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841B1 -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841B1
KR100223841B1 KR1019970029745A KR19970029745A KR100223841B1 KR 100223841 B1 KR100223841 B1 KR 100223841B1 KR 1019970029745 A KR1019970029745 A KR 1019970029745A KR 19970029745 A KR19970029745 A KR 19970029745A KR 100223841 B1 KR100223841 B1 KR 10022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metic
support
bead
cathode ray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547A (ko
Inventor
손기복
고병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8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28Mounting or supporting arrangements for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e.g. spacers particularly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메틱 지지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버 슛 특성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발명은 허메틱 지지체(100)가 아일릿(15)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112)이 천공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113)과, 상기 몸체(110)와 허메틱 캡(40)을 조합하기 위해 내외면이 각각 허메틱 캡(40)과 몸체(110)에 접합된 허메틱 써포트와, 상기 허메틱 써포트에 대해 종방향을 이루도록 고정판(113)의 외면에 접합된 비드 써포트(130)로 구성된 것과; 또한, 허메틱 지지체(200)가 아이렛(15)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212)이 천공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전후방에 수직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고정판(213)과, 상기 고정판(213)의 외면에 접합되며, 양측에 상기 고정판의 두께만큼 내향으로 함몰되어 허메틱 캡(40)과 접합되는 접합편(221)으로 이루어진 허메틱 써포트(220)와, 상기 고정판(213)과 접합되며, 상기 허메틱 써포트(220)에 대해 종방향을 이루도록 접합편(221) 사이에 허메틱 써포트와 일체형으로 된 비드 써포트(2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허메틱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총은 수상관을 이루는 핵심 구성부품의 하나로서, 음극에서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을 수상관의 전방 내측에 도포된 R,G,B 3색 형광면에 집속시켜 형광면이 각각의 전자빔에 반응되도록 함으로서 화소를 형성하고, 이 화소의 조합에 의해 수상관의 전면에 화면을 구성토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총의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삼극부(10)와 주렌즈부(20)로 크게 구분되는데, 우선 삼극부(10)는 내재된 히터(11)의 열원에 따라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12)와, 이 캐소드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제어하는 제어전극(13)과, 캐소드(12)에 있는 열전자를 가속하는 가속전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11)는 원통형의 아이렛(Eyelet)(15)에 의해 주변이 둘러쌓여 있으며, 화면으로부터 가장 먼 전자총 일단부에 구비된 히터 지지체(16)에 용접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아이렛(15)은 상기 히터 지지체(16)와 캐소드(12)사이에 구비되며 비드 글라스(30)에 양측이 융착 고정된 아이렛 지지체(1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주렌즈부(20)는 상기 삼극부(10)에서 생성된 전자빔을 집속하는 집속전극(21)과 이를 최종 가속시키는 양극(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속전극(21)은 전자빔의 집속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전극(도시는 생략함)으로 분할 구성 하기도 한다.
상기에서 제어전극(13)은 접지되며, 가속전극(14)에는 500∼1000V의 저전압이, 양극(22)에는 25∼35KV의 고전압이, 집속전극(21)에는 양극전압의 20∼30%에 해당하는 중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은 허메틱형(Hermetic Type) 전자총은 허메틱 어셈블리(Hermetic Assembly)에 의해 캐소드(12)를 지지토록 한 것으로 종래의 아이렛 지지체(17)를 대체한 구조이다.
상기 허메틱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히터(11)가 내장되며 직경과 두께가 각각 3mm, 0.05mm인 3개의 원통형 아이렛(15)을 고정 지지하고 있는 허메틱 캡(40)과, 이 허메틱 캡을 지지하기 위해 비드 글라스(30)에 융착 고정되며 두께가 0.33mm인 허메틱 지지체(50)로 조합되어 있다.
