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324B1 -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324B1
KR100226324B1 KR1019960053479A KR19960053479A KR100226324B1 KR 100226324 B1 KR100226324 B1 KR 100226324B1 KR 1019960053479 A KR1019960053479 A KR 1019960053479A KR 19960053479 A KR19960053479 A KR 19960053479A KR 100226324 B1 KR100226324 B1 KR 10022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ime switch
switch
subscriber
rel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201A (ko
Inventor
박형준
신기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5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3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8Time only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using static devices in switching stages, e.g. electronic switching arrangements
    • H04Q3/521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using static devices in switching stages, e.g. electronic switching arrangements using semiconductors in the switch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93Time slot switching, T-stage, time slot interchanging, T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와 공통메모리(36)를 구비한 단일의 접속교환모듈
(20)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모듈(CCS)을 상호 연결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착신원이 그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 자체인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내의 할당된 타임슬롯을 제 1, 제 2상반부 케이블(46)(48)을 통해 자체적으로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와 제 2타임스위치(34)의 상호간을 제 1하반부케이블(50)을 통해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와 공통메모리(76)를 구비한 제 1접속교환모듈(60)과,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와 공통메모리(106)를 구비한 제 2접속교환모듈(90)이 상호접속되어 발생된 호에 대해 중앙제어모듈(CCS)의 동작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제 1 및 제 3타임스위치(72,102)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상반부 케이블(116)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4타임스위치(74,104)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상반부 케이블(118)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
(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4타임스위치(72,104)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하반부 케이블(120)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타임스위치(74,
102)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하반부 케이블(122)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TIME SWITCH CALL PATH EXCHANGE METHOD FOR FULL-ELECTRONIC TELEPHONE EXCHANGE}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전자교환기의 접속교환모듈에 구비되는 타임스위치의 호경로교환이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Space Switch)에 의한 공간스위칭을 통하지 않고 가입자간의 통화로 형성이 직접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정보통신 분야의 근간이라 할수 있는 공중전화망 상에서 디지털교환기능과 분산제어구조를 갖는 호교환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전자교환기가 개발되어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전자교환기에 따르면 전전자교환기로서 TDX계열의 TDX-1교환기가 개발된 상태에서 최근에는 보다 다양한 통신망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대용량의 서비스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TDX-10교환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전자교환기(예컨대 TDX-10교환기)에 따르면, 최대 100,000라인의 가입자와 60,000트렁크(Trunk)의 디지털 중계선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고, 26,000어랑(Erlang)의 트래픽처리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1,200,000BHCA(Busy Hour Call Attemps)의 호 처리용량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T-S-T방식의 스위치네트워크 구조를 갖고서 8,192회선의 타임스위치(Time-Switch)와 63×63의 매트릭스 형태로 이루어진 공간스위치(Space-Switch)를 갖춘 그룹스위치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전자교환기에서는 일반적인 전화기의 음성교환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 등과 같은 비음성교환 서비스도 더불어 제공가능하고, 최대 6인까지의 가입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회의(6인)통화기능과, 운용자가 기능등록과 착신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가입자의 후크-오프(Hook-Off)시에 등록되어 있는 착신번호로 호를 자동적으로 발신시키는 즉시 직통통화기능, 가입자가 소정의 호에 대해 통화중 대기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교환기로 통보하여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중 대기거부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적용범위를 갖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전전자교환기는 일정 회선단위의 아날로그가입자와 디지털중계선을 수용하여 해당 가입자와 중계선에 대한 내부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접속교환모듈(10,12; 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을 구성하는 바, 그 다수의 접속교환모듈(10,12)은 1,024회선의 타임슬롯(Time Slot) 교환용량을 갖는 타임스위치단이 내장되고서 그 실장용량에 따라 최대 63개까지 증설가능하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다수의 접속교환모듈(10,12)간의 호처리기능 연결과 그 접속교환모듈(10,12)과 중앙제어모듈(16)간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행하는 망접속모듈(14;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을 구성하는 바, 그 망접속모듈(14)은 다수의 접속교환모듈(10,12)과 광케이블링크(Fiber Optic Link)를 통해 연결되고서 내부에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공간스위치가 내장되어 T-S-T의 스위치구조에 따라 접속교환모듈(10,12)을 통한 가입자로부터의 호접속 요구에 의해 번호번역과, 루우트제어기능, 공간스위치 연결기능 등을 처리하게 된다.
