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15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15B1
KR100229215B1 KR1019970060946A KR19970060946A KR100229215B1 KR 100229215 B1 KR100229215 B1 KR 100229215B1 KR 1019970060946 A KR1019970060946 A KR 1019970060946A KR 19970060946 A KR19970060946 A KR 19970060946A KR 100229215 B1 KR100229215 B1 KR 10022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hole
clip
hea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28A (ko
Inventor
가즈나리 마츠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8008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plates providing a raised structure, e.g. of the doghouse type, for connection with the clamps or clips of the ot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부착부재의 걸림구멍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고, 반송중에 걸림구멍과 마찰되는 일이 없는 클립을 얻는다.
(해결수단) 헤드 라이닝(40)의 걸림구멍(42)으로 지지체(30)의 선단부를 억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체(30)의 선단부에서 머리부(12)와 평행하게 돌출된 받이편(38)과 머리부(12)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푸쉬암(34)의 기단부(34A)가 걸림구멍(42)의 구멍벽에 의해서 눌려지므로 탄성변형하면서 걸림구멍(42)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받이편(38)이 걸림구멍(42)을 관통하였을 때에 머리부(12)의 압입조작을 정지하면, 받이편(38)이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푸쉬암(34)의 걸림돌기(36)의 걸림면(36A)이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의 표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를 양측에서 협지(挾持)하게 된다. 따라서, 반송중에 탄성핀(24)과 걸림구멍(42)이 마찰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클립
본 발명은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부착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으로서의 헤드 라이닝(40)은 자동차의 루프 패널(23)에 클립(46)에 의하여 임시 고정되고, 그 후 볼트(도시생략)에 의하여 실제로 체결된다. 따라서, 헤드 라이닝(40)에는 클립(46)이 삽입되는 걸림구멍(42)이 형성되고, 루프 패널(23)에는 클립(46)을 거는 부착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조립라인에서 헤드 라이닝(40)을 루프 패널(23)에 신속하게 임시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구멍(42)에 클립(46)을 임시 고정한 상태로 자동차의 조립공장에 납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클립(46)에서는 반송중에 다리체(48)의 탄성핀(50)이 헤드 라이닝(40)의 걸림구멍(42)과 마찰되어 마모되는 일이 있었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라이닝(40)을 겹쳐쌓았을 경우에는 다리체(48)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라이닝(40)을 손상시키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부착부재의 걸림구멍에 임시 고정할 수 있고, 반송중에 걸림구멍과 마찰되는 일이 없고, 또 부착부재를 겹쳐쌓더라도 부착부재를 손상시키지 않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클립의 사용상태를 설명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클립을 헤드 라이닝의 걸림구멍에 임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클립을 루프 패널의 부착구멍으로 압입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클립이 임시 고정된 헤드 라이닝을 겹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클립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클립의 우측면도
도 8은 상기 클립의 좌측면도
도 9는 상기 클립의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상기 클립의 저면도
도 12는 도 9의 12-12선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종래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종래 클립이 임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종래 클립이 임시 고정된 헤드 라이닝을 겹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머리부 14 : 다리체
24 : 탄성핀(fin) 30 : 지지체{협지수단(挾持手段)}
34 : 푸쉬암(협지수단) 38 : 받이편(협지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부착부재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피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 다리체를 삽입하면, 다리체의 외측둘레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탄성핀이 부착구멍에 걸리게 되므로, 다리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머리부와 피부착부재와의 사이에 부착부재가 협지(挾持)된다. 따라서, 피부착부재에 부착부재가 원 터치로 부착된다.
