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662B1 -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662B1
KR100222662B1 KR1019960065916A KR19960065916A KR100222662B1 KR 100222662 B1 KR100222662 B1 KR 100222662B1 KR 1019960065916 A KR1019960065916 A KR 1019960065916A KR 19960065916 A KR19960065916 A KR 19960065916A KR 100222662 B1 KR100222662 B1 KR 10022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hange
sms
charg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423A (ko
Inventor
김현욱
김성일
이인홍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6006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6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직접적으로 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 무선통신망 등의 단전문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전화기의 요금변동사항을 무선통신교환기에서 무선전화기로 전송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요금변동 요인이 발생하면 요금변동사항을 전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요금변동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요금변동 메시지를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므로써, 자동으로 요금변동을 수행할 수 있고 잦은 요금변동에 대하여 빠른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요금변동사항 통보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 등에서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요금변동사항을 전송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택시, 버스 및 철도 등에 장착되어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전화기로서, 이동통신의 대중화와 더불어 매우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의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요금 방식은 이동통신망과 별도로 과금이 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요금변동 요인이 발생하면 각 단말기에 직접 변동 내용을 프로그래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동통신 사업의 경쟁으로 인하여 요금변동이 자주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단말기에 직접 변동 내용을 프로그램밍하는 요금 방식은 시간이 너무 지연되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공중무선전화기에 대한 요금변동사항을 이동통신망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접적으로 무선단말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무선통신망 등의 단전문서비스(SMS)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단말기의 요금변동사항을 무선통신교환기에서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변동사항 전송메시지의 포맷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대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
제7도는 IS-95-A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에 대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중통신망 12 : 메시지 센터
13 : 이동통신교환기 14 : 기지국
15 :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 적용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에 있어서, 요금변동 요인이 발생하면 메시지 센터(MC)는 무선통신교환기(MSC)를 통하며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은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상태와 채널 상태를 포함하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상기 무선통신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메시지 센터(MC)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수신하면 요금변동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교환기와 기지국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단전문서비스(SMS) 형태의 요금변동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교환기와 기지국의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요금변동 수신완료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고, 요금변동 메시지를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공중통신망, "12"는 메시지 센터, "13"은 이동통신교환기, "14"는 기지국, "15"는 단말기를 각각 나타낸다.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요금변동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시지 센터(12)는 이동통신교환기(13)와 접속하여 단전문서비스를 수행하고, 공중통신망(11)과 연결된 이동통신교환기(13)는 메시지 센터(12)와 연동하여 요금변동사항을 단전문서비스 포맷에 맞게 가공한 후에 채널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전화 기지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14)으로 전송하며, 가입자의 단말기(11)는 기지국(14)으로부터 요금변동사항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해당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14)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과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17)을 비유하여 단말기(15)로 요금변동사항들 전송한다. 특히,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이용할 경우에는 데이타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데이타 전송 메시지로 이용하여 단전문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15)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5)는 해당 메시지를 오류없이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역방향 채널인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16)을 이용하여 기지국(14)과 이동통신교환기(13)를 통해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예시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이동공중무선전화기, "22"는 차량용 핸즈프리, "23"은 전원부, "24"는 스피커, "25"는 마이크, "26"은 외부 안테나, "27"은 요금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택시, 버스 및 철도 등의 이동체에 장착되거나 일반 유선전화망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서 일반 공공용으로 사용된다. 향후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이러한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더불어 부가서비스 및 기타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금액을 요금표시부에 나타내게 되며, 사용자는 이를 현금으로 지불하게 된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공중무선전화기(21)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핸즈프리(Hands Free) 통화가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22)와 더불어 이를 지원하는 스피커(24), 마이크(25), 그리고 차량 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안테나(26)가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원하는 전원부(23)가 있다. 그리고, 통화관련 요금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요금표시부(27)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변동사항 전송메시지의 포맷도이다.
요금변동 지역코드(Region)(31)는 이동공중무선전화기에 대한 요금변동 지역사항을 표시하게 된다. 이는 2바이트로 구성되며, 국내와 국외 지역을 표시하게 된다. 국내 지역은 코드 '/ /'(2F)로 표시하고, 국외 지역은 코드 '--'(2D)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코드 '/ '와 코드 '-'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7비트 문자 세트(ISO 646-1983E)를 이용한다.
