배 밸브에 상당하는 구조를 갖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명료함을 위해 간단한 설명으로는, 도식적 분배밸브(14)가 시럽 함유병(12)의 목(16)내에서 직접 설치된 기판(42)을 갖고 있는 기판 부재(40)를 포함한다. 기판(42)은 병이 역위치로 고정하우징(22)속에 설치될때 병으로부터의 시럽이 아래로 흐르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시럽 흐름 구멍(44)을 갖고 있다. 또한 기판 부재(40)는 공기배출포트(48)를 갖는 자유단이나 디스탈(distal)을 한정하고, 시럽병(12)의 내측으로 짧게 내측 방향으로 기판(42)으로부터 돌출하는 배출 튜브(46)를 포함한다. 기판(42)과 배출 튜브(46)는 분배된 시럽 용적용의 변위로서 병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게 하기 위한 공기 배출 통로(50)를 한정한다.
분배기 밸브(14)는 기판부재(42)의 외측면에 설치된 디스크형 밸브판(54)을 갖고 있는 이동형 밸브부재(52)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원통형 밀봉 슬리브(56)는 시럽 흐름구멍(44)을 감싸는 위치에서, 또 기판(42)의 외측 면에서 형성된 환형 밀봉 채널(58) 속으로 밀봉 슬라이딩 수용하기 위해 밸브판(54)으로부터 돌출된다. 밸브판(54)내의 시럽 분배 포트(60)는 기판(42)상의 후에 형성된 시럽 밸브 헤드(62)의 밀봉 수용용으로 위치한다. 연장된 밸브대(64)가 또한 밸브판(54)상에 형성되고 배출포트(48)를 밀폐하기 위해 배출 밸브 헤드(66)를 한정하는 자유단이나 디스탈로 공기 배출 통로(50)를 통해 돌출된다.
상기한 시럽 분배 밸브(14)는 시럽 함유병(12)이 분배기(10)에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될때까지 표준병 뚜껑(69)(제2, 3도)에 의해 덮혀져서 보호되게 통상적으로 설계된다. 사용하고자 할 때 병뚜껑(69)은 제거되고 병(12)은 자동판매대(22)내의 적절한 지지소켓(70)내에 설치된다(제4도 및 제5도 참조). 이렇게 장착된 위치에서, 밸브판(54)에 형성된 외부 원주형 슬롯(72)은 밸브 액츄에이터(18)의 역학적 출력링크를 형성하는 요크부재(74)에 의해서 작동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설치된다. 작동시, 기재되어지는 바와같이, 상기 요크부재(74)는 시럽을 가진 제4도에 도시된 제1위치와 분배기 및 벤트입구(60 및 48)를 밀폐시키는 벤트 밸브 헤드(62 및 66) 사이의 밸브부재(52)를 시럽이 흘러나오고 병이 휘어지도록 서로로부터 각각 회수되는 밸브헤드 및 입구를 갖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변위시킨다.
제6도는 시럽이 함유된 병들중 하나의 병과 관련된 밸브 액츄에이터(18)를 예시하고 탄산수와 가미시럽을 적절하게 분배시키기 위한 시스템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특히, 탄산수 저장소(20)는 당분야에서 공지된 물 공급장치(70)등으로부터 나오는 물과 단분야에서 공지된 적절가능하게 가압된 저장소(78)등으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는 받아들인다. 분배버튼(34, 36 및 38)중 하나의 선별된 버튼을 누르면, 예정된 시간동안 물분배 밸브(82)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자동판매대 조절기(80)를 작동시키고 그래서 분배밸브를 자동적으로 밀폐시킨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분배 밸브(82)는 탄산수 저장소(20)에서 음료컵(26)까지 연장하고 있는 물분배 도관(84)를 따라서 장착된다. 따라서, 예정된 시간동안 물분배 밸브(82)를 개방시킴은 예정된 양의 탄산수를 컵(26)으로 효율적으로 분배시킨다.
