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931B1 -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931B1
KR100227931B1 KR1019970048583A KR19970048583A KR100227931B1 KR 100227931 B1 KR100227931 B1 KR 100227931B1 KR 1019970048583 A KR1019970048583 A KR 1019970048583A KR 19970048583 A KR19970048583 A KR 19970048583A KR 100227931 B1 KR100227931 B1 KR 10022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hield
cathode ray
ray tube
inclined por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470A (ko
Inventor
이상훈
이희철
윤해수
노환철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7004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9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4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목적]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너실드와 훤넬간의 간격이 불 균일하게 이격되어, 음극선관의 작동 초기에 실시되는 소자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구성]
인너실드의 코너부에 해당되는 전개 시트(24)상에 노치(26)를 형성하고, 상기 전개 시트를 1차 밴딩하여 관축 방향에 평행한 직립부(28)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부(30)를 형성하며, 다시 2차 밴딩에 의해 제1경사부 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부(32)를 형성하여, 훤넬의 라운드 면에 근접되는 2단 절곡 구조를 형성한다.
[효과]
인너실드가 훤넬의 라운드 면을 따라 밀착되게 설치되어서, 음극선관의 작동 초기에 실시되는 자동 소자 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지자계 차폐 효과가 극대화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훤넬과 인너실드 사이의 간격을 균일화하고 최소화하여, 소자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전자빔은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축으로 발생되는 지자계로부터 영향을 받아 경로가 변경되므로서, 퓨리티 특성이 저하되고 래스터의 위치가 변화되며, 또한 컨버젼스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까닭에, 음극선관에는 지자계를 차폐하기 위한 인너실드가 설치되는 바, 그 구조가 제3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인너실드(2)는 클립(4)을 이용하여 마스크 프레임(6)의 뒤쪽에 장착되고, 그 마스크 프레임(6)이 지지스프링(8)을 이용하여 스터드 핀(10)에 현가 됨에 의해, 훤넬(12)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총 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인너실드(2)는 투자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서, 지자계를 흡수하여 자성체로 변화되고, 자체의 자기력에 의해 지자계를 상쇄시키므로서, 지자계의 경로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음극선관에 작용되는 지자계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인너실드(2)의 차폐 작용에 의해, 왜곡됨이 없이 해당 형광체에 랜딩되어서, 소정의 화상 및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인너실드는 음극선관의 작동 초기에 3~4초간 자동 소자 된다. 이것은 음극선관의 작동 전에 착자된 자화 상태를 제거하여, 자석 구조의 배열을 흩트려 놓아 좋은 차폐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너실드는 한번의 변곡점(B1)을 갖추어 밴딩되므로서, 라운드 형성된 훤넬과 밀착되지 못하고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인너실드는 1,280AT로 실시되는 음극선관의 자동 소자시 소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인너실드가 훤넬의 라운드 면을 따라 밀착되게 설치되어서, 음극선관의 작동 초기에 자동 소자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너실드는 마스크 프레임과 결합된 플랜지로부터 관축방향과 평행하게 절곡된 직립부를 구비하고, 그 직립부로부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되며, 2곳의 변곡점을 갖추어 형성된 제1 및 제2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가 직립부를 기준으로 제1경사부 보다 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너실드는 훤넬의 라운드 면에 근접되도록 2단 절곡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인너실드의 코너부에 해당되는 전개 시트 상에 절취용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전개 시트를 1차 밴딩하여 관축 방향에 평행한 직립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형성하며, 다시 2차 밴딩에 의해 제1경사부 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부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인너실드가 설치된 음극선관용 보인 반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인너실드를 제조하는 공정도.
제3도는 종래 공지된 인너실드가 설치된 음극선관을 보인 반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인너실드 24 : 전개 시트
26 : 노치 28 : 직립부
30 : 제1경사부 32 : 제2경사부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인너실드(20)는 새도우마스크(14)를 보유하는 마스크 프레임(6)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인너실드(20)의 전방 플랜지(22)는 클립(4)을 이용하여 마스크 프레임(6)에 결합된다.
