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145B1 -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145B1
KR100226145B1 KR1019960046900A KR19960046900A KR100226145B1 KR 100226145 B1 KR100226145 B1 KR 100226145B1 KR 1019960046900 A KR1019960046900 A KR 1019960046900A KR 19960046900 A KR19960046900 A KR 19960046900A KR 100226145 B1 KR100226145 B1 KR 10022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974A (ko
Inventor
김제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145B1/ko
Priority to US08/953,413 priority patent/US6037931A/en
Publication of KR1998002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145B1/ko
Priority to US09/953,622 priority patent/USRE39873E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중 화상을 반전시킬 때 수직,수평동기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액정디스플레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구간에서는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반전시 디스플레이 되는 노이즈바(Bar)현상을 제거하도록 한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키이조작부(4)에서 출력되는 화상반전신호가 제어부(5)에 입력될 때 부터 화상반전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수직동기신호로 부터 △t1 + △t2)이 수평동기신호의 H15에서 H248구간 사이에 존재할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중에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될 때 화상반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화상반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약 2H-5H)동안에는 액정디스플레이부에는 원래의 영상신호가 아닌 임의의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므로서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심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중 화상을 반전시킬 때 수직,수평동기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만 화상반전이 실행되도록 한 것으로서 액정디스플레이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중 화상을 반전시킬 때 수직,수평동기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액정디스플레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반전시 디스플레이 되는 노이즈바현상을 제거하도록 한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합성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와, 영상처리부(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와 포함되지 않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와, 상기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복합동기신호와 제어부(5)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자체동기신호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새로운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발생부(3)와, 키이조작부(4)에서 출력된 키이신호에 의해 동기신호발생부(3) 및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R,G B영상신호와 동기신호발생부(3)에서 출력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디스플레이부(6)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영상처리부(1)에 입력되어 합성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신호처리부(2)는 영상처리부(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신호발생부(3)에 인가하고, 다른 복합동기신호는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동기신호발생부(3)는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복합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5)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체의 동기신호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새로운 동기신호를 신호처리부(2)에 인가하면서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부(6)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인가한다.
동기신호발생부(3)에서 출력된 새로운 동기신호가 신호처리부(2)에 입력되면 상기 신호처리부(2)는 R,G,B신호를 동기신호발생부(3)에서 출력된 새로운 동기신호에 동기화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R,G,B신호와 동기신호발생부(3)에서 출력된 각종 제어신호가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입력되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6)는 제어부(5)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영상이 액정디스플레이부(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정상적인 영상이 액정디스플레이부(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때 키이조작부(4)에서 화상반전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는 키이조작부(4)에서 출력된 화상반전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신호발생부(3)에 인가하므로서 상기 동기신호발생부(3)는 입력된 화상반전신호에 의해 화상반전에 맞도록 제어신호를 변경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공급하므로서 액정디스플레이부(6)는 제어부(5)에서 출력된 화상반전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반전되도록 한다.
즉, 영상처리부(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에 도2 의 (가)와 (나)에서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때 키이조작부(4)에서 도2의 (다)와 같이 화상반전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는 도2의 (라)에서와 같이 일정시간(△t1)이를 입력받아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일정시간(△t2)이내에 출력하게 된다.
도3은 액정디스플레이의 세로축화소와 수평동기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NTSC의 경우 세로축화소가 234개 정도일 때 실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는 수직동기신호로 부터 15번째, 수평동기신호로 부터 248번째의 수평동기신호까지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H1-H14와 H248-H263구간의 수평동기신호에서는 액정디스플레이부(6)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키이조작부(4)에서 출력되는 화상반전신호부터 제어부(5)에서 화상반전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수직동기신호로 부터 △t1 + △t2)이 H15에서 H248구간 사이에 존재할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중에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될 때 화상반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화상반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약 2H-5H)동안에는 액정디스플레이부에는 원래의 영상신호가 아닌 임의의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므로서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심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중 화상을 반전시킬 때 수직,수평동기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반전시 액정디스플레이부에 발생하는 노이즈현상을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액정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2의 (가)-(라)는 종래 액정디스플레이의 각 신호에 의한 시간 파형도.
도2은 종래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소와 수평동기신호의 관계를 보인 화상.
도4는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를 보인 블 록도.
도5는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방법을 보인 플 로우챠트.
도6은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를 보인 다른 실 시예
도7의 (가)내지 (라)는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각 신호에 의한 시간 파형도.
도8의 (가)(나)는 본 발명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의 액정디스플레 이 구간을 보인 파형도.