또, 동 도면에 따른 전전자교환기는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시험 및 측정, 통계기능과 아울러 보조기억장치의 제어관리 및, 운용자와의 각종 입/출력문 제어기능 등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모듈(16; Central Control Subsystem; CCS)과, 교환기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원격접속교환모듈(18; 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 RAS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전전자교환기에 따르면,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 호 요구가 발생되면 그 접속교환모듈(10,12)에서는 그 발생된 호 요구를 감지하여 호발신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망접속모듈(14)에서는 발생된 호 요구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여 통화로의 탐색과 공간스위치의 접속을 통해서 발신측 접속교환모듈과 착신측의 접속교환모듈간의 내부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전전자교환기에서는 해당 교환기의 호처리 용량에 따라 접속교환모듈의 보유갯수가 결정되는 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발생되면 망접속모듈에 의해 번호번역이 이루어진 이후에, 통화로의 탐색과 아울러 T-S-T스위칭 구조에 의해 접속교환모듈이 망접속모듈의 공간스위치를 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접속교환모듈이 단일 갯수 또는 2개 정도가 필요한 소용량인 경우에도 반드시 망접속모듈을 통하게 되는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상승과 경쟁력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전자교환기에 갖추어진 단일의 접속교환모듈(ASS)에서 가입자간에 자국(自局)의 호에 대한 호접속이 있는 경우에,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해당 단일의 접속교환모듈(ASS)에 갖추어진 타임스위치 간에 각각 연결된 케이블링크를 통해 호접속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전자교환기에 갖추어진 복수의 접속교환모듈(ASS)에 대해 각각 가입된 가입자간의 호접속이 있는 경우에,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그 복수의 접속교환모듈(ASS)에 구비된 타임스위치 간에 연결된 케이블링크를 통해 호접속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와 공통메모리(36)를 구비한 단일의 접속교환모듈(20)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모듈(CCS)을 상호 연결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착신원이 그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 자체인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내의 할당된 타임슬롯을 제 1, 제 2상반부 케이블(46)(48)을 통해 자체적으로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와 제 2타임스위치(34)의 상호간을 제 1하반부케이블(50)을 통해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와 공통메모리를 구비한 제 1접속교환모듈과,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와 공통메모리를 구비한 제 2접속교환모듈이 상호접속되어 발생된 호에 대해 중앙제어모듈(CCS)의 동작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제 1 및 제 3타임스위치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상반부 케이블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4타임스위치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상반부 케이블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4타임스위치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하반부 케이블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타임스위치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하반부 케이블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갯수 또는 2개의 접속교환모듈로 이루어진 전전자교환기에서 가입자 및 중계선간의 착신/발신에 의한 호접속이 망접속모듈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해당 접속교환모듈의 타임스위치 자체저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이 단일의 접속교환모듈(ASS)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이 복수의 접속교환모듈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60,90---접속교환모듈(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
22,62,92---접속프로세서(Line And Trunk Access Processor; LTAP),
24,64,94---접속교환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ASP),
26,66,96---내부제어경로부(Control Interworking; CI),
28,68,98---번호번역프로세서(Number Translation Processor; NTP),
30,70,100---타임스위치프로세서(Time Switch Processor; TSP),
32,72,102---제 1타임스위치, 34,74,104---제 2타임스위치,
36,76,106---공통메모리,
38,42,78,82,108,112---상반부 타임슬롯,
