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629B1 -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629B1
KR100226629B1 KR1019970019074A KR19970019074A KR100226629B1 KR 100226629 B1 KR100226629 B1 KR 100226629B1 KR 1019970019074 A KR1019970019074 A KR 1019970019074A KR 19970019074 A KR19970019074 A KR 19970019074A KR 100226629 B1 KR100226629 B1 KR 10022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disposed
protector
cells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690A (ko
Inventor
윤오장
Original Assignee
윤오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오장 filed Critical 윤오장
Priority to KR10199700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6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6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projecting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8Che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8Soft caps; Hoods with protection against blow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이 편리한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우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셀(10 ; cell)과, 상기 충격흡수용 셀(10)을 이용한 무도용 보호장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하여 태권도 등 각종 무도용 보호장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에 관한 것이다.
무도에 사용되는 보호장구는 착용자 및 대련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무도에 필수적인 장구이다. 그러나, 이런 보호장구의 충격흡수재의 역할로 사용되는 재질은 대부분 고무(rubber)이다. 그러나, 이런 고무는 그 재질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충격을 가할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착용자 및 대련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런 보호장구에 사용되는 고무는 신축성이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착용하고 활동할 경우에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자연스럽게 몸을 움직일 수 없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런 고무는 충격흡수재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흡수면적이 작아 효과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이런 충격흡수재가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cell)로 형성되어 있다면, 이런 셀의 측면에 대한 면적만큼 흡수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충격에 대한 흡수면적이 그 만큼 커지게 되어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런 보호장구의 충격흡수재로서 스펀지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런 스펀지는 고무와 비교하여 경량이서 착용감은 좋지만, 대부분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성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단위밀도당 충격흡수력이 작아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해 보호장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펀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되지만 부피가 커져 착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휴대가 어렵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이 편리한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이 일체형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미트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호구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무도용 호구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아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낭심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머리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여자가슴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충격흡수용 셀 11 : 부직포
12 : 스펀지 13 : 비닐
t1~t17 : 간극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을 포함하며, 상기 셀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재와 공기가 존재하며, 상기 셀들간에는 각각의 간극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꺾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양 쪽의 면에 각각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느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각각 밀봉할 수 있도록 양 쪽의 면에 각각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된 충격부와, 상기 충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는 상기 충격부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꺾일 수 있는 3-10㎜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부에는 불규칙적으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집중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상기 충격부와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일체형으로 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미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사람의 가슴을 보호하는 전방보호부와, 상기 전방보호부의 양 측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사람의 옆구리를 보호하는 양측면보호부 및, 상기 전방보호부의 후방 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사람의 등을 보호하는 후방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양측면보호부들간에는 상기 양측면보호부가 후방 쪽으로 자유롭게 꺾일 수 있는 5~15㎜의 간극이 형성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부에는 대련하기 위해 인사 등을 할 때에 자유롭게 전방 쪽으로 굽을 수 있도록 사람의 가슴라인을 따라 5~15㎜의 간극이 형성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양측면보호부에는 사람의 복구의 근육라인을 따라 5~15㎜의 간극이 형성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양측면보호부 및 상기 후방보호부에 각각 배치된 그이외의 상기 충격흡수용 셀들간의 