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490B1 -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490B1
KR100225490B1 KR1019970031631A KR19970031631A KR100225490B1 KR 100225490 B1 KR100225490 B1 KR 100225490B1 KR 1019970031631 A KR1019970031631 A KR 1019970031631A KR 19970031631 A KR19970031631 A KR 19970031631A KR 100225490 B1 KR100225490 B1 KR 10022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ole piece
insertion hole
installation hol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284A (ko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3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4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측으로 폴 피스(6)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폴 피스(6)의 상단부에 상기 폴 피스(6)의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으로 형성된 결합부(8)를 가지는 하부플레이트(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폴 피스(6)에 형성된 결합부(8)에 끼워지는 설치공(26)을 형성한 서브 마그네트(2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14)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공(14)의 내측면에 걸림턱(16)을 환형으로 돌출 형성한 외부캡(12)과,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 내측에 끼워져 하단면이 상기 외부캡(12)의 걸림턱(16)에 걸리며 내측에 삽입공(20)을 형성한 메인 마그네트(18)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에 끼워져 작동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보이스 코일(34)을 권취시킨 보빈(30)과, 상기 보빈(3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댐퍼(36)와, 상기 보빈(3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댐퍼(38)를 구비한 것으로서, 저음스피커(2)의 구동시 스피커의 특성곡선이 일그러지는 것을 개선하고 임피던스의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음의 재생시 음의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이스 코일을 보빈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시키고 상기 보빈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댐퍼를 설치하며 자기회로부에 메인 마그네트외에 서브 마그네트를 설치함으로써 스피커의 특성곡선이 일그러지는 것을 개선하고 임피던스의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저음스피커의 능률과 음질을 향상시킨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음스피커(5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력선을 형성하는 자기회로부(66)와, 신호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72)과, 상기 보이스 코일(72)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음파가 발생되는 진동부(80)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음스피커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기회로부(66)는 상측으로 원통형상의 폴 피스(56)가 돌설된 하부플레이트(5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4)의 폴 피스(5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삽입공(60)이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54)의 상단면에 접착되는 마그네트(58)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4)의 폴 피스(5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삽입공(64)이 형성되어 마그네트(58)의 상단면에 접착되는 상부플레이트(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58)의 삽입공(60)과 상부플레이트(62)의 삽입공(64)은 상기 폴 피스(56)의 외주면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부(66)에는 상기 진동부(80) 보빈(68)의 내측에 형성된 작동공(70)이 상기 폴 피스(56)에 끼워져 상기 보빈(68)이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갭이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폴 피스(56)와 상부플레이트(62)의 삽입공(64) 사이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72)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공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72)은 상기 자기회로부(66)의 갭에서 상하로 구동하는 보빈(68)의 외주면에 권취되는데, 상기 보이스 코일(72)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빈(68)이 상하로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80)는 상기 보빈(68)의 상단 외주면에 보빈삽입공(77)을 삽입 접착하고 외주면(79)을 프레임(82)에 접착시키는 댐퍼(78)와, 상기 보빈(68)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 접착하는 소경단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82)에 접착시키는 대경단이 형성된 콘형진동판(7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형진동판(74)의 소경단측에는 저음스피커(52)의 내부로 먼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캡(76)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82)은 하단면을 상기 상부플레이트(62)의 상단면에 접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음스피커(5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력선이 형성된 상기 자기회로부(66)의 공극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72)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72)에 구동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보빈(68)이 상기 자기회로부(66)의 갭에서 상하로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68)이 상하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보빈(68)의 상단 외주면에 소경단이 접착된 콘형진동판(74)이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음파가 방사된다.
