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526B1 -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526B1
KR100227526B1 KR1019960045612A KR19960045612A KR100227526B1 KR 100227526 B1 KR100227526 B1 KR 100227526B1 KR 1019960045612 A KR1019960045612 A KR 1019960045612A KR 19960045612 A KR19960045612 A KR 19960045612A KR 100227526 B1 KR100227526 B1 KR 10022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voice
dtmf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73A (ko
Inventor
김희동
김제우
홍영진
Original Assignee
유태로
성미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로, 성미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태로
Priority to KR101996004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526B1/ko
Publication of KR97000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응답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가 음성응답장치의 안내음성이 송출되는 중에 DTMF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이를 정확히 수신하고 특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음성과 함께 저속 데이터도 함께 송수신할 수 있는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송신 및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신호의 흐름에 방향성을 주는 하이브리드(14); 상기 하이브리드(14)에서 분리된 수신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여파하는 수신여파기(9); 여파된 신호중 DTMF 신호를 복조하는 DTMF 신호 복조기(10);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서 송출되는 안내신호를 여파하는 송신여파기(11);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가입자 접속선로부(B)에 상기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서 송출되는 안내신호중 DTMF 신호 대역을 대역 저지 여파하여 상기 송신여파기(11)에 입력하는 대역 저지 여파기(15);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안내 음성신호 송출 중에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송신할 것을 정확히 검출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응답장치에 의한 음성안내가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송출되는 중에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송출되는 안내음성 일부가 음성응답장치의 수신부로 귀환되어 이용자가 입력한 DTMF 신호의 검출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오차없는 DTMF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 외에도 저속의 데이터를 함께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응답장치는 공중전화 교환망이나 또는 사설 교환망의 가입자 선로에 접속되어 이용자에게 각종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호출음에 대하여 자동음성 응답을 하고 음성 안내어를 송출하며 이용자가 입력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거나 또는 음성 입력내용을 녹음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사서함, 음성 정보검색, 조회업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신호는 0∼4000Hz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DTMF 신호는 전화기의 다이얼 숫자판의 배치에 따라 8개의 주파수 신호를 가진다. 제3(a)도와 제3(b)도는 전화기 다이얼 숫자판과 이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숫자 6을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DTMF 신호는 숫자판의 열1과 행2에 해당하는 770Hz와 1477Hz의 복합주파수 신호가 발생되는데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DTMF 신호는 모두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분포한다. 제3(a)도의 3행은 일반 전화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특별한 응용을 위한 DTMF 신호로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DTMF 신호의 모든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시스템은 제1도에서와 같이,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다이얼부(1); 상기 다이얼부(1)의 신호를 송신에 적합한 대역으로 제한하는 송신여파기(2); 상기 여파된 신호에 송신 방향성을 주는 하이브리드(3); 상기 하이브리드(3)에 의해 수신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여파하는 수신여파기(4); 상기 여파된 수신신호를 이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5); 로 구성되는 가입자 단말부(A)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시에 제공하는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와 상기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서 송출되는 송신신호를 여파하는 송신여파기(11); 상기 송신여파기(11)에 의하여 여파된 신호에 송신 방향성을 주는 하이브리드(14); 상기 하이브리드(14)에 의하여 수신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여파하는 수신여파기(9); 상기 수신여파기(9)에 의하여 여파된 신호중 DTMF 신호를 복조하는 DTMF 신호 복조기(10); 로 구성되는 가입자 접속 선로부(B) 및 상기 가입자 단말부(A)와 상기 가입자 접속 선로부(B)를 접속연결하는 전화망 교환기(13)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을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다이얼부(1)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면, 이 호출신호는 상기 송신여파기(2)와 하이브리드(3)를 거쳐 상기 교환기(13)로 전달되고 상기 교환기(13)는 해당 음성응답장치를 호출하여 통화로를 개설한다.(A-1) 상기 교환기(13)에서 음성응답장치를 호출하게 되면 음성응답장치는 음성 안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송출되는 음성신호는 상기의 송신여파기(11), 하이브리드(14), 교환기(13)를 거쳐 가입자 단말부(A)로 입력되고, 가입자 단말부(A)에서는 상기의 하이브리드(3), 수신여파기(4)와 수화기(5)를 거쳐 가입자에게 전달되게 된다.(A-2) 이 전달된 신호를 이용자가 청취하고 이 안내 신호에 따라 이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적당한 키(key)를 상기 다이얼부(1)에서 선택하여 DTMF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발생된 DTMF 신호는 상기의 송신여파기(2), 하이브리드(3), 교환기(13), 음성응답장치의 가입자 접속선로부(B)의 하이브리드(14), 수신여파기(9), DTMF 신호 복조기(10)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는 입력되는 신호에서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해당되는 코드를 상기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 전달하게 된다.