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331B1 - 투사형 액정표시장치(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투사형 액정표시장치(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331B1
KR100225331B1 KR1019970013969A KR19970013969A KR100225331B1 KR 100225331 B1 KR100225331 B1 KR 100225331B1 KR 1019970013969 A KR1019970013969 A KR 1019970013969A KR 19970013969 A KR19970013969 A KR 19970013969A KR 100225331 B1 KR100225331 B1 KR 10022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collimator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057A (ko
Inventor
마사노리 오기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츠토무
Publication of KR97007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성(anti-dust)이 개선된 투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패널의 표면에 먼지가 집착하게 되어 광전송효율뿐만 아니라 화질에 관한 촛점맞춤 성능 및 콘트라스트 성능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광원 수단, 콜리메이터 수단, 밀폐된 공간인 광로벽 수단,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수단, 투사 렌즈 수단 및 스크린 수단을 포함하고, 광로벽 수단은 콜리메이터 수단과 액정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고, 광로벽 수단은 그의 내표면에 열저항 저감수단을 구비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주요 광학소자의 표면에 먼지의 부착을 저감 및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열방산을 달성할 수 있으며, 화질이 보다 개선되고 수명이 긴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내진성 (anti-dust)이 개선된 투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사형 CRT(Cathode Ray Tube)표시장치에 있어서, 그의 화질에 관한 열화의 문제점으로서 대표적인 예인 광학소자의 표면상에 먼지의 부착으로 인한 콘트라스트비의 열화에 대한 문제는 거의 해결되었다. 한편, 투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비와 화질의 저하에 원인이 되는 먼지 부착의 문제점이 최근 인식되고 있다.
화질 열화의 원인이 되는 먼지 부착의 문제점을 종래의 투사형 액정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스크린(1), 투사 렌즈(2), 단일판식 액정패널(3), 광로벽(4), 콜리메이터 렌즈(5), (6), (8), 뒷면 프레넬렌즈(5), 앞면 프레넬렌즈(6), 광로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면 미러(8), 전극을 갖는 램프수단(7)과 환기수단(9), (9' ), (10) 및 (10' )을 포함한다. (11), (12) 및 (13)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프레넬렌즈(5), (6)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액정패널(3)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는 수명을 길게하기 위해 가능한 저온(예를 들면 60℃)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환기수단(9), (9' ), (10) 및 (10' )은 광로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 공간으로 강제적인 대류를 실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러나, 외부공간에 존재하는 먼지가 광로 공간내로 들어가서 램프(7), 미러(8), 프레넬렌즈(5), (6) 및 액정패널(3)의 표면에 부착하여 예를 들면, 수개월 사용하는 동안 액정패널의 표면에 먼지가 집착하게 되는 이러한 역효과는 광전송효율뿐만 아니라 화질에 관한 촛점맞춤 성능 및 콘트라스트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 램프(7)이 고온(약 900℃)이므로 먼지가 연소하여 유해한 그을음으로 되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내부 및 외부 공간 사이의 경계부에 먼지필터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크기가 작은 먼지 입자는 통과되는 반면에 크기가 큰 먼지 입자로 인해 필터가 막히는 문제를 회피할 수가 없고 그 결과 먼지로 인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가 없었다.
또, 전극을 갖는 램프수단은 수명이 짧다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광학소자의 표면에 먼지의 부착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고 열방산을 달성할 수 있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화질이 개선된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수명을 갖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광원 수단, 콜리메이터 수단, 밀폐된 공간인 광로벽 수단,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수단, 투사형 렌즈 수단 및 스크린 수단을 포함하고, 광로벽 수단이 적어도 콜리메이터 수단과 액정 수단중의 하나를 둘러싸며, 광로벽 수단은 그 내면에 열저항 저감수단을 구비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마련한다.
본 발명의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1. 열저항 감소수단은 광로벽 수단에 마련된 펠티에 효과장치를 포함한다.
