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060B1 -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060B1
KR100226060B1 KR1019970018056A KR19970018056A KR100226060B1 KR 100226060 B1 KR100226060 B1 KR 100226060B1 KR 1019970018056 A KR1019970018056 A KR 1019970018056A KR 19970018056 A KR19970018056 A KR 19970018056A KR 100226060 B1 KR100226060 B1 KR 10022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panel
control
hal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943A (ko
Inventor
노성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1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0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66B1/3438Master-slave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홀네트워크를 1호기 제어반이나 2호기 제어반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절환장치를 부가하고, 상대 호기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여 그 진단결과에 따라 절환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호기 제어반이 소정 주기로 상대 호기의 박동신호 출력 여부와 운행상태를 근거로 상대 호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판명되면 통상의 병렬운전 제어기능을 발휘하고, 고장으로 판명되면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홀네트워크를 자기측으로 절환시킨 후 자신의 카부름 및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자신의 호기에 할당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PARALLEL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운전중인 엘리베이터에서 일측의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수리,점검 등의 이유로 인하여 부득이 일측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타측의 엘리베이터만을 운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한가한 시간대에 일측의 엘리베이터만 계속적으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건물에는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건물내에서 사람의 이동에 따른 교통량의 변화에 따라 카부름이나 홀부름을 최적으로 할당한다.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운행효율이 향상되고, 승객의 대기시간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중,소규모의 사무실용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는 고가의 군관리 장치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병렬운전 엘리베이터의 제어기에 약간의 기능을 추가하여 군관리장치와 유사한 형식으로 승객에 대한 서비스를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병렬운전 엘리베이터에서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일측의 엘리베이터만 운행시키게 되는 경우 동작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건물내 사람의 유동이 한산한 시간이나 심야시간에 아파트나 사무실 건물에서 한 대의 엘리베이터만 운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한 대의 엘리베이터만이 계속적으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병렬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운전 엘리베이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부름이 발생될 때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상호 통신하면서 두 대의 카(3),(4) 중에서 보다 유리한 운행조건에 있는 카를 서비스 할당하는 1호기 제어반(1) 및 2호기 제어반(2)과;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신호를 홀네트워크(HN)를 통해 상기 1호기 제어반(1) 및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전송하고 그들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홀제어기(HC1~HCn)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층상에서 대기중인 승객이 목적한 층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홀부름버튼을 누르면 홀제어기(HC1~HCn) 중에서 해당 홀제어기가 이를 인지하여 홀네트워크(HN)를 통해 1호기 제어반(1)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 1호기 제어반(1)은 입력된 홀부름신호를 다시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2호기 제어반(2)은 현재 발생된 홀부름을 인식한 후 수집된 운행정보를 근거로 자신에게 소속된 카(4)나 1호기 제어반(1)에 소속된 카(3) 중에서 어느 카가 보다 적절한 운행조건에 있는지를 평가하여 평가점수가 보다 높은 카를 부름이 발생된 층으로 할당하게 된다.