이러한 인너실드(20)는 마스크 프레임(6)이 지지스프링(8)을 이용하여 스터드 핀(10)에 현가 됨에 의해, 훤넬(12)의 내주면을 따라 전자총 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인너실드(20)는 종래와 달리 2곳의 변곡점(B2, B3)을 갖추어, 직립부(28)로부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제1경사부(30) 및 제2경사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경사부(32)는 직립부(28)를 기준으로 제1경사부(30) 보다 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너실드(20)는 훤넬(12)의 라운드 면과 최소한의 간격만을 유지한 상태로 밀착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인너실드(20)는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2도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너실드(20)는 먼저 편평한 구조의 전개 시트(24)상에 인너실드의 코너부에 해당되는 노치(26)와 점선으로 도시된 다수개의 절곡선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전개 시트(24)를 1차 밴딩하여 관축 방향에 평행한 직립부(28)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부(30)를 형성하고, 동시에 마스크 프레임(6)에 밀착될 전방 플랜지(22)를 형성한다.
또한, 2차 밴딩 공정을 통해 직립부(28)에 대하여 제1경사부(30) 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부(32)를 형성한다. 이때, 제2경사부(32)의 노치(26)는 일측의 돌출부(26a)가 타측 단부의 아래쪽으로 위치되도록 겹쳐져 용접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조 공정에 의해 실현된 본 발명의 인너실드(20)는 제1도 및 제3도를 통하여 비교 도시된 바와 같이, 훤넬(12)의 라운드 면과 거의 일치되는 각도로 근접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인너실드(20)는 조립 후 음극선관의 작동 초기에 1,280AT로 실시되는 자동 소자시, 인너실드(20)와 훤넬(12)의 축소된 간격만큼 소자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의 제조방법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인너실드가 2단 절곡 구조를 갖도록 제조하여, 훤넬과의 간격이 최소한 근접되게 하므로서, 음극선관의 작동시 마다 초기 3~4초간 실시되는 소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소자시 인너실드의 자화 배열이 퍼펙트하게 흐트러져, 지자계 차폐 효과가 극대로 향상되고, 그로 인하여 퓨리티 특성과 컨버젼스 특성 및 랜딩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마스크 프레임과 결합된 플랜지로부터 관축방향과 평행하게 절곡된 직립부와; 그 직립부로부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되며, 2곳의 변곡점을 갖추어 형성된 제1 및 제2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가 직립부를 기준으로 제1경사부 보다 큰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인너실드.
  2. 인너실드의 상부 코너에 해당되는 전개 시트 상에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개 시트를 1차 밴딩하여 관축 방향에 평행한 직립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이어서 2차 밴딩에 의해 제1경사부 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훤넬의 라운드 면에 근접된 2단 절곡 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의 제조방법.
KR1019970048583A 1997-09-24 1997-09-24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KR10022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583A KR100227931B1 (ko) 1997-09-24 1997-09-24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583A KR100227931B1 (ko) 1997-09-24 1997-09-24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70A KR19990026470A (ko) 1999-04-15
KR100227931B1 true KR100227931B1 (ko) 1999-11-01

Family

ID=1952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583A KR100227931B1 (ko) 1997-09-24 1997-09-24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620A (ja) * 1999-04-26 2000-11-07 Nec Kansai Ltd 内部磁気シールドおよび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70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931B1 (ko)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KR100257716B1 (ko)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257717B1 (ko)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KR1002416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4141844B2 (ja) 内部磁気遮蔽体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KR200333854Y1 (ko) 칼라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2001001803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950000406Y1 (ko) 칼라 음극선관의 고압도통장치
KR100414498B1 (ko) 상하주사형 칼라음극선관
KR950003535Y1 (ko) 칼라브라운관용 판넬-훤넬 콘넥터
KR20000010590U (ko) 음극선관
KR200143460Y1 (ko) 음극선관의 평향 요크 고정용 쐐기
KR100468421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JPH11149883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965352A (ja) 陰極線管装置
JP2003070013A (ja) 地磁気補正装置と陰極線管
KR20000033555A (ko) 음극선관용 이너쉴드
KR20030091137A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JP2000323066A (ja) コンバーゼンス修正用フェライトスティ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
KR20060012884A (ko) 마스크 프레임
JPS62103945A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JP2000003684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