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732B1 -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732B1
KR100220732B1 KR1019970015946A KR19970015946A KR100220732B1 KR 100220732 B1 KR100220732 B1 KR 100220732B1 KR 1019970015946 A KR1019970015946 A KR 1019970015946A KR 19970015946 A KR19970015946 A KR 19970015946A KR 100220732 B1 KR100220732 B1 KR 10022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water
washing
we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422A (ko
Inventor
조영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기세척 시 세척조 내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통으로 세척수와 습식물이 혼합되어 집수될 때 습식물이 세척펌프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세척 시 발생되는 습식물을 펌핑력에 의해 한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습식물 탈수수단과,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에서 발생된 건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건식물 수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있으므로, 애벌세척을 없앰과 동시에 별도로 필터통을 분리 청소하는 불편함을 없앰은 물론, 배수되는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 시 발생되는 습식물(예컨대, 젖은 음식찌꺼기)을 한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고, 그 건식물(예컨대, 마른 음식찌꺼기)을 별도의 수납함에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에 필요한 식기류 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세척조(10)내의 상하 높이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는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의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을 향해 강한 물줄기를 다각도로 분사하여 식기류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 등을 세척하도록 상부 및 하부분사노즐(40)(50)이 각각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조(10)의 바닥 일측에는 세척조(10)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집수통(150)으로 세척수가 집수될 때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음식찌꺼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통(60)이 집수통(150)내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조(10)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집수통(150)으로 집수된 세척수를 상기 상부 및 하부분사노즐(40)(50)로 재순환시키거나 또는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베이스부재(70)를 매개로 세척펌프(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조(10)의 내벽 양측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이 세척조(10)의 일정높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안내레일(90)(10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조(10)의 전방에는 세척조(1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동작되는 도어(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조(10)내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세척조(10) 내부의 세척수를 뜨겁게 가열하도록 히터(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110)의 중간높이에는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제투입구(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10)의 상단에는 도어잠금수단(1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식기세척 시 식기에 묻어있던 습식물이 세척수와 함께 세척조(10)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집수통(150)으로 집수되면서 습식물은 집수통(150)내에 설치된 필터통(60)에 의해 필터링되고, 세척수는 세척펌프(80)로 유입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식기세척이 끝난 후 필터통(60)을 별도로 분리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통(60)내에 들어있는 습식물의 수분을 없앤 다음 쓰레기봉투에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식기세척 시 많은 량의 세척수(예컨대, 12인용을 기준으로 할 때 30l의 세척수가 사용됨)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하수구로 배수되기 때문에 물의 낭비가 심하게 발생되었다.
또, 식기세척 전 식기에 남아있는 소형 습식물을 별도로 애벌세척(수작업)을 한 후, 그 식기를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에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 시 애벌세척을 없앰과 동시에 별도로 필터통을 분리 청소하는 불편함을 없앰은 물론, 배수되는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는, 식기세척 시 세척조 내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통으로 세척수와 습식물이 혼합되어 집수될 때 습식물이 세척펌프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세척 시 발생되는 습식물을 펌핑력에 의해 한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습식물 탈수수단과,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에서 발생된 건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건식물 수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찌꺼기 탈수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음식찌꺼기 수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조 80 : 세척펌프
150 : 집수통 200 : 습식물 탈수수단
210 : 캐비넷 211 : 안내레일
220 : 제1필터관 221 : 제2필터관
230 : 제1배수펌프 240 : 탈수통
241 : 관통홀 242 : 탈수축
243 : 필터통 250 : 배수통
260 : 구동부 261 : 탈수모터
262 : 모터축 263 : 구동풀리
264 : 벨트 265 : 종동풀리
270 : 제1덮개판 280 : 유로관
290 : 제2덮개판 300 : 열풍발생부
301 : 덕트 302 : 송풍모터
303 : 송풍팬 304 : 히터
305 : 호스 320 : 제2배수펌프
400 : 건식물 수납수단 410 : 캐비넷수납공간
411 : 후크돌기 420 : 캐비넷
