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906B1 - 수냉식 원심 분리기 - Google Patents

수냉식 원심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906B1
KR100219906B1 KR1019920021825A KR920021825A KR100219906B1 KR 100219906 B1 KR100219906 B1 KR 100219906B1 KR 1019920021825 A KR1019920021825 A KR 1019920021825A KR 920021825 A KR920021825 A KR 920021825A KR 100219906 B1 KR100219906 B1 KR 10021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entrifuge
steam
hopp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659A (ko
Inventor
마이클가르카웨
Original Assignee
잭 이. 데온즈
포스터휠러에너지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잭 이. 데온즈, 포스터휠러에너지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잭 이. 데온즈
Publication of KR93000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22B37/146Tube arrangements for ash hoppers and grates and for combustion chambers of the cyclone or similar type out of the f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with heating or cooling, e.g. quenc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ly one medium being tubes having parts touching each other or tubes assembled in pane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ly one medium being tubes having bent portions or being assembled from bent tubes or being tubes having a toroidal 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 특히 호퍼부의 열교환부가 연장되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냉식 열전달튜브가 호퍼부의 전체길에 걸쳐 연장할 수 있고 중간링헤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열회복이 증가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튜브와 다수의 핀에 의해 형성되며, 튜브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형상화되어 한 세그먼트는 원통부룰 형성하고 다른 세그먼트는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고 또다른 세그먼트는 원뽈형의 호퍼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며, 호퍼부의 원주 및 직경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튜브가 원주 및 직경의 감소에 적합하도록 돌출되거나 스웨이징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냉식 원심분리기
제 1 도는 물순환시스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3-3 선을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의 제 2 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2 도와 유사한 개략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0 : 원심분리기 4 : 천장부
6, 42 : 원통부 6a : 흡입구
8, 44: 호퍼(hopper)부 10, 52 : 하부링헤더
12: 상부링헤더 14, 46 : 튜브
14a : 제 1 튜브세트 14b: 제 2 튜브세트
16, 48 : 핀(fin) 22 : 증기드럼
24 : 파이프 26, 28, 32: 분기파이프
30 : 하향파이프 36 : 펌프
50 : 스웨이징(sweging)부
본 발명온 원심분리기, 특히 상기 원심분리기의 호퍼부의 열교환부가 연장되는 수냉식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반응기(fludized bed reactor), 연소기 또는 기화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비교적 저온에서 연료의 연소를 촉진하고 층을 유동화하기 위해,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및 석탄이 연소하여 발생된 황에 대한 흡착제를 포함하는 입자성물질의 층을 통해 공기가 통과하게 되어 있다.
유동층에 의해 생성된 열이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와 같이 물을 증기로 변환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유동층 시스템은 높은 열방출, 높은 황흡착, 낮은 산화질소방출 그리고 연료가요성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대표적인 유동층 연소시스템은 입자성물질의 층이 공기분배 플레이트에 의해 보조되며, 상기 플레이트안에 있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연소보조공기가 안내되며, 입자성물질을 부유 또는 유동화상태로 하는 기포화유동층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반응기는 증기발생기의 형태이며, 반응기의 벽은 다수의 수냉식 열전달튜브에 의해 형성된다.
유동층안에서의 연소로 인해 생성된 열은 튜브클 통해 순환하는 물, 증기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열교환매체에 전달된다.
튜브는 통상 증기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증기드럼을 포함하는 자연 물순환 회로에 연결되며 전기를 발생하도록 터빈쪽으로 향하거나 증기 사용기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튜브는 비용이 많이드는 고온 내화라이닝덕트작업 및 확광이음매가 필요 없다.
상기 방식의 유동층 연소시스템은 기포화 유동층으로 부터의 기체성 방출물을 수용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한다.
원심분리기 안으로 안내된 물질에는 고체연료입자가 혼입된 기체가 함유되어 있다.
원심분리기는 기체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한다.
연소시스템등에서 방출된 고체연료입자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에는 통상 고체연료입자를 집적하기 위해 하단부에 호퍼부가 구비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994,250 호에는 수냉식 열전달튜브로 구성된 벽을 가지는 진보된 원심분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튜브를 사용하면 반응기와 원심분리기사이, 원심분리기와 열회복부사이의 확장 이음매 및 고온 내화라이닝 덕트작업의 필요가 적어진다.
원심분리기의 벽은 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지름이 일정한 튜브로 구성된다.