탄산수 공급은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상태에 존재될 수 있도록 약 55내지 60psi의 가압하에 이루어진다. 유체 저장소(86)는 물이 음료컵(26)까지 유동될때 적어도 분배도관(84)의 일부분을 통해서 수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물분배밸브(82)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물분배도관(84)을 따라서 정착시킨다. 밸브 액츄에이터(18)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압력응답부재(88)는 병(12)위에 있는 시럽분배 밸브(14)의 압력응답작동을 위하여 물분배밸브(82)와 유동 제한장치(86) 사이의 위치에서 물분배 도관(84)을 따라서 장착된다.
제6도는 물분배도관(84)과 일체로 설치된 내압실(94)을 한정하는 액츄에이터 하우징(92)의 하나의 벽을 형성하는 탄성 격막(90)을 포함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압력응답부재(88)을 도시한다. 출력팔(96)은 상기 격막(90)과 연결되고 내압실(94)내의 압력에 응해서 요크부재(74)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역으로 역학적으로 요크부재(74)와 연결된다. 스프링(98)은 자동판매대 하우징의 일부(22)와 격막(90) 사이에서 작동하여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럽이 흘러나오도록 병을 밀폐시키는 보통 위치를 향해서 출력팔(96)과 관련된 요크부재(74)를 이탈시킨다.
물분배 밸브(82)가 개방될때, 상기된 바와같이, 탄산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럽분배밸브(14)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출력팔(96)과 관련된 요크부재(74)를 변위시키기 위한 내압실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키도록 액츄에이터 하우징(92)의 내압실(94)로 그리고 상기 내압실을 통해서 유동된다. 그래서 물분배도관(84)을 관통하는 탄산수분배는 예정된 시간동안 시럽을 분배시키기 위하여 시럽분배밸브(14)를 유압식으로 작동시킨다. 물분배 밸브(82)가 상기된 바와 같이 조절기(80)에 의해서 밀폐될때, 액츄에이터 하우징(92)내의 압력수위는 시럽분배밸브(14)의 스프링 작동 복귀가 밀폐위치로 오도록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조절밸브(82)는 조절기에 의해서 작동되지만 시럽형태의 제2액체의 동시 규칙은 시럽과 탄산수의 적절한 비율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얻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제6도에 도시된 부품과 동일한 부품은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선별된 실시예에서, 변형된 밸브 액츄에이터(18)는 상이한 크기 구역의 한쌍의 탄성격막(90 및 100) 사이에 연결된 출력팔(96) 및 관련된 요크부재(74)를 포함한다. 상기 격막(90)은 상기된 바와같이 물분배도관(84)을 따라서 설치된 내압실(94)과 관련된 구동가능한 벽을 형성한다. 제2격막(100)은 작은 크기로 되어 있으며 분배밸브(82)로부터 상부 방향 위치에 있는 물분배도관(84)에 연결된 제2내압실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102)의 한쪽면에 있는 구동가능한 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성으로, 탄산수 공급기(20)의 압력은 물분배 밸브(82)가 밀폐될때 밀폐된 상태에 시럽 분배 밸브(14)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2내압실에 보통 적용된다. 그러나 분배밸브(82)가 개방되고 액츄에이터 하우징(92)내의 압력이 증가될때, 증가된 압력은 물이 분배되는 동안 시럽 분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2내압실(102)내의 압력에 의해서 제공된 밀폐 압력을 이겨낸다. 물의 분배가 상기된 바와같이 물분배 밸브(82)의 재밀폐중에 멈추어질때, 제2내압실(102)내의 압력은 시럽분배밸브(14)를 밀폐된 위치로 다시 복귀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라서 개선된 밸브 액츄에이터는, 탄산수를 음료컵 또는 다른 수용물로 시간대로 분배시키는 것에 응해서 시럽분배밸브를 유압식으로 정확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가압하의 탄산수는 두가지 액체의 정확한 비율의 양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시럽 분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식 매체로서 작동된다. 