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397B1 -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397B1
KR100228397B1 KR1019970032943A KR19970032943A KR100228397B1 KR 100228397 B1 KR100228397 B1 KR 100228397B1 KR 1019970032943 A KR1019970032943 A KR 1019970032943A KR 19970032943 A KR19970032943 A KR 19970032943A KR 100228397 B1 KR100228397 B1 KR 10022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private
private network
information
vp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245A (ko
Inventor
민혜경
박호진
조경섭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3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3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logical or physical relationship, e.g. grouping and hierarch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1Virtual private network [VPN]; Private-network - network-interface (P-NN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자프로세스를 통해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용자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운용자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운용자 단말로부터 가상사설망 사용자 정보 처리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자프로세스는 요구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종류에 따라 각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가상 사설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ATM 교환기에 이용됨.

Description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 모드(ATM : Asynchronous Trasfer Mode)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VPN : Virtual Private Network)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접근 코드(SAC : Service Access Code)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VPN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망 운용자가 VPN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다양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VPN 서비스는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여 논리적인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종래의 사설망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용자는 전용 회선을 통해 직접 사설망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VPN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자신의 전용 사설망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VPN 서비스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사설 번호 계획에 의한 그룹별 사용자 번호 구성 기능과 그룹내에서 또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CUG : Closed User Group) 구성 기능이 있다. 사설 번호 계획에 의한 번호 구성 기능은 VPN 그룹 규모에 따라 2자리 수에서 6자리 수까지 원하는 길이의 번호를 VPN 그룹 내부에서 결정하여 사용하는 기능으로, 그룹간 통신은 이 사설 번호를 사용하므로 이용하기 쉽다. 즉, 시외호나 국제호 등과 같이 번호를 많이 다이얼링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치 단축 다이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VPN 서비스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의 사설망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한국 통신에서 개발한 지능형 공중 교환망(PSTN)을 이용한 VPN 서비스는 사설 번호 제공 기능이 완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능망 교환기를 이용한 서비스이므로 사용자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서비스 접근 코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ATM 교환기에서 VPN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이 ATM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VPN 서비스는 사용자가 서비스 액세스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 그룹안에서 상대편 가입자의 사설 번호 계획에 의한 번호만 다이얼링하면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VPN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폐쇄 사용자 그룹 기능은 사설 번호 계획이 적용되므로 기존 데이터 망에서 제공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기능보다 사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ATM 교환기에서 VPN 서비스와 VPN 서비스 기능중 하나인 사설 번호 계획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VPN 그룹에서 자신의 사설 번호 계획에 따라 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이 구성되어야 하고, 이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 정보에 대한 정보 관리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망 관리를 위한 방법에서, 운용자로부터 요구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자프로세스를 생성한 후, 각 프로시저에서 실제 명령어를 처리하였다.
다시 말해, 운용자 요구 메시지별로 기능 수행을 위한 자프로세스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운용자 요구에 의한 명령어가 늘어날 경우 시스템 내부 변경 절차가 복잡해지므로 적용이 쉽지 않고, 또한 명령어가 늘어남에 따라 운영 체제에서 자프로세스를 관리하는데 많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자프로세스를 통해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용자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운용자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VPN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의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VPN 사용자 등록 관리 테이블의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VPN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VPN 사용자 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TM Local Subsystem)
110 :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Call/Connection Control Processor)
112 : 가상 사설망 호 제어 블록(VPN Call Control Block)
130 :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ATM Central Subsystem)
131 :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Operation & Maintenance Processor)
133 : 가상 사설망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 블록(VPN Service Control/ Data Handling Blo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가상 사설망 그룹정보 처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요구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출력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생성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삭제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삭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변경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테이블을 설정하여 운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세부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운용자 단말로부터 교환기내의 정합블록으로 명령어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교환기 내부에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VPN 데이터 처리블록으로 전송한다.
VPN 데이터 처리 블록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의 자프로세스에서는 메시지 종류를 분석하여 메시지 종류에 따라 정의된 프로시저를 호출한다.
호출된 각 프로시저에서는 명령어에 따라 VPN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처리한 후, 처리된 결과값을 리턴한다. 이 결과를 정합블록으로 전송하면 운용자 단말로 명령어에 대한 처리 결과가 출력되고, 출력된 결과에 따라 운용자는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기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0"은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 "130"은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을 각각 나타낸다.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100)은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130)과 함께 일정한 집선비를 갖는 집선장치로 동작하고,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130)은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100)간의 상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분배장치로 동작한다.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100)은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110), 정합 모듈(120)을 구비하며,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130)은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131)을 구비한다.