각각의 핀을 튜브로부터 연장하여 인접한 튜브에 용접됨으로써 가스가 새지않는 기밀의 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설계에 있어서는 원심분리기의 호퍼부는 원뿔형이며 그 원주 및 직경이 상단으로 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계 되어 있다.
그러므로 호퍼부의 원주는 점차 감소하는 한편 튜브의 직경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원주가 감소될수 있도록 튜브를 연결하는 핀의 폭은 상단으로 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된다.
튜브가 서로 직접 접촉하면 핀에 대해서는 여유공간이 없게 되기 때문에 튜브를 연결하는 핀의 폭이 더이상은 줄어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호퍼부의 하단보다 위에 있는 일정한 영역에서 발생하므로 튜브는 호퍼부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없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은 중간링헤더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로써 중간링헤더와 하부링헤더 사이에서 연장하는 튜브의 갯수를 줄이고 튜브가 호퍼부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중간링헤더를 사용하면 시스템의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수냉식 열전달 튜브가 호퍼부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중간링헤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론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열회복이 증가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형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수냉식 열전달튜브로 이루어진 원통부, 천장부, 호퍼부를 포함한다.
튜브를 통해 냉각수, 증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두개의 링헤더가 구비된다.
원심분리기의 원통부와 합께 원심력으로 고체입자를 기체로부터 분리하는 기체와 고체입자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고리형 챔버를 형성하도록 내측배럴이 구비된다.
분리가 발생하게 되면 고체입자는 원심분리기의 호퍼부로 낙하하여 폐기, 또는 재순환되며 기체는 원심분리기의 내측배럴을 거쳐 외부 열회복장치쪽으로 상방으로 통과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성에 따르면 호퍼부의 전체길이에 걸쳐 수냉식 튜브벽이 연장하는 것은 튜브크기의 감소 또는 튜브갯수의 감소에 의해 이루어질수 있으며 상기 어느경우라도 중간링헤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순환 또는 펌프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는바 이와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잇점을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을 한정짓는 것이 아닌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제 1 도를 참조로 하면 도면부호 ''2는 천장부(4), 흡입구(6a)를 가진 원통부(6), 원뿔형의 호퍼부(8)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를 나타낸다.
하부링헤더(10)는 호퍼부(8)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링헤더(12)는 천장부(4)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부(4)는 용접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의해 내측배럴(13)에 결합되어 있다.
내측배럴(13)과 천장부(4)의 결합은 가스가 새지않는 기밀의 결합이다.
내측배럴(13)은 원통부(6)와 동축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내측배럴(13)의 하부는 원통부(6)안으로 연장한다.
내측배럴(13)의 상부는 원심분리기(2)를 지나 연장한다.
제 2 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원통부(6)와 호퍼부(8)는 연속적이며, 이격되어 있고, 일정한 직경으로된 평형한 튜브(14)가 다수 모인것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튜브(14)는 하단부가 하부링헤더(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원심본리기의 전체길이를 이룬다.
제 2 도에 원통부(6)의 상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통부(6)와 천장부(4)의 나머지 부분도 마찬가지로 튜브(14)가 모여 이루어져 있다.
튜브(14)의 일부는 흡입구(6a) (제1도)물 형성하도록 원통부(6)의 평면으로 부뎌 굽혀져 있으며, 이에따라 고체입자를 함유한 기체가 접선방향으로 고리형의 챔버안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튜브(14)는 튜브(14)의 전체길이에 걸쳐 각각의 튜브(14)사이로 연장하며, 용접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의해 튜브(14)에 결합되어 원심분리기(2)가 가스가 새지 않는 기밀의 결합을 하도록하는 다수의 핀(16)에 의해 이격구비되어 있다.
핀(16)의 폭은 흡입구(6a)를 제외하면 원통부(6)에서는 일정하며, 천장부(4)와 호퍼부(8)에서는 후술되는 바와같이 변화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튜브(14)는 내측방향으로 상부링헤더(12)로 부터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며 다음에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굽혀진다.
다음튜브(14)는 천장부(4)를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수정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진 다음 원통부(6)을 형성하도록 아래쪽으로 굽혀진다.
원뿔형의 호퍼부(8)을 형성하도록 원통부(6)의 하단에서 약간의 각도만큼 안쪽으로 굽혀진다.
흡입구(6a), 천장부(4)그리고 원통부(6)은 모두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 4,746,337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본 출원에 대하여 참고로 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16)의 폭은 튜브(14)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핀이 필요없어질때까지 원뽈형의 호퍼부(8)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호퍼부(8)의 원주 및 직경이 감소될 수 있도록 튜브(14)는 제 1 튜브세트(14a) 및 제 2 튜브세트(14b)로 나누어진다.
