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628B1 -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628B1
KR100218628B1 KR1019970000146A KR19970000146A KR100218628B1 KR 100218628 B1 KR100218628 B1 KR 100218628B1 KR 1019970000146 A KR1019970000146 A KR 1019970000146A KR 19970000146 A KR19970000146 A KR 19970000146A KR 100218628 B1 KR100218628 B1 KR 10021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ston
gas
open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64A (ko
Inventor
박상근
Original Assignee
박상근
주식회사서광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근, 주식회사서광건설산업 filed Critical 박상근
Priority to KR101997000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6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 Y10S251/90Valves with o-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추도록 한 감압 밸브로서 그 구성은 상부에 감압 부분, 중앙부에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부분, 하부에 조절기구, 이 세 가지 부분이 직렬로 연결되게 설치 구성한 것으로, 작동상황으로는 이미 출구 압력을 조절하여 놓은 감압 밸브의 중앙부에 설치된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는 부분에 제어기압이 가득 차면 감압 밸브의 주 스프링을 압축하여 감압 개폐문은 닫아 입구의 고압을 이용하여 기체의 유출을 철저히 방지한다. 반대로 제어압력이 배출되어 제어압력이 떨어지면 주 스프링은 즉시 감압 개폐문이 열려 설정된 압력으로 기체를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소방 급수설비의 질소 승압 시스템에 위에서 설명한 감압 밸브를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기체 압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장기간 질소 탱크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 일단 화재경보가 울리면 어떠한 전력에도 의지하지 않고 즉시 감압 개폐문을 열어 기압탱크에 대해 고정밀도의 승압 급수를 실시하며 신뢰성 있게 정전상황에서도 자동급수 소방을 실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본 발명은 질소승압 소방급수설비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한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상부에 감압부분, 중앙부에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부분 하부에 조절기구, 이 세 가지 부분이 직렬로 연결되게 설치 구성한 것으로 작동 상황으로는 이미 출력압력을 조절하여 놓은 감압밸브의 중앙부에 설치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공급배출부분에 제어기압이 가득 차면 감압밸브의 주 스프링을 압축하여 감압개폐문을 닫아 입구의 고압과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기체의 유출을 철저히 방지한다. 반대로 제어압력이 배출되어 압력이 떨어지면 주 스프링은 왕복 작동봉을 밀어 올려 감압개폐문이 열리도록 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질소를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소방급수설비의 질소 승압시스템에 위에서 설명한 감압밸브를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기체 압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장기간 질소탱크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단 화재경보가 발생하면 무동력으로 즉시 감압 개폐문을 열어 기압탱크의 물을 가압하여 승압 급수를 실시하며 소방에서 요구하는 정전상황에서도 적정수압으로 자동급수 소방을 실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질소승압 소방급수설비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추도록 한 이용한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소방급수설비의 질소승압 시스템은 모두 고압질소탱크, 기체감압밸브. 소레노이드밸브 및 파이프라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평상시 감압밸브의 출구 압력을 소방압력 보다 좀더 높게 조절하여 놓은 후 소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질소의 유동을 제지시키며, 일단 화재경보가 발생하면 비상전원에 의하여 소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질소 탱크내의 고압질소를 감압밸브에서 소방압력까지 감압시켜 소레노이드밸브를 거쳐 기압급수 탱크로 유입시켜 기압급수탱크 상부의 기압을 상승시키면 그 내부의 물을 소방 파이프망으로 압입(壓入)하는 방법으로 정전 상황에서의 자동소방을 실시하게 한 것인바, 이러한 질소승압 방안의 최대의 문제점은 질소탱크내의 고압질소를 장기간 보존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출구압력을 미리 조절해 놓은 감압밸브 내부는 시종 평형상태에 있어 감압개폐문을 완전히 닫지 못하여 밀봉작용을 일으키지 못하며 감압개폐문의 출구 파이프라인의 소레노이드밸브는 전자력에 제한이 있어 미약한 스프링 힘에 의거하여 소레노이드벨브의 개폐문을 닫아놓고 있어 철저히 기체유실을 방지하기가 어려워 감압밸브는 출구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금씩 자동으로 감압개폐문을 열어 질소를 공급하고 질소탱크내의 질소가 전부 소모되면 멈춘다. 이상의 원인으로 질소승압 소방시스템은 지금까지 성공한 예를 찾지 못하였다.