중요한 것은, 탄산수는 버려지지는 않지만 대신 청량음료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컵은 소비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들에게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시킴이 없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청구범위에 기재된 요지내에서 본 발명은 보호 받을 수 있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청량음료를 혼합하고 분배시키기 위한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액체를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특히 가미시럽(vlavor syrup) 등을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분배용 밸브와 이와 관련된 밸브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럽을 포함하고 있는 용기위에 분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탄산수의 공급양에 응하여 유압식으로 작동하여서 청량음료를 만들기 위하여 시럽양과 탄산수양의 정확한 비가 공급되는 밸브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청량음료 자동판매기 및/또는 일반자동판매대등이 한번에 6 내지 10 온스 정도로 스스로 청량음료를 분배시킨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신선한 물을 받아들여서 냉각된 탄화수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통 뿐만 아니라 가미시럽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분리된 용기를 포함한다. 자동판매기가 작동되고자 할때, 자동판매기는 음료컵, 유리컵등에 냉각수와 가미시럽을 혼합시켜서 분산시키기 위하여 냉각수의 양과 선별된 가미시럽의 양을 비례적으로 일정하게 분배시킨다. 가미시럽은 보통 농축된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가미시럽의 양은 냉각수의 양과 비교하여서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가미시럽의 정확하게 측량된 양은 소비자에게 일정하면서도 양질의 음료를 분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분배된 시럽의 양이 약간 변하게 된다면, 최종 음료의 맛에 상당히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과거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청량음료 자동판매기 및 일반자동 판매대는 청량음료를 형성하기 위하여 탄산수 및 이와 관련된 가미시럽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밸브기구와 이와 관련된 밸브작동장치를 구비하였다. 이 점에 관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는 냉각수와 시럽의 양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냉각수와 시럽을 공급하기 위한 개별적인 밸브의 사용을 요구하고 부가적으로, 냉각수의 양을 일정하고 정확히 공급하기 위하여 계측 기구와 전자회로를 요구한다. 다른 시스템에서, 탄산수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이산화탄소를 가압시켜서 공급하는 공급장치는 하나이상의 가압식 밸브작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가압유체를 부가적으로 갖춰야 한다. 그러나, 밸브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압가스 공급장치의 상당한 부분이 탄산수 제조에 사용될 수 없게 대기로 빠져 나갔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청량음료 자동판매기내의 가압수를 공급함으로써 유압식으로 작동되게 개선되고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인 밸브작동장치를 제공함으로 종래의 자동판매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및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개선된 밸브 작동장치는 선택된 가미시럽의 분배에 대응하는 물의 분배량에 응하여 이산화탄소가스가 대기로 누출됨이 없이 물과 시럽 흐름의 정확한 양을 간단하게 동시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하면, 개량 밸브작동장치는 청량음료 제조를 위한 선택 가미 시럽과 탄산수의 예정양을 분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형태의 청량음료 분배기등에 사용된다. 밸브작동장치는 음료컵 등과 같은 수용기로 탄산수를 분배하는데 응하여, 시럽 분배밸브의 압력 감응 작동용으로 택해진다.
청량음료 분배기는 적당한 저장용기내에서 탄산수의 가압공급장치를 포함하고, 탄산수의 공급은 들어오는 물과 이산화탄소 가스를 적절히 혼합해 얻는다. 전형적인 탄산수 공급장치에서는, 탄산수의 공급이 55-60 psi 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물분배 밸브는 물분배 도관을 통해 탄산수가 음료컵등으로 흐르게 한다. 탄산수 흐름의 기간은 분배되는 탄산수의 양을 선택하는데 상대하여 잘 조절된다.
