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129B1 -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129B1
KR100219129B1 KR1019950010623A KR19950010623A KR100219129B1 KR 100219129 B1 KR100219129 B1 KR 100219129B1 KR 1019950010623 A KR1019950010623 A KR 1019950010623A KR 19950010623 A KR19950010623 A KR 19950010623A KR 100219129 B1 KR100219129 B1 KR 10021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ect ratio
signal
composite video
video sig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958A (ko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1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129B1/ko
Publication of KR96003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수상기등 화상 현시수단의 종횡비와 일치하도록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면비 자동전환방법 및 장치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값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화면비조정부로 전송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수상기의 규격에 맞는 영상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정이 없이 자동으로 화면비를 전환하므로 장치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화면비검출부에서 샘플링(Sampling)에 의해 임의의 수평라인에 대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화면비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A/D 변환기 12 : 화면비검출부
13 : 화면비조정부
본 발명은 화면비가 상이한 화면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를 위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이를 화면의 종횡 규격에 맞는 화면비로 조정하여 현시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TSC방식 델레비전의 화면비는 4:3이지만, 점차적으로 텔레비전 화면이 대형화, 다기능화 되면서 화면의 현장감을 높일 수 있는 16:9의 화면비를 가진 텔레비전 수상기를 채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송신호와 영상프로그램의 대부분은 4:3의 화면비로 편성되어 있고 시네마스코프의 경우는 2:1의 화면비로 편성되어 있으므로, 화면비가 4:3 또는 2:1등인 복합영상신호를 16:9의 와이드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 소정의 데이타처리를 하여 화면비를 16:9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화면비 4:3의 수상기에서 16:9 또는 2:1등의 상이한 화면비를 갖는 복합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도 화면비를 4:3으로 전환시켜야 왜곡이 없는 화면을 현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시킴에 있어서, 4:3의 화면비를 16:9로 전환하는 등의 몇가지 화면비 전환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도록 하였다. 즉 스크린의 화면비와 상이한 화면비로 편성된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기 설정된 화면비 전환모드 중에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에 해당하는 전환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환모드에 따라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화면비를 조정하는데 있어 종래에는 전환모드가 설정되어있지 않은 화면비로 편성된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화면비를 원하는 규격으로 전환할 수 게되어, 화면의 일부가 공백으로 나타나거나 화면의 잘림 또는 일그러짐(distortion)등에 의한 화면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인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화면비 전환모드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장치 조작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는 일정한 화면비로 편성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이를 화면상에 현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신호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수평, 수직동기신호와 전술한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아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고, 전술한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화면비검출부, 및 전술한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면비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의 밝기레벨에 따른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는 단계, 전술한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아 해당프레임내의 모든 수평라인에 대하여 신호의 유무를 검사하는 제1판단단계, 제1판단단계의 신호유무 판단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는 제2판단단계, 제2판단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 및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A/D 변환기(11)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n비트의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다. A/D 변환기(11)에 연결된 화면비검출부(12)는 n비트의 디지탈데이타 및 수평,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입력받아 복합영상신호의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이하, 신호대역이라 함)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대역을 박스(Box) 형태로 묶어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검출한다. 화면비검출부(12)는 또한, 검출된 화면비를 화면비 조정을 위한 m비트의 조정데이타로 변환한다. 화면비검출부(12)에 연결된 화면비조정부(13)는 m비트의 화면비조정데이타를 입력받아 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애 대한 동작을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서, A/D 변환기(11)는 영상기기의 분리회로(미도시)로부터 분리된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신호(Y)를 인가받아, 휘도신호의 밝기레벨에 따른 n비트의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다. n비트의 디지탈데이타는 화면비검출부(12)로 인가된다. 또한, 전술한 분리회로(미도시)로부터 분리된 수평,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는 화면비검출부(12)로 인가된다. 화면비검출부(12)는 입력된 수평,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맞추어 변조된 휘도신호(Y)를 프레임단위로 검색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판단한다. 제2a도는 화면비검출부(12)에서 검출된 신호대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비검출부(12)에서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제3도 및 제4도를 통해 한다.