본 발명을 질소승압 소방시스템에 전용으로 이용함으로서 평상시에는 기압탱크의 기체압력(PK)에 의하여 주 스프링의 작용력을 압축하여 감압 개폐문을 닫고 이 개폐문의 상방을 고압의 기체와 스프링 힘에 의해 철저히 밀봉시켜 질소의 누출을 철저히 방지한다. 일단 화재경보가 발생하면, 즉시 기압탱크의 기체압력(PK)이 감소되면서 압력이 떨어지면 주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신속히 감압개폐문을 열어 정전상황 아래에서의 신뢰성 있는 자동소방을 실시한다. 이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 밸브를 편의상 QY밸브라 칭한다.
제어압력의 장기간 유지와 적절한 제어문제에 관해서는 별도의 특허출원인 승압제어 밸브에서 설명하고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감압밸브를 이용한 질소 승압 소방급수시스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동체 2 : 중앙동체
3 : 하부동체 11 : 입구접합관
12 : 출구접합관 13 : 밀봉패킹
14 : 밀봉변좌 15 : 감압개폐문
16 : 보조스프링 17 : 상부덮개
18 : 개폐봉 19 : 밀봉패킹
110 : 개폐피스턴 21 : 접합관
22 : 밀봉패킹 23 : 고정피스턴
24 : 왕복작동봉 31 : 왕복작동캡
32 : 반전스프링 33 : 주 스프링
34 : 조정보울트 35 : 압력받이캡
36 : 유도핀 37 : 하부덮개
38 : 고정너트 39 : 풀림방지너트
310 : 분할핀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1에서와 같이 상부동체(1)내의 감압 부분, 중앙동체(2)내의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부분과 하부동체(3)의 조절기구로 나누어진다. 상부동체(1)와 중앙동체(2)는 보울트(4)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중앙동체(2)와 하부동체(3)는 나사산을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한다.
감압부분인 상부동체(1)는 입구 접합관(11), 출구 접합관(12)과 본체, 이 3부분을 용접하여 일체화한 상부동체(1)내에 맨 먼저 그 중심공 내에 밀봉패킹(13), 칼날형 밀봉변좌(14), 금속과 고무를 유화하여 일체화시킨 감압 개폐문(15) 및 보조스프링(16)을 설치하고 상부덥개(17)로 조였다. 이 때 밀봉변좌(14)를 눌러 보조 스프링(16)과 감압개폐문(15)은 상부덮개(17)의 중앙부 유도공에 위치되게 하여 감압개폐문(15)을 상, 하로 이동하게 하였으며, 보조스프링(16)의 힘에 의하여 밀봉변좌(14)를 닫는다. 그러한 후에 밀봉변좌(14)의 중앙부 유도공내에 4개의 배기홈이 있는 개폐봉(18)을 설치하고 상부동체(1)의 하부 저압실내에는 O형의 밀봉패킹(19)이 끼워진 개폐피스턴(110)을 설치하여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 밸브의 상부 감압부분을 구성하였다.
기체 공급 및 배출 작동부분인 중앙동체(2)는 제어압력을 인도하는 두 개의 접합관(21)을 용접하고 맨 먼저 중앙동체(2)의 중앙 공간 내에 O형의 밀봉패킹(22)이 끼워진 피스턴(23)을 설치하고 이 피스턴(23)의 중심공 내에는 왕복 작동봉(24)을 삽입 한 후 중앙 동체(2) 하단부내의 나사산에 하부동체(3)를 나사물림 시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부분을 구성하였다.