여기서, 어떤 카(호기)가 보다 적절한 운행조건에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 요소로서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주로 시간적인 요소 즉, 어느 호기가 보다 빨리 서비스할 수 있는가 하는 것과, 절전적인 요소 즉, 어느 호기를 할당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것 들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중요도에 따라 각 요소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 하는 방식의 종합적인 평가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로써, 카(3)가 5층에서 상승운행 중이고, 카(4)가 10층에서 하강운행 중일 때 8층에서 홀부름이 발생되는 경우, 8층의 홀제어기(HC8)가 그 홀부름신호를 접수하여 이를 상기의 경로를 통해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출력하고, 이때 그 2호기 제어반(2)은 상기와 같은 평가결과를 근거로 하여 당연히 카(4)를 할당할 것이다. 물론 이때 그 카(4)는 만원이 아니고 8층을 서비스 한 후에도 만원으로 예상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병렬운전 시스템에서 상기 2호기 제어반(2)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보수,점검을 실시하는 경우 1호기 제어반(1)이 단독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홀네트워크(HN)가 자신의 제어권한 내에 있으므로 아무런 제약없이 엘리베이터의 기본 기능인 부름입력과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1호기 제어반(1)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보수,점검을 실시하는 경우 2호기 제어반(2)이 단독운전을 실시해야 되는데,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홀네트워크(HN)가 1호기 제어반(1)에 소속되어 있으므로 홀부름에 대하여 서비스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부름에 관계없이 각 층에 순차적으로 정지하면서 운행하는 백업운전을 실시하기도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홀네트워크(HN)를 각각의 호기에 설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두군데에서 홀부름을 받게 되므로 처리가 복잡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병렬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홀부름이 하나의 호기로만 직접 입력되고, 다른 호기로는 그 직접 입력되는 호기를 통해 입력되므로 해당 호기가 고장, 점검, 수리 등의 이유로 인하여 가동이 불가능할 때 엘리베이터 전체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내 사람의 유동이 한산한 시간대에나 심야시간대 등의 아파트, 사무실건물 등에서는 한 대의 엘리베이터만 운행시킬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특정 호기만이 계속 운행되어 그 호기의 기계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홀네트워크를 각 호기마다 각기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홀네트워크가 별도로 각 층에 설치되므로 동작에 시차가 발생하기도 하고, 승객이 사용하는데 혼란을 주게 되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또 다른 해결 방법으로써 백업운전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무조건 각 층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전력이 낭비되고 승객이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동안 대기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홀네트워크를 1호기 제어반이나 2호기 제어반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절환장치를 부가하고, 상대 호기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여 그 진단결과에 따라 절환장치를 제어하여 홀네트워크를 자기측으로 절환시킨 후 자신의 카나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에 대응하여 해당 층으로 카를 운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운전 엘리베이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릴레이스위치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대 호기의 고장 진단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부 호기제어반의 고장 처리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호기 제어반 2 : 2호기 제어반
3,4 : 카 5,6 : 통신선로
7 : 절환 제어부
본 발명의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방법은 두 대의 호기제어반이 각각 자신에게 부여된 제어기능이 주 제어기능인지 부 제어기능인지를 확인하는 주·부 호기제어기능 확인과정과; 상기 각각의 호기 제어반이 소정 주기로 상대 호기의 박동신호 출력 여부와 운행상태를 진단하여 상대 호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상대호기 진단과정과; 부 호기제어반에서의 진단 결과 주 호기제어반이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에게 할당되는 홀부름만을 서비스하고, 고장으로 판명되면 그 주 호기제어반에 홀네트워크의 절환을 요청한 후 자신의 카부름 및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자신의 호기에 할당하는 부 호기제어 서비스과정과; 주 호기제어반에서의 진단 결과 부 호기제어반이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의 카부름 및 상대 호기의 카부름,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병렬처리 순서에 따라 최적의 조건에 있는 호기를 할당하고, 고장으로 판명되면 홀네트워크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홀네트워크를 자기측으로 절환시킨 후 자신의 카부름 및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자신의 호기에 할당하는 주 호기제어 서비스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2호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부름이 발생될 때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2호기 제어반(2)과 통신하면서 카(3)의 운행을 제어하는 1호기 제어반(1)과; 상기 카(3) 및 카(4)의 운행상황을 수시로 체크하여 홀부름이 발생될 때 그 체크결과를 근거로 보다 유리한 운행조건에 있는 카를 선정하여 할당하고, 상기 1호기 제어반(1)이나 자신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정상운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여 절환 제어부(7)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2호기 제어반(2)과;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신호를 홀네트워크(HN)를 통해 상기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전송하고 그들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운행 방향 및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홀제어기(HC1~HCn)와; 상기 홀네트워크(HN)를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접속하는 릴레이스위치(RY11)와; 상기 2호기 제어반(2)의 제어를 받아 상기 릴레이스위치(RY11)를 제어하는 절환 제어부(7)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층상에서 대기중인 승객이 목적한 층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홀부름버튼을 누르면 홀제어기(HC1~HCn) 중에서 해당 홀제어기가 이를 인지하여 홀부름신호를 홀네트워크(HN)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데, 그 홀부름신호는 릴레이스위치(RY11)의 절환상태에 따라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전달된다.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초기상태에서는 릴레이스위치(RY11)가 고정단자(b)에 단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각 층에 설치된 홀제어기(HC1~HCn)들이 홀네트워크(HN) 및 릴레이스위치(RY11)를 통해 1호기 제어반(1)에 연결되고, 이 홀제어기(HC1~HCn)는 통신프로그램에 의한 지령으로 각기 초기화 된다.