정합 모듈(120)은 가입자와 교환기간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정합 모듈내의 정합 모듈 제어블록(121)은 가입자의 신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한편,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110)는 가입자 및 호 연결 제어 기능을 총괄하고, 이 프로세서는 호 연결 관련 블록인 사용자 신호접속 및 망 프로토콜 접속블록(111), 사용자 신호제어 및 망 프로토콜 제어블록(113), 링크 자원 처리블록(114) 및 번호 번역 제어블록(115)을 구비하며, VPN 호 제어블록(112)은 VPN 서비스의 제어를 위해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110)내에 실장된다.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131)는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130)내의 일련의 운용과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필요한 보조 기억 장치를 관리하며, 운용자와 시스템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VPN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VPN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블록(133)과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가입자 번호 번역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번호 번역 및 흐름 제어블록(132)을 구비한다.
VPN 호 제어 블록(112)은 사용자 신호접속 및 망프로토콜 접속블록(111)과 정합하여 VPN 가입자가 VPN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블록(133)으로 VPN 서비스에 대해 스크리닝(Screening)을 요구한다.
VPN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블록(133)은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131)에 실장되어, VPN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크리닝 기능 및 폐쇄 사용자 그룹(Closed User Group) 처리 등을 수행하고, VPN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131)내의 VPN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블록(133)에 적용되고, 이 블록으로부터 생성된 정보는 VPN 호 제어 블록(112)과 VPN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블록(133)에서 이용된다.
도 2 는 ATM 교환기에서 관리하는 VPN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VPN 그룹 번호(200)는 VPN에 등록된 그룹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그룹별로 할당된 교환기내의 유일한 식별자 값으로, 모든 VPN 관련 서비스 제공의 키값이 된다.
VPN 코드(201)는 VPN 그룹 내부에서 정의한 사설 번호 계획에 의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코드값으로, 소속된 그룹의 사설 번호 계획에 따라 2자리에서 6자리까지의 숫자로 구성이 가능하고, 기존의 공중망에서 제공하는 특번과 구별하기 위해 "0, 1, 8, 9"값은 첫 번째 디지트에 사용하지 않는다. 이 코드는 VPN 그룹 안에서만 사용되는 유일한 사용자 식별 번호로서 VPN 그룹간에는 별의미가 없는 정보이다.
공중망 가입자 번호(202)는 사용자의 ITU-T 권고 E.164 번호로 VPN 호제어 절차에서 실제 호를 착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서, 이 번호는 VPN 서비스에 가입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에게 할당되어야 하는 정보이다..
VPN 호제한(203)은 VPN 사용자의 VPN 그룹과 관련된 통화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 정보는 VPN 그룹 내에서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 호제한(204)은 광역 서비스가 지원되는 VPN 그룹인 경우에 VPN 그룹내에서의 통화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폐쇄 사용자 그룹(205)은 VPN 사용자가 소속된 VPN 그룹내의 폐쇄 사용자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206)은 여러개의 폐쇄 사용자 그룹에 동시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폐쇄 사용자 그룹을 지정하는 번호로서, 특정 폐쇄 사용자 그룹 번호를 지정하지 않고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 번호로 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다.
외부 액세스 여부(207)는 VPN 사용자가 폐쇄 사용자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폐쇄 사용자 그룹 외부로의 액세스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폐쇄 사용자 그룹 안에서만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호 단위로 확인하거나, 아니면 모든 호에 대해 항상 액세스가 허용될 수 있다.
착신 허용 여부(208)는 VPN 사용자가 폐쇄 사용자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쇄 사용자 그룹 내부로의 액세스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 정보가 "금지"인 경우에는 발신만 가능한 사용자임을 나타낸다.
과금방식(209)은 VPN 사용자의 과금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 정보는 VPN 그룹 가입자 정보 관리 테이블과 동일한 값으로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VPN 사용자 등록 관리 테이블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공중망 가입자 번호(300)는 VPN에 등록된 사용자의 ITU-T 권고 E.164 번호를 나타내며, 이 정보는 발신 가입자의 VPN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값으로 사용되고, VPN 사용자는 먼저 B-ISDN 가입자로 등록하여 이 번호를 할당받아야만 VPN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VPN 그룹번호(301)는 VPN 사용자가 소속된 VPN 그룹 번호를 나타낸다.
VPN 코드(302)는 VPN 그룹의 사설 번호 계획에 의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그룹내 사용자 식별 번호로서, VPN 그룹 운용자에 의해 할당되는 그룹내의 사용자 식별 번호이다. 이 정보는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에서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이 하나 생성되면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로 정보 생성 요구와 함께 테이블 정보 요소값을 전송하고, 그 값으로 테이블을 생성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VPN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를 나타낸다.