여기서, 부착부재의 걸림구멍에 클립을 임시로 고정할 때에는, 걸림구멍으로 다리체의 선단측을 억누르면, 협지수단이 걸림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양면에서 협지한다. 즉, 종래와 같이 탄성핀을 걸림구멍에 걸어서 클립을 임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리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협지수단에 의하여 클립을 임시로 고정함으로써, 반송중에 탄성핀과 걸림구멍이 마찰되는 일이 없다. 또, 부착부재를 겹쳐쌓았을 때에는 다리체의 선단부가 걸림구멍에서 크게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부착부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겹쳐넣고, 클립의 머리부를 부착부재측으로 억누르면, 협지수단이 걸림구멍 및 부착구멍을 관통함과 아울러 탄성핀이 부착구멍에 걸리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부착부재의 걸림구멍에 클립을 임시로 고정할 때에는, 걸림구멍으로 다리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의 선단부를 억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체의 선단부에서 머리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받이편과 머리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푸쉬암의 기단부가 걸림구멍의 구멍벽에 의하여 눌려지므로 탄성변형하면서 걸림구멍내로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받이편이 걸림구멍을 관통하였을 때에 클립의 압입조작을 정지하면, 받이편이 걸림구멍의 둘레가장자리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푸쉬암의 걸림돌기의 걸림면이 걸림구멍의 둘레가장자리의 표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양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겹쳐놓고, 받이편을 안내부로 하여 지지체의 선단부를 부착구멍에 걸쳐놓고서 머리부를 강하게 압입하면, 받이편이 탄성변형하여 부착구멍을 관통함과 동시에 푸쉬암이 탄성변형하여 걸림구멍 및 부착구멍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핀이 부착구멍에 도달하여 부착구멍에 걸리게 됨으로써, 머리부와 피부착부재와의 사이에 부착부재가 협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0)은 우산형상의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의 중앙부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다리체(14)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체(14)는 장방형상의 판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도 6 참조), 머리부(12)측에 있어서의 판체(16)의 기단부는 리브(18)에 의해서 보강되어 있다. 또, 판체(16)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으로 팽대해진 심재(20)로 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 심재(20)의 외측둘레부에는 부채꼴형상의 탄성핀(fin)(24)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머리부(12)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탄성핀(24)의 길이는 루프 패널(23)에 형성된 부착구멍(26)의 중심부에 다리체(14)를 끼워놓았을 때에 부착구멍(26)의 둘레가장자리와 겹쳐지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탄성핀(24)은 판체(1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판체(16)의 폭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루프 패널(23)에 형성된 부착구멍(26)에 삽입될 때의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다리체(14)의 선단부에는 원형의 받이판(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판(28)에는 판체(16)의 연장선상에 판체(16)와 같은 폭으로 된 지지체(30)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30)의 기단부는 받이판(28)과 연결된 스테이(32)에 의하여 양측이 보강되어 있다.
또, 지지체(30)의 하단부의 양 측면에는 지지체(30)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고 또한 받이판(28)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1쌍의 푸쉬암(34)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푸쉬암(34)의 자유단부에는 걸림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걸림면(36A)은 다리체(14)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또, 지지체(30)의 하단부에는 푸쉬암(34)과 대략 90도 각도를 이루는 받이편(38)이 머리부(12)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그 받이면(38A)이 다리체(14)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이 받이편(38)은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넓은 범위에 걸쳐서 헤드 라이닝(40)에 형성된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라이닝(40)에 형성된 걸림구멍(42)에 클립(10)을 임시로 고정할 때에는, 걸림구멍(42)으로 받이편(38) 및 푸쉬암(34)의 기단부(34A)를 억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받이편(38) 및 푸쉬암(34)이 걸림구멍(42)의 구멍벽에 의해서 눌려지므로 탄성변형하면서 걸림구멍(42)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받이편(38)이 걸림구멍(42)을 관통하였을 때에 머리부(12)의 압입조작을 정지하면, 받이편(38)의 받이면(38A)이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푸쉬암(34)의 걸림돌기(36)의 걸림면(36A)이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의 표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를 양측에서 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립(10)을 임시 고정함으로써, 반송중에 탄성핀(24)과 걸림구멍(42)이 마찰되는 일이 없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라이닝(40)을 겹쳐쌓았을 때에는 받이편(38)과 푸쉬암(34)의 기단부(34A)가 넓은 범위에 걸쳐서 타측의 헤드 라이닝(40)에 맞닿기 때문에, 타측의 헤드 라이닝(40)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받이편(38)은 지지체(30)의 중앙부측으로 조여들어가도록 탄성변형되기 때문에(도 11 참조), 걸림구멍(42)으로 관통시킬 때의 삽입력이 크지 않아도 된다. 