제 1 튜브세트(14a)를 형성하는 튜브(14)는 호퍼부(8)의 전체길이만큼 연장하며 다음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지고 그 다음 하부링헤더(10)안으로 아래쪽으로 굽혀진다.
제 2 튜브세트(14b)를 형성하는 튜브는 호퍼부(8)아래로 일정거리만큼 연장하며 다음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지고 그다음 하부링헤더(10)쪽으로 아래로 굽혀진다.
제 1 및 제 2 튜브세트(14a) (14b)의 길이는 상부링헤더(12)로부터 하부 링헤더(10)에 걸쳐 대략 같다.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호퍼부(8)의 하부는 단지 핀(16)과 조합하여 제 1 튜브세트(14a)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튜브세트(14a)는 호퍼부(8)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진 다음 하부링헤더(10)안으로 아래쪽으로 굽혀진다.
본 도면상 돌출된 제 2 튜브세트(14b)는 하부링헤더(10)안으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2)가 사용되어지는 순환시스템을 도시한다.
순환시스템은 파이프(24) 및 분기 파이프(26) (28)을 거쳐 상부링헤더(12)에 연결되는 자연순환증기드럼(22)으로 구성된다.
하향파이프(30) 및 분기파이프(32)는 증기드럼(22)를 하부링헤더(10)에 연결한다.
시스템은 중력을 이용하여 하향파이프(30)에 의해 이송된 증기드럼(22)로부터 하부링헤더(10)가지 물로 순환하고 자연대류에 의해 튜브(14)를 통해 하부링헤더(10)로 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며, 이에 관하여는 후출한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2)는 원심분리기(2) 근방에 배치된 유동층반응기나 유사한것(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보일리시스템의 일부이다.
작업시 흡입구(16a)는 유동층으로 부터의 기체 및 이에 혼입된 미세, 고체, 연료입자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부터의 고온의 기체성 혼합물을 수용한다.
흡입구(6a)는 고온의 기체성 혼합물을 접선방향으로 원통부(6)안으로 안내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혼입된 고체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고체 입자가 집적되는 원통부(6)의 내측벽부쪽으로 밀려지며 중력의 작용으로 호퍼부(8)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호퍼부(8)의 하단에 집적된 고체입자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재사용하도록 외부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향하게 된다.
챔버내에 잔류하는 비교적 청정한 기체는 천장부(4) 및 그에 결합된 내측 배럴(13)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기체는 내측배럴(13)의 하단부를 통해 내측배럴(13)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기체는 내측배럴(13)의 상단부로 부터 빠져나가기 진에 내측배럴(13)의 길이를 통해 통과하며 재사용을 위해 외부장치(도시하지 않음)쪽으로 향하게 된다.
물, 스팀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증기드럼(22)으로부터 파이프(30) (32)를 거쳐 하부링헤더(10)로 통파하며 자연대류에 의해 호퍼부(8), 원통부(6), 흡입구(6a), 천장부(4)의 튜브를 통해 상방으로 통과한다.
가열된 물, 스팀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천장부(4)로 부터 상부링헤더(12)로 통과하며 파이프(24) (26) (28)를 통해 증기드럼(22)으로 되들아 온다.
그러므로 순환하는 유체는 비교적 저온으로 원심분리기(2)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가지 잇짐을 얻을 수 있다.
예를들면 열손실이 감소되고 호퍼부에서의 열회복영역이 증가되며 내부 내화절연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내측배럴(13)은 원심분리기(2)와 유사하게 수냉식 튜브형태가 가능하며 증기드럼(22)을 포함하는 유동회로(flov circui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자연순환시스템 대신에 강제 순환 시스템도 사용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드럼(22)으로 부터 유체를 수용하며 유체를 분기도관(32)과 튜브(42)로 주입하는 라인(30)안에 펌프(3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분리기의 제 2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제 4 도에서 도면부호 40으로 나타낸다.
분리기(40)는 원통부(42)와 원뿔형의 하부 호퍼부(44)를 포함한다.
호퍼부(44)를 포함하는 전체분리기(40)는 연속적이며, 이격되어 있고, 일정한 직경으로 된 평행한 튜브(46)가 다수 모인것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튜브(46)는 튜브(46)의 전체길이에 결쳐 각각의 튜브(46)사이로 연장하며, 용접등파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튜브(46)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핀(48)에 의해 이격구비되어 있다.