(A-3) 상기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는 상기 코드로 부터 이용자의 요구를 해석하고 그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 수행과정에 수반되는 음성 메세지는 상기 신호수신의 역과정의 거쳐 이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A-4)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시스템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는 안내 음성을 청취한 다음, 서비스 요청을 위한 DTMF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안내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도중에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DTMF 신호를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발신된 DTMF 신호가 음성응답장치에 의해 잘못 해석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동작에 근거하게 된다. 전이중통신(full duplex communication)에서 상기 하이브리드(3,14)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에 방향을 주어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외부선로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수신측의 수신여파기(4,9)쪽으로 전달하고 송신여파기(2,11)를 거친 신호는 외부선로 쪽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그러나 실제 하이브리드는 송신과 수신신호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송신신호가 수신측으로 일부 궤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궤환현상이 발생할 경우 음성응답장치가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동안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일부 궤환되는 안내 음성에 의해 이용자가 입력한 DTMF 신호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할 확률이 커지게 되며, 신호를 통하여 음성응답장치에 잡음이 유입되고 감쇄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검출의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특히 가입자 단말부(A)가 무선 이동 전화기인 경우에는 무선 통신 구간에 잡음이 심하게 유입되므로 오검출의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음성응답장치의 서비스를 쉽고 신속하게 제공받기 위하여 전화기 등과 같은 단말기의 자동발신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자동발신장치는 DTMF 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신하는데 이 때 발신시 간격을 짧게 하는게 보통이므로 이 경우 음성응답장치가 상기 연속적인 DTMF 신호를 오검출할 확률이 또한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이용자가 입력한 DTMF 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잘못 검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용자는 음성 안내가 종료되기를 기다렸다가 음성 안내가 종료된 후에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4도에서와 같이,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서 송신된 신호를 여파하는 송신여파기(11); 상기 송신여파기(11)에 의하여 여파된 신호에 송신 방향성을 주는 하이브리드(14); 상기 하이브리드(14)에 의하여 수신 방향성을 갖는 신호를 여파하는 수신여파기(9); 상기 수신여파기(9)에 의하여 여파된 신호 중 DTMF 신호를 복조하는 DTMF 신호 복조기(10);로 구성되는 가입자 접속 선로부(B)에 더하여 반향제거기(30);를 추가하여 DTMF 신호 오검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4도와 같은 가입자 접속 선로부(B)에 반향제거기(30)를 설치한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장치는 상기 하이브리드(14)에서 궤환하는 음성 안내신호 성분을 예측하고 반향제거기(30)에 의하여 이 신호를 상기 수신여파기(9)의 출력신호에서 제거한 후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에서 복조하여 DTMF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반향제거기(30)는 디지털 방법과 아날로그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향제거기(30)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창작된 것으로서, 음성응답장치가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동안에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송출하는경우, 선로에 잡음등이 유입되거나 신호가 감쇄되는 경우 또는 발신 시간격이 짧은 DTMF 신호를 검출해야 되는 경우에도 음성응답장치가 정확히 DTM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류없는 완벽한 DTMF 신호 검출이 가능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최적의 구성이 가능한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음성응답장치의 구성요소의 변화없이도 수신되는 DTMF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이외에 저속의 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시스템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제3(a)도는 전화기의 다이얼 숫자 배치도이고,
(b)는 DTMF 신호의 주파수 표이고,
제4도는 반향제거기를 포함하는 DTMF 신호 검출장치의 구성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다른 실시에의 상세 구성도이고,
제7도는 음성신호의 스펙트럼 특성 및 DTMF 신호의 주파수를 도시한 것이고,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대역 저지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입자 단말부 B : 가입자 접속 선로부
C :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 1 : 다이얼부
2,11,123 : 송신여파기 3,14,125 : 하이브리드
4,9,113 : 수신여파기 5,110 : 수화기
10,114 : DTMF 신호 복조기 13,300 : 교환기
15,112,121 : 대역 저지여파기 30 : 반향제거기
111 : 음성신호 복조기 114 : 저속 데이터 복조기
115 : 음성 복조부 120 : 송화기
