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917B1 -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917B1
KR100219917B1 KR1019950019913A KR19950019913A KR100219917B1 KR 100219917 B1 KR100219917 B1 KR 100219917B1 KR 1019950019913 A KR1019950019913 A KR 1019950019913A KR 19950019913 A KR19950019913 A KR 19950019913A KR 100219917 B1 KR100219917 B1 KR 10021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ethylene
mixtur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384A (ko
Inventor
송병규
백덕만
강상용
Original Assignee
이정국
대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대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1995001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917B1/ko
Publication of KR97000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90 내지 10 중량부로된 플러에틸렌 혼합물 100 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와 산화 안티몬의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금속수화물 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안정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가연성 재료의 전기적 절연성, 장기 내후성,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연소시 용융 낙하가 없는 UL94 Vo 등급의 난연성을 갖고, 저온 내충격성 및 내트래킹성이 우수하면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와는 달리 형상 유지성과 압축, 사출 성형시 유동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Description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난연성 첨가제, 금속수화물, 상용화제 및 수지안정제가 첨가되어 전기적 절연성, 장기 내후성, 기계적 특성, 난연성, 저온 내충격성 및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는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전선로에서 충전부의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덮개, 가공 배전선로에서 사용되는 25 KV 컷아우트스위치 1차측의 외물 접촉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컷아우트 스위치용 상부덮개, 가공 배전선로의 애자 상단에 전선바인드시 절연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바인드용 전선 덮개, 및 변압기에서 수용기로 분기된 인입선에 설치된 전선 휴즈 지지대등에 사용된다.
최근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화재에 대비해 난연성 플라스틱의 수요가 중가하면서 가연성 재료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난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52255/1986에서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에딜렌, 염소화 파라핀, 삼산화 안티몬 및 금속수화물을 혼합해서 제조한 난연성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이경우, 내트래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수화물의 함량을 중가시키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유동성 저하현상이 나타나며, 금속수화물과 주재(主材)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성형 가공시 180℃ 근방에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분해가 일어나 장시간 성형 가공시 금형 내부에 분해 물질이 끼어 성형품의 이형성이 떨어지며, 냉각 시간이 길어져 단위시간당 제품 생산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조성물에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중밀도 폴리에틸렌이므로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50 중량부 이상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신장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나, 강인성이 떨어져 장시간 일정 하중하에서 사용시 변형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제성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339449/1993호에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금속수화물, 할로겐 함유 화합물, 삼산화 안티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안정제, 염소화 파라핀과 아미드의 혼합물 등을 혼합해서 제조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염소화 폴리에틸렌 혼합물의 사용으로 난연성 조성물의 강인성은 증가되었으나 저온(-30℃) 충격성이 취약하며, 염소화 파라핀과 아미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성형 가공시의 상박리 현상과 유동성을 증가시켰으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40 중량부 이상 사용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내트래킹성 등 전기 절연성에 대단 언급은 전혀 없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78530/1993호 및 제 18432/1990호에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할로겐 함유 난연제, 삼산화 안티몬, 금속수화물, 안정제 등이 혼합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와 금속수화물이 다량으로 첨가되어 주재와의 상용성이 떨어져서 기계적 특성의 저하를 유도하게 되며 유동성이 떨어져 성형가공의 어려움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연성 재료의 전기적 절연성, 장기 내후성,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연소시 용융 낙하가 없는 UL94 V0등급의 난연성을 갖고, 저온 내충격성 및 내트래킹성이 우수하면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와는 달리 형상 유지성과 압출, 사출 성형시 유동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90 내지 10 중량부로 된 폴리에틸렌 혼합물 100 증량부,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와 산화 안티몬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금속수화물 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안정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성분은 ASTM D-1238 방법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가 0.01 내지 30 g/10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g/10분이며, ASTM D-792 방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90 내지 0.970 g/cm3, 바람직하게는 0.890 내지 0.950 g/10cm3인 것이다.
또한 염소화 폴리에틸렌 성분은 염소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인 것이다.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 중의 염소함유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얻어진 조성물의 인장 특성 및 난연성이 좋지 않고, 염소 함유량이 50 중량% 보다 높으면 난연성은 우수하지만 내충격성, 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ASTM D-1646 방법으로 측정한 무니(Mooney) 점도(ML1+4, 121℃)가 3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이며, ASTM D-792로 측정한 밀도가 1.05 내지 1.30 g/cm3이다.