운용자가 도 2 와 도 3 에 나타낸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운용자 기능은 VPN 사용자 정보 출력, VPN 사용자 정보 생성, VPN 사용자 정보 삭제, 및 VPN 사용자 정보 변경 등이다.
운용자 단말과 정합된 블록으로부터 생성된 하나의 자프로세스는 운용 정합 블록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주프로세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여 모든 명령어를 프로시저 호출에 의해 처리한다. 즉, 명령어가 입력되면 자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그 자프로세스에서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 명령어를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호출하면 그 프로시저에서 명령어를 처리한다. 따라서, 만약 운용자 명령어가 추가되는 경우 자프로세스내에 그에 해당하는 프로시저만을 추가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 4 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초기화를 수행한 후, 메시지 수신 대기 상태에서(401), 운용자 단말과 정합된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로부터 VPN 그룹 정보에 관한 처리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402)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자프로세스를 생성한다(403). 그리고, 주프로세스는 다시 메시지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
주프로세스로부터 생성된 자프로세스는 운용 정합 블록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404), 전송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고(405), 그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정의된 프로시저를 호출한다.
전송된 메시지의 종류가 VPN 사용자 정보 출력 요구이면 VPN 사용자 정보 출력 프로시저를 호출한다(406). 이때, 운용자로부터 사용자 그룹을 지정하는 VPN 그룹 번호와 VPN 코드가 전송되어야 한다.
전송된 메시지의 종류가 VPN 사용자 정보 생성 요구이면 VPN 사용자 정보 생성 프로시저를 호출한다(407). 이때, VPN 그룹번호, VPN 코드, 공중망 가입자 번호, VPN 호 제한, 일반 호 제한, 폐쇄 사용자 그룹,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외부 액세스 여부, 착신 허용 여부, 과금방식 등의 정보가 운용자에게 전송되어 새로운 VPN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생성된다.
메시지의 종류가 VPN 사용자 정보 삭제 요구이면 VPN 사용자 정보 삭제 프로시저를 호출한다(408).
메시지의 종류가 VPN 사용자 정보 변경 요구이면 VPN 사용자 정보 변경 프로시저를 호출한다(409). 이때, 테이블 인덱스값인 VPN 그룹 번호와 코드 번호는 변경이 불가능하고, 변경을 원할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를 삭제한 후, 재등록을 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호출된 각 프로시저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로 전송되며,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는 리턴된 결과를 분석하여(410) 분석한 결과를 운용자 단말로 출력한다(411).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VPN 사용자 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를 나타낸다.
VPN 사용자 정보 생성 프로시저가 호출되면 VPN 사용자 정보 생성 절차가 시작되는데, 먼저 생성 요구된 VPN 그룹 번호가 ATM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범위내의 값인지를 판단한다(501).
판단결과, 범위내의 값이 아니면 그룹 번호 범위가 잘못 지정되었다는 에러 정보를 리턴한 후(504), 프로시저를 종료한다(505). 한편, 범위내의 값이면 생성 요구된 VPN 그룹 번호가 테이블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502).
VPN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그룹 번호라는 에러 메시지를 리턴한 후(504) 프로시저를 종료한다(505). 만약, VPN 그룹 번호가 등록된 번호이면 해당 그룹에 VPN 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503).
이미 테이블에 코드값이 존재하면 등록된 코드여서 새로운 정보 생성이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리턴한 후(504) 프로시저를 종료한다(505). 만약, VPN 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VPN 사용자 등록을 하기 위해 공중망 가입자인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506).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 공중망용 가입자 정보 데이터 처리 블록으로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사용자로 등록을 요구하여 공중망 가입자 번호와 일반 호제한 정보를 알아낸다(507).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로 등록되면, VPN 그룹에 해당 코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508). 만약,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으면 서비스 제어 및 데이터 처리 블록은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 정보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를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로 전송하여 VPN 그룹에 VPN 코드를 생성한다(508).
이후, 공중망 가입자 번호를 테이블에 생성한 후에(509) 선택 정보 입력 확인 과정(510)을 시작하는데, 선택 정보 입력 과정은 운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가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기본 값으로 할당한다.
먼저, VPN 호제한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11) 운용자로부터 생성 요구된 정보중에 VPN 호제한 정보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VPN 호제한 정보를 생성하고(513),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VPN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그룹 내부간의 통신 지원을 위한 것이므로 "망내호" 정보를 할당하여(512) VPN 호제한 정보를 생성한다(513).