간극은 3~10㎜ 이고,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양측면보호부 및 상기 후방보호부는 이들을 커버하는 보호커버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측면보호부와 상기 후방보호부는 체결부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되며,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후방보호부의 사이에는 사람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과 상기 보호커버에 의해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호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보호부와 상기 양측면보호부의 다른 쪽의 면에도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호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사람의 팔목과 정강이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와, 상기 충격흡수부를 팔목과 정강이에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2~7㎜의 간극으로 배치되어 팔목과 정강이의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아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낭심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의 낭심보호부와, 상기 낭심보호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람의 배꼽의 하부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와, 상기 낭심보호부와 상기 충격완하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 및, 보호커버에 부착되어 사람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체결부가 부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완화부는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셀들간의 간극은 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낭심 보호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정강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부재를 구비한 정강이보호부와, 상기 정강이보호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발목과 발등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된 발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강이보호부에는 정강이의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발보호부에는 발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5~15㎜의 간극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3~10㎜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이외의 상기 발보호부에는 발등의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발보호부의 배면에는 고정부가 배치되어 사람의 발등을 감쌀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보호하는 제 1 머리보호부와, 상기 제 1 머리보호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귀부위가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사람의 귀부위를 보호하는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된 귀보호부와, 상기 제 1 머리보호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된 제 2 머리보호부 및, 상기 제 1 머리보호부와 상기 귀보호부 및 상기 제 2 머리보호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머리보호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공기유입구를 제외한 상기 제 1 머리보호부에는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으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머리보호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머리보호부 중에서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가 교차하는 부위에는 5~10㎜의 간극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꺾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머리보호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와 상기 유연재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 및 상기 탄성재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여자의 가슴부위를 보호하는 여자가슴보호부와, 상기 여자가슴보호부를 몸에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여자슴보호부에는 여자가슴부위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여자가슴보호대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이 일체형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보이듯이, 충격흡수용 셀(10)은 유연성이 있으며 하면에 배치되는 부직포(11)와, 이런 부직포(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스펀지(12) 및, 이런 스펀지(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비닐(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비닐(13)로 밀봉된 셀(10)의 내부에는 스펀지(12)와 소정량의 공기가 존재한다. 이렇게 비닐(13)에 밀봉된 스펀지(12)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비닐(13)이 압착되어 하면에 위치하는 부직포(11)에 직접 맞닿지 않게 할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닐(13)에 의해 밀봉되는 공기량은 사용되는 용도, 즉 가해지는 충격량이 큰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밀봉되는 공기량을 많게 하고 충격량이 작은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밀봉되는 공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셀(10)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며, 또한 비닐(13)의 내부에 밀봉되는 스펀지(12)의 크기도 다양하다. 