본 발명에 조성물에는 난연성분으로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와 산화 안티몬의 혼합물이 상기 폴리에틸렌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이들은 산화 안티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 2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폴리디브로모페닐렌옥사이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화 안티몬으로는 삼산화 안티몬 또는 오산화 안티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는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와의 난연성 상승효과 및 전기적 절연성의 증진을 의하여 금속수화물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금속수화물은 폴리에틸렌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 중량부 사용되며, 평균 입경은 0.7 내지 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 또는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평균 입경이 0.7㎛ 미만인 것은 주재와의 분산성이 나빠져서 인장 특성이 떨어지며, 평균 입경이 5.0㎛ 보다 큰 것은 내충격성 및 내트래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금속수화물과 난연성 첨가제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를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부 사용한다. 상기 상용화제로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극성 단량체를 도입한 후 분산성 향상 등을 위하여 일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때 극성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무수물,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말레오피마린산, 무수테트라히드로프탈산,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인산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는 극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폴리을레핀과 함께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시켜 공중합체를 얻는 폴리올레핀 용용반응법과,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극성단량체, 중합개시제 및 폴리올레핀을 용해시켜 공중합체를 얻는 용액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성형 가공시 내열 산화방지 효과를 주기 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정제로는 내열 산화안정제인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에폭시 화합물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형성, 흐름성 개선제로서의 실리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로서 안료, 예를 들면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흑분말이 첨가될 수 있는데, 이때 분말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60nm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30 nm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말명균입경이 60nm보다 큰 경우에는 전기 절연성에 나쁜 영향을 주며, 10nm미만의 경우에는 분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본블랙은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필요시 흑색 이외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자외선 안정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헨셀믹서, 니더, 반버리 믹서,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 등과 같은 통상적인 혼합 설비를 이용하여 170 내지 22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가연성 재료의 전기적 절연성, 장기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연소시 용융 낙하가 없는 UL94 Vo 등급의 난연성을 갖고, 저온 내충격성 및 내트래킹성이 우수하고.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와는 달리 형상 유지성과 압출, 사출 성형시 유동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전선로의 절연덮개, 컷아우스트 스위치용 상부덮개, 바인드용 전선덮개, 전선휴즈 지지대 등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적용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상용화제, 난연성 첨가제, 금속수화물, 안정제 및 안료가 사용된다.
1. 폴리에틸렌
PE(1) : 밀도가 0,92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5g/10분(190℃/21.6kg에서 측정)인 것(대림산업(주), 대림포리 LL--08).
2. 염소화 폴리에틸렌
PE(2) : 밀도가 1.2lg/㎤이고, 염소함량이 40 중량%이며, 용융흐름지수가 25g/10분(18℃/21.6kg에서 측정)인 것(소화전공. 404B).
3. 상용화제
CA : 극성 단량체로 무수말레인산을 사용하여 용융반응법으로 제조한 것으로 밀도가 0.947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20g/10분 인것(대림산업(주))
4. 난연성 첨가제
FR(1) : 브롬함량이 67%이고, 비중이 2.7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FR(2) : 평균입경이 0.7㎛이고, 비중이 5.6인 삼산화안티몬.
5. 금속수화물
ATH : 평균입경이 1㎛이고, 비중이 2.42인 수산화알루미늄을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실란으로 표면 처리한 것.
6. 안정제
AO(1) :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YOSHITOMI SR)
AO(2) : 실리콘화합물(럭키디씨실리콘, LS1414)
7. 안료
C/B : 안료로써 비표면적 140M2/g, 평균염경 19nm인 것(캐보트, 벌칸 9A32)
(실시예 1)
PE(1) 70중량부 및 PE(2) 30중량부로 구성된 폴리에틸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A 5중량부, ATH 12중량부, FR(1) 5중량부, FR(2) 15중량부. AO(1) 0.4증량부, AO(2) 0.6중량부 및 C/B 3.0중량부를 온도조절이 되는 건식혼합기(혠셀믹서)에서 혼합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합하였다. 이축 압출기의 배럴은 10개 부분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도 범위는 170 내지 220℃ 스크류 회전속도는 200에서 230 RPM로 조절하였다. 압출기의 다이(die)를 거친 스트랜드(strand)를 냉각수조에서 냉각시키고, 펠렛타이져에 의하여 2차 가공이 용이한 펠렛형태로 절단하였다. 이들 펠렛을 사출 성형기(금성전선(주) IDE90EN, 스크류 직경 : 36mm, 사출량 : 119g)를 이용하여 인장특성 시험, 가열변형 시험, 내한성 시험 및 난연성 시험용 시편을 성형하였다. 또한 압축성형기(Wabash사)를 이용하여 내트래킹성 시험용 시편을 성형하였다. 압축 및 사출 성형된 시편은 다음과 같은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KS M 6518의 4항에 따라 시험하였다(시험편 : 아령형 3호형, 인장속도 : 200mm/분).
(2) 가열변형 시험
시험편(10 X 30mm, 두께 : 3mm)을 가열변형 시험기를 이용하여 75±3℃의 항온조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시험편을 평행판 사이에 놓고 1kg의 힘을 가하여 1시간 경과후의 두께를 측정하고 다음식에 의해 감소율을 구하였다.
감소율=((가열전 두께 - 가열후 두께)/가열전 두께)) X 100
(3) 내트래킹성 시험
KSC 3004의 15항에 따라 시험하였다(시편 : 150 X 25mm, 두께 : 3mm).
(4) 내한성 시험
-20±2℃의 항온조에 넣어 2시간 냉각 시킨 후 꺼내어 상온에서 약 30 분간 방치후 균열, 변형 등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시편 : 100 X 100mm, 두께 : 1.5mm).