122 : 신호합성기 124 : 톤신호 발생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종래의 전화망에 접속되는 신호 송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음성 신호중 DTMF 신호 대역을 대역 저지 여파하는 대역 저지(notch) 여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의 주파수 특성과 반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수단;을 수신측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상기 송수신 장치 중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은 송신할 음성신호에서 DTMF 신호 대역을 최소한 15dB 감쇄시키는 것과,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은 송신할 음성신호에서 DTMF 신호 대역중 저역 주파수 대역을 고역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크게 감쇄시키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종래의 음성응답장치에서 송신하는 음성신호 대신 음성응답장치의 제어수단에 의해 DTMF 신호 대역의 성분이 일부 또는 전부 감쇄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상기 감쇄는 일률적이 아닌 주파수에 따른 가중치에 의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종래의 음성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송신측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저속 데이터를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 의해 저지된 주파수 대역에 톤(tone)신호로 할당하는 톤신호 발생수단;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서 여파된 신호와 상기 톤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톤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수신측에는 수신되어 여파된 신호로부터 저속 데이터를 복조하는 저속 데이터 복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수신된 신호를 음성으로 복조하기 전에 상기 톤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대역 저지 여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DTMF 신호 검출 및 저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음성응답장치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안내 음성신호는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 의해 DTMF 신호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상실한다. DTMF 신호 대역 성분이 제거된 상기 안내 음성신호는 저역 여파되어 송신되는데 이 신호는 종래의 장치에서와 같이 수신측으로 궤환되어 이용자가 송출한 DTMF 신호와 간섭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궤환된 안내 음성신호에는 이용자가 송출한 DTMF 신호 대역의 신호가 이미 제거되었기 때문에 이용자가 입력한 DTMF 신호 부분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오차없이 송출한 DTMF 신호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대역 저지 여파수단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신, 송신하는 안내 음성신호의 녹음시 미리 DTMF 신호 대역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안내 음성신호가 궤환되어 간섭이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송출한 DTMF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저속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송신할 음성신호는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 의해 음성신호 대역중 DTMF 신호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음성신호가 되는 한편, 전송하고자 하는 저속 데이터는 상기 톤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제거된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에 대응하는 톤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일부대역이 제거된 음성신호와 톤신호 발생수단에서 변환된 톤신호는 상기 신호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후 종래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대방에 송신된다. 한편, 교환기를 거쳐 수신된 신호는 저역 여파된 후 상기 음성신호 복조수단과 저속 데이터 복조수단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음성신호 복조수단은 전달된 신호에서 저속 데이터의 톤신호 성분을 제거한 후 복조하여 음성신호로 복원하게 되고 상기 저속 데이터복조수단은 전달된 신호에서 톤신호를 추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음성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로서, 송신여파기(11); 하이브리드(14); 수신여파기(9); 와 DTMF 신호 복조기(10);로 구성되는 종래의 음성응답장치의 가입자 접속부(B)에 더하여 송신할 음성신호중 DTMF 신호 대역을 대역 저지 여파하여 상기 송신여파기(11)에 입력하는 대역 저지 여파기(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7도는 음성신호의 스펙트럼 특성 및 DTMF 톤신호의 주파수들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음성신호의 에너지는 제7도에서와 같이 비교적 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음성신호의 특성상 전체 대역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일부 제거하여도 사람이 청취하는데 별다른 영향이 없다. 따라서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서 송출되는 음성 안내신호에서 제8도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갖는 대역 저지 여파기(15)로 DTMF 신호 대역을 제거한 후 송신여파기(11)를 거쳐 하이브리드(14)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하이브리드(14)는 DTMF 신호 대역이 제거된 음성 안내신호를 교환기를 거쳐 이용자에게 전송하게 되며 이용자는 일부 대역이 제거된 상기 음성신호를 청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DTMF 신호 대역이 제거된 음성 안내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14)를 통하여 일부 궤환된다. 음성 안내신호 송신중에 이용자가 DTMF 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이용자가 송출한 DTMF 신호와 상기 DTMF 신호 대역 성분을 갖지 않는 음성 안내신호 중 상기 하이브리드(14)에서 상기 수신여파기(9)로 궤환된 신호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수신여파기(9)에서 여파된 후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에서 복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에 입력되는 신호는, 송출되는 음성 안내신호에 DTM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입력한 DTMF 신호의 주파수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신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는 송신 음성의 일부 궤환에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송출한 DTMF 신호를 오류없이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 중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의 