이때, 상기 보빈(68)의 상단과 프레임(82)에 접착된 댐퍼(78)는 상기 보빈(68)의 과도한 상하 구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빈(68)의 상하 구동시 상기 보빈(68)의 센터링(centering)을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음스피커(52)는 상기 보빈(68)이 상하로 구동할 경우에 상기 보빈(68)의 하단면이 상기 하부플레이트(54)에 접촉되는 스트로크(stroke)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보빈(68)이 손상됨으로써 저음스피커(52)의 수명이 단축되고, 상기 댐퍼(78)가 상기 자기회로부(66)의 갭에서 상하로 구동하는 보빈(68)의 상단부만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빈(68)의 센터링이 유지되지 않아 상기 보빈(68)이 원할하게 구동되지 않으며, 상기 저음스피커(52)의 특성곡선에 일그러짐이 발생함으로써 저음스피커(52)의 능률과 저음의 재생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이스 코일을 보빈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시키고 상기 보빈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댐퍼를 설치하며 자기회로부에 메인 마그네트외에 서브 마그네트를 설치함으로써 스피커의 특성곡선이 일그러지는 것을 개선하고 임피던스의 상승을 막아줌으로써 저음스피커의 능률과 음질을 향상시킨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으로 폴 피스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폴 피스의 상단부에 상기 폴 피스의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폴 피스에 형성된 결합부에 끼워지는 설치공을 형성한 서브 마그네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공의 내측면에 걸림턱을 환형으로 돌출 형성한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설치공 내측에 끼워져 하단면이 상기 외부캡의 걸림턱에 걸리며 내측에 삽입공을 형성한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의 삽입공에 끼워져 작동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보이스 코일을 권취시킨 보빈과, 상기 보빈의 상단부에 보빈삽입공을 접착시키고 외주면을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착시킨 상부댐퍼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보빈삽입공을 접착시키고 외주면을 상기 외부캡의 설치공 내측면 하단에 접착시킨 하부댐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저음스피커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음스피커 4 : 하부플레이트
6 : 폴 피스 8 : 결합부
10 : 열배출공 12 : 외부캡
14 : 외부캡의 설치공 16 : 걸림턱
18 : 메인 마그네트 20 : 메인 마그네트의 삽입공
22 : 요홈 24 : 서브 마그네트
26 : 서브 마그네트의 설치공 30 : 보빈
34 : 보이스 코일 36 : 상부댐퍼
37 : 상부댐퍼의 보빈삽입공 38 : 하부댐퍼
39 : 상부댐퍼의 외주면 40 : 하부댐퍼의 보빈삽입공
42 : 하부댐퍼의 외주면 50 : 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력선을 형성하는 자기회로부(28)와, 신호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34)과, 상기 보이스 코일(34)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음파가 발생되는 진동부(48)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기회로부(28)는 상측으로 원통형상의 폴 피스(6)가 돌설된 하부플레이트(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폴 피스(6)에 삽입 설치되는 메인 마그네트(18)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18)가 끼워지는 외부캡(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4)는 상기 폴 피스(6)의 상단에서 하부플레이트(4) 하단면으로 열배출공(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폴 피스(6)의 선단부에는 원주형상의 서브 마그네트(24)가 끼워지고 상기 폴 피스(6)의 하단부 보다 외경이 작은 결합부(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캡(12)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18)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 내측에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걸림턱(16)이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 내측에는 요홈(22)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은 상기 폴 피스(6)의 외주면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동부(48) 보빈(30)의 내측에 형성된 작동공(32)이 상기 폴 피스(6)에 끼워져 상기 보빈(30)이 상하 구동을 할 수 있도록 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34)은 상기 자기회로부(28)의 갭에서 상하 구동하는 보빈(30)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34)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빈(30)이 상하 구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48)에는 상기 보빈(30)과, 상기 보빈(30)의 상단 외주면에 보빈삽입공(37)을 삽입 접착하고 외주면(39)을 프레임(50)에 접착시키는 상부댐퍼(36)와, 상기 보빈(30)의 하단 외주면에 보빈삽입공(40)을 삽입 접착하고 상기 외부캡(12) 설치공(14) 내측 하단부에 외주면(42)이 접착되는 하부댐퍼(38)와, 상기 보빈(30)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 접착하는 소경단이 형성되고 대경단을 상기 프레임(50)에 접착시키는 콘형진동판(4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형진동판(44)의 소경단측에는 스피커(2)의 내부로 먼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캡(46)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50)은 하단면을 상기 외부캡(12)의 상단면에 접착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저음스피커(2)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폴 피스(6) 상단 결합부(8)에 상기 서브 마그네트(24)의 삽입공(26)을 끼우고,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에 상기 메인 마그네트(18)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보빈(30)을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에 고정시킨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에 끼운 다음, 상기 보빈(30)의 하단부에 상기 하부댐퍼(38)의 보빈삽입공(40)을 접착시키고 상기 하부댐퍼(38)의 외주면(42)을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 내측면 하단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빈(30)의 하측에서 상기 보빈(30)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사이에 상기 폴 피스(6)를 끼워 상기 하부플레이트(4)를 상기 외부캡(12) 하단에 끼운다.