또, 받이편(38)의 헤드 라이닝(40)에 대한 걸림력이 크기 때문에, 임시 고정된 클립(10)이 쉽게 빠지지 않으며 또한 걸림구멍(42)에 대한 구멍지름의 공차가 크더라도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이어서, 루프 패널(23)에 헤드 라이닝(40)을 겹쳐놓고, 받이편(38)을 안내부로 하여 푸쉬암(34)의 기단부(34A)를 루프 패널(23)에 형성된 부착구멍(26)에 걸쳐놓고서 머리부(12)를 강하게 압입한다. 그러면, 받이편(38)이 탄성변형하여 부착구멍(26)을 관통함과 동시에 푸쉬암(34)이 탄성변형하여 걸림구멍(42) 및 부착구멍(26)을 관통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핀(24)이 부착구멍(26)에 도달하여 부착구멍(26)에 걸리게 됨으로써, 머리부(12)와 루프 패널(23)과의 사이에 헤드 라이닝(40)이 협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부착부재의 걸림구멍에 임시로 고정하더라도 반송중에 걸림구멍과 마찰되는 일이 없으며, 또 부착부재를 겹쳐쌓더라도 부착부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Claims (2)

  1. 부착부재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피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다리체와, 상기 다리체의 외측둘레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부착구멍에 걸리는 탄성핀과, 상기 다리체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부착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부착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머리부를 가지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다리체의 선단측에 상기 걸림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양면에서 협지하고, 상기 머리부를 부착부재측으로 억누르면 상기 걸림구멍을 관통하는 협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지수단은, 상기 다리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선단부에서 상기 머리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푸쉬암과, 상기 지지체의 선단부에서 상기 머리부와 대략 평행하게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받이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19970060946A 1997-05-19 1997-11-18 클립 KR100229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024 1997-05-19
JP9129024A JPH10318227A (ja) 1997-05-19 1997-05-19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28A KR19980086428A (ko) 1998-12-05
KR100229215B1 true KR100229215B1 (ko) 1999-11-01

Family

ID=1499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946A KR100229215B1 (ko) 1997-05-19 1997-11-18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18227A (ko)
KR (1) KR100229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402B1 (ko) 2012-09-05 2015-12-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5579U1 (de) * 2005-04-07 2006-08-17 Hettich-Heinze Gmbh & Co. Kg Verbindungseinsatz
JP2007002938A (ja) * 2005-06-24 2007-01-11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内装材取付方法及びクリップ
JP5128546B2 (ja) * 2009-05-28 2013-01-23 株式会社ニフコ 締結具
JP2014167324A (ja) * 2013-02-28 2014-09-11 Kitagawa Kogyo Co Ltd 固定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402B1 (ko) 2012-09-05 2015-12-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18227A (ja) 1998-12-02
KR19980086428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9466B1 (en) Trim clip
US4061299A (en) Cord clamp
US10418728B2 (en) Connector
GB1576589A (en) Anchor base fastener
US5129126A (en) Structure of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wo things together
US6368009B1 (en) Attachment devices
KR100229215B1 (ko) 클립
KR0145309B1 (ko) 클램프
US5106345A (en) Mo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6347031B1 (en) Earthing clip terminal
US4201439A (en) Meter jaw and spring clip assembly
JP2004204376A (ja)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KR920017302A (ko) 컨넥터 하우징을 회로조립체에 유지하는 낚시바늘형 고정구와 회로조립체에 장착되는 전기 컨넥터
JP4296882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100452395B1 (ko) 연결구조
JP2810325B2 (ja) クリップ
JP2003007371A (ja) コネクタ固定用クリップ
JP432996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4233134A (ja) インナシールドとフレーム結合用クリップ
JPH116545A (ja) ボールチェーン用ジョイント
JPH0964560A (ja) 線材の保持具
KR100214696B1 (ko) 호스체결용 클립
JPH0546445B2 (ko)
JP2926559B2 (ja) 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KR19980051612U (ko) 와이어링과 케이블 고정용 클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