40,44,80,84,110,114---하반부 타임슬롯,
46,48,116,118---상반부 케이블, 50,120,122---하반부 케이블.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이 적용되는 단일의 접속교환모듈(ASS)을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은 전전자교환기에 단일 갯수로 구성되고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구비된 번호번역기능에 의해 착신원의 번호번역을 행하여 자체에 할당된 착신가입자와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일의 접속교환모듈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된 상기 단일의 접속교환모듈(20)에서, 참조부호 22는 가입자 및 중계선의 정합장치(ASI, DTI, DCI, ATI)를 제어하여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 요구를 감지함과 더불어, 호경로 교환시의 인터페이스상태를 제어하는 접속프로세서(LTAP)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4는 그 접속교환모듈(20)을 전반적으로 운용관리하여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호 흐름의 제어와 운용보전의 기능을 담당하는 접속교환프로세서(ASP)로서, 그 접속교환프로세서(24)에서 호 흐름제어기능은 자국호(Internal Call) 처리기능과, 출중계호(Outgoing Call) 처리기능, 입중계호(Incoming Call) 처리기능 및, 중계호(Transit Call) 처리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운용 및 보전기능에 있어서는 각 호에 대한 통계측정 및 수집/보고와, 과금의 측정/보고, 각종의 통화로계 장치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태 감시 및 장애 검출시 보고 및 복구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 참조부호 26은 각 프로세서간의 제어데이터 연결통로로서 동작하는 내부제어경로부(CI)를 나타내고, 28은 그 접속교환모듈(20)내에 자체적으로 내장되고서 상기 접속교환프로세서(24)의 제어에 의해 발신 가입자측으로부터 요구되는 착신측의 호요구에 대한 번호번역을 실행하는 번호번역프로세서(NTP)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30은 후술하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에 대한 통화로 형성을 위한 호 교환동작을 제어하는 타임스위치프로세서(TSP)로서, 그 타임스위치프로세서(30)는 이중화된 동작/대기(Active/Standby)모드로 동작하고, 후술하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의 통화로 형성 및 해제는 물론, 호 대기시간의 단속과, 통화로 시험 및 타임스위치의 상태를 처리/보고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참조부호 32는 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추고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대한 호접속을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행하기 위한 제 1타임스위치로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으로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되고, 상기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은 예컨대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1상반부 케이블(46)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은 예컨대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1하반부 케이블(50)에 의해 후술하는 제 2타임스위치(34)를 구성하는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과 연결된다.
즉, 통상적인 전전자교환기에는 멀리 떨어진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원격교환모듈(RASM)이 제공되며, 그 원격교환모듈은 망접속모듈(INS : 대(중)용량) 또는 중앙제어모듈(CCS : 소용량)과의 접속시에 PCM 케이블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PCM케이블을 사용하여 제 1 및 후술하는 제 2타임스위치(32)(34)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각 타임슬롯, 예컨대 제 1타임스위치(32)의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 및 제 2타임스위치(34)의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에 대해 내부적으로 연결하거나, 타 타임슬롯간 예컨대 제 1타임스위치(32)의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과 제 2타임스위치(34)의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호접속을 통해 이후, 호 요구 발생시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착신 호가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동일한 타임스위치 부분이면 상기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을 할당하여 상기 제 1상반부 케이블(46)을 통한 통화연결이 수행되고, 그 착신 호가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상이한 타임스위치 부분(즉, 후술하는 제 2타임스위치(34))이면 상기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을 할당하여 후술하는 제 2타임스위치(34)의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과 제 1하반부 케이블(50)을 통해 통화연결되도록 한다.