조절기구인 하부동체(3)의 중앙부에는 큰공간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주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고 맨 윗 부분에는 왕복 작동캡(31)이 설치되어 있다. 왕복 작동캡(31)의 중앙공간과 왕복작동봉(24)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는 반전 스프링(32)을 설치하며 주 스프링(33)의 하단부에는 두 개의 유도핀(36)이 끼워진 압력받이캡(35)을 삽입하고 이 압력받이캡(35)의 주심 나사산 내에는 조정보울트(34)의 상단부를 나사물림 시키고 이 조정보울트(34)의 하단부에 하부덥개(37)의 중심공 내에 삽입시켜 돌출부에는 고정너트(38)와 풀림 방지너트(39)를 끼워 분할핀(310)을 이용하여 풀림 방지너트(39)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압력받이캡(35)상의 두 개 유도핀(36)은 하부동체(3) 하단부내의 두 개의 홈에 삽입시켜 압력받이캡(35)은 하부동체 내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하부덥개(37)를 조립시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의 하부동체를 구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감압부분,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는 부분과 하부 조절기구, 이 3부분을 직렬로 연결시켜 구성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 밸브는 반 시계 방향으로 조절 보울트(34)를 돌리면 압력받이캡(35)은 하부동체(3) 하단부의 홈을 따라 위로 이동하여 주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며, 이 때 주 스프링(33)의 압축조절력은 개폐피스턴(110) 상부에 설치된 보조스프링(16)의 압축력과 고압기체 압력 P1과의 합력보다 크게 되도록 조절한다. 피스턴(23)상부의 제어압력 Pk=0이 될 때 주 스프링(33)의 압축 조절력은 왕복 작동캡(31), 왕복 작동봉(24), 개폐피스턴(110), 개폐봉(18)을 위로 밀어 올려 감압개폐문(15)을 연다. 그리고 반전 스프링(32)은 피스턴(23)을 위로 밀어 올려 피스턴(33) 하표면과 왕복작동캡(31)의 상표면을 분리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압력 Pk=일정이 되면 피스턴(23) 상부의 기동력(機動力)이 주 스프링(33)의 조절력보다 커져 피스턴(23)과 왕복작동캡(31)을 아래로 밀어 주 스프링(33)을 아래로 압축한다. 그러면 보조스프링(16)과 고압기체압력 P1이 작용하여 개폐피스턴(110)과 개폐봉(18)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압력개폐문(15)을 밀봉변좌(14)의 상 표면에 밀착시킨다.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 밸브를 질소승압 소방급수 시스템에 사용할 때 그 파이프라인을 도2에서와 같이 연결한다.
도면중
QS - 기압수조 ZK - 승압제어밸브 N2- 질소탱크
QP - 기체개폐밸브 QY - 본 발명의 감압밸브 QA - 기체로 잠감 기능을 갖도록 한 안전밸브
J - 게이트밸브 SJ - 승압 제어밸브상의 수동게이트밸브
PK - 제어압력 P1- 본 발명의 감압밸브 입구압력
P2- 본 발명의 감압밸브(QY) 출구압력으로 정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고압접합관(11)에는 고압파이프를 이용하여 질소 탱크 윗 부분의 기체개폐밸브(QP)의 출구와 서로 연결하고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저압접합관(12)을 저압 파이프를 이용하여 게이트밸브(J)와 기압탱크(QS)의 윗 부분을 서로 연결한 후 이 밸브의 다른 두 개의 접합관(21)은 제어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각각 승압제어밸브(ZK)와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안전밸브(QA)까지 연결한다.
아래는 도1과 도2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감압밸브(QY) 출구압력(P2)의 설정, 기체작동밀봉 및 승압소방 해제 등의 작동원리이다.