이후, 일반 호제한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14), 일반 호제한 정보가 운용자로부터 지정되거나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전송된 정보를 일반 호제한 정보로 테이블에 생성하고(516),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광역 서비스 지원을 위해 "국제호" 정보를 할당하여(515) 일반 호제한 정보를 생성한다(516).
다음으로,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17),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폐쇄 사용자 그룹 가입여부 정보를 생성하고(518),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에는 등록이 안된 것으로 정보값을 할당하고, 이 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요소인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외부 액세스여부, 착신 허용여부" 정보를 널(null)값으로 할당한다(523).
이후,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19),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520),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우선 폐쇄 사용자 그룹, 외부 액세스여부, 착신 허용여부" 정보를 널(null) 값으로 할당한다(523).
다음으로, 외부 액세스 허용여부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21), 외부 액세스를 허용여부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외부 액세스 여부 정보를 생성하고(524),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룹내부의 액세스만 허용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를 할당하여(522) 외부 액세스 여부 정보를 생성한다(524).
이후, 착신 허용여부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525), 착신 허용여부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된 값으로 착신 허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고(527),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에서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금지" 정보를 할당하여(526) 착신 허용 여부 정보를 생성한다(527).
그밖에 과금방식 정보는 가상 사설망 그룹 정보 테이블에 설정된 값으로 할당한다.
가상 사설망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모두 생성되면, 호 연결 제어 프로세서에 일반 공중망용 가입자 정보에 실제 할당된 가상 사설망 그룹 번호와 코드 번호를 등록하여 운용 및 유지 프로세서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일치시킨다(528).
다음으로, 기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 결과를 리턴한 후(529), 프로시저를 종료한다(5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운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연속적인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하여 교환기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교환기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며, VP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내 지원 절차가 간단하고, 교환기에서 VPN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므로 망 확대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가상 사설망 그룹정보 처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요구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출력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생성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삭제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삭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요구된 메시지 종류가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변경 요구이면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해당되는 가상사설망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생성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제 6 단계;
    호출된 프로시저는 요구된 가상 사설망 그룹 번호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범위내의 값이고, 이미 등록된 그룹 번호이며, 해당 그룹에 등록된 가상 사설망 코드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로의 등록을 확인한 후에 가상 사설망 그룹에 가상 사설망 코드를 생성하고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에 요구된 공중망 번호를 생성하는 제 7 단계; 및
    운용자로부터 요구된 메시지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선택정보들을 생성하거나, 운용자로부터 지정이 없는 경우 시스템에서 주어지는 기본 값으로 선택정보들을 생성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KR1019970032943A 1997-07-15 1997-07-15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KR10022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943A KR100228397B1 (ko) 1997-07-15 1997-07-15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943A KR100228397B1 (ko) 1997-07-15 1997-07-15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245A KR19990010245A (ko) 1999-02-05
KR100228397B1 true KR100228397B1 (ko) 1999-11-01

Family

ID=1951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943A KR100228397B1 (ko) 1997-07-15 1997-07-15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3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245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0876B2 (en) Intelligent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telephony over ATM and alias addressing
US5099511A (en) Exchange system for incoming calls from direct-in lines
EP0772941B9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970701986A (ko)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인도 시스템(service provision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H049764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scpのサービス制御方式
US5553128A (en) Control of call forwarding by a target telephone
US6075852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independent signalling transactions
KR100228397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사용자 정보 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CA2315162C (en) Data switching system
KR20030042507A (ko) 차세대 통합 망 서비스를 위한 주소 분석방법
US6160882A (en) Subscriber access network, exchange, service control point,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WO1998026627A1 (en) Enhanced services for atm switching using external control
KR100262342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간의 v5.2 프로비젼처리 방법
JP3183234B2 (ja) 交換機の局データ管理方式および加入者番号付与方式と同一番号移行方式
KR19990010244A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상 사설망 그룹 정보관리를 위한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KR100314150B1 (ko) 고속 가상사설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78282A (ja) 接続確立方法、サ―ビス制御点、および通信網
KR100237450B1 (ko) 교환기의 폐쇄 사용자 그룹 관리 및 그 서비스방법
KR100318309B1 (ko) 발신형지능망서비스에서착신형지능망서비스번호처리방법
KR100271518B1 (ko) 음성메시징시스팀을 이용한 원격착신호전환서비스 방법
JPH1188500A (ja) 接続を確立する方法ならびに交換機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
JP3047903B1 (ja) ネットワ―ク
KR100319384B1 (ko) 지능망 서비스 국번과 이동 통신 서비스 국번의 공동 사용장치 및 방법
JP3142000B2 (ja) 移動通信回線制御方式
Hoshi et al. Functional reference model for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service studied by considering three mo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