또, 참조부호 34는 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추고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대한 호접속을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행하여 통화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제 2타임스위치로서,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으로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되고, 상기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은 예컨대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2상반부 케이블(48)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은 예컨대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1하반부 케이블(50)에 의해 제 1타임스위치(32)를 구성하는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는 전술한 제 1타임스위치(32)의 구성에서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동일한 타임스위치부분에 대한 착신 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을 할당하여 제 2상반부 케이블(48)을 통해 자체적으로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상이한 타임스위치 부분(즉,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에 대한 착신 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2하반부 타임슬롯(44)을 할당하여 상기 제 1하반부 케이블(50)을 통해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의 제 1하반부 타임슬롯(40)과 통화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36은 상기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에 의한 통화연결에 따른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의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통화메모리로 이루어진 공통메모리로서, 상기 공통메모리(36)는 상기 타임스위치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의 제 1 및 제 2상반부 타임슬롯(38,42)과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40,44)을 통한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일의 접속교환모듈(20)에서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다른측 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호요구가 발생된 경우에, 접속프로세서(22)에서는 상기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호요구를 감지한 결과로, 그 호감지정보를 내부제어경로부(26)를 통해 접속교환프로세서(24)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접속교환프로세서(24)는 해당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등급을 조사하여 발신이 허여된 가입자인 지를 판정함에 의해 내부제어경로부(26)를 통해 디지털 톤을 송출하게 되면서 가입자 또는 중계선측에 발신음으로서 변환되어 송출되도록 한다.
이 때, 호요구가 발생한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 디지트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교환프로세서(24)는 수신된 디지트를 기초로 번호번역부(28)에서 번호번역을 행하여 호출의 대상으로 되는 다른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이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동일한 타임스위치 부분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교환프로세서(24)는 상기 번호번역부(28)에 의해 번역된 착신번호가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동일한 타임스위치 부분 즉, 제 1타임스위치(32)부분인 것으로 판정되면, 내부제어경로부(26)를 통해 타임스위치프로세서(30)를 제어하여 그 타임스위치프로세서(30)에 의해 그 제 1타임스위치(32)의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이 할당되도록 함에 의해,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과 다른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통화연결을 제 1상반부 케이블(46)을 통해 행하여 그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에 대한 자체의 통화접속이 행해지도록 한다.
단, 상기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호요구가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의 동일한 제 2타임스위치(34)부분으로 발생된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예의 동작과 유사하게, 그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을 할당하여 제 2상반부 케이블(48)을 통한 자체적인 통화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반면에, 일측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호요구가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상에서 상이한 타임스위치 부분에 대해 발생된 경우, 예컨대 제 1타임스위치(32)를 통한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가 제 2타임스위치(34)부분의 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접속교환프로세서(24)는 내부제어경로부(26)를 통해 타임스위치프로세서(30)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40,44)을 할당하여 제 1하반부 케이블(50)을 통한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에 의한 경로를 통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으로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이 적용되는 복수의 접속교환모듈을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60,90은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구비된 번호번역기능을 갖추고서 각각 해당되는 착신원의 번호번역을 행하여 자체에 할당된 착신가입자와의 통화로 형성은 물론, 상호 다른 가입자 및 중계선들간의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접속교환모듈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 1 및 제 2접속교환모듈(60,90)에서, 참조부호 62,92는 각각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를 감지함과 더불어, 호경로 교환시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접속프로세서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64,94는 그 제 1 및 제 2접속교환모듈(60,90)을 전반적으로 운용관리하여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호 흐름의 제어와 운용보전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 1 및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64,94)는 상기 제 1 및 제 2접속프로세서(62,92)로부터의 호요구감지에 따른 호감지정보를 수취받게 됨에 따라, 각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디지트에 대해 번호번역된 전화번호가 상호 다른 접속교환모듈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예컨대, 제 1접속교환모듈(60)로부터의 가입자 및 중계선측에 착신이 발생되고, 제 2접속교환모듈(90)로부터의 가입자 및 중계선측에 발신이 발생되는 경우)되면,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그 제 1 및 제 2접속교환모듈