제3도는 화면비검출부(12)가 샘플링(Sampling)에 의해 임의의 수평라인에 대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프레임단위로 재현되므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신호대역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입력된 프레임의 모든 수평라인에 대하여 신호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프레임의 최초의 수평동기신호(H1)가 인가되면 화면비검출부(12)는 해당하는수평라인의 임의의 시점(S1,S2,S3,·‥)(이하, 샘플링점이라 함)에서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신호(Y)를 샘플링 한다. 샘플링은 수평주사 구간내에서 적당한 횟수로 반복한다. 샘플링의 결과 하나 이상의 샘플링점에서 휘도신호(Y)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수평라인에는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샘플링점에 대하여 휘도신호(Y)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수평라인에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두번째 수평동기신호(H2)가 인가되면 화면비검출부(12)는 다음 수평라인에 대해 휘도신호(Y)를 샘플링 한다. 화면비검출부(12)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의 모든 수평라인에 대해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현재 프레임의 주사가 모두 끝났음을 알리는 수직동기신호(V.sync)가 인가되면 화면비검출부(12)는 다음 프레임에 대하여 휘도신호(Y)의 검출을 수행한다. 이때, 신호대역을 검출하는 프레임의 수는 화면비를 판단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고려하여 충분한 숫자로 결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대역을 검출하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판단할 수 있다.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화면비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현재프레임에 대한 최초의 수평동기신호(H.sync)가 인가되면(20단계), 화면비검출부(12)는 해당 수평라인의 휘도신호(Y)를 적당한 횟수로 샘플링한다(21,22,23단계,…). 그런 다음 화면비검출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샘플링점에서 휘도신호(Y)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수평라인에는 신호가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샘플링점에 대하여 휘도신호(Y)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수평라인에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24단계). 화면비검출부(12)는 제4a도와 같은 동작을 해당하는프레임상의 수평라인의 수 만큼 반복한다. 제4b도는 전술한 신호유무 판단들에 근거하여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는 과정올 나타낸 흐름도이다. 현재 프레임의 주사가 끝났음을 알리는 수직동기신호(V.sync)가 인가되면(30단계), 화면비검출부(12)는 각각의 수평라인에 대한 신호유무 판단의 결과를 집계한다(31단계). 집계가 끝나면 전술한 집계결과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판단한다(32단계). 이때,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2a도와 같이 박스(Box) 형태로 묶으면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이 검출되면 화면비검출부(12)는 다음 프레임의 화면비를 검출하여야 하므로, 내장되어 있는 카운터, 버퍼등의 화면비검출을 위한 수단들(미도시)을 초기화한다(33단계). 검출된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은 화면비조정부(13)에서 화면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적당한 포맷의 보정데이타로 번환되어 화면비 조정부(13)로 전송된다(34단계 ).
다시 제1도에서, 화면비조정부(13)는 화면비검출부(12)로부터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에 대한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제2b도와 같이 신호대역을 이동시키거나, 제2c도와 같이 신호대역을 확장하여 입력되는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타를 화면비조정부로 전송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 프로그램의 화면비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스크린의 종횡 규격에 맞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별도의 조정없이 화면비를 전환하므로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정한 화면비로 부호화 되어있는 복합영상신호를 복호화 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신호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A/D)변환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수평,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아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화면비 검출부; 및 상기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면비조정부를 포함하는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비조정부는 상기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신호대역을 이동, 압축 또는확장시켜, 해당 현시수단에 적당한 규격의 화면비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비 자동 전환장치.
  3.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의 밝기레벨에 따른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는 단계; 상기 디지탈데이타를 인가받아 해당 프레임내의 모든 수평라인에 대하여 신호의 유무를 검사하는 제1판단단계; 상기 제1판단단계의 신호유무 판단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는 제2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화면비 전환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데이타를 인가받아 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는 신호의 수평동신호를 인가받는 단계; 상기 인가받은 수평동기신호에 따른 수평라인상의 임의의 시점에서 휘도신호를 적절한 횟수로 샘플링하는단계; 및 상기 샘플링의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수평라인의 신호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유무 판단은 상기 샘플링의 결과 하나이상의 샘플링점에서 신호가 검출된 수평라인에 대하여는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샘플링점에 대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수평라인에 대하여는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는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는 신호의 수직동기신호를 인가받는 단계;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판단단계의 신호유무 판단의 결과를 집계하는 단계; 상기 집계결과에 근거하여 현재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 및 신호대역의 틀어짐 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를 화면비조정부에서 요구하는 포맷의 보정데이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KR1019950010623A 1995-04-29 1995-04-29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KR10021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623A KR100219129B1 (ko) 1995-04-29 1995-04-29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623A KR100219129B1 (ko) 1995-04-29 1995-04-29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58A KR960039958A (ko) 1996-11-25
KR100219129B1 true KR100219129B1 (ko) 1999-09-01

Family

ID=1941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623A KR100219129B1 (ko) 1995-04-29 1995-04-29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202B1 (ko) * 2000-01-07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자동 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58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2477C (zh) 显示双屏的方法和装置
US6806911B2 (en) Display system with single/dual image modes
JP3664251B2 (ja) 映像出力装置
KR10086017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0176707B1 (ko) 자동화질조정텔레비젼
KR100219129B1 (ko) 화면비 자동 전환방법 및 장치
KR100206802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동 와이드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0185929B1 (ko) 영상신호의 화면비 전환장치 및 방법
JP3241539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667599B2 (ja) 多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45299B1 (ko) 디지털티브이의화면동기장치및방법
KR0178182B1 (ko) 티브이의 자동 화면비 변환회로
KR100429228B1 (ko) 티브이의 사이드 화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480657B2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252985B1 (ko) 더블유에스에스(wss) 신호검출에 의한 화면전환방법 및 장치
KR200162110Y1 (ko) 직렬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화면상의 커서 이동장치
KR10042509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197591B1 (ko) 영상신호의 화면비 검출방법
KR100214636B1 (ko) 예약녹화 시스템의 표시장치
KR19990056559A (ko) 노이즈 감소방법 및 그 장치
JPH0795558A (ja) 画像監視装置
KR960001151B1 (ko) 영상 기기의 동영상 정지 장치
KR20020007656A (ko) 티브이의 캡션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42556B1 (ko) 텔레텍스트 표시 기능 내장형 텔레비전 및 상기텔레텍스트 포맷 변환 방법
KR100255652B1 (ko) 그래픽오버레이장치에서동기신호의마스터변경방법및그에따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