또한, 이런 셀(10)은 부드럽게 꺾일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간극(t1)을 유지하면서 부직포(11)상에 다수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3 은 도 1 에서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미트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에 보이듯이, 격투기 등의 훈련에 사용되는 무도용 미트는 충격이 가해지는 충격부(21)와, 이런 충격부(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는 손잡이부(22) 및, 이런 충격부(21)와 손잡이부(22)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충격부(21)에는 어느 한 면에 충격을 가할지라도 이런 충격을 흡수하면서 일정방향으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부직포(11)의 전방 및 후방에 매우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충격부(21)의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충격흡수용 셀(10)이 더욱 조밀하게 배치되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이렇게 배치된 충격부(21)와 손잡이부(22)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충격부(21)와 손잡이부(22)의 사이에는 이런 충격부(21)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꺾일 수 있는 2~15㎜의 간극(t2)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양호하게는 3~10㎜의 간극(t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충격부(21)와 손잡이부(22)의 외면에는 충격흡수용 셀 (10)의 비닐(13)을 보호하는 보호커버(23)가 일체형으로 재봉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호구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무도용 호구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보이듯이, 호구는 사람의 가슴부위를 보호하는 전방보호부(31)와, 이런 전방보호부(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양 옆구리부위를 보호하는 양측면보호부(32, 33) 및, 사람의 등부위를 보호하는 후방보호부(3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전방보호부(31)와 양측면보호부(32, 33)에는 부직포(11)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배치되어 있다. 이런 전방보호부(31)와 양측면보호부(32, 33)들의 사이에 이런 양측면보호부(32, 33)가 전방 및 후방 쪽으로 자유롭게 꺾일 수 있는 3~20㎜의 간극(t3), 더욱 양호하게는 5~15㎜의 간극(t3)이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보호부(31)에는 대련하기 위해 인사 등을 할 때에 자유롭게 전방 쪽으로 굽을 수 있도록 사람의 가슴라인을 따라 3~20㎜의 간극(t4), 더욱 양호하게는 5~15㎜의 간극(t4)이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전방보호부(31)와 양측면보호부(32, 33)에는 사람의 복구의 근육라인을 따라 3~20㎜의 간극(t5), 더욱 양호하게는 5~15㎜의 간극(t5)이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 이외의 전방보호부(31)와 양측면보호부(32, 33)에는 2~15㎜의 간극(t6), 더욱 양호하게는 3~10㎜의 간극(t6)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각각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후방보호부(34)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부직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후방보호부(34)의 중간부위에는 40~70㎜의 간극(t7)을 유지하고,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2~15㎜의 간극(t6), 더욱 양호하게는 3~10㎜의 간극(t6)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 10)로 구성된 전방보호부(31)와 양측면보호부(32, 33) 및 후방보호부(34)는 이런 셀(10a, 10)의 비닐(13)을 보호하는 유연성이 우수한 보호커버(3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런 보호커버(35)에 의해 전방보호부(31)와 후방보호부(34)의 사이에는 사람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36)과 사람의 어깨에 걸 수 있는 어깨걸이부(37)가 형성된다. 또한, 양측면보호부(32, 33)와 후방보호부(34)에는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밸크로파스너(38, 38a)가 배치되어 있고, 이런 후방보호부(34)의 배면에는 양측면보호부(32, 33)와 후방보호부(34)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또다른 밸크로파스너(39, 39a)가 배치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호구를 사람의 몸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간(36)에 목을 넣고 어깨에 어깨걸이부(37)를 위치시킨 후에 양측면보호부(32,33)와 후방보호부(34)에 배치된 밸크로파스너(38, 38a)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후방보호부(34)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는 또다른 밸크로파스너(39,39a)를 결합시키도록 이런 후방보호부(34)의 중간부위를 접은 후에 밸크로파스너(39,39a)를 결합시키면 무도용 호구가 몸에 착용된다.
도면에서,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아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에 보이듯이, 무도용 아대는 사람의 팔목과 정강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구성된 충격흡수부(41)와, 상기 충격흡수부(41)를 팔목과 정강이에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충격흡수부(41)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런 충격흡수용 셀(10)은 팔목과 정강이의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2~7㎜의 간극(t8)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충격흡수부(41)의 충격흡수용 셀(10)의 비닐(13)은 신축성이 우수한 체결부재(42)에 의해 씌워져 고정된다. 이 때, 이런 체결부재(42)에 의해 사람의 팔목과 정강이에 끼워질 수 있는 공간(43)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아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팔목 또는 정강이를 공간(43)에 끼워 넣고 충격흡수부(41)를 보호하고자하는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하면 된다.
도면에서,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낭심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에 보이듯이, 무도용 낭심보호대는 낭심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의 낭심보호부(51)을 포함한다. 이런 낭심보호부(51)는 외부에서 충격을 가할지라고 휘거나 굽어지지 않는 단단한 재료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런 낭심보호부(51)의 상부에는 배꼽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충격완화부(52)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충격완화부(52)에 배치된 충격흡수용 셀(10)을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2~7㎜의 간극(t9)으로 매우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고 배치된 낭심보호부(51)와 충격완화부(52)의 외면에는 이들을 보호하는 보호커버(5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런 보호커버(53)에는 사람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체결부(54)가 부착된 결합부재(55)가 부착되어 있다. 이런 결합부재(55)의 소정의 위치에는 낭심보호부(51)에 하부에 위치하는 고리(도시생략)에 끼워지는 탄성력이 우수한 탄성끈(56)이 부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낭심보호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양 다리를 탄성끈(56)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끼우면서 사람의 낭심의 위치에 낭심보호부(51)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그런 다음, 결합부재(55)를 사람의 허리 아래에 위치시켜 이런 결합부재(55)에 부착되어 있는 밸크로파스너(54, 54a)를 결합한다.