2. 열저항 감소수단은 광로벽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밀폐공간내에 마련된 강제대류 수단을 포함한다.
3. 콜리메이터 수단은 렌즈를 포함한다.
4. 렌즈는 프레넬렌즈를 포함한다.
5. 광원 수단은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인 반사경을 포함한다.
6. 광로벽 수단은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와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규정한다.
7. 광로벽 수단은 투사렌즈 수단과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와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규정한다.
8. 광원 수단은 액체에 담겨진 램프 수단과 액체를 담는 액체용기 수단을 포함하며, 액체용기 수단은 콜리메이터벽부와 광투과벽부를 포함하고, 액체용기 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구면의 벽부이다.
9.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는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밀폐된 공간을 규정하고 액정패널과 콜리메이터 소자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광로벽,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광로벽은 그의 외표면에 열방산 프로모터를 마련한다. 열방산 프로모터는 펠티에 효과 소자를 포함해도 좋다.
10.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는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밀폐된 공간을 규정하고 액정패널과 콜리메이터 소자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 싸고 지지하는 광로벽,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광로벽에 의해 규정된 밀폐공간내에 기계적 교반기가 설치되어 밀폐공간내에 가스류의 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광로벽을 통과하여 열방출이 촉진된다. 기계적 교반기는 모터 또는 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날개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광원은 액체에 담겨진 램프 수단과 그 액체를 담는 액체용기를 포함하며, 액체용기는 콜리메이터벽부와 광투과벽부를 포함하고, 액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구면의 벽부이고, 강제대류 수단은 액체용기측에 배치되어 액체용기쪽으로 그것을 냉각하기 위해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마련한다. 강제대류 수단은 냉각 팬 또는 공기 송풍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해하기 쉽도록 본 발 발명과 종래의 기술을 비교한 다음의 표를 제시한다.
[표1]
Figure kpo00002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량의 수치예는 약 300lm(lumen)의 광출력을 갖는 투사형 액정표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8)은 각각 도 7의 종래 장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이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광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하는 전극을 구비한 전극램프(7)과 반사경(8), 프레넬렌즈(6), (5), 단일판식 액정패널(3)과 여러개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조합체(2)를 포함하고, 램프(7)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프레넬렌즈(6), (5)와 단일판식 액정패널(3)은 그 사이에 다른 소정의 간격을 서로 평행하게 원통 형상의 광로벽(4)의 내측에 배치된다. 광로벽(4)는 광원에 인접한 한쪽 끝에서 프레넬렌즈(6)에 의해 밀폐되며, 광원에서 먼쪽인 다른쪽 끝에서 그 곳에 끼워맞춰진 렌즈조립(2)에 의해 밀폐된다. 끝부가 밀폐된 구조와 같은 광로벽(4)에 의해 폐쇄공간이 규정된다. 광로벽(4)는 먼지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갖는 여러개의 환기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므로, 광로벽(4)의 내부공간에서 온도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를 방지한다. 스크린(1)도 표시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이며, 렌즈조립체(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
표시장치는 광로벽(4)의 외표면에 부착된 흡열판(14), 방열핀(17)과 일체로 마련된 방열판(16) 및 판(14), (16) 사이에 끼워진 펠티에 효과 소자를 갖는 펠티에 효과 장치를 더 포함한다. 베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펠티에 효과 소자(15)에 약 10W의 전력이 공급되어 판(14), (16) 사이에 약 20℃의 온도차가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약 10W의 열류가 흡열판(14)에 의해 광로벽(4)를 통하여 흡수되므로, 약 20W의 열류가 방열판(16)에서 주위로 방출된다.