본 발명의 감압밸브(QY) 출구압력 설정은 맨 먼저 출구 파이프 라인상의 게이트 밸브(J)를 닫은 후 승압제어밸브(ZK)상의 수동게이트(SJ)와 기체개폐밸브(QP)를 열어 질소 탱크(N2)내의 고압질소는 기체개폐밸브(QP)를 통하여 접합관(11)으로부터 감압개폐문(15) 전단의 고압실에 유입된다. 그러한 후 보호덥개(311)를 떼버리고 반 시계 방향으로 조정보울트(34)를 돌리면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받이캡(35)은 윗쪽으로 이동하여 점차 주 스프링(33)을 압축시키고 이 스프링의 반발력이 감압개폐문(15) 상방의 고압 기동력과 보조스프링(16)의 힘보다 클 때 감압개폐문(15)은 열리게 된다. 이때 고압실의 질소가 유입되고 밀봉변좌(14)와 감압개폐문(15)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에서 감압 된 후 개폐피스턴(110)의 상방으로 유입되어 분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출구압력은 점차 상승하여 개폐피스턴(110) 상방의 기동력이 주 스프링(33)의 조절력과 평행이 되면 그친다. 계속적으로 조정보울트(34)를 돌려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출구압력(P2)을 높여 이 압력이 소방요구압력 보다 높을 때까지 상승시킨다. 즉 여기에서 소방요구 압력을 (PX)라 할 때 P2=Px+(0.05∼0.07), MPa에 다다를 때 조정보울트(34)를 돌리는 것을 정지시킨다. 그러한 후 고정너트(38)를 조이고 보호덮개(311)를 덮어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조정과정을 마친다.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고정 밀봉은 감압개폐문(15)의 기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먼저 승압제어밸브(ZK)의 수동게이트밸브(SJ)를 닫는다. 즉 본 발명의 감압밸브(QY) 출구의 기체는 승압제어밸브(ZK)를 거쳐 접합관(21)에서 피스턴(23)의 상부에 유입되어 제어압력(PK)을 형성한다. 이 때 제어압력(PK)이 상승하여 설계압력(PK)을 초과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턴(23)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 스프링(33)을 압축한다. 그리하여 개폐피스턴(110) 역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감압개폐문(15)을 닫고 고압질소압력 (P1)은 밀봉변좌(14)의 상표면을 눌러 질소의 누출을 철저히 방지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출구 파이프 라인상의 게이트밸브(J)를 열어 출구압력(P2)이 어떻게 변화하든 간에 제어압력(PK)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기만 하면 감압개폐문(15)은 시종 철저한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기간 질소탱크(N2)내의 고압질소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고정상태에서 해제로 인한 승압소방 과정은, 화제가 발생하면 일단 소방 파이프망은 물을 이용하여 소화하게 되며 기압수조(QS)내의 물은 승압제어밸브(ZK)를 거쳐 소방 파이프망에 유입된다. 이 때 승압제어밸브(ZK)는 수압에 의하여 제어압력을 배출하여 제어압력(PK)은 PK=0이 된다. 이 때 반전 스프링(32)은 피스턴(23)을 위로 밀어주어 주 스프링(33)의 압축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해제된 주 스프링(33)의 조절력은 즉시 왕복작동캡(31), 왕복작동봉(24), 개폐피스턴(110) 및 개폐봉(18)을 위로 밀어올려 감압개폐문(15)을 열고 대량의 고압질소는 감압개폐문(15)에서 소방압력까지 감압한 후 기압탱크(QS)의 상부에 진입하여 승압한 후 탱크내의 물은 승압제어밸브(ZK)를 거쳐 대량으로 소방 파이프망에 고압으로 공급되어 정전상황 아래에서의 자동소방을 실시하여 질소 소모가 다되면 그친다.
1. 본 발명의 기체를 이용한 감압밸브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
제어압력(PK)이 설계압력[PK]보다 크면 주 스프링(33)을 아래로 압축하여 감압개폐문(15)을 닫아 밀봉할 때 변좌(14)의 칼날형에서 형성된 밀봉비압(Pm)과 감압개폐문(15)의 입구압력(P1)의 비율은
m = Pm / P1∼ ds / (4b)
식 중, ds - 변좌(14)의 칼날직경, b-칼날의 밀봉너비
식 중, ds = 6 ∼ 10mm, b = 0.6mm 이면 m = 2.5 ∼ 4.2가 된다. 감압개폐문의 고무패킹 계수[m] ≥ 0.8 보다 크기 때문에 기체의 누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고정상태의 본 발명의 감압밸브(QY)는 높은 밀봉성을 갖추고 있어 장기간 질소탱크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2. 제어압력(PK)=0일 때 반전 스프링(32)에 의하여 피스턴(23)을 위로 밀어 올리고 왕복작동캡(31)의 상 표면에서 떨어져 이 피스턴(23)의 마찰력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평형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수동 혹은 자동 조절과정은 모두 일반적인 감압 밸브와 원칙적으로 구별이 없어 현대 기체 감압밸브의 설계이론에 의하여 밀봉변좌(14)의 공경, 개폐피스턴(110)의 직경 및 주 스프링(33)의 강도 이 세 가지 사이를 정확히 포착하여 출구압력 P2를 고정밀도로 조절할 수 있다.