(60,90) 자체적으로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66,96은 각 프로세서간의 제어데이터 연결통로로서 동작하는 제 1 및 제 2내부제어경로부를 나타내고, 68,98은 그 제 1 및 제 2접속교환모듈
(60,90)내에 각각 내장되고서 상기 제 1 및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64,94)의 제어에 의해 발신 가입자측으로부터 요구되는 착신측의 호요구에 대한 번호번역을 실행하는 제 1 및 제 2번호번역프로세서로서, 상기 제 1번호번역프로세서(68)는 가입자 및 중계선이 요구한 착신이 그 제 1접속교환모듈(60)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다른 제 2접속교환모듈(90)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해서도 번호번역을 수행하고, 상기 제 2번호번역프로세서(98)는 가이자 및 중계선이 요구한 착신이 그 제 2접속교환모듈(90)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다른 제 1접속교환모듈(60)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해서도 번호번역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참조부호 70,100은 후술하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와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의 호접속을 위한 호교환기능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프로세서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0)에서, 참조부호 72,74는 1,024타임슬롯 용량을 각각 갖추고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대한 호접속을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행함과 더불어,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에 구비된 후술하는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와의 호접속을 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로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1상반부 타임슬롯(78)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1하반부 타임슬롯(80)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2상반부 타임슬롯(82)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2하반부 타임슬롯(84)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76은 상기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에 의한 통화연결에 따라 공급되는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의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통화메모리로 이루어진 제 1공통메모리로서, 상기 제 1공통메모리(76)는 상기 제 1타임스위치프로세서(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의 제 1 및 제 2상반부 타임슬롯(78,82)과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80,84)을 통한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에서, 참조부호 102,104는 1,024타임슬롯 용량을 각각 갖추고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대한 호접속을 망접속모듈(INS)의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행함과 더불어,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0)에 구비된 후술하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와의 호접속을 행하기 위한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로서,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3상반부 타임슬롯(108)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3하반부 타임슬롯(110)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는 0∼511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4상반부 타임슬롯(112)과, 512∼1,024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4하반부 타임슬롯(114)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0)의 제 1 및 제 2상반부 타임슬롯(78,82)은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3 및 제 4상반부 타임슬롯(108,112)과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상반부 케이블(116,118)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호접속을 행하고, 상기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80,84)은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
(90)의 제 3 및 제 4하반부 타임슬롯(110,114)과 PCM케이블로 이루어진 제 3 및 제 4하반부 케이블(120,122)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호접속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하이웨이가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0)의 제 1타임스위치(72)로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가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측의 제 3타임스위치(102)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발생되면, 그 제 1타임스위치(72)의 제 1상반부 타임슬롯(78)을 할당함과 더불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제 3상반부 타임슬롯(108)을 할당하여 제 1상반부 케이블(116)을 통해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가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측의 제 4타임스위치(104)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발생되면, 그 제 2타임스위치(74)의 제 2상반부 타임슬롯(82)을 할당함과 더불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제 4상반부 타임슬롯