초기화된 각층의 홀제어기(HC1~HCn)들은 상기 1호기 제어반(1)으로 부터 수신된 엘리베이터 카(3),(4)의 현재 위치와 운행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물론, 이때, 1호기 제어반(1)으로 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와 운행상태는 1호기 제어반(1)에서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2호기 제어반(2)에 보고된 것을 상기 홀네트워크(HN) 및 릴레이스위치(RY11)를 통해 홀제어기(HC1~HCn)에 전송한 정보이다.
참고로, 상기 1호기 제어반(1)과 2호기 제어반(2)이 상기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통신함에 있어서 통신 데이터와 전송방향은 아래의 표와 같다.
데이터 종류 발생원 신호방향 목적지 의 미
박동신호 제1제어반 제2제어반 제1제어반 정상동작
박동신호 제2제어반 제1제어반 제2제어반 정상동작
홀부름 제1제어반 제2제어반 홀제어기에서 수신한 홀부름
1호기 운행상태 제1제어반 제2제어반 제1호기 운행상태
2호기 운행상태 제2제어반 제1제어반 제2호기 운행상태
1호기 카부름 제1제어반 제2제어반 제1호기 카부름
2호기 카부름 제2제어반 제1제어반 제2호기 카부름
할당 데이터 제2제어반 제1제어반 할당 데이터
상기 1호기 제어반(1)과 2호기 제어반(2)은 상대 호기에서 출력되는 박동신호를 기준으로 고장을 진단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임의의 주기동안 박동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비록 박동신호가 계속적으로 검출되지만 상대 호기가 비정상적인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상대 호기를 고장이라고 진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대 호기가 고장으로 진단되면 상기 2호기 제어반(2)에서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측으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그 트랜지스터(Q)가 온되고, 이에 의해 홀네트워크 절환용 릴레이(RY1)가 온된다. 이로 인하여 그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가 고정단자(c)측으로 절환되므로 상기 홀제어기(HC1~HCn)가 홀네트워크(HN),릴레이스위치(RY11) 및 홀네트워크(SN)를 통해 2호기 제어반(2)측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2호기 제어반(2)은 상기의 접속경로를 통해 통신지령으로 네트워크 초기화 명령을 하달하여 그 홀제어기(HC1~HCn)를 초기화 시키게 되고, 이후부터 그 홀제어기(HC1~HCn)는 2호기 제어반(2)의 홀네트워크로 동작하게 된다.