밸브작동기는 분배기 밸브가 개방과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시럽 함유 병상의 분배기 밸브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밸브작동기는 물분배 밸브로부터의 하류 스트림과 흐름제한기로부터의 상류 스트림 위치에서 물분배 도관내의 유압을 받는 탄성 격막과 같은 압력감응요소를 포함한다. 탄화수가 도관을 통해 분배되면, 압력감응요소는 상기 도관내의 압력에 의해 변화되게 시럽분배밸브가 이에 상대해 개방위치로 변한다. 탄산수가 분배됨에 의해 밸브작동기는 시럽분배밸브를 폐쇄 위치로 되돌아가게 물도관을 따르는 감소압력에 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기술내용으로부터 보다 분명히 인식될 것이다.

Claims (16)

  1. 압력하에서 탄산수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기와, 상기 저장기로부터 리셉터클로의 탄산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물 분배 도관과, 상기 저장기로부터 상기 물분배도관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탄산수를 제어하기 위한 물분배 밸브와, 소정의 가미 시럽을 포함하는 병과, 그리고 상기 병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로 흐르는 시럽을 제어하기 위한 시럽분배밸브를 갖추고 있는 청량음료 분배대에 또한 포함되는 밸브작동기로서, (a) 상기 병으로부터의 시럽의 배출을 각각 방지 및 허용하기 위한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럽 분배 밸브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시럽 분배 밸브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기 부재와, 그리고 (b)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물이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상기 개방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제1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유동하는 탄산수의 부존 지역인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밸브작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기가 상기 물 분배도관을 따라 배치된 유동 제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유동에 반응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유동 제한기 상류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라서 유체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압력 반응요소를 포함하는 밸브작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기가 상기 물분배 밸브 하류의 일정위치에서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라 배치되는 밸브작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요소가 상기 작동기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물이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라서 유체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탄성 격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밸브 작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기가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부존지역인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정상적으로 밀기위한 스프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밸브작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이 제1지역을 갖춘 제1탄성 격막으로 이루어져있고, 상기 밸브 작동기가,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부존지역인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정상적으로 밀도록 상기 작동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기내에서 유체압력을 받기 쉬운 제2지역 및 비교적 작은 지역을 갖춘 제2탄성 격막을 더 포함하는 밸브작동기.
  7. 제1항에 있어서, 소성 시간동안에 상기 물분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밸브작동기.
  8. 제1항에 있어서, 압력하에서 공급된 물이 탄산수인 밸브작동기.
  9. 압력하에서 탄산수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기와, 상기 저장기로부터 리셉터클로의 탄산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물 분배 도관과, 상기 저장기로부터 상기 물분배도관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탄산수를 제어하기 위한 물분배 밸브와, 소정의 가미 시럽을 포함하는 병과, 그리고 상기 병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로 흐르는 시럽을 제어하기 위한 시럽분배밸브를 갖추고 있는 청량음료 분배대에서 상기 물분배 밸브와 통합하여 상기 시럽분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시럽분배밸브를 작동기 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개방위치로 움직이는 제1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압력 반응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라 흐르는 탄산수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동 반응단계와, 그리고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폐쇄위치로 움직이는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압력 반응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라 흐르는 탄산수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동 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 도관을 통해서 물이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물분배 도관을 따르는 소정 위치에서 탄산수의 유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동 반응 단계들이 소정의 제한 위치 하류의 한 위치에서 물분배 도관을 따라 유체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동안 물분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압력하에 제공된 물의 유동 통로가 되는 물유동 도관과, 선택된 감미 시럽을 포함하는 병과, 그리고 상기 병으로부터 리셉터클로 배출되는 시럽을 제어하기 위한 시럽 분배밸브를 갖추고 있는 음료 분배대에 또한 포함되는 밸브 작동기로서, (a) 상기 병으로부터의 시럽의 배출을 각각 방지 및 허용하기 위한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럽 분배 밸브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시럽분배밸브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기 부재와, 그리고 (b) 상기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물이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상기 개방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제1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시럽 분배 밸브가 상기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유동하는 물의 부존지역인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밸브 작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기가 상기 물유동 도관을 따라 배치된 유동 제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유동 제한기 상류의 한 위치에서 상기 물유동 도관을 따라서 유체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압력 반응요소를 포함하는 밸브 작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요소가 상기 작동기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물이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물유동 도관을 따라서 유체 입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탄성 격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밸브 작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기가 상시 물유동 도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의 부존지역인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정상적으로 밀기위한 스프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밸브작동기.