412 : 후크돌기 430 : 쓰레기봉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은, 식기세척 시 발생되는 습식물을 펌핑력에 의해 한 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상기 세척조(10)의 일측에 설치된 습식물 탈수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200)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0)의 외부 일측 하단에 서랍방식으로 트레이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캐비넷(210)과, 식기세척 시 상기 집수통(150)을 통과하는 습식물이 상기 세척펌프(80)로 유입되지 않게 필터링하도록 집수통(150)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필터관(220)(221)과, 식기세척이 끝난 후 상기 집수통(150)으로 집수된 세척수와 습식물을 펌핑하도록 상기 캐비넷(210)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배수펌프(230)와, 상기 배수펌프(230)의 배수되는 세척수와 습식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캐비넷(210)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탈수통(240)과, 상기 탈수통(240)을 회전 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집수한 후 배수시키도록 탈수통(240)의 외부에 설치된 배수통(250)과, 상기 탈수통(240)을 저속 또는 고속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넷(210)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부(260)와, 상기 캐비넷(21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미닫이방식으로 설치된 제1덮개판(270)과, 상기 배수통(25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10)내에서 유로관(280)을 통하여 배수되는 습식물과 세척수를 상기 탈수통(240)의 상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제2덮개판(290)과, 상기 탈수통(240)내에서 탈수가 끝난 습식물이 상기 배수통(250)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상기 캐비넷(2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열풍발생부(300)와, 상기 배수통(250)의 배수통로를 개폐함과 동시에 배수통(250)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강제 배수시키도록 설치된 제2배수펌프(3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캐비넷(210)은 서랍방식의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도록 캐비넷수납공간(S)의 바닥 일측과 캐비넷(210)의 바닥 일측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안내레일(2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부 정면에는 손잡이(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필터관(220)(221)의 둘레는 상기 집수통(150)내에 집수된 습식물이 상기 세척펌프(80)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필터링하도록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하부는 상기 집수통(150)내에 집수된 습식물이 전량 제1배수펌프(230) 측으로 배수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관(221)은 상기 제1필터관(220)에서 필터링하지 못한 미세입자의 습식물을 필터링하도록 제1필터관(220)의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배수펌프(230)에는, 그 일측이 상기 집수통(150)의 바닥에서 연장된 배수통로(151)의 끝단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유로관(28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탈수통(240)에는 그 둘레에 다수개의 관통홀(2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하부면에는 상기 배수통(250)의 바닥을 회전 자유롭게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260)에 연결되도록 탈수축(242)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탈수통(240)내에는 상기 유로관(280)을 통해 낙하되는 습식물을 전량 수용하여 탈수통(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습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키도록 착탈이 용이한 필터통(2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통(250)의 하단 후측에는 배수통(250)내에 집수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구(2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높이의 후측에는 배수통(250) 내에서 순환된 폐열풍과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2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구(251)(252)의 끝단에는 상기 캐비넷(210)이 전방으로 트레이될 때 서로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플랙시블형 배수 및 배출호스(310)(31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호스(310)의 중간 단에는 배수통(250)내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개폐하는 상기 제2배수펌프(32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배수펌프(320)는 캐비넷수납공간(5)내의 후측 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260)는,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캐비넷(2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탈수모터(261)와, 상기 탈수모터(26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그 모터축(262)에 고정된 구동풀리(263)와, 상기 구동풀리(263)의 동력을 벨트(264)를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탈수통(240)의 탈수축(242)에 고정된 종동풀리(26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덮개판(270)은, 상기 캐비넷(210)의 상부 개구측을 미닫이방식으로 커버하도록 2개의 부재가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280)은 상기 캐비넷(210)이 트레이될 때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기 캐비넷(210)과 캐비넷수납공간(S)과의 후측간극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그 하측단이 상기 배수펌프(230)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측단이 상기 제2덮개판(290)을 통해 탈수통(2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덮개판(290)은, 상기 배수통(250)의 상부 개구에 대하여 후측을 커버하는 고정덮개(291)와, 상기 배수통(250)의 상부 개구에 대하여 전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탈수통(240)내에 습식물을 넣거나 또는 건식물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덮개(291)의 전측단에 힌지 결합된 회전덮개(29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회전덮개(292)의 중앙에는 상기 유로관(28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습식물이 탈수통(240)으로 안내되도록 깔대기형상의 관통구(29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풍발생부(300)는, 상기 캐비넷수납공간(S)의 후측 내벽에 고정된 덕트(301)와,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덕트(301)내에 설치된 송풍모터(302) 및 송풍팬(303)과, 전원을 인가받아 히팅되면서 상기 송풍팬(303)의 송풍력에 의해 덕트(3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더운 공기로 열 교환시키도록 덕트(301)내에 설치된 히터(304)와, 상기 덕트(301)내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수통(250)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덕트(301)와 배수통(250)을 연결하는 호스(305)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호스(305)는 상기 캐비넷(210)이 전방으로 트레이될 때 덕트(301)와 배수통(250)과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는 플랙시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400은,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200)에서 발생된 건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10)의 일측에 설치된 건식물 수납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건식물 수납수단(400)은,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0)의 외부 일측 상단에 정면이 개구되도록 설치된 캐비넷수납공간(410)과, 상기 캐비넷수납공간(410)내에서 서랍방식의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캐비넷(420)으로 이루어전 있다.