도면에서, 도 8 은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 는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 에 보이듯이, 무도용 발 ·정강이 보호대는 사람의 정강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정강이보호부(61)를 포함한다. 이런 정강이보호부(61)에 배치된 충격흡수용 셀(10)은 정강이의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2~7㎜의 간극(t10)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집중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정강이보호부(61)의 외면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64)가 씌워져 있다. 이런 보호커버(64)에는 밸크로파스너(67,67a)를 구비한 체결부재(63)가 사람의 정강이에 정강이보호부(61)를 착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런 정강이보호부(61)의 하부에는 발목과 발등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발보호부(62)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발보호부(62)에는 발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5~15㎜의 간극(t11)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3~10㎜의 간극(t12)이 각각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이외의 상기 발보호부(62)에는 발등의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t13)을 유지하면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더욱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런 발보호부(62)의 외면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65)가 씌워져 있다. 또한, 이런 발보호부(62)의 배면에는 사람의 발 등에 끼워질 수 있는 탄성력이 우수한 탄성끈(68)이 부착되어 있으며, 한 쪽의 단부에는 이런 발보호부(62)를 발에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또다른 밸크로파스너(69)가 부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발보호부(62)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끈(68)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발 등을 삽입한 후에 밸크로파스너(69)를 사용하여 발보호부(62)를 발 및 발목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정강이보호부(6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63)의 밸크로파스너(67,67a)를 사용하여 이런 정강이보호부(61)를 정강이에 고정한다.
도면에서, 도 10 은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머리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개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에 보이듯이, 무도용 머리보호대는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보호하는 제 1 머리보호부(71)를 포함한다. 이런 제 1 머리보호부(71)의 소정의 위치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75)가 형성되어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다수의 공기 유입구(75)가 형성된 그 이외의 부위에는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따라 자연스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1~10㎜의 간극(t14), 더욱 양호하게 2~7㎜ 간극(t14)으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에 의해 형성된 제 1 머리보호부(71)의 하부에는 사람의 귀부위를 보호하는 귀보호부(7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귀보호부(73)에는 사람의 귀부위가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공간(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공간(72)의 외면을 따라 도넛형상을 이루도록 1~10㎜의 간극(t16), 더욱 양호하게는 2~7㎜의 간극(t16)으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귀보호부(73)와 제 1 머리보호부(71)의 사이에는 귀보호부(73)를 자유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10~50㎜의 간극(t15), 더욱 양호하게는 15~40㎜의 간극(t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제 1 머리보호부(71)와 귀보호부(73)의 외면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77)가 씌워져 있다. 이런 보호커버(77)의 하면에는 밸크로파스너(78)가 부착된 턱끈(79)이 결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머리보호부(71)와 결합되어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를 보호하는 제 2 머리보호부(74)의 소정의 위치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76)가 형성되어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다수의 공기 유입구(76)가 형성된 그 이외의 부위 중에서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가 교차하는 부위에는 3~15㎜의 간극(t17), 더욱 양호하게는 5~10㎜의 간극(t17)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 2 머리보호부(74)의 외면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77a)가 씌워져 있으며, 이런 보호커버(77a)의 측면부위에는 제 1 머리보호부(71)의 보호커버(77)의 측면부위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과 로프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머리보호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1 머리보호부(71)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과 제 2 머리보호부(74)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로프를 사용하여 결합한 후에 머리에 끼워 착용한다. 그런 다음, 귀보호부(73)의 하부에 위치하는 턱끈(79)의 밸크로파스너(78)를 결합한다.