먼저,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합성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1)와,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와 포함되지 않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12)와, 상기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복합동기신호와 제어부(1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자체동기신호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새로운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발생부(13)와, 상기 신호처리부(12)에 합성영상신호가 입력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수직동기신호는 1과2로, 수평동기신호는 H1에서 부터 H525까지의 수평구간을 카운트하여 제어부(16)에 출력하는 동기신호검출부(14)와, 키이조작부(15)에서 출력된 화상반전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신호검출부(14)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액정용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을 판별하여 액정용영상신호가 반전디스플레이 되도록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6)와, 상기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R,G,B신호와 동기신호발생부(1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디스플레이부(17)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도5는 신호처리부(12)에서 복합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동기신호검출부(14)와 제어부(16)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신호처리부(12)에 합성영상신호가 입력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제1과정과, 판단결과 수직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현재의 수직동기신호에 1을 합한 새로운 수직동기신호를 만들어 홀수인지를 판단하여 짝수이면 수평동기신호를 0으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었으면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에 1을 합한 새로운 수평동기신호를 제어부(16)가 입력받아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제4과정과, 판단결과 제어부(16)에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되었으면 현재 입력된 수평동기신호가 8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과정과, 판단결과, 수평동기신호가 8보다 작으면 제어부(16)는 화상반전제어신호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수평동기신호가 8보다 크면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251보다 크고 272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과정과, 판단결과 수평동기신호가 251보다 크고 272보다 작으면 제어부(16)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251보다 작고 272보다 크면 수평동기신호가 514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3판단과정과, 판단결과 수평동기신호가 514보다 크면 제어부(16)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514보다 작거나 제어부(16)에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정상화면의 유지시키기 위한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출력된 화상반전신호인 하이신호와 정상화면을 유지시키기 위한 로우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수평동기신호가 525인지를 판단하여 525가 아니면 제1과정으로 루틴하고 수평동기신호가 525이면 현재의 수평동기신호를 0으로 변환시켜 제1과정으로 루틴하는 제6과정으로 진행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영상처리부(11)에 입력되어 합성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신호처리부(12)는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신호발생부(13)와 동기신호검출부(14)에 인가하고 동시에 다른 복합동기신호는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동기신호발생부(13)는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복합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체의 동기신호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새로운 동기신호를 신호처리부(12)에 인가하면서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인가한다.
동기신호발생부(13)에서 출력된 새로운 동기신호가 신호처리부(12)에 입력되면 상기 신호처리부(12)는 R,G,B신호를 동기신호발생부(13)에서 출력된 새로운 동기신호에 동기화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R,G,B신호와 동기신호발생부(13)에서 출력된 각종 제어신호가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입력되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7)는 제어부(1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정상적인 영상이 액정디스플레이부(17)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정상적인 화상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동기신호검출부(14)는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6)에 인가한다.
즉, 도7의 (가)에서와 같이 동기신호검출부(14)는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수직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현재의 수직동기신호에 1을 더하여 새로운 수직동기신호를 만들어 상기 새로운 수직동기신호가 홀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결과, 새로운 수직동기신호가 홀수가 아니면 수평동기신호를 0으로 만들고 수직동기신호가 홀수이거나 복합동기신호에 수직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복합동기신호에 도7의 (나)에서와 같이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에 1을 더하여 새로운 수평동기신호를 만들어 제어부(16)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16)에 새로운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될 때 도7의 (다)에서와 같이 키이조작부(15)에서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수평동기신호가 8구간이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8구간이하에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16)는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서 화상반전이 실행되도록 도7의 (라)에서와 같이 화상반전제어신호(수직동기신호로 부터 △t1+△t2+△t3 시간후에)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8구간을 벗어났으면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이 251이상 272이하에 위치해있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새로운 수평동기신호가 251이상 272이하 구간에 위치해 있으면 제어부(16)는 화상반전이 수행되도록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251이하 272이상구간에 위치해 있을 경우 현재 수평동기신호는 액정디스플레이부(17)의 디스플레이 구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다시 현재의 수평동기신호가 514구간이상에 위치해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결과, 현재의 수평동기신호가 514구간 이상에 위치해 있으면 화상반전이 실행되도록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514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으면 제어부(16)는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서 정상화면이 유지되도록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동기신호검출부(14)에서 다시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이 525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이 525가 아니면 다시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에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이 525이면 상기 현재의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을 0으로 하여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복합동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한다.