실제로 상대 호기에 고장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2호기 제어반(2)이 상기 홀네트워크(HN)를 통해 홀제어기(HC1~HCn)를 직접 관할하여 단독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1호기 제어반(1)의 파워가 오프되어 있거나 점검, 보수 등의 이유로 인하여 1호기(카(3))의 운행 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와 같은 고장진단과정에 의해 상대 호기가 고장으로 진단되므로 상기와 같이 2호기 제어반(2)이 상기 홀네트워크(HN)를 통해 홀제어기(HC1~HCn)를 직접 관할하여 단독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가 고정단자(c)측으로 절환되어 상기 홀제어기(HC1~HCn)들이 2호기 제어반(2)의 관할하에 놓이게 되는 경우, 그 홀제어기(HC1~HCn)의 전원은 절체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한 이유는 1호기 제어반(1)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야 그 1호기 제어반(1)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전원 오프 등의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2호기 제어반(2)의 제어명령에 따라 리세트되고 홀네트워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박동신호로 여러 가지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정,부극성 구간을 갖는 소정 주기의 교류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이머 등의 하드웨어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내에 특정한 값(하이 또는 로우)이 출력될 때 그 값을 유지하는 형태의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릴레이스위치(RY11)의 접속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한 접속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홀네트워크(HN),(PN),(SN)가 두 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홀네트워크(HN)를 홀네트워크(PN)나 홀네트워크(SN)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연동되는 두 개의 릴레이스위치 즉, 상기 릴레이(RY1)에 의해 절환되는 두 개의 릴레이스위치(RY1a),(RY1b)가 필요하다.
상기 1호기 제어반(1)과 2호기 제어반(2)에서 상대 호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을 도 4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처음 시작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즉, 초기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초기상태이면 고장진단용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초기상태가 아니면 그 고장진단용 타이머의 카운트값을 계속 증가시킨다.(SA1-SA3)
이후, 기 설정된 소정시간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도달되었으면 그때 상대 호기의 박동신호가 계속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A4,SA5) 그 확인결과 박동신호가 계속적으로 입력되면 상대 호기의 운행상태가 정상인지를 분석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 정상으로 판정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고장으로 판정한다.(SA6-SA8)
그러나, 상기에서 상대 호기의 박동신호가 계속 입력되지 않거나 상대 호기의 운행상태가 이상으로 판명되는 경우 상대 호기를 고장으로 판정한다.(SA9)
상기 1호기 제어반(1)과 2호기 제어반(2)은 자신에 주어진 기능이 주 호기제어기능인지 부 호기제어기능인지를 확인한 후 고장 발생시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1호기 제어반(1)에 부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되고, 2호기 제어반(2)에 주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된 것을 예로하고, 도 5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그 고장 처리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1호기의 1호기 제어반(1)과 2호기의 2호기 제어반(2)은 자신에 주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되었는지 부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1호기 제어반(1)은 자신에게 부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되었음을 인식하게 되고, 2호기 제어반(2)은 주 호기제어기능이 부여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호기 제어반(1)은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대 호기 즉, 2호기의 고장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 상대 호기가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에게 할당되는 홀부름을 서비스한다.(SB3,SB4)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상대 호기가 고장으로 판명되면, 상기 2호기 제어반(2)에게 상기 릴레이스위치(RY1)를 절환시켜줄 것을 요구한 후 상기 홀제어기(HC1~HCn)를 리세트시킨다.(SB5) 이후, 자신의 카부름 및 홀부름 데이터를 확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부름을 자신의 카(3)에 할당한다.(SB6-SB8)
한편, 주 호기제어기능을 부여받은 상기 2호기 제어반(2)은 상대 호기 즉, 1호기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여 고장으로 판명되면 자신의 카부름 및 홀부름 데이터를 확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부름을 자신의 카(4)에 할당한다.(SB9,SB10)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상대 호기가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의 카부름 및 상대 호기의 카부름, 홀부름 발생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병렬처리 순서에 따라 카(3)나 카(4)를 해당 층으로 할당하게 된다.