약 4㎠의 실효열 경로면적을 갖는 시판의 펠티에 효과 소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현상이 가능하다.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광로벽(4)의 재료로서 열도전성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광로벽(4)를 흡열판(14)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에 있어서, 펠티에 효과 소자를 한쪽 벽에 마련하였지만 양쪽 벽에 마련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먼지방지 밀폐구조에 있어서, 종래에 장치에서는 외기온도가 40℃일 경우 프레넬렌즈(5) 및 액정패널(3)의 온도가 70℃로 과대해지는 것을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약 60℃이하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1)∼(8)은 각각 도 7의 종래 장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표시장치는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광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하는 전극을 구비한 전극램프(7)과 반사경(8), 프레넬렌즈(6), (5), 단일판식 액정패널(3)과 여러개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조립체(2)를 포함하고, 램프(7)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프레넬렌즈(6), (5)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원통형상의 광로벽(4)의 내측에 배치된다. 스크린(1)도 표시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렌즈 조립체(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 광로벽(4)는 큰 직경의 실인 연장 벽부(18)과 함께 렌즈 조립체(2)에 연속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연장 벽부(18)은 광로벽(4)의 원통형 본체부와 렌즈 조립체(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밀폐공간이다. 이 밀폐공간에는 프레넬렌즈(6), (5)와 평행한 액정패널(3)과 장제대류 수단인 팬(19)가 배치된다. 팬(19)는 연장 벽부(18)에 의해 액정패널(3)을 둘러싸는 큰 직경의 실내에 배치된다. 팬(19)는 출력이 약 1∼4W인 시판의 소형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팬(19)가 회전하면, 밀폐공간내에 공기류가 발생하여, 1m/sec 이상의 유속으로 액정패널(3)의 주위를 순환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연장 벽부(18)의 내벽의 열전달율을 약 1mW/cm2에서 약 10mW/cm2으로 거의 1자리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전력(1W∼4W)의 공급으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연장 벽부(18)의 외측에 방열핀(도 1의(17)로 도시)을 추가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의 2개의 실시예를 조합함으로서 얻어지며, 고출력용에 적합하다.
도 4는 (표1의 본 발명의 형Ⅲ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램프 주변부의 개량만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액정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1)∼(6)은 각각 도 7의 종래 장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이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광원으로서의 무전극램프 (21), 프레넬렌즈(6), (6' ), (5), 단일판식 액정패널(3)과 여러개의 렌즈를 갖는 렌즈 조립체(2)를 포함하고, 램프(21)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스크린(1)도 표시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렌즈 조립체(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 프레넬렌즈(6), (6' ), (5)는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원통형상의 광로벽(4)의 내측에 배치된다. 광로벽(4)는 프레넬렌즈(6), (5)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다. 액정패널(3)은 밀폐공간의 외부에 프레넬렌즈(5)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며, 렌즈 조립체(2)도 액정패널(3)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무전극 램프(21)은 액체(24)가 충전된 원통형 용기(23)의 중앙에 배치된다. 즉, 무전극 램프(21)은 수중램프(또는 액체중에 잠긴 램프)이다. 고주파 전력 공급장치 (22)로부터 전력이 무전극 램프(21)로 공급된다. 고주파 전력공급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2.4GHz대에서 약 200W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시판의 마그네트론을 사용할 수 있다. 중심도체(22' )는 원통형 용기(23)의 중앙에 위치한 무전극 램프(21)에 근접하게 전력공급장치(22)의 하우징부의 일부에 부착된 절연재(22 )를 통과하여 고주파 전력공급장치(22)에서 연장한다.
여기서, 원통형 용기(23)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용기(23)은 지구본으로서 도면상에서 무전극 램프(21)을 중심으로 동, 서, 남 및 북의 방향이 정해지고, 각각 N, S, E 및 W로 표시하였다. 또 도면에 있어서, 절연재(22 )의 윗쪽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은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심도체(22' )의 축에 관해서 회전 대칭이고, 도5는 자오선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투명 금속, 유리로 이루어진 원통형 용기(23)은 남쪽과 북쪽에서 반대측상에 일체로 형성된 개구단 원통부(23a) 및 (23b)를 갖는다. 원통부(23b)는 고주파 전력공급장치(22)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원통형의 지지벽(22a)에 의해 지지된다. 봉지재로서의 O-링(32)는 원통형 용기(23)내에 담겨있는 액체(24)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부(23b)와 원통형의 지지벽(22a) 사이에 끼워진다.