  16. 압력하에 제공된 물의 유동 통로가 되는 물 유동 도관과, 선택된 감미시럽을 포함하는 병과, 그리고 상기 병으로부터 리셉터클로 배출되는 시럽을 제어하기 위한 시럽 분배밸브를 갖춘 자동판매기에서 상시 유동통로와 통합하여 상기 시럽 분배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시럽분배밸브를 작동기 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럽 분배 밸브가 개방위치로 움직이는 제1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압력 반응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물유동 도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동 반응단계와, 그리고 상기 시럽분배밸브가 폐쇄위치로 움직이는 제2위치로, 상기 작동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압력 반응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물유동 도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유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동 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930702544A 1991-12-23 1992-11-20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KR100230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12-015 1991-12-23
US7/812,015 1991-12-23
US07/812,015 US5172831A (en) 1991-12-23 1991-12-23 Valve actuator for a soft drink dispenser station
PCT/US1992/010064 WO1993013007A1 (en) 1991-12-23 1992-11-20 Valve actuator for a soft drink dispenser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200A KR930703200A (ko) 1993-11-29
KR100230562B1 true KR100230562B1 (ko) 1999-11-15

Family

ID=2520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544A KR100230562B1 (ko) 1991-12-23 1992-11-20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172831A (ko)
EP (1) EP0572617B1 (ko)
JP (1) JP3366005B2 (ko)
KR (1) KR100230562B1 (ko)
AU (1) AU659709B2 (ko)
CA (1) CA2100663C (ko)
DE (1) DE69217483T2 (ko)
ES (1) ES2099414T3 (ko)
TW (1) TW324003B (ko)
WO (1) WO1993013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276A (en) * 1991-04-22 1994-12-06 Ebtech Inc.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US5172831A (en) * 1991-12-23 1992-12-22 Ebtech, Inc. Valve actuator for a soft drink dispenser station
US5211314A (en) * 1991-12-27 1993-05-18 Ebtech, Inc. Syrup dispenser and valve assembly
US5381926A (en) * 1992-06-05 1995-01-17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value and method
US5330080A (en) * 1993-01-19 1994-07-19 Connor John L O Beverage dispenser and stand therefore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ing bottles
US5755269A (en) * 1993-12-09 1998-05-26 Ciba Corning Diagnostics Corp. Fluid delivery system
US5577638A (en) * 1995-02-21 1996-11-26 Takagawa; Nobuyuki Bottom pouring pot
US5775550A (en) * 1995-06-30 1998-07-07 Toll; Duncan M. Gravity dispenser with improved shut-off feature
US5715877A (en) * 1996-10-01 1998-02-10 Champion Chemical Co. Of Calif., Inc. Solution dilution assembly
IL134318A0 (en) * 2000-02-01 2001-04-30 Goti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ine
EP1565654A1 (en) * 2002-11-26 2005-08-24 Richard Anthony c/o Western Union Khalaf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pumps for use therein
CA2421801C (en) * 2003-03-13 2010-02-23 Denfred Holdings Ltd. Automatic valve assembly for a water cooler reservoir
US20060138170A1 (en) * 2004-11-18 2006-06-29 Eric Brim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fluid
US7866508B2 (en) * 2005-09-19 2011-01-11 JMF Group LLC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7806303B1 (en) * 2007-10-11 2010-10-05 Mark Hastings Sealable pour spout
PL2323923T3 (pl) 2008-08-29 2015-04-30 Pepsico Inc Układ do napojów typu post-mix
US9272827B2 (en) 2008-08-29 2016-03-01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FR2953818B1 (fr) * 2009-12-16 2012-06-01 Techniplast Dispositif de remplissage
US8757325B2 (en) * 2012-08-31 2014-06-24 Left Field Design, Llc Applicator for drive chain liquid dispensing