전단에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와 반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를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되는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는 상기 하이브리드(14)를 통해 수신측에 궤환된 신호 중 DTMF 신호 대역이외의 신호가 상기 DTMF 신호 복조기(10)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용자가 송신한 DTMF 신호는 통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추가된 대역 통과 여파기에 의해 잡음이나 신호의 왜곡과 같은 요인에 의해 DTMF 신호 대역의 간섭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DTMF 신호의 검출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에서 여파된 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14)에서 감쇄되어 궤환되기 때문에 음성 안내신호를 대역 저지 여파하기 위한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의 감쇄도(Null)는 크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대략 15dB 정도로 대역 저지 여파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신호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으므로 궤환되는 신호도 낮은 주파수 대역이 크게 된다. 따라서 안내 음성신호의 DTMF 신호 대역 중 낮은 주파수 대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는 DTMF 신호 대역 중 낮은 주파수 부분을 상대적으로 크게 감쇄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특정 방법(C-Message Weight Curve)에 의하여 고주파 대역을 강화한 경우라면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는 고역과 저역 모두 동일하게 감쇄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는 음성 안내신호 중 DTMF 신호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와 같은 기능에 따른 결과는 음성응답장치의 제어부(C)에 음성 안내신호를 저장할 때에 상기 제어부(C)에 의해 미리 음성 안내신호의 DTMF 신호 대역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저장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음성 안내신호의 DTMF 신호 대역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 후 저장하여 사용하게 되면 물리적 구성요소인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5)를 실장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로서, 송화기(120); 상기 송화기(120)로 부터 출력된 음성신호 대역 중 DTMF 신호 대역인 일부 대역을 제거하는 대역 저지 여파기(121); 전송하고자 하는 저속 데이터를 상기 제거된 주파수 대역에 톤신호로 할당하는 톤신호 발생기(124); 상기 대역 저지 여파된 음성신호와 상기 톤신호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톤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기(122); 상기 합성된 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송신여파기(123); 상기 여파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구별하여 신호흐름의 방향을 정하여 출력하는 하이브리드(125); 상기 하이브리드(125)에서 분리된 수신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수신여파기(113); 상기 수신여파기(113)에서 여파된 신호 중 톤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저지 여파기(112)와 상기 대역 저지 여파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음성신호 복조기(111)로 구성되는 음성 복조부(115); 상기 복조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110); 상기 수신여파기(113)에서 여파된 신호 중 저속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저속 데이터 복조기(1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송화기(120)는 입력된 음성을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는 저속 데이터 신호가 합성될 주파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21)에 의해 DTMF 신호 대역인 일부 대역이 제거된다. 한편 전송하고자 하는 저속 데이터는 상기 톤신호 발생기(124)에 의해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21)에서 제거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톤신호로 변환되어 할당되고, 상기 대역 저지 여파된 음성신호와 상기 톤신호 발생기(124)에서 변환된 저속 데이터 신호는 상기 신호합성기(122)에 의해 합성됨으로써 다중 결합신호가 되어 상기 송신여파기(123)에 입력된다. 상기 송신여파기(123)에 의해 저역 여파된 다중 결합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125)에 의해 교환기(300)를 거쳐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대방이 전송한 다중 결합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125)에서 상기 수신여파기(113)를 거쳐 상기 음성 복조부(115)와 저속 데이터 복조기(114)로 입력된다. 상기 음성 복조부(115)는 대역 저지 여파기(112)와 음성신호 복조기(111)로 구성되어 상기 하이브리드(125)에서 입력된 신호를 상기 대역 저지 여파기(112)에서 저속 데이터 성분을 제거한 후 상기 음성신호 복조기(111)에서 복조하게 되고 복조된 신호는 상기 수화기(110)를 통해 이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이 된다. 또한 상기 저속 데이터 복조기(114)는 상기 수신여파기(113)에서 여파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저속 데이터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대역 통과 여파를 하여 톤신호만을 추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저속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음성신호와 수십 BPS(Bits Per Second)정도의 저속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음성응답장치에서 음성 안내신호를 송출하는 도중 이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DTMF 신호를 송출하여도 음성응답장치는 정확히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음성 안내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고, 또한 음성을 전송함과 동시에 저속의 데이터도 동시에 전송 가능하므로 전송선로의 효율을 높인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송신 및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방향을 정하여 출력하는 송수신신호 분리수단; 상기 분리된 수신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수신신호 여파수단; 상기 여파된 신호중 DTMF 신호를 검출 복조하는 DTMF 복조수단; 송신할 음성신호 중 DTMF 신호 대역을 대역 저지 여파하는 대역 저지 여파수단; 및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의 출력신호를 저역 여파하여 상기 송수신신호 분리수단에 송신하는 송신신호 여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TMF 복조수단은,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의 주파수 특성과 반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수단; 및 상기 대역 통과된 신호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는 DTMF 신호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은 송신할 음성신호에서 DTMF 신호 대역을 최소한 15dB 정도 감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은 송신할 음성신호에서 DTMF 신호 대역 중 저역 주파수 대역을 고역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크게 감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5. 