(112)을 할당하여 제 2상반부 케이블(118)을 통한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측으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발생되는 경우에, 그 제 1타임스위치(72)의 제 1하반부 타임슬롯(80)을 할당함과 더불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제 4하반부 타임슬롯(114)을 할당하여 제 1하반부 케이블(120)을 통한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가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측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발생되면, 그 제 2타임스위치(74)의 제 2하반부 타임슬롯(84)을 할당함과 더불어 제 3타임스위치(102)의 제 3하반부 타임슬롯(110)을 할당하여 제 4하반부 케이블(122)을 통한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로부터의 가입자에 및 중계선에 의한 호요구가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0)의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한 동작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또한, 참조부호 106은 상기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에 의한 통화연결에 따른 가입자 또는 중계선으로부터의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통화메모리로 이루어진 제 2공통메모리로서, 상기 제 2공통메모리(106)는 상기 타임스위치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의 제 3 및 제 4상반부 타임슬롯(108,112)과 제 3 및 제 4하반부 타임슬롯(110,114)을 통한 PCM음성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제 1접속교환모듈(60)의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측으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측으로 발생되는 경우만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접속교환모듈(60)의 제 1타임스위치(72)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 호요구를 위한 후크오프 등의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 제 1접속프로세서(62)는그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를 감지하여 호감지정보를 제 1내부제어경로부(66)를 통해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에 전송하는 한편,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에서는 해당 가입자 및 중계선의 등급을 판정하여 발신이 허용된 가입자 및 중계선인지를 판단함에 의해 디지털 톤을 송출하여 발신음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해당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 디지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는 해당 디지트를 입력받아 제 1번호번역부(68)에 전화번호의 번역을 요청하게 되고, 상기 제 1번호번역부(68)는 그 디지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번역하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제 1번호번역부(68)에 의해 번역된 전화번호가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3타임스위치(102)에 할당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타임스위치프로세서(70)는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제 1상반부 타임슬롯(72)을 할당하게 되고,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는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94)로 착신측 가입자 및 중계선의 착신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94)는 제 2타임스위치프로세서(100)를 제어하여 제 3타임스위치(102)의 제 3상반부 타임슬롯(108)을 할당함에 따라, 제 1상반부 케이블(116)을 통해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제 1상반부 타임슬롯(78)과 제 3타임스위치(102)의 제 3상반부 타임슬롯(108)에 의한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60)의 제 2타임스위치(74)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따른 전화번호가 상기 제 2접속교환모듈(90)의 제 4타임스위치(104)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프로세서(70)는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제 2하반부 타임슬롯(84)을 할당하게 되고, 상기 제 1접속교환모듈(64)은 상기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94)로 번호번역된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착신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94)는 상기 제 2타임스위치프로세서
(100)를 제어하여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제 4하반부 타임슬롯(114)을 할당함에 의해, 제 1하반부 케이블(120)을 통한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반면에, 제 2타임스위치(74)에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따라 상기 제 1번호번역부(68)에 의해 번역된 전화번호가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프로세서(70)는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제 2상반부 타임슬롯(82)을 할당하게 되고, 상기 제 2접속교환프로세서(94)는 상기 제 1접속교환프로세서(64)로부터의 착신정보를 수신받게 됨에 의해 상기 제 2타임스위치프로세서(100)를 제어하여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제 4상반부 타임슬롯(112)을 할당하게 됨에 따라, 제 2상반부 케이블(118)에 의한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로 입력하이웨이가 향하는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요구에 의한 착신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이 제 3타임스위치(102)측에 해당되는 경우에, 그 제 2타임스위치(74)는 상기 제 1타임스위치프로세서(70)의 제어처리에 의해 제 2하반부 타임슬롯(84)을 할당하게 되고,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는 상기 제 2타임스위치프로세서(100)에 의해 제어되어 그 제 3하반부 타임슬롯(110)을 할당하게 됨에 따라, 제 2하반부 케이블(122)을 통한 제 2타임스위치(74)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과 제 3타임스위치(102)측의 가입자 및 중계선과의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접속교환모듈이나 복수의 접속교환모듈을 갖는 전전자교환기에서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부터의 호접속시 망접속모듈에 구비된 공간스위치를 통하지 않고서도 접속교환모듈의 타임스위치마으로 호경로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소용량의 전전자교환기의 경우에 경제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Claims (6)