US9272817B2 (en) * 2012-09-28 2016-03-01 Nicholas Becker Liquid-dispensing systems with integrated aeration
US10125002B2 (en) * 2014-07-13 2018-11-13 Sestra Systems, In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0035115B2 (en) * 2014-09-26 2018-07-31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Inc. Re-fillable syrup bin for beverage machine
US10279952B2 (en) 2015-10-23 2019-05-07 The Coca-Cola Company Syrup dispensing cups and methods for improved shelf-life
US10464797B2 (en) 2016-01-15 2019-11-05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PT109305A (pt) * 2016-04-07 2017-10-09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 A Máquina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base em cartuchos de concentrado de bebida
US10610045B2 (en) 2016-06-14 2020-04-07 Pepsico, Inc. Beverage system including a removable piercer
USD962007S1 (en) * 2020-04-10 2022-08-30 The International Company for Designs and Innovative Products Syrup dispenser
US10899508B1 (en) * 2020-07-21 2021-01-26 Rodney Laible Overmolded tricuspid valve for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7423A (en) * 1945-02-10 1951-04-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spens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US3295723A (en) * 1965-06-24 1967-01-03 Welty Frank Gravity flow control for mixed beverage dispenser
US4181242A (en) * 1978-05-30 1980-01-01 The Corneliu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ATE43470T1 (de) * 1983-07-19 1989-06-15 Hoefelmayr Bio Melktech Lufteinlassventil fuer den einlass von luft in die milchabfuehrleitung eines melkbechers oder sammelstuecks.
JPH0249478Y2 (ko) * 1985-06-19 1990-12-26
US5121855A (en) * 1986-07-18 1992-06-1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system using volumetric ratio control device
US4966306A (en) * 1986-07-18 1990-10-30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system using volumetric ratio control device
US5133482A (en) * 1990-11-28 1992-07-28 Ebtech, Inc. Syrup dispenser valve assembly
US5211314A (en) * 1991-12-27 1993-05-18 Ebtech, Inc. Syrup dispenser and valve assembly
US5172831A (en) * 1991-12-23 1992-12-22 Ebtech, Inc. Valve actuator for a soft drink dispenser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200A (ko) 1993-11-29
TW324003B (en) 1998-01-01
ES2099414T3 (es) 1997-05-16
DE69217483T2 (de) 1997-05-28
DE69217483D1 (de) 1997-03-27
CA2100663A1 (en) 1993-06-24
US5323832A (en) 1994-06-28
US5172831A (en) 1992-12-22
EP0572617B1 (en) 1997-02-12
AU659709B2 (en) 1995-05-25
EP0572617A1 (en) 1993-12-08
JP3366005B2 (ja) 2003-01-14
WO1993013007A1 (en) 1993-07-08
EP0572617A4 (en) 1994-06-01
AU3221593A (en) 1993-07-28
JPH06505686A (ja) 1994-06-30
CA2100663C (en)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562B1 (ko) 청량음료 자동판매기에 알맞은 밸브작동기
EP0515643B1 (en) Syrup dispenser valve assembly
EP0022589B1 (en) A package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er
US4664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in a diluent and concentrate in free space
US4993604A (en) Low-cost post-mix beverage dispenser and syrup supply system therefor
US5299715A (en) Syrup dosing valve for use in installation for the preparation of flavored carbonated beverages
US4408701A (en) Liquid dispensing valve
US5499741A (en) Apparatus for making or dispensing drinks
KR100235817B1 (ko) 분배 밸브 조립체
US5000357A (en) Soft drink dispenser
GB2095645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WO1991000238A1 (en) Apparatus for making or dispensing drinks
CA1221352A (en) Liquid dispensing valve
US5105982A (en)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unit
GB2208844A (en) Valve actuation in post-mix beverag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