또, 환형상의 내주부가 원통부(23b)에 끼워 맞추어지고 외주 플랜지부가 원통형의 지지벽(22a)의 내표면에 형성된 완곡한 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O-링 대신에 단면이 T형상인 봉지링을 활용해도 좋다. 원반형의 도체캡(29)는 밀폐되도록 원통부(23a)의 개구단에 끼워 맞추어진다. 도체캡(29)는 그 중심에 일체로 마련되며 원통형 용기(23)내의 무전극 램프(21)을 감싸면서 연장하는 튜브형 도체(28)을 갖는다. 무전극 램프(21)의 스템(21' )는 도체파이프(28)을 통과하여 도체캡(29)의 개구부에서 (접착제 또는 유지링과 같은)리테이너(31)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강제대류 수단으로서의 전기팬(41)이 거리를 두고 원통형 용기(23)의 서쪽에 배치된다.
또, 서반구 외표면(26)에는 가시광을 반사시키는 코팅미러 또는 막이 마련되어 있으며, 동반구 외표면에는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적외광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막이 마련되어 있다. 이 막 종류의 1예는 ITD(Indium Tin Oxide)막이다. (25)는 고주파 전력의 마이크로파가 용기의 외측으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파로 또는 공동공진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차폐망을 나타낸다. 차폐망의 구체적인 예는 직경이 50㎛, 선간격이 0.6mm인 선재로 이루어진 격자망 구조를 갖는다. (40), (40' )은 원통부(23a), (23b)의 외표면상에 마련되는 예를 들어 약 1㎛ 이상의 두께를 갖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전기도전막을 나타낸다. (30)은 도체캡(29)의 일부로서, 빗살형상 판의 스프링형 단자도체이며 전기도전막(40)과 차폐망(25)로의 전류경로를 형성한다. 램프(21) 내부에는 가시광의 발광에 적합한 원소(예를 들면, Suiphur)가 미리 충전되어 있다.
액체(24)에 있어서는 실리콘오일(유전체 손실 : 3GHz의 주파수에서 약0.4%) 또는 불소계오일과 같이 고주파대에서 유전체 손실이 적은 물질로서, 정상 동작 상태에서 약 50㎠/sec이하의 동적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주파 전력공급장치(22)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튜브형 도체(28)의 끝과 중심도체(22' )의 끝 사이에 배치된 램프(21)의 부분에 강한 전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전자계에 의해서 전력은 램프내의 플라즈마로 공급되어 광, 적외광 및 열로 변환된다. 광은 동쪽 콜리메이터로 전송된다. 적외광은 적어도 그 일부가 동반구 외표면(27)에 마련된 적외광 반사막 또는 코팅에 의해 램프측으로 재반사되어 가시광 미러부(26)을 투과해서 서반구쪽으로 방출된다. 열은 액체(24)의 대류에 의해서 용기(23)의 벽으로 전달되고, 그의 외표면에서 강제대류 수단(41)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산된다. 강제대류 수단 (41)은 가시광이 투과하지 못하는 용기(23)의 서쪽 벽에만 기류를 운반하므로 먼지의 부착으로 인한 화질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고온의 램프가 직접 먼지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연소하여 검은 그을음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화질에 대해서 그을음으로 인한 저하의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다.