이때, 상기 캐비넷수납공간(410)의 개구측 천정과 상기 캐비넷(420)의 개구측 정면내측벽에는 캐비넷(420)을 열고 닫을 때 종량제 쓰레기봉투(430)의 개구가 개폐되도록 종량제 쓰레기봉투(430)의 개구 일측을 각각 대응되게 걸을 수 있는 복수개의 후크돌기(411)(42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식기세척을 위하여 전원스위치(도시 안됨)를 온 동작시킴과 동시에 급수버튼(도시 안됨)을 누르면, 식기세척에 필요한 원수(세척수)가 세척조(10)의 내부로 급수되면서 적정수위에 도달되고, 세척펌프(80)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세척수는 세척조(10)의 상하부로 각각 양분되어 공급된다.
이때, 세척조(10)의 상부로 공급된 세척수중 일부는 픽업파이프(부호 도시 안됨)를 통하여 상부바스켓(20)의 상부로 분사되고, 나머지 세척수는 워터컬럼(도시 안됨)에 공급되어 상부노즐(40)에 낙하되면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부노즐(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노즐(40)의 상면과 하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구(부호 도시 안됨)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분사하게 되며, 이 세척수는 상부바스켓(20)에 장착된 다수개의 식기에 집중 분사됨으로써 식기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조(10)의 하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하부노즐(50)에 공급되어 하부노즐(50)을 회전시임과 동시에 하부노즐(50)의 상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분사됨으로써 하부바스켓(30)에 장착된 다수개의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음식찌꺼기는 세척수와 함께 세척조(10)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통(150)으로 집수됨과 동시에 집수통(150)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필터관(220)(221)에 의해 필터링됨으로써 세척펌프(80)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세척수는 제1 및 제2필터관(220)(221)의 둘레부를 통과하여 세척펌프(80)로 다시 공급되는 순환싸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식기세척이 이루어진다.
한편, 식기세척이 완료한 후 소비자가 배수펌프(230)를 가동시키면, 집수통(150)에 집수된 음식찌꺼기는 제1배수펌프(230)의 펌핑력에 의해 세척수와 함께 제1 및 제2필터관(220)(221)의 하부측 개구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1배수펌프(230)를 거쳐 유로관(280)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유로관(280)에서 배출되는 음식찌꺼기와 세척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덮개판(290)의 관통구(293)의 안내를 받아 탈수통(240)의 내부로 낙하 공급되면서 음식찌꺼기는 탈수통(240)내에 수용되고, 세척수는 탈수통(240)의 둘레와 바닥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41)을 통하여 배수통(250)내에 저장된다.