즉,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정상적인 화상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키이조작부(15)에서 화상반전신호가 입력시 도8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의 기수(Odd)필드에 수평동기신호의 1구간이 동기되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는 1-8까지의 구간, 251-272까지의 구간, 514-525까지의 구간에서 화상반전이 실행되므로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서 화상반전시 노이즈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의 구간과 그에 따른 제어시간은 액정디스플레이부(17)이 화소가 수직축에 234개 일때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수직축의 화소수가 240개 또는 480개 등으로 바뀌면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1주기내의 수평동기신호 525(PAL일 경우 625개)와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그에 맞게 변화할 수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합성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1)와,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와 포함되지 않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12)와, 상기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검출부(14)와, 상기 동기신호검출부(14)에서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액정용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을 판별하여 상기 액정용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에서 액정용 영상신호가 반전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6)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5는 키이조작부, 17은 액정디스플레이부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작용효과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영상처리부(11)에 입력되어 합성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신호처리부(12)는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가 포함된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17)에 영상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동기신호검출부(14)는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된 합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신호를 분리검출하여 제어부(16)에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6)는 동기신호검출부(14)에서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액정용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을 판별하여 액정용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에서 상기 액정용 영상신호가 반전디스플레이 되도록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서 액정디스플레이부(17)는 제어부(16)에서 출력된 화상반전제어신호에 의해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화상을 반전디스플레이 시킬 때 노이즈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중 화상을 반전시킬 때 수직,수평동기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액정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반전시 액정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노이즈현상을 제거하도록 하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액정용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신호를 분리검출하는 동기신호검출부와, 화상반전신호를 입력하도록 구비된 키조작부와, 상기 동기신호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동기신호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판단하여 상기 비교판단결과에 따라 키조작부로 부터의 화상반전신호 입력여부에 따라 화상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신호와 서로 다른 임의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발생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
  3.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분리검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었으면 키조작부로 부터 제어부로 화상 반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제어부에 화상반전신호가 입력되었으면 현재 입력된 수평동기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비교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2과정의 화상반전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방법.
KR1019960046900A 1996-10-18 1996-10-18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KR10022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900A KR100226145B1 (ko) 1996-10-18 1996-10-18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US08/953,413 US6037931A (en) 1996-10-18 1997-10-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invers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US09/953,622 USRE39873E1 (en) 1996-10-18 2001-09-2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invers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900A KR100226145B1 (ko) 1996-10-18 1996-10-18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74A KR19980027974A (ko) 1998-07-15
KR100226145B1 true KR100226145B1 (ko) 1999-10-15

Family

ID=1947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900A KR100226145B1 (ko) 1996-10-18 1996-10-18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037931A (ko)
KR (1) KR100226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970B1 (ko) * 2001-05-11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설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R8100823U (pt) * 2001-05-17 2003-02-04 Dalton Swain Conselvan Disposição introduzida em inversor d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720A (en) * 1981-01-12 1987-01-27 Harris Corporation Electronic sketch pad
JPS6249399A (ja) * 1985-08-29 1987-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5155477A (en) * 1988-11-18 1992-10-13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display apparatu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H07262302A (ja) * 1994-03-16 1995-10-13 Asahi Optical Co Ltd データシンボル読み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74A (ko) 1998-07-15
USRE39873E1 (en) 2007-10-09
US6037931A (en) 200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3019A (ko) 표시모드 판별기능구비 표시장치 및 표시모드 판별방법
KR19990060491A (ko) 디티브이의 영상 표시용 클럭 및 동기신호 발생장치
WO20071494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insertion in a digital display system
KR100226145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의 화상반전시 노이즈제거장치와 방법
KR20100021251A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EP0746154B1 (en) A subpicture signal vertical compression circuit
KR950035474A (ko) 벡터스코프용 신호처리회로
JPS63252080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S61172484A (ja) ビデオフイ−ルドデコ−ダ
JP4675992B2 (ja) 映像信号用同期信号生成装置
KR20050081743A (ko) 비월 방식 비디오 신호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498433B1 (ko) 디지탈 회로를 이용한 수평동기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KR980004280A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트랜지스터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0206784B1 (ko) 영상기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및 방법
KR100196871B1 (ko) 피디피 티브이의 영상신호 판별장치
KR100683141B1 (ko) 티브이 입력 신호 자동 선택 액정 표시장치
KR970057211A (ko) 텔레비전수상기의 av모드 자동설정방법
KR930003716A (ko) 온 스크린 신호를 이용한 백 스크린 표시방법
JP2004252078A (ja) 表示パネル駆動装置
KR960028240A (ko) 피씨 모드 기능을 갖는 티브이의 모드 제어장치
KR19980048542A (ko) 방송 무신호시 osd 안정화회로
JPH06261260A (ja) 画像表示装置
KR950008335A (ko)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JP2005208189A (ja) 映像表示装置
KR20050024188A (ko) 화상 신호 처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