상기 허메틱 캡(40)에는 아이렛(15)이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이렛(15)은 허메틱 캡(4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결정화 글라스(60)의 응고력에 의해 아허메틱 캡(40)에 고정 되는데, 상기 결정화 글라스는 고온(약 800℃)의 로(爐)를 통과함에 따라 아이렛(15)을 융착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정화 글라스(60)는 열전도가 둔감한 비금속재료이므로 캐소드(12)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메틱 캡(40)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허메틱 지지체(50)는 몸체(51)의 상판(51a)에 아이렛(15)의 상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구멍(5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51)의 전후방에는 허메틱 캡(40)과 접합되는 허메틱 써포트(53)가 직하방으로 각각 절곡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메틱 써포트(53)의 양쪽 하단에는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 다소 얇은 두께로 된 접합편(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메틱 써포트(53)의 중앙부에는 이 허메틱 써포트에 일체로 되며, 상기 비드 글라스(30)에 융착하기 위한 비드 써포터(55)가 도면상 허메틱 써포트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외향 절곡되어 있으며, 이 비드 써포터의 외단부는 비드 글라스(30)와의 고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허메틱 캡(40)과 허메틱 지지체(50)를 조합한 허메틱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허메틱 캡(40)의 상부에 일부분이 노출된 아이렛(15)에 허메틱 지지체(50)의 구멍(52)이 끼워지도록 허메틱 지지체를 안착시키면 허메틱 써포트(53)의 내측에 허메틱 캡(4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합편(54)과 이와 접해있는 허메틱 캡(40)의 표면을 스폿용접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허메틱 캡(40)과 허메틱 지지체(50)를 조합한 상태가 허메틱 어셈블리가 되는데, 이 허메틱 어셈블리는 비드 써포터(55)가 비드 글라스(30)의 응고력에 의해 고정되어 캐소드(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허메틱 어셈블리, 특히 허메틱 지지체(50)의 구조적인 문제점에 의해 오버 슛(Over Shoot)특성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비드 써포터(55)의 위치가 허메틱 어셈블리 수직길이(L)의 중앙부로 부터 상부측으로 편중이 되어 있으므로 캐소드(12)에서 열팽창현상이 발생될 때 초기 30초 이내에 열팽창이 완료된후 반대방향으로 상쇄되는량이 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초기 전압 인가시 캐소드(12)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될 때 열팽창이 발생함에 따른 전극의 간격변화에 의해 캐소드 전류의 초기 과도현상인 오버 슛 특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캐소드(12)의 주변부(삼극부)에서 열팽창에 의한 각 전극간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여 캐소드 전류(IK)의 안정이 늦어질뿐만 아니라, 초기 스크린의 휘도(명도:색의 밝기) 변화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근본원인은 접합편(54)과 아이렛(15)이 비드 써포터(55)의 위치가 허메틱 어셈블리의 수직중심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므로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허메틱 지지체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종래의 허메틱 지지체(50)의 재질은 열팽창계수가 작은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는데, 주요성분은 니켈(Ni):13∼15%, 크롬(Cr):15∼17%와, 철(Fe):68∼72%를 합금한 재질을 사용하였으나 소기의 효과, 즉 캐소드(12) 주변부의 열에 의해 헤메틱 지지체(50)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를 얻기에는 부족한 혼합율 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허메틱 지지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버 슛 특성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이렛을 지지하는 허메틱 캡과, 상기 허메틱 캡을 지지하며 허메틱 써포트와 비드 써포트를 구비한 허메틱 지지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허메틱 지지체가 아일릿에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몸체와 허메틱 캡을 조합하기 위해 내외면이 각각 허메틱 캡과 몸체에 접합된 허메틱 써포트와; 상기 허메틱 써포트에 대해 종방향을 이루도록 고정판의 외면에 접합된 비드 써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허메틱 지지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아일릿을 지지하는 허메틱 캡과, 상기 허메틱 캡을 지지하며, 허메틱 써포트를 구비한 허메텍 지지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허메틱 지지체가 아일릿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 수직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면에 접합되며, 양측에 상기 고정판의 두께만큼 내향으로 함몰되어 허메틱 캡과 접합되는 접합편으로 이루어진 허메틱 써포트와 일체형으로된 비드 써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허메틱 지지체를 각각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개략적인 요부구성도