버젼(Ver)(32)은 요금관련 변동사항에 대한 버전을 나타내는 코드로서, 2바이트로 구성되며, 10진수 두자리로 구성하여 관리한다.
저장 규칙(Save rule)(33)은 해당 요금변동사항을 저장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요금변동사항을 완전히 변경하는 방법과 기존의 요금변동사항에 새로 변동된 요금변동사항을 덧붙이는 방법이 있다. 이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0"은 이전요금정보에 대한 완전한 갱신(updage)을 의미하며, "1"은 이전요금정보에 새로운 요금변동사항의 추가(append)를 의미한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에서는 기지국에서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를 전송하므로 단말기는 항상 실시간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을 이용하여 요금변동 개시일자와 시간을 전송하게 된다. 요금변동 개시일시 및 시간(Date/Time)(34)은 6바이트로 구성되며, 2바이트는 월, 그 다음 2바이트는 일, 마지막 2바이트는 시간을 나타낸다.
예) 092024 : 9월 20일 24시에 요금을 변동합니다.
요금제어코드(control code)(35)는 앞에서 정의한 요금변동 지역코드에 따라 국내요금 적용과 국제요금 적용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국내요금 적용은 국내 단일요금, 야간 할인요금 및 휴일 할인요금 등을 전송하는 코드이다. 이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하나의 십진수로 나타낸다. "1"은 국내 단일요금, "2"는 야간 할인요금, "3"은 휴일 할인요금을 각각 나타낸다.
국제요금 적용은 국가번호를 나타낸다. 국가번호 표시는 국제 표준화 기구(ITU-T)에서 국가별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국가번호는 3자리로 구성되며, 국가 구역별로 앞자리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미국은 "310"이고, 캐나다는 "302"이며, 영국은 "234"이고, 프랑스는 "208"이며, 한국은 "450"이다.
시간 도수(36)는 요금관련 하나의 도수에 대한 시간을 나타내며, 가격 도수(37)는 요금관련 하나의 도수에 대한 금액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도수는 32초에 100원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대한 설명도이다.
단전문서비스중에서 제3도에서 기술한 요금변동사항 전송메시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데이타 통신 표준안에 정의된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서 예약(reserved)된 항목을 이용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에 흐름도이다.
먼저, 요금변동 요인이 발생되면 메시지 센터(MC)(12)에서는 이를 단말기(15)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교환기(MSC)(13)로 요구 메시지인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15)를 전송한다(51). 이동통신교환기(MSC)(13)는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지국(BSC)(14)으로 전송한다(52).
기지국(14)은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상태와 채널 상태를 포함하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이동통신교환기(13)를 통하여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53,54).
메시지 센터(MC)(12)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수신하면 해당 요금변동 메시지를 이동통신교환기(13)와 기지국(14)을 통하여 단말기(15)로 전송한다(55,56,57). 이때,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3,14)에서는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하여 요금변동 메시지를 단말기(이동공중무선전화기)(15)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기(15)는 단전문서비스(SMS) 형태의 요금변동 메시지를 수신하여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단말기(15)는 단전문서비스(SMS)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하여야 하고,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단말기(15)는 요금변동 메시지의 정확한 수신여부를 메시지 센터(12)로 알리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3,14)의 역방향 채널인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이용하여 요금변동 수신완료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58,59,60).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이다.
요금변동사항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15)의 신호처리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15)는 기지국(14)으로부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61) 단전문서비스(SMS)인지를 판단한다(62). 이때, 단말기(15)는 데이타 전송메시지(data burst message : 00001001)를 인식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를 인식한다.
단전문서비스인지를 판단한 결과,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 아니면 제7도에 제시한 페이징 채널 메시지 타입에 의하여 처리하고(63),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면 제4도에 제시한 서비스 인식자(Telservice identifier)를 인식하여 요금변동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64).
요금변동 메시지인지를 판단한 결과, 요금변동 메시지가 아니면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따라 메시지 전송서비스, 생활정보서비스 및 VMS(Voice Mail System) 등과 같은 해당 단전문서비스(SMS)를 수행하고(65), 요금변동 메시지이면 기존 요금과의 변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66).