3. 소공경 접합관(21) 혹은 그 전단부에 한류공판(限流孔板)(그림 중 미 표시됨) 등을 채택하는 방법으로 제어압력PK → 0이 되는 배기 과정을 적당히 연장(약0.5초)하면 피스턴(23)상의 O형 밀봉패킹(22)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주 스프링(33) 조절력의 인장속도와 감압개폐문(15)의 개방속도를 낮춰 감압밸브(QY)의 진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작동의 신뢰성을 높였다.
4.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제어압력(PK)는 수력식 승압제어밸브(ZK)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본 발명의 감압밸브(QY)의 출구 파이프라인에 비상전원으로 제어하는 소레노이드 밸브 등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전력에도 의지하지 않아 거의 유지관리할 필요가 없어 정전상황 아래에서의 자동소방의 신뢰성을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감압개폐문을 열어 기압탱크에 대하여 고정밀도의 승압급수를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질소승압 소방급수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술적 기초를 닦은 것이다.
[실시예]
적용사례 QY150∼10/20 기체작동 감압밸브
1. 설계계수
1) 입구최고압력 P1max=20MPa
2) 출구압력범위 P2=0.5∼1.2MPa
3) 최대소방유량 Qxmax=15L/S
4) 최저제어압력 Pkmin=0.25MPa
5) 밸브시트칼날직경 ds=Ø6.2mm
칼날밀봉너비 b=0.6mm
6) 감압피스톤직경 Dm=Ø68mm
7) 주 스프링 강도 Kt=16.872kgf/mm
2. 감압활문의 밀봉시험
1) QY밸브입구 고압파이프라인 사이즈 Ø10×5000mm
2) 충기압력 P1=18MPa
3) 기쇄압력 Pk=0.75MPa
4) 1주일 후 고압파이프 압력유지 P1=18MPa, 새지 않았음
5) QY밸브를 물 속에 넣어 검사를 해도 새지 않았음.
3. 감압밸브의 돌발적인 배기 시험
1) 고압탱크의 용적 Vo=50L, 충기쇄압력 P1=19MPa
2) QA밸브 고압파이프 라인 Ø10×8000mm
3) 감압밸브 출구의 한류공 Ø8mm
4) 돌발적으로 기쇄압력을 누실 시킬 때의 시험결과
Figure kpo00002
이상에서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어 질소승압소방 급수설비에 전용으로 사용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3)

  1. 상부동체(1)내의 감압부분, 중앙동체(2)내의 기체 공급 및 배출 작동부분과 하부동체(3)내의 조절기구로 구성한 것으로, 입구접합관(11)과 출구접합관(12)이 형성된 상부동체(1)내의 중심공 내에 밀봉패킹(13)과 칼날형 밀봉변좌(24)로 일체화시킨 감압개폐문(15)과 보조스프링(16)을 설치하여 밀봉변좌(14)가 눌리게 상부덮개(17)를 나사물림으로 조여 보조스프링(16)과 감압개폐문(15)이 상부덮개(17)의 중앙부 유도공에 위치되게 하고, 밀봉변좌(14)의 중앙부 유도공 내에 4개의 배기 홈이 있는 개폐봉(18)을 설치하며, 상부동체(1)의 하부전압실에는 O형의 밀봉패킹(19)이 끼워진 개폐피스턴(110)을 설치하여 감압부분을 구성하고, 두 개의 접합관(21)을 용접한 중앙동체(2)의 중앙 공간 내에 O형의 밀봉패킹(22)이 끼워진 피스턴(23)