도면에서, 도 11 은 도 1 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셀을 이용한 무도용 여자가슴보호대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에 보이듯이, 여자가슴보호대는 여자의 가슴부위를 보호하는 여자가슴보호부(81)를 포함한다. 이런 여자가슴보호부(81)에는 단단한 원형링(도시생략)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런 원형링의 상부에는 여자가슴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여자 가슴보호부(81)의 외면에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83)가 씌워져 있다. 이런 보호커버(83)의 측면부위에는 어깨끈(84)과 밸크로파스너(85,85a)가 부착된 탄성력이 우수한 체결부재(82)가 결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도용 여자가슴보호대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어깨끈(84)을 사람의 어깨에 위치시킨 후에, 체결부재(82)에 부착된 밸크로파스터(85,85a)를 결합하면 된다.
[제 2 실시예]
도면에서,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셀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에 보이듯이, 충격흡수용 셀(100)은 유연성이 있으며 하면에 배치되는 부직포(110)와, 이런 부직포(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공기층을 형성하는 비닐(130) 및, 부직포(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펀지(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비닐(130)에 에 의해 밀봉되는 공기량은 사용되는 용도, 즉 가해지는 충격량이 큰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밀봉되는 공기량을 많게 하고 충격량이 작은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밀봉되는 공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셀(100)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셀(100)을 이용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호장구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것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하겠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는 대부분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스펀지와 밀봉된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격흡수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는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9)

  1.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을 포함하며, 상기 셀(10)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재(12)와 공기가 존재하며, 상기 셀(10)들간에는 각각의 간극(t1)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꺾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
  2.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양 쪽의 면에 각각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각각 밀봉할 수 있도록 양 쪽의 면에 각각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 ; cell)로 형성된 충격부(21)와, 상기 충격부(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로 형성된 손잡이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부(21)와 상기 손잡이부(22)의 사이에는 상기 충격부(21)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꺾일 수 있는 3~10㎜의 간극(t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부(21)에는 불규칙적으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이 배치되어 집중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상기 충격부(21)와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a)을 보호하는 보호커버(23)가 일체형으로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미트.
  3.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사람의 가슴을 보호하는 전방보호부(31)와, 상기 전방보호부(31)의 양 측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되어 사람의 옆구리를 보호하는 양측면보호부(32, 33) 및, 상기 전방보호부(31)의 후방 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되어 사람의 등을 보호하는 후방보호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보호부(31)에는 대련하기 위해 인사 등을 할 때에 자유롭게 전방쪽으로 굽을 수 있도록 사람의 가슴라인을 따라 5~15㎜의 간극(t4)이 형성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부(31)와 상기 양측면보호부(32,33)에는 사람의 복구의 근육라인을 따라 5~15㎜의 간극(t5)이 형성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부(31)와 상기 양측면보호부(32,33) 및 상기 후방보호부(34)에 각각 배치된 그 이외의 상기 충격흡수용 셀(10)들간의 간극(t6)은 3~10㎜이고, 상기 전방보호부(31)와 상기 양측면보호부(32,33) 및 상기 후방보호부(34)는 이들을 커버하는 보호커버(3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측면보호부(32,33)와 상기 후방보호부(34)는 체결부(38)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되며, 상기 전방보호부(31)와 상기 후방보호부(34)의 사이에는 사람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36)과 상기 보호커버(35)에 의해 형성된 어깨걸이부(3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호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호부(31)와 상기 양측면보호부(32, 33)의 다른 쪽의 면에도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호구.
  5.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사람의 팔목과 정강이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41)와, 상기 충격흡수부(41)를 팔목과 정강이에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41)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2~7㎜의 간극(t8)으로 배치되어 팔목과 정강이의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아대.
  6. 낭심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의 낭심보호부(51)와, 상기 낭심보호부(51)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람의 배꼽의 하부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52)와, 상기 낭심보호부(51)와 상기 충격완화부(52)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3) 및, 상기 보호커버(53)에 부착되어 사람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체결부(54)가 부착된 결합부재(55)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완화부(52)는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셀(10)들간의 간극(t9)은 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낭심보호대.