기존 요금과의 변동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요금변동 메시지가 이미 단말기(15)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 변동이 없으면 바로 종료하고, 변동이 있으면 요금변동 데이타를 제3도에서 정의한 요금변동 메시지 포맷으로 복호화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6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직접적으로 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무선통신망 등의 단전문서비스(SMS)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전화기의 요금변동사항을 무선통신교환기에서 무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자동으로 요금변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건비 절감 등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잦은 요금변동에 대하여 빠른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무선통신망에 적용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에 있어서, 요금변동 요인이 발생하면 메시지 센터(MC)는 무선통신교환기(MSC)를 통하여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은 요금변동 전송요구(SMS_R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상태와 채널 상태를 포함하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상기 무선통신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메시지 센터(MC)는 요금변동 전송가능 응답메시지(SMS_RQ_ACK)를 수신하면 요금변동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교환기와 기지국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단전문서비스(SMS) 형태의 요금변동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교환기와 기지국의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요금변동 수신완료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고, 요금변동 메시지를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요금변동 메시지를 요금변동 메시지 전송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전문서비스(SMS)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판단 결과, 단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 아니면 페이징 채널 메시지 명령에 따라 처리하고,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면 서비스 인식자(Telservice identifier)를 인식하여 요금변동 메세지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판단 결과, 요금변동 메시지가 아니면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따라 해당 단전문서비스(SMS)를 수행하고, 요금변동 메시지이면 기존 요금과의 변동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의 판단 결과, 요금변동이 없으면 바로 종료하고, 요금변동이 있으면 요금변동 데이타를 요금변동 메시지 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단전문서비스(SMS)를 판단하는 과정은, 데이타 전송메시지(data burst message : 00001001)를 인식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전문서비스(SMS)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채널은,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변동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요금변동 지역사항을 표시하는 요금변동 지역코드(Region) 필드; 요금관련 변동사항에 대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필드; 요금변동사항을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저장 규칙(Save rule) 필드; 요금변동 개시일시와 시간을 나타내는 요금변동 개시일시 및 시간(Date/Time) 필드; 상기 요금변동 지역코드에 따라 요금 적용을 제어하는 요금제어코드(control code) 필드; 요금관련 도수에 대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도수 필드; 및 요금관련 도수에 대한 금액을 나타내는 가격 도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규칙(Save rule) 필드는, 기존의 요금변동사항을 완전히 변경하는 코드 또는 기존의 요금변동사항에 새로 변동된 요금변동사항을 덧붙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또는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이동공중무선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KR1019960065916A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KR10022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16A KR10022266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16A KR10022266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23A KR19980047423A (ko) 1998-09-15
KR100222662B1 true KR100222662B1 (ko) 1999-10-01

Family

ID=1948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916A KR10022266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903A (ko) * 1996-09-12 1998-06-25 서정욱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903A (ko) * 1996-09-12 1998-06-25 서정욱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2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1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text and audio for sponsored calls
ES2225993T3 (es) Procedimiento de establecimiento de llamadas.
US6430406B1 (en) Credit information in a mobile phone
US652287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ell broadcast service
US6622017B1 (en) Over-the-air programming of wireless terminal features
US6526272B1 (en) Reducing calling costs for wireless phones using multiple mobile identification numbers
CZ351396A3 (en) Apparatus for transmission a message within a language and data processing communication network
US20140179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Phone No-Charge Transactions
US7146154B1 (en) Method of informing charging data to mobile terminal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50537A1 (en) Wireless pay telephone system us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cards
KR100216571B1 (ko) 코드분할다중 접속 통신망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KR100222662B1 (ko)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US6681105B1 (en) Mobile radiotelephone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used in such a system
KR100222663B1 (ko)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JPH06253359A (ja) 移動通信端末機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CN100550937C (zh) 一种在线式无线公话的实现方法
GB2324226A (en) Call Charge Notification for a mobile Subscriber
KR20010059671A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과금 내역 통지 방법
KR100771448B1 (ko) 개선한 단축 다이얼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단축다이얼 방법
KR10062780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BR9714173B1 (pt) sistema e processo para autenticação e privacidade no envio de tarifas de chamadas telefÈnicas celulares em serviços pré-pago público.
KR100358171B1 (ko) 무선통신망을이용한서비스이용요금내역부가서비스방법
KR100194755B1 (ko)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셀기반 양방향 무선데이타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1580A (ko) 단말,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