핀(48)의 폭은 인접한 튜브(46)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핀이 필요없어질 때 까지 원뿔형의 호퍼부(44)의 상단으로 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호펴부(44)의 원주 및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호퍼부(44)가 인접한 튜브가 최초로 만나는 영역아래로 연장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튜브(46)은 상기 영역에서 또는 그 위에서 스웨이징되며 이는 도면부호 50으로 나타내었다.
직경이 감소된 튜브(46)의 세그먼트는 호퍼부(44)의 잔여길이만큼 연장되며 다음 호퍼부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지고 그다음 하부링헤더(52)안으로 하방으로 굽혀진다.
제 4 도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변화와 수정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 1 도에 도시되고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동일한 전체 시스템과 방법과 합쳐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웨이징으로 여러가지 잇짐을 얻을 수 있다.
예를들면 열손실이 감소되고 호퍼부에서의 열회복능력이 증가되며 내부 내화절연이 최소화된다.
중간부링헤더에 필요한 추가 비용없이 상기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변화는 제한적이 아니며 설계방법에 따라 더 우수한 가요성을 얻을 수 있는 튜브의 다수 돌출부 또는 스웨이징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된 본 발명의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시도되며 일부의 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부특성은 다른 특성을 병용하여 사용하지 않고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므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와 동일성있는 수단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내측실런더 ;
    외측실린더를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세그먼트를 가지는 다수의 튜브, 상기 외측실린더는 내측실린더와 외측실린더 사이에 고리형챔버를 형성하도록 내측실린더 주위를 내측실린더와 동축관계로 연장하고, 상기 튜브의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외측실린더의 아래에 연장하는 원뿔형의 호퍼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고,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서의 상기 호퍼부의 직경이 튜브가 변형되지 않은 경우의 호퍼부의 직경보다 감소되도록 변형되며 ;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 ;
    고체입자를 함유하는 기체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기체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시키며, 분리된 기체는 상기 내측 실린더로부터 방출되고 분리된 고체는 폐기 또는 재순환을 위해 상기 호퍼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상기 고리형 챔버를 통과하도록 조작하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이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 1 링 헤더,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 2 링 헤더,
    상기 원심분리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링헤더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통과시키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부 세그먼트가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측실린더가 가스가 새지않는 기밀의 결합이 되도록하는 다수의 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폭은 인접한 튜브가 서로직접 접촉하는 지점까지 상기 호퍼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변형은 투브가 인접한 튜브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7. 외측실린더를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서로 평해하게 연장하는 세그먼트를 가지는 다수의 튜브, 상기 외측실린더는 내측실린더와 외측실린더 사이에 고리형챔버를 형성하도록 내측실린더 주위를 내측실린더와 동축관계로 연장하고, 상기 튜브의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외측실린더의 아래에 연장하는 원뿔형의 호퍼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고, 상기 튜브의 일부분은 상기 튜브가 돌출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튜브가 인접하는 튜브와 접촉되는 위치를 지나 나머지의 튜브들이 상기 호퍼부를 연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위치에서 호퍼부의 벽으로부터 돌출되며 ;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 ;
    고체입자를 함유하는 기체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기체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시키며, 분리된 기체는 상기 내측 실린더로 부터 방출되고 분리된 고체는 폐기 또는 재순환을 위해 상기 호퍼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상기 고리형 챔버를 통과하도록 조작하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이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 1 링 헤더,
    상기 튜브가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 2 링 헤더,
    상기 원심분리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링헤더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통과시키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부 세그먼트가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측실린더가 가스가 새지않는 기밀의 결합이 되도록하는 다수의 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1. 상기 핀의 폭은 인접한 튜브가 직접 접촉하는 지점까지 상기 호퍼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의 벽으로부터 상기 튜브의 일부가 돌출하는 것은 모든 튜브가 인접한 튜브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3. 내측실린더 ;
    외측실린더를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서로 평형하게 연장하는 세그먼트를 가지는 다수의 튜브, 상기 외측실린더는 내측실린더와 외측실린더 사이에 고리형챔버를 형성하도록 내측실린더 주위를 내측실린더와 동축관게로 연장하고, 상기 튜브의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외측실린더의 아래에 연장하는 원뿔형의 호퍼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고, 상기 호퍼부를 형성하는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튜브의 직경이 감소되고 상기 튜브가 스웨이징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튜브가 인접하는 튜브와 접촉되는 위치를 지나 상기 호퍼부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위치에서 스웨이징되며 ;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 ;