  1.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와 공통메모리(36)를 구비한 단일의 접속교환모듈(20)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모듈(CCS)을 상호 연결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착신원이 그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 자체인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내의 할당된 타임슬롯을 제 1, 제 2상반부 케이블(46)(48)을 통해 자체적으로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타임스위치(32)와 제 2타임스위치(34)의 상호간을 제 1하반부케이블(50)을 통해 호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착신원이 그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 자체인 경우에는 그 제 1타임스위치(32) 또는 제 2타임스위치(34)에 대해 소정 타임슬롯 용량을 분할한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 또는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을 할당하여 그 제 1상반부 타임슬롯(38) 또는 제 2상반부 타임슬롯(42)에 대해 자체적으로 접속된 제 1상반부 케이블(46) 또는 제 2상반부 케이블(48)을 통해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제 1타임스위치(32)로부터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의한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2타임스위치(3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32,34)에 대해 각각 소정의 타임슬롯 용량을 갖는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40,44)을 할당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하반부 타임슬롯(40,44)을 상호 접속한 하반부 케이블(50)을 통해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4. 제 1 및 제 2타임스위치(72,74)와 공통메모리(76)를 구비한 제 1접속교환모듈(60)과, 제 3 및 제 4타임스위치(102,104)와 공통메모리(106)를 구비한 제 2접속교환모듈(90)이 상호접속되어 발생된 호에 대해 중앙제어모듈(CCS)의 동작에 따른 호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호경로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제 1 및 제 3타임스위치(72,102)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상반부 케이블(116)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4타임스위치(74,104)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상반부 케이블(118)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4타임스위치(72,104)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1하반부 케이블(120)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타임스위치(74,102)의 상호간 호접속을 제 2하반부 케이블(122)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3타임스위치(72,102)의 소정 타임슬롯 용량을 제 1 및 제 3상반부 타임슬롯(78,108)으로 각각 할당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4타임스위치(74,104)의 소정 타임슬롯 용량을 제 2 및 제 4상반부 타임슬롯(82,112)으로 각각 할당하여, 그 제 1 및 제 3상반부 타임슬롯(78,108)간을 상호 접속한 제 1상반부 케이블(116)이나 그 제 2 및 제 4상반부 타임슬롯(84,114)간을 상호 접속한 제 2상반부 케이블(118)을 통해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제 1타임스위치(72)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4타임스위치(104)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2타임스위치(74)의 착신/발신원이 상기 제 3타임스위치(102)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4타임스위치(72,104)의 소정 타임슬롯 용량을 제 1 및 제 4하반부 타임슬롯(80,114)으로 할당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타임스위치
    (74,102)의 소정 타임슬롯 용량을 제 2 및 제 3하반부 타임슬롯(84,110)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 1 및 제 4하반부 타임슬롯(80,114)간을 상호 접속한 제 1하반부 케이블(120)이나 상기 제 2 및 제 3하반부 타임슬롯(84,110)간을 상호 접속한 제 2하반부 케이블(122)을 통해 호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KR1019960053479A 1996-11-12 1996-11-12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KR10022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479A KR100226324B1 (ko) 1996-11-12 1996-11-12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479A KR100226324B1 (ko) 1996-11-12 1996-11-12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01A KR19980035201A (ko) 1998-08-05
KR100226324B1 true KR100226324B1 (ko) 1999-10-15

Family

ID=1948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479A KR100226324B1 (ko) 1996-11-12 1996-11-12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3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0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39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6366773B1 (en) Radio terminal operation data write method in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26324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JP3183234B2 (ja) 交換機の局データ管理方式および加入者番号付与方式と同一番号移行方式
US6570977B1 (en) Connection setup method, service control point, and communications network
KR9500104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신가입자 번호의 중계 제어방법
KR1003251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호처리 성능 테스트 방법
JP2982666B2 (ja) 局間の端末接続方法とその装置
US6343325B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s well as an exchange and a service control point
US6507580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calling in distributed node exchange network, distributed node exchange and distributed node exchange network
JP3047903B1 (ja) ネットワ―ク
KR100238435B1 (ko) 에이티엠 연동 서브시스템에 수용된 음성 가입자의 서비스 제어방법
KR1002374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활성화방법
KR10019892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자국호 지정경로 구성을 위한 발신 디지탈 가입자 호제어방법
GB2061063A (en) Telecommunications exchange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100511664B1 (ko) 소프트스위치에서 트래픽이 감소된 중계선 개수 관리 방법및 트래픽이 감소된 소프트스위치
JP2985843B2 (ja) オーバレイ通信網における直通回線接続方式
KR1998006181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비상호 처리 방법
KR1002374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안내대 상태 변경방법
KR0146997B1 (ko) 디지탈 가입자 톤지정 경로 구성방법
KR100237473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서 패킷 영구 가상채널 설정방법
KR10020827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페이징 처리 방법
KR10026172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그룹 정보 출력방법
KR19980035204A (ko) 전전자교환기의 음성사서함기능에 의한 센트렉스(centrex)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