이때 식기세척하기 전에 먹다 남은 대형 음식찌꺼기를 수거하여 탈수통(240) 내에 수작업으로 집어넣거나 또는 식기세척시 제1배수펌프(230)를 가동시켜 탈수통(240)내에 소형 음식찌꺼기를 수거한 상태에서 탈수모터(261)를 수초간 저속으로 구동시키면, 이 탈수모터(261)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262)에 고정된 구동풀리(263)가 회전되면서 벨트(264)를 매개로 종동풀리(26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종동풀리(265)에 고정된 탈수축(242)을 회전시킴으로써 탈수통(240)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탈수통(240)과 함께 내부에 수용된 음식찌꺼기가 동시 회전되면서 배수통(250) 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흐름을 와류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음식찌꺼기 중에 함유된 양념 등의 미세 찌꺼기는 와류를 형성하는 세척수의 물살에 의해 씻기게 됨으로써 음식찌꺼기의 량이 축소됨은 물론 배수되는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탈수모터(261)가 정지되고 음식찌꺼기의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제2배수펌프(320)는 온 동작되면서 배수통(250)과 연결된 배수호스(310)의 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높은 압력의 펌핑력으로 배수통(250)내의 저장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수통(250)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탈수모터(261)는 다시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상술한 동력전달에 의해 탈수통(240)을 다시 한번 회전시키게되고, 이 탈수통(24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따라 음식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탈수통(24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41)을 통하여 튀어나가면서 탈수된 음식찌꺼기만이 탈수통(240)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 탈수모터(261)는 음식찌꺼기의 탈수가 완료되면, 고속에서 저속으로 회전수가 전환되면서 탈수통(240)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 신호를 전달받아 열풍발생부(300)의 송풍모터(302)와 히터(304)가 가동하게 된다.
즉, 송풍모터(302)가 가동되면, 이 송풍모터(302)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덕트(301)의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히터(304)에서 발생되는 히팅 열에 의해 더운 공기(열풍)로 열 교환되면서 덕트(301)와 상기 배수통(25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305)를 통하여 배수통(25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배수통(250)의 내부로 유입된 더운 공기는 캐비넷(210)과 배수통(250)의 상부측 개구를 커버하는 제1 및 제2덮개판(270)(290)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고 배수통(250)내에서 점차 높은 온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저속 회전되는 탈수통(240)의 내부로 집중 침투되면서 음식찌꺼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음식찌꺼기를 건조할 때 생기는 폐열풍과 악취는 배수통(250)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호스(311)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탈수통(240)내에서 탈수 및 건조가 끝난 음식찌꺼기를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캐비넷(210)의 정면에 설치된 손잡이(212)를 이용하여 캐비넷(21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이 캐비넷(210)은 그 하부에 설치된 안내레일(211)의 동작에 따라 캐비넷수납공간(S)으로부터 일정거리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캐비넷(210)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제1덮개판(270)을 미닫이방식으로 열어서 개구 전방측을 개방시킨 다음, 배수통(250)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제2덮개판(290)의 회전덮개(292)를 여닫이방식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열어서 배수통(250)의 개구 전방측을 개방시키고, 탈수통(240)내에 건조된 음식이꺼기를 끄집어낸다.다음에, 습식물 탈수수단(200)에서 탈수 및 건조된 일정량의 음식찌꺼기를 건식물 수납수단(400)내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420)을 열면, 캐비넷(420)의 전단측과 캐비넷수납공간(410)의 전단측과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캐비넷(420)의 상부 개구측이 외부로 개방됨과 동시에 캐비넷(420)의 전단측 내벽과 캐비넷수납공간(410)의 전단측 천정에 각각 돌설된 복수개의 후크돌기(421)(411)에 의해 고정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430)의 입구가 동시 개방됨으로써 건조된 음식찌꺼기를 넣을 수 있게 되고, 캐비넷(420)을 닫으면 상기 후크돌기(411)(421)들이 서로 좁혀지면서 이들 후크돌기(411)(421)에 의해 고정된 종량제 쓰레기봉투(430)의 입구가 폐쇄된다.