무전극 램프를 사용한 경우, 지금까지 필요로 했던 냉각 작업등과 같이 고속기류의 수단에 의해 램프를 직접 냉각할 필요도 없으며, 따라서 소음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용기의 유효광 방출면이 구면이고, 램프가 용기의 중앙에 배치되므로, 램프에서의 광은 거의 수직인 입사 및 방사각으로 용기의 계면을 통해 벽의 내부와 외부로 통과한다. 따라서, 계면에서 전반사에 기인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사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장치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액체교반 수단을 포함하는 도5에 도시한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29' )는 도체캡(29)에 형성된 각각 직경이 약 1∼3mm인 여러개의 구멍을 나타낸다.
구멍의 면적률은 캡(29)의 본체의 전표면에 대해서 약 50%이다. (33)은 연장된 용기수단으로서, (33' )의 부분은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재 또는 다른 봉지재로 봉지된다. (34)는 액체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한 가변형 부재, (35)는 모터, (36)은 모터 부착부재, (37)은 액체교반 수단 또는 펌프수단, (38)은 액류, (39)는 모터용 배선이다. 모터의 회전축은 램프스템과 동축화이며, 모터에 의해 램프(21)과 함께 액체교반 수단(37)이 회전한다. 따라서, 램프에서 액체로서 열전달 및 액체의 대류를 가속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액체전달 파이프수단에 의해서 표시장치의 캐비넷의 뒷벽까지 액체를 전달하고, 열교환기를 거쳐서 외부로 열을 배출한 후 용기수단으로 환류시키는 것으로 변형해도 좋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Ⅰ], [Ⅱ] 및 [Ⅲ]형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광학소자의 표면에 먼지의 부착을 저감 및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열방산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질이 보다 개선되고 수명이 긴 투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4)

  1. 광원 수단, 콜리메이터 수단, 밀폐된 공간인 광로벽 수단,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수단, 투사 렌즈 수단 및 스크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로벽 수단은 콜리메이터 수단과 액정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고, 상기 광로벽 수단은 그의 내표면에 열저항 저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 저감수단은 상기 광로벽 수단에 마련된 펠티에 효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 저감수단은 상기 광로벽 수단에 의해 규정된 상기 밀폐공간에 마련된 강제대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수단은 액체에 담겨진 램프 수단과 상기 액체를 담는 액체용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 수단은 콜리메이터벽부와 광투과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 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구면의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내에 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액체용기내에 강제대류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은 기계적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은 액체용기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용기를 향해 공기류를 발생시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수단은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프레넬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수단은 상기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인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벽 수단은 상기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밀폐공간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벽 수단은 상기 투사렌즈 수단과 상기 콜리메이터 수단의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밀폐공간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3.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밀폐된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콜리메이터 소자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광로벽,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광로벽은 그의 외표면에 열방산 프로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산 프로모터는 펠티에 효과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5.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밀폐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액정패널과 콜리메이터 소자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광로벽,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광로벽에 의해 규정된 상기 밀폐공간내에 기계적 교반기가 설치되어 상기 밀폐공간내에 가스류의 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광로벽을 통과하여 열방출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교반기는 모터 또는 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7.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액체에 담겨진 램프와 상기 액체를 담는 액체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는 콜리메이터벽부와 광투과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구면의 벽부이고, 상기 액체내에서 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액체용기내에 강제대류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은 기계적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이 액체용기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용기를 향해 공기류를 발생시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이 냉각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이 공기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2. 광원, 콜리메이터 소자, 화상을 생성하는 액정패널, 투사렌즈 및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액체에 담겨진 램프와 상기 액체를 담는 액체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는 콜리메이터벽부와 광투과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구면의 벽부이고, 상기 액체용기측으로 강제대류 수단이 배치되어 상기 액체용기를 향해 공기류를 발생시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은 냉각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류 수단은 공기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19970013969A 1996-04-17 1997-04-16 투사형 액정표시장치(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25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95037 1996-04-17