(SB11-SB1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호기 제어반에서 박동신호 및 운행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대 호기의 고장이나 정상운행 여부를 확인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의 주 호기제어기능이나 부 호기제어기능을 수행하고, 고장이 발생되거나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홀네트워크를 자기측으로 절환시킨 후 케이지부름이나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에 대응하여 자신의 카를 해당 층으로 서비스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설치비용 및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가한 시간대에 한 대의 호기만을 운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홀네트워크 절환용 릴레이를 이용하여 두 대의 엘리베이터가 소정 시간씩 교대로 운행되게 함으로써 특정 호기가 계속적으로 운행되어 그 호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두 대의 호기제어반이 각각 자신에게 부여된 제어기능이 주 호기제어기능인지 부 호기제어기능인지를 확인하는 주·부 호기제어기능 확인과정과; 상기 각각의 호기 제어반이 소정 주기로 상대 호기의 박동신호 출력 여부와 운행상태를 진단하여 상대 호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상대호기 진단과정과; 부 호기제어반에서의 진단 결과 주 호기제어반이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에게 할당되는 홀부름만을 서비스하고, 고장으로 판명되면 그 주 호기제어반에 홀네트워크의 절환을 요청한 후 자신의 카부름 및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자신의 호기에 할당하는 부 호기제어 서비스과정과; 주 호기제어반에서의 진단 결과 부 호기제어반이 정상으로 판명되면 자신의 카부름 및 상대 호기의 카부름, 홀부름 발생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병렬처리 순서에 따라 최적의 조건에 있는 호기를 할당하고, 고장으로 판명되면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홀네트워크를 자기측으로 절환시킨 후 자신의 카부름 및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을 자신의 호기에 할당하는 주 호기제어 서비스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박동신호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방법.
  3. 홀부름이 발생될 때 병렬운전용 통신라인(P0)을 통해 2호기 제어반(2)과 통신하면서 카(3)의 운행을 제어하는 1호기 제어반(1)과; 상기 카(3) 및 카(4)의 운행상황을 수시로 체크하여 홀부름이 발생될 때 그 체크결과를 근거로 카를 선정하여 할당하고, 상기 1호기 제어반(1)이나 자신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정상운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여 절환 제어부(7)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2호기 제어반(2)과;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각 층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신호를 홀네트워크(HN)를 통해 상기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전송하고 그들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홀제어기(HC1~HCn)와; 상기 2호기 제어반(2)의 제어에 따라 내부의 릴레이를 구동시켜 상기 홀네트워크(HN)를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절환시키는 절환 제어부(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절환 제어부(7)의 릴레이는 두 개의 연동되는 릴레이스위치(RY1a),(RY1b)를 구비하여 두 라인의 홀네트워크(HN)를 1호기 제어반(1)이나 2호기 제어반(2)측으로 절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장치.
KR1019970018056A 1997-05-10 1997-05-10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2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056A KR100226060B1 (ko) 1997-05-10 1997-05-10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056A KR100226060B1 (ko) 1997-05-10 1997-05-10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943A KR19980082943A (ko) 1998-12-05
KR100226060B1 true KR100226060B1 (ko) 1999-10-15

Family

ID=1950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056A KR100226060B1 (ko) 1997-05-10 1997-05-10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943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043B2 (en) Elevator cross-dispatching system with inter group relative system response (IRSR) dispatching
KR0186123B1 (ko)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CA2282609C (en)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US4766978A (en) Elevator system adaptive time-based block operation
WO2001072623A1 (fr) Systeme de commande de groupe pour ascenseurs
US4762204A (en) Elevator system master car switching
JP258182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0226060B1 (ko)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3392269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診断システム
CN101863401A (zh) 电梯互联群控系统
US4765442A (en) Elevator system graceful degradation of bank service
CN113086783B (zh) 一种电梯群管制运行系统及方法
WO2005082762A2 (en) Elevator arrangement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CN112938667A (zh) 一种含群控备份功能的电梯目的层群控系统及方法
CN101844714A (zh) 电梯互联群控系统
CN201703929U (zh) 电梯互联群控系统
JP2006225070A (ja) エレベータの電源供給システム
CN211619680U (zh) 外呼控制板及电梯
JPH0480185A (ja) エレベータ
JPH02123084A (ja) エレベータ制御切換え方式
JP4326095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H0472278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CN116081411A (zh) 一种不同品牌电梯的群控调度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