그리고, 습식물 탈수수단(200)에서 건조된 음식찌꺼기를 매번 수거하여 종량제 쓰레기봉투(430)에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지면, 사용자는 종량제 쓰레기봉투(430)를 후크돌기(411)(421)로부터 분리하여 한꺼번에 버린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식기세척시 발생되는 습식물을 한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고, 그 건식물을 별도의 수납함에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애벌세척을 없앰과 동시에 별도로 필터통을 분리 청소하는 불편함을 없앰은 물론, 배수되는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식기세척 시 세척조 내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통으로 세척수와 습식물이 혼합되어 집수될 때 습식물이 세척펌프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세척 시 발생되는 습식물을 펌핑력에 의해 한곳으로 수거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습식물 탈수수단과,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에서 발생된 건식물을 보관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아질 때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설치된 건식물 수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물 탈수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캐비넷수납공간내에서 서랍방식으로 트레이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캐비넷과, 식기세척 시 상기 집수통을 통과하는 습식물이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되지 않게 필터링하도록 집수통 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필터관과, 식기세척이 끝난 후 상기 집수통으로 집수된 세척수와 습식물을 펌핑하도록 상기 캐비넷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제1배수펌프와, 상기 제1배수펌프의 배수되는 세척수와 습식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캐비넷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회전 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집수한 후 배수시키도록 탈수통의 외부에 설치된 배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저속 또는 고속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넷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탈수통 내에서 탈수가 끝난 습식물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상기 캐비넷수납공간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열풍발생부와, 상기 배수통 내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넷수납공간 내에 설치된 제2배수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쓰레기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도록 캐비넷수납공간의 바닥 일측과 캐비넷의 바닥 일측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안내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필터관은 습식물이 상기 세척펌프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필터링하면서 습식물이 전량 제1배수펌프 측으로 배수되도록 상 하단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관은 상기 제1필터관에서 필터링하지 못한 미세입자의 습식물을 필터링하도록 제1필터관의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 내에는 낙하되는 습식물을 전량 수용함과 동시에 탈수통과 함께 회전되면서 습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키도록 착탈이 용이한 필터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캐비넷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탈수모터와, 상기 탈수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그 모터축에 고정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벨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탈수통의 탈수축에 고정된 종동풀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상부에는 그 개구측을 미닫이방식으로 커버하도록 2개의 부재가 서로 겹쳐지는 제1덮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상부에는 그 개구측을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 내에서 유로관을 따라 배수되는 습식물과 세척수를 상기 탈수통의 상부로 안내하도록 제2덮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10.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은 상기 캐비넷이 트레이될 때 간섭을 주지 않도록 캐비넷과 캐비넷수납공간과의 후측간극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그 하측단이 상기 제1배수펌프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측단이 상기 탈수통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부는, 상기 캐비넷수납공간의 후측 내벽에 고정된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된 송풍모터 및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덕트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더운 공기로 열 교환시키도록 덕트 내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덕트 내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수통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덕트와 배수통과의 사이에 설치된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캐비넷이 전방으로 트레이될 때 덕트와 배수통과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는 플랙시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물 수납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외부 일측 상단에 정면이 개구되도록 설치된 캐비넷수납공간과, 상기 캐비넷수납공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캐비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수납공간의 개구측 천정과 상기 캐비넷의 개구측 정면 내측벽에는 캐비넷을 열고 닫을 때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개구가 개폐되도록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개구 일측을 각각 대응되게 걸을 수 있는 복수개의 후크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1019970015946A 1997-04-28 1997-04-28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10022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46A KR100220732B1 (ko) 1997-04-28 1997-04-28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46A KR100220732B1 (ko) 1997-04-28 1997-04-28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422A KR19980078422A (ko) 1998-11-16
KR100220732B1 true KR100220732B1 (ko) 1999-09-15

Family

ID=1950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946A KR100220732B1 (ko) 1997-04-28 1997-04-28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56B1 (ko) * 1997-10-29 2004-10-14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음식물찌거기 건조장치 및 제어방법
CN109907715A (zh) * 2019-04-12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42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KR102056060B1 (ko) 싱크대 배수구 자동세척 장치
RU2223025C2 (ru) Пылесос с циркуляцией воды
JP200908994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31164A (ko) 건조 세탁기
JP6037500B2 (ja) 洗濯乾燥機
US3769818A (en) Lint filter for washing machine
CA1059334A (en) Lint filter for automatic washer
CN206630569U (zh) 用于清洗装置的旋转喷臂及应用有该旋转喷臂的清洗装置
KR100220732B1 (ko) 식기세척기의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196942Y1 (ko) 식기세척기
JP395923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075249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having washing liquid filtering means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JPH04215736A (ja) 食器洗浄機
KR20230151590A (ko) 건조통 착탈과 악취제거 및 트윈건조 기능의 빌트-인형 음식물 처리기
JP5046417B1 (ja) 食品洗浄用脱水カゴの水洗方法及び水洗装置
KR102336985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216991Y1 (ko) 다목적 주방용 씽크대
CN214549321U (zh) 一种碗筷清洗一体机
CN207660048U (zh) 一种具有垃圾处理功能的厨房柜台
JP2715231B2 (ja) 食器洗浄器
JP2004344385A (ja) 食器洗浄機
KR200237847Y1 (ko) 식기세척기 냄새제거장치
JPH08299852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