    고체입자를 함유하는 기체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기체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시키며, 분리된 기체는 상기 내측 실린더로 부터 방출되고 분리된 고체는 폐기 또는 재순환을 위해 상기 호퍼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상기
    고리형 챔버를 통과하도록 조작하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거쳐 유체를 순환시키는 수단이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 1 링 헤더,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 2 링 헤더,
    상기 원심분리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도록 상기 게 1 및 제 2 링헤더를 통해 물 또는 증기 또는 물과 증기의 혼합물을 통과시키는 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부 세그먼트가 천장부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급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측실린더가 가스가 새지않는 기밀의 결합이 되도록하는 다수의 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폭은 인접한 튜브가 직접 접촉하는 지점까지 상기 호퍼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모든 튜브가 인접한 튜브와 접속하는 위치에서 스웨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KR1019920021825A 1991-11-21 1992-11-20 수냉식 원심 분리기 KR100219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751091A 1991-11-21 1991-11-21
US797,510 1991-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59A KR930009659A (ko) 1993-06-21
KR100219906B1 true KR100219906B1 (ko) 1999-09-01

Family

ID=2517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825A KR100219906B1 (ko) 1991-11-21 1992-11-20 수냉식 원심 분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43564B1 (ko)
JP (1) JPH0741176B2 (ko)
KR (1) KR100219906B1 (ko)
CA (1) CA2082096A1 (ko)
ES (1) ES2098458T3 (ko)
MX (1) MX92065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3917B2 (ja) * 1991-08-20 1999-06-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装置および記憶装置システム
US7433144B2 (en) 1999-03-04 2008-10-07 Convolve, Inc. Dynamic system control method
EP1533565A1 (de) * 2003-11-19 2005-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KR100974432B1 (ko) 2005-09-01 2010-08-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순환유동층 보일러용 수냉식 사이클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1648A (ko) *
FR725554A (fr) * 1931-11-03 1932-05-13 Stirling Boiler Co Ltd Perfectionnements aux chaudières aquatubulaires
DE739376C (de) * 1940-01-17 1943-09-23 Rheinmetall Borsig Ag Wasserrohrdampferzeuger
DE3473026D1 (en) * 1983-08-31 1988-09-01 Sulzer Ag Vertical gas pass for a heat exchanger
US4746337A (en) * 1987-07-06 1988-05-24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Cyclone separator having water-steam cooled walls
US4944250A (en) * 1989-03-30 1990-07-31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Cyclone separator including a hopper formed by water-steam cooled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59A (ko) 1993-06-21
MX9206589A (es) 1993-10-01
CA2082096A1 (en) 1993-05-22
ES2098458T3 (es) 1997-05-01
JPH05237418A (ja) 1993-09-17
JPH0741176B2 (ja) 1995-05-10
EP0543564B1 (en) 1997-01-15
EP0543564A1 (en)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4286A (en) Cyclone separator having water-steam cooled walls
EP0457983B1 (en) Cyclone separator including a hopper formed by water-steam cooled walls
KR100209115B1 (ko) 증기 발생기
US5174799A (en) Horizontal cyclone separator for a fluidized bed reactor
US5116394A (en) Cyclone separator roof
US4522154A (en) Fluidized bed combustion boiler
TWI615542B (zh) 先進式超超臨界蒸汽發電機
FI89203C (fi) Foerbraenningsanlaeggning
US5226936A (en) Water-cooled cyclone separator
JPH09500442A (ja) 超臨界値蒸気の加圧循環流動床ボイラー
US5094191A (en) Steam generating system utilizing separate fluid flow circuitry between the furnace section and the separating section
KR100219906B1 (ko) 수냉식 원심 분리기
EP0298671A2 (en) Cyclone separator having water-steam cooled walls
US5393315A (en) Immersed heat exchanger in an integral cylindrical cyclone and loopseal
US3642061A (en) Heat exchanger
HU210742B (en) Combustion unit
JP2015529320A (ja) 高速始動型排熱回収蒸気ボイラ
US3081748A (en) Forced flow fluid heating unit
US4920924A (en) Fluidized bed steam 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steam cooled cyclone separator
CA1323585C (en) Cyclone separator having water-steam cooled walls
CA1327946C (en) Cyclone separator having water-steam cooled walls
KR100974432B1 (ko) 순환유동층 보일러용 수냉식 사이클론
JPH0435755A (ja) サイクロン分離器
JPH06300235A (ja) 廃熱ボイラ付流動床式ごみ焼却炉
JPH03271606A (ja) 循環流動層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