JP8095037A JPH09284685A (ja) 1996-04-17 1996-04-17 投写形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057A KR970071057A (ko) 1997-11-07
KR100225331B1 true KR100225331B1 (ko) 1999-10-15

Family

ID=1412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969A KR100225331B1 (ko) 1996-04-17 1997-04-16 투사형 액정표시장치(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03566A (ko)
JP (1) JPH09284685A (ko)
KR (1) KR100225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508B2 (ja) * 1995-03-30 2002-04-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3090480B2 (ja) 1997-06-20 2000-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表示光学系部
JP3608428B2 (ja) * 1999-04-15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KR100540648B1 (ko) * 1999-05-17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프로젝터
KR20020008903A (ko) * 2000-07-21 2002-02-01 구자홍 엘씨디 프로젝터의 램프 어셈블리
DE60239446D1 (de) 2001-01-15 2011-04-28 Seiko Epson Corp Projektor
TW567742B (en) * 2001-03-22 2003-12-21 Ind Tech Res Inst Cooling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rojector
KR100438156B1 (ko) * 2001-09-18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
EP1335408B1 (en) * 2002-01-25 2007-11-07 Lg Electronics Inc. Electrodeless lighting system
CN1214838C (zh) * 2002-01-31 2005-08-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游戏机用显示装置和游戏机
TW594371B (en) * 2003-01-29 2004-06-21 Benq Corp Image projection system with an invisible-light reflector for heat dissipation
US20070247832A1 (en) * 2004-04-23 2007-10-25 Barker Dale E Fan with Bladers and Method for Displaying Illuminated Pictoral Elements
JP5179875B2 (ja) * 2004-09-15 2013-04-10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ヒートパイプを備える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用のヒートパイプリードの製造方法
CN101592807A (zh) * 2008-05-27 2009-12-02 深圳市新超亮特种显示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装置的液晶显示屏
US8664858B2 (en) * 2008-09-05 2014-03-04 Martin Professional A/S Light fixture with an electrodeless plasma source
US9103533B1 (en) * 2011-12-08 2015-08-11 Vylite LLC High intensity studio lamp and method using a plasma source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7737A (en) * 1986-03-26 1988-11-29 Casio Computer Co., Lt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4963001A (en) * 1988-08-23 1990-10-16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2130542A (ja) * 1988-11-11 1990-05-18 Kawasaki Heavy Ind Ltd 画像投影装置
US5170195A (en) * 1990-09-17 1992-12-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ooling device for a liquid crystal panel
US5282121A (en) * 1991-04-30 1994-01-25 Vari-Lite, Inc. High intensity lighting projectors
JPH05158152A (ja) * 1991-11-27 1993-06-25 Canon Inc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057A (ko) 1997-11-07
US5803566A (en) 1998-09-08
JPH09284685A (ja) 199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331B1 (ko) 투사형 액정표시장치(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617806B2 (en) High brightness microwave lamp
KR101892639B1 (ko) 파장 변환 장치 및 관련 발광 장치
US4925295A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7350926B2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WO1999006763A1 (fr) Cartouche a lampe
CN110895378B (zh) 荧光体轮装置、照明装置以及投射型影像显示装置
KR20040111059A (ko) 광원 장치 및 프로젝터
JPWO2005108854A1 (ja) 光源装置、照明光学装置及び表示装置
CN100476520C (zh) 液晶显示装置及液晶冷却单元
JP2004012827A (ja) 投射型表示装置
JPH11111238A (ja) 無電極高輝度ランプ
US5614780A (en) Light source for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GB2290132A (en) Light Sources
CN212723641U (zh) 一种新型透射式荧光轮装置及投影光源系统
JP3712326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143523A (ja) 光源装置
US6933675B2 (en) Apparatus for blocking ambient air of electrodeless lighting system and waveguide thereof
JP3788619B2 (ja) ランプ冷却装置、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JP3968568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N113050351B (zh) 激光投影设备及激光投影系统
CN213715667U (zh) 一种色温可变的发光装置
JP2823800B2 (ja) 光源装置
KR20000044797A (ko) 프로젝터용 램프조립체
JP4196691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