  7.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정강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부재(63)를 구비한 정강이보호부(61)와, 상기 정강이보호부(6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발목과 발등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발보호부(62)를 포함하며, 상기 정강이보호부(61)에는 정강이의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t10)을 유지하면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64)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발보호부(62)에는 발목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5~15㎜의 간극(t11)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3~10㎜의 간극(t12)이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그 이외의 상기 발보호부(62)에는 발 등의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수 있도록 2~7㎜의 간극(t12)을 유지하면서 또한 측면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더욱 조밀하게 상기 다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65)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발보호부(62)의 배면에는 고정부(66)가 배치되어 사람의 발 등을 감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발·정강이 보호대.
  8.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보호하는 제 1 머리보호부(71)와, 상기 제 1 머리보호부(7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람의 귀부위가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공간(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귀부위를 보호하는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귀보호부(73)와, 상기 제 1 머리보호부(71)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로 형성된 제 2 머리보호부(74) 및, 상기 제 1 머리보호부(71)와 상기 귀보호부(73) 및 상기 제 2 머리보호부(74)를 보호하는 보호커버(77, 77a)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머리보호부(71)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공기유입구(75)를 제외한 상기 제 1 머리보호부(71)에는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2~7㎜의 간극(t14)으로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머리보호부(74)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머리보호부(74) 중에서 사람의 머리의 상면부와 후방부가 교차하는 부위에는 5~10㎜의 간극(t17)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꺾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머리보호대.
  9. 유연성을 갖는 유연재(11)와 상기 유연재(11)의 한 쪽의 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12) 및 상기 탄성재(12)를 밀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밀봉부재(13)를 구비한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 ; cell)로 형성되어 여자의 가슴부위를 보호하는 여자가슴보호부(81)와, 상기 여자가슴보호부(81)를 몸에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82)를 포함하며, 상기 여자가슴보호부(81)에는 여자가슴부위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용 셀(1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용 여자가슴보호대.
KR1019970019074A 1997-05-16 1997-05-16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KR10022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074A KR100226629B1 (ko) 1997-05-16 1997-05-16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074A KR100226629B1 (ko) 1997-05-16 1997-05-16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690A KR19980083690A (ko) 1998-12-05
KR100226629B1 true KR100226629B1 (ko) 1999-10-15

Family

ID=1950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074A KR100226629B1 (ko) 1997-05-16 1997-05-16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29B1 (ko) * 2006-08-11 2007-11-29 손기현 안전 작업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96A (ko) * 1994-11-30 1996-06-17 이헌조 에어콘의 그릴 착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96A (ko) * 1994-11-30 1996-06-17 이헌조 에어콘의 그릴 착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69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9910B2 (en) Protective athletic equipment
US3999220A (en) Air-cushioned protective gear
US6151714A (en) Protective athletic pads for joint surfaces
US3909847A (en) Female pelvis and crotch protector
US5384913A (en) Body part impact guard
US3465365A (en) Kneepad
JP3135924B2 (ja) ヒッププロテクタ付きズボン
ES2959275T3 (es) Sistema modular de desacoplamiento
US7877820B2 (en) Artificial disc
US3146461A (en) Athletic equipment
KR100749958B1 (ko)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CN211513373U (zh) 一种骑行用护具
KR100226629B1 (ko) 충격흡수용 셀 및 이것을 이용한 보호장구
US20010023504A1 (en) Flexible buffing cell and sports protector made from the cell
KR101226495B1 (ko)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US5579538A (en) Shoulder pad accessory
KR20190120999A (ko) 관절 보호대
US5557802A (en) Pad assembly with releasable cushion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KR200318651Y1 (ko) 훈련보조용 관절보호구
CN218853450U (zh) 一种刺杀训练用上肢护具
CN218588232U (zh) 一种刺杀防护用护裆
KR200360485Y1 (ko) 검도연습용 보호장비
CN212088308U (zh) 一种组合式防护服
CN211185953U (zh) 一种护膝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