또한, 상기 외부캡(12)의 상단면에 상기 콘형진동판(44)을 지지하는 프레임(50)의 하단면을 접착시키는데, 상기 외부캡(12)의 상단면이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상단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50)의 하단면이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빈(3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댐퍼(36)의 보빈삽입공(37)을 접착시키고 상기 상부댐퍼(36)의 외주면(39)을 상기 프레임(50)의 내측에 접착시킨 다음, 상기 프레임(50)의 내측에 콘형진동판(44)을 설치하고, 상기 콘형진동판(44)의 소경단에 상기 저음스피커(2)로 먼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캡(46)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력선이 형성된 상기 자기회로부(28)의 공극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34)에 신호가 인가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저음스피커(2)는 상기 보빈(30)의 상,하단부에 보이스 코일(34)이 권취되어 상기 보빈(30)의 상,하부의 보이스 코일(34)에 신호 인가시 임피던스의 상승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30)의 상,하부의 보이스 코일(34)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빈(30)이 상하 구동하는데,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폴 피스(6)에 서브 마그네트(2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 내측에 요홈(22)이 형성됨으로써 저음스피커(2)의 구동시 스피커의 특성곡선이 일그러지는 것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4)에는 상기 폴 피스(6)의 상단으로부터 하부플레이트(4)의 하단으로 열배출공(1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피커(2)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열배출공(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30)의 상단부가 상부댐퍼(36)로 지지되고 상기 보빈(30)의 하단부가 하부댐퍼(38)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보빈(30)이 상하 구동할 경우에 상기 보빈(30)의 센터링(centering)이 유지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34)에 큰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상기 보빈(30)의 하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4)에 접촉되는 스트로크(stroke)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는 보이스 코일(24)을 보빈(30)의 상,하부에 권취하고 상기 보빈(30)의 상,하단부에 상부댐퍼(36)와 하부댐퍼(38)를 구비하며 자기회로부(28)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를 메인 마그네트(18)와 서브 마그네트(24)로 구성함으로써, 저음스피커(2)의 구동시 특성곡선이 일그러지는 것을 개선하고 임피던스의 상승을 막아줌으로써 음의 재생시 음의 명료도를 향상시키며 보빈(30)의 상하 구동시 보빈(30)의 센터링을 유지시키고 상기 보빈(30)의 하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스피커(2)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2)에 있어서,
    상측으로 폴 피스(6)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폴 피스(6)의 상단부에 상기 폴 피스(6)의 외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으로 형성된 결합부(8)를 가지는 하부플레이트(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폴 피스(6)에 형성된 결합부(8)에 끼워지는 설치공(26)을 형성한 서브 마그네트(2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14)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공(14)의 내측면에 걸림턱(16)을 환형으로 돌출 형성한 외부캡(12)과,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 내측에 끼워져 하단면이 상기 외부캡(12)의 걸림턱(16)에 걸리며 내측에 삽입공(20)을 형성한 메인 마그네트(18)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에 끼워져 작동되고 상부와 하부에 보이스 코일(34)을 권취시킨 보빈(30)과,
    상기 보빈(30)의 상단부에 보빈삽입공(37)을 접착시키고 외주면(39)을 프레임(50)의 내측면에 접착시킨 상부댐퍼(36)와,
    상기 보빈(30)의 하단부에 보빈삽입공(40)을 접착시키고 외주면(42)을 상기 외부캡(12)의 설치공(14) 내측면 하단에 접착시킨 하부댐퍼(3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그네트(18)의 삽입공(20) 내측에 요홈(22)을 환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스(6)의 상단면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4)의 하단면으로 열배출공(10)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KR1019970031631A 1997-07-04 1997-07-04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KR10022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631A KR100225490B1 (ko) 1997-07-04 1997-07-04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631A KR100225490B1 (ko) 1997-07-04 1997-07-04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84A KR19990009284A (ko) 1999-02-05
KR100225490B1 true KR100225490B1 (ko) 1999-10-15

Family

ID=1951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631A KR100225490B1 (ko) 1997-07-04 1997-07-04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4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84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8034A (ko) 카오디오의 투웨이 스피커 일체형 구조
US5550332A (en) Loudspeaker assembly
JP3948510B2 (ja) スピーカ
KR100225490B1 (ko)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JP3271075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0491644B1 (ko) 스피커
KR200143256Y1 (ko) 스피커의 상부플레이트 결합구조
JPH11155195A (ja) スピーカー装置
KR19990009283A (ko) 카오디오의 저음스피커 구조
JP2000138997A (ja) スピーカ装置
KR970003652Y1 (ko) 고출력용 스피커
JP2005151318A (ja) スピーカ
KR200314357Y1 (ko) 방자형 스피커
KR200171642Y1 (ko) 스피커용진동판
JP3187610B2 (ja) スピーカ装置
KR0172702B1 (ko) 육각단면의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KR20040069669A (ko) 누설 자속 저감 스피커
KR0138962Y1 (ko) 스피커의 열배출 구조
KR19980058053A (ko) 카오디오의 스피커 자기회로 구조
KR20040069667A (ko) 하이-파워 스피커용 진동판의 에지 구조
JPH09187096A (ja) スピーカ装置
KR0139828Y1 (ko) 카오디오용 스피커의 더블 더스트캡 구조
KR0129506Y1 (ko) 스피커
JPH1023594A (ja) スピーカ
KR19980050131U (ko) 카오디오의 보빈과 더스트캡 일체형 스피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