도 2은 허메틱형 전자총의 구성도
도 3는 종래 허메틱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4은 상기 도 2의 허메틱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비드 써포트가 허메틱 지지체와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의 허메틱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는 상기 도 5의 허메틱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비드 써포트가 허메틱 지지체에 일체화된 본 발명의 허메틱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허메틱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상기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허메틱 지지체와 종래의 허메틱 지지체를 적용함에 따른 오버슛(Over Shoot)특성을 대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허메틱 캡 100, 200 : 허메틱 지지체
110, 210 : 몸체 111, 211 : 상판
112, 212 : 구멍 113, 213 : 고정판
121 : 걸림편 120, 220 : 허메틱 써포트
130, 230 : 비드 써포트 131, 231 : 비드 써포터
221 : 접합편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허메틱 지지체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총의 전체적인 구성설명은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바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종래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5는 비드 써포터와 허메틱 지지체가 분리된 허메틱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상기 허메틱 지지체(100)는 몸체(110)의 상판(111)에 아이렛(15)이 삽입되도록 3개의 구멍(11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는 정면에서의 형상이 “T”자형의 고정판(113)이 수직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의 내면에는 정면 형상이 “ㄷ”자형이고 양 측단부에 걸림편(121)이 상기 몸체(11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허메틱 써포트(120)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13)의 외면에는 비드 글라스(30)에 융착되는 비드 써포트(130)가 접합되어 있다.
상기 비드 써포트(130)의 양측단에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비드 써포터(131)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고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허메틱 지지체(100)는 캐소드(12)로부터 발생되는 팽창열의 영향으로 인한 변형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니켈(Ni)의 함유량이 많은 스테인레스(SUS) 합금으로 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0.3∼0.4mm로 되어 있다.
상기 두께는 조립성에 비중을 두고 설정한 수치이며, 두께가 얇을 경우 변형되기 쉬운 단점이 있고,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조립성(주변공간 부족)이 나빠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두께 설정이다.
또한, 상기 허메틱 써포트(120)의 두께는 상기 몸체(110)의 두께에 비해 다소 얇은 0.2∼0.3mm로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캐소드(12)부근의 열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허메틱 지지체(100)를 포함한 허메틱 어셈블리의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몸체(110)의 전후방에 각각 절곡 형성된 고정판(113)의 내면과 허메틱 써포트(120)의 외면을 용접하여 접합하는데, 이때 허메틱 써포트는 그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121)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고, 양 걸림편사이에 고정판(113)이 끼워지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고정판과 허메틱 써포트(120)를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다.
이때는 고정편(113)의 측단이 걸림편(12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용접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 고정판(113)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드 써포트(130)는 고정판(113)의 외면에 스폿용접에 의해 접합되는데, 이때 상기 비드 써포트(130)의 위치는 초기 스크린의 휘도 변화량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건이므로 허메틱 지지체(100)의 전체수직길이(H)의 중심부로부터 그하부에 접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그 이유는 비드 써포트(130)의 위치가 오버 슛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만약 비드 써포트가 헤메틱 지지체(100)의 수직길이의 중심부에서 상부에 위치할 경우 오버 슛 특성이 커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위치설정이다.