(5) 내충격성 시험
ASTM D-645에 따라 시험하였다(측정온도 : -저온(-30℃), -상온(23℃)).
물성 결과에 있어서 인장 특성은 조성물의 강인성과 관련된 인자로서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강도는 상온 및 저온에서 제조된 성형품이 충격 에너지에 견디는 정도에 대한 척도가 되며, 내트래킹성은 일정전압(4,000V)하에서 조성물이 탄화되어 절연성을 상실하는 척도가 되며 이값이 클수록 전기적 성질은 우수하다. 난연성은 조성물의 자기 소화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V0가 V1및 V2에 비해서 자기 소화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가열변형성과 내한성은 일정온도하에서 조성물의 형상 유지성을 나타낸다.
또한 5개의 시편(127 X 12.7mm, 두께 : 3mm)을 1개조로 하여 UL94 수직연소 시험법에 따른 난연성 및 용융 낙하를 측정하였으며, 성형 가공성은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편(100 X 100mm, 두께 : 1.5mm)을 제작하여 플로우 마크(flow mark) 및 가스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성물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와 같았다.
[표 1]
상기 결과에서 보둣이, 다량의 금속 수화물과 난연성 첨가제가 혼합된 경우에는 상용화제의 첨가로 인하여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우수한 인장 특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할로겐계 난연제를 적절히 배합합으로써 용융 낙하가 일어나지 않고 난연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
조성물의 사용량 및 종류를 하기 표 2와 같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표 2]
*1): 표면처리하지 않은 ATH임.
[표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폴리에틸렌 혼합물의 인장특성과 저온 충격성이 향상되고,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금속수화물을 사용하여 내트래킹성이 향상되고 고온에서도 금속수화물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안정제의 첨가로 성형가공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딜렌 90 내지 10 중량부로 된 폴리에틸렌 혼합물 100 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와 산화 안티몬의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부, 금속수화물 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 1 내지 30 중량부 및 안정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감하는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용융흐름지수 0.01 내지 30g/10분 및 밀도 0.890 내지 0.970g/cm3인 것이고,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이 염소 함유량 20 내지 50 중량%, 무니 점도(ML1.4, 121℃) 30 내지 120 및 밀도 1.05 내지 1.30g/cm3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료겐계 난연성 첨가제와 산화 안티몬의 혼합물이 산화 안티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 2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계 난연성 첨가제가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 폴리디브로모페닐렌옥사이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산화 안티몬이 삼산화 안티몬 또는 오산화 안티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수화물이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평균 입경이 0.7 내지 5.0㎛ 인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수화물이 설란 포는 스테아르산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가 폴리올레핀 주재에 극성 단량제를 도입한 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한 것이고, 상기 극성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말레오피마린산 또는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에폭시화합물, 폴리테트라풀루오로에틸렌, 실리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내지 8 항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절연재료 성형품.
KR1019950019913A 1995-07-07 1995-07-07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21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913A KR100219917B1 (ko) 1995-07-07 1995-07-07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913A KR100219917B1 (ko) 1995-07-07 1995-07-07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384A KR970006384A (ko) 1997-02-19
KR100219917B1 true KR100219917B1 (ko) 1999-09-01

Family

ID=1942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913A KR100219917B1 (ko) 1995-07-07 1995-07-07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78A (ko) * 1998-09-02 2000-04-06 유현식 차수막 시트용 수지조성물
KR20000033760A (ko) * 1998-11-25 2000-06-15 유현식 고압 전력선 절연카바용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20020029178A (ko) * 2000-10-12 2002-04-18 권문구 무독성 난연성 절연 물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28B1 (ko) * 2010-02-17 2017-01-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78A (ko) * 1998-09-02 2000-04-06 유현식 차수막 시트용 수지조성물
KR20000033760A (ko) * 1998-11-25 2000-06-15 유현식 고압 전력선 절연카바용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20020029178A (ko) * 2000-10-12 2002-04-18 권문구 무독성 난연성 절연 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384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394B1 (ko) 절연전선
KR101357170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BRPI0912414B1 (pt) composição polimérica semicondutora, uso da mesma e cabo de energia
US5191004A (en) Flame retardant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US5225469A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EP0370517A2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US5256489A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CA2072195C (en) Non-tarnishing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EP3936556B1 (en) Flame-retardant, moisture-cured wire and cable constructions with improved glancing impact performance
WO2012167926A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JPS632290B2 (ko)
KR100219917B1 (ko)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11001495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5589413B2 (ja) 難燃剤、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CN117616080A (zh) 阻燃聚合物组合物
EP0472035A2 (en) Flame retardant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s
KR100213892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WO2018085366A1 (en) Flame-retardant, moisture-cured wire and cable constructions with improved glancing impact performance
US20120241189A1 (en) Flame retardant,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JP5564850B2 (ja) 難燃剤、難燃性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KR100654015B1 (ko) 압출성이 개선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WO2024107553A1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BR112019017232B1 (pt) Construções de fios e cabos retardantes de chama curados por umidade com performance de impacto visual aprimorada
KR20000033760A (ko) 고압 전력선 절연카바용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200006358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