송신 및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방향을 정하여 출력하는 송수신신호 분리수단; 상기 분리된 수신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수신신호 여파수단; 상기 여파된 신호 중 DTMF 신호를 검출 복조하는 DTMF 복조수단; 입력되는 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송신신호 여파수단; 및 주파수에 따른 가중치(Weighting)함수에 의해 DTMF 신호 대역의 주파수 일부 또는 전부가 감쇄된 음성신호를 상기 송신신호 여파수단의 입력신호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6. 수신신호와 송신신호를 구별하여 신호흐름의 방향을 정하여 출력하는 송수신신호 분리수단; 상기 분리된 수신신호를 저역 여파하는 수신신호 여파수단; 상기 수신신호 여파수단에서 여파된 신호 중 음성신호만을 복조하는 음성 복조수단; 상기 수신신호 여파수단에서 여파된 신호 중 저속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저속 데이터 복조수단; 송신하고자 하는 음성신호 중 DTMF 신호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대역 저지 여파수단; 전송하고자 하는 저속 데이터를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 의해 저지되는 주파수 대역에 톤신호로 할당하는 톤신호 발생수단; 상기 대역 저지 여파수단에서 여파된 신호와 상기 톤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톤신호로 합성하는 신호 합성수단; 및 상기 합성된 신호를 저역 여파하여 상기 송수신신호 분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송신신호 여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복조수단은, 상기 수신신호 여파수단에서 여파된 신호 중 톤신호를 제거하는 대역저지 여파수단; 및 상기 대역 저지 여파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원하는 음성 복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KR1019960045612A 1996-10-10 1996-10-10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KR10022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12A KR100227526B1 (ko) 1996-10-10 1996-10-10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12A KR100227526B1 (ko) 1996-10-10 1996-10-10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73A KR970004573A (ko) 1997-01-29
KR100227526B1 true KR100227526B1 (ko) 1999-11-01

Family

ID=1947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612A KR100227526B1 (ko) 1996-10-10 1996-10-10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5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280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영(zero)교차 구간과 국소 선형 보간을 이용한 신호의 주파수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280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영(zero)교차 구간과 국소 선형 보간을 이용한 신호의 주파수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73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541A (en) System for simultaneous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s over an analog channel
US5195132A (en) Telephone network speech signal enhancement
EP1255411B1 (en) Tone Relay
JPH07193619A (ja) デジタル電話機及びその動作方法
US3622714A (en) Telephonic transmission using complementary comb filters
EP0481961A2 (en) RF-communication system with a unit for preventing an interception of a radio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between a fixed facility and a mobile station
JPH10507325A (ja) 電話線を通して伝送されるデータをコード化および復号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227526B1 (ko)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검출 및 이용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
JP2904637B2 (ja) 通信網の信号方法
US3306984A (en) Elimination of talk-off in in-band signaling systems
EP0580340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US7142658B2 (en) DTMF control
CN100456759C (zh) 一种实现双音多频信号闭音的方法
CN100396067C (zh) 一种双音多频信号接收的方法和装置
US3433902A (en) Speech immunity voice frequency signalling systems
JP3136277B2 (ja) 反響除去システム
US74540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caller identification signaling during call waiting
JP3036944B2 (ja) 帯域内信号装置
US5706341A (en) Active digit cancelling parallel dialer
EP059548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of a spectrally redundant outgoing signal and reception of an incoming signal
WO1997004577A1 (en)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DK166934B1 (da) Styreenhed og fremgangsmaade til udsendelse af multifrekvenssignal for traadloest telefonsystem
JP2838987B2 (ja) 電話機
US6795551B1 (en) Circuit for removing in-band FSK signals without muting of receiver
JPS59139761A (ja) 遠隔制御可能な端末装置におけるpb信号受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