즉, 캐소드(12)의 열팽창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이렛(15)의 열팽창에 따른 캐소드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판(113)은 도면상 정면에서 볼 때 “T”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비드 써포트(130)를 고정판의 외면에 용접할 때 상기 허메틱 지지체(100) 수직길이(H)의 중심부(O) 또는 그 이하의 위치에 용접하기 위한 범위를 확장하기 위함이며, 용접작업시 비드 써포트(130)의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원하는 지점에 용접을 할 수 있으므로 오버 슛 특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점설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허메틱 써포트(120)는 정면에서의 형상이 “
Figure kpo00001
”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용접이 가능한 최소 크기의 형태이기 때문에 재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형의 비드 써포트(130)의 장점은 허메틱 어셈블리의 수직길이(H)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캐소드(12)의 열팽창에 따른 오버 슛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허메틱 지지체(100)의 조합이 완료되면 기존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허메텍 캡(40)과 용접을 해야하는데, 이때는 허메틱 캡의 결정화 글라스(60)가 위치한 부분을 상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판(113) 사이에 허메틱 캡이 삽입되도록 안착하고 고정판과 허메틱 캡을 스폿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허메틱 어셈블리를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허메틱 지지체(100)의 몸체(110)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하는데, 특히 니켈(Ni):40.5∼42.5%, 크롬(Cr):40.5∼42.5와 철(Fe):5∼9%로 구성된 합금재를 적용하여 열팽창계수를 최소화하였다.
도 7은 비드 써포트와 허메틱 지지체가 일체로 된 허메틱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다.
상기의 허메틱 지지체(200)는 몸체(210)의 상판(211)에 아이렛(15)이 삽입되도록 3개의 구멍(21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는 “T”자형의 고정판(213)이 수직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213)의 외면에는 이 고정판과 허메틱 캡(40)에 용접되는 허메틱 써포트(220)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허메틱 써포트(220)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고정판(213)에 용접되는 비드 써포트(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 써포트(230)의 양 측단에는 상기 몸체(210)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비드 써포터(231)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비드 글라스(30)와의 고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허메틱 써포트(220)의 정면 형상은 전술한바 있는 분리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메틱 써포트(220)의 양측 하부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고정판(213)의 두께만큼 함몰된 접합편(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측면에서 보면 상기 고정판(213)의 내측면과 접합편의 내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허메틱 써포트(220)를 포함한 허메틱 지지체(200)의 재질은 열팽창이 적은 스테인레스로 되며, 그 두께는 0.3∼0.4mm로 허메틱 지지체와 허메틱 써포트가 공통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전술한바 있는 일실시예에서의 허메틱 써포트(120)가 고정판(113)의 안쪽에 접합되기 때문에 조립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접합할때에는 조립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굳이 두께를 차별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허메틱 지지체(200)의 몸체(210)는 니켈(Ni):40.5∼42.5%, 크롬(Cr): 40.5∼42.5%와 철(Fe):5∼9%를 합금한 스테인레스재를 적용하여 열팽창을 최소화하였다.
첨부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의 허메틱 지지체(200)를 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판(213)의 외면에 허메틱 써포트(220)를 스폿용접 하는데, 이때 용접하는 부위는 각각의 상부 양측과, 비드 써포트(230)와 이와 접촉하는 고정판(213)부위를 스폿용접하여 고정함에 따라 허메틱 지지체(200)의 조합작업이 완료된다.
다음, 상기 허메틱 지지체(200)에 허메틱 캡(40)을 접합할때는 상기 양 고정판(213)의 내측으로 허메틱 캡의 상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허메틱 써포트(220)의 양측에 형성된 접합편(221)과, 이 접합편에 밀착되는 허메틱 캡(40) 부위를 함께 스폿용접함으로써 허메틱 어셈블리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체형의 비드 써포트(230)도 전술한 바 있는 분리형과 같이 설치된 위치가 중요시 되는데, 적어도 허메틱 지지체(200) 수직길이의 중앙부로부터 하부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그 이유는 전술한바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 써포트(230)가 보조 허메틱 써포트(200)와 일체형인 경우 적어도 이를 용접하기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0은 종래 허메틱 지지체와 본 발명의 허메틱 지지체를 적용했을 때의 오버 슛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선부분은 캐소드(12)에서 발생된 전류가 시간에 따라 안정화 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낸 선도로서, 이는 점선부분으로 나타낸 기존의 허메틱 지지체의 구조와 비교하여 안정화 되는 속도가 빠를뿐만 아니라, 기존에는 초기 전류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반면 본 발명은 초기 전류값이 저하되므로 휘도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허메틱 지지체의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음극선관의 초기 전원 인가시 스크린의 휘도 변화량이 작음에 따라 시각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캐소드 전류가 안정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아일릿을 지지하는 허메틱 캡과, 상기 허메틱 캡을 지지하며 허메틱 써포트와 비드 써포터가 구비된 허메틱 지지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허메틱 지지체가 아일릿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몸체와 허메틱 캡을 조합하기 위해 내외면이 각각 허메틱 캡과 몸체에 접합된 허메틱 써포트와,
    상기 허메틱 써포트에 대해 종방향을 이루도록 고정판의 외면에 접합된 비드 써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판의 정면 형상이 “T”자 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1 항에 있어서,
    허메틱 써포트의 정면 형상이 “
    Figure kpo00003
    ” 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에 있어서,
    비드 써포터를 고정판에 접합할 때 상기 허메틱 지지체 수직길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를 이루고 있는 금속판의 두께는 0.3∼0.4mm이고, 허메틱 써포트를 이루고 있는 금속판의 두께는 0.2∼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 1 항에 있어서,
    허메틱 지지체의 재질은 니켈이 40.5∼42.5%, 크롬이 40.5∼42.5%, 철이 5∼%의 함유된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아이렛을 지지하는 허메틱 캡과,
    상기 허메틱 캡을 지지하며, 허메틱 써포트와 비드 써포트를 구비한 허메틱 지지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허메틱 지지체가 아이렛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면에 접합되며, 양측에 상기 고정판의 두께만큼 내향으로 함몰되어 허메틱 캡과 접합되는 접합편으로 이루어진 허메틱 써포트와,
    상기 고정판과 접합되며, 상기 허메틱 써포트에 대해 종방향을 이루도록 접합편 사이에 허메틱 써포터와 일체형으로 된 비드 써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 7 항에 있어서,
    고정판의 정면 형상이 “T”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9. 제 7 항에 있어서,
    비드 써포트를 제외한 허메틱 써포트의 정면 형상이 “
    Figure kpo00004
    ” 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0. 제 7 항에 있어서,
    고정판에 허메틱 써포트를 접합하였을 때 비드 써포터가 상기 허메틱 지지체 수직길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하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1. 제 7 항에 있어서,
    비드 써포터의 두께가 0.3∼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2. 제 7 항에 있어서,
    허메틱 지지체의 재질은 니켈(Ni)이 40.5∼42.5%, 크롬(Cr)이 40.5∼42.5%, 철(Fe)이 5∼%의 함유된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70029745A 1997-06-30 1997-06-30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5A KR100223841B1 (ko) 1997-06-30 1997-06-30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5A KR100223841B1 (ko) 1997-06-30 1997-06-30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7A KR19990005547A (ko) 1999-01-25
KR100223841B1 true KR100223841B1 (ko) 1999-10-15

Family

ID=1951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745A KR100223841B1 (ko) 1997-06-30 1997-06-30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8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7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84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3487251A (en) Parallelogram mounting fixture for shadow mask
JPS63184243A (ja) カラ−受像管用電子銃
JPS63218126A (ja) カラ−受像管
US6265819B1 (en) Electron gun structure
RU209391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ожектора
JP2798644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100223839B1 (ko) 칼라 브라운관용 전자총의 음극지지체
JPH0668956B2 (ja) 陰極線管
KR910005219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US5767616A (en) Electron gun system for a color cathode-ray tube
KR930004103Y1 (ko) 전자총 전극
US6384524B1 (en) Inline electron gun with improved astigmatism for a cathode ray tube
KR200147984Y1 (ko) 브라운관 전자총의 전치전극
KR930004102Y1 (ko) 매립부 구조를 개선한 전자총 전극
KR910005848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조립치구
KR910007948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JP2646837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構体
KR017794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서포터
JPH0220748Y2 (ko)
KR100893614B1 (ko) 음극선관용 히터 지지구조
JPH01187744A (ja) カラー受像管
KR0131937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KR200145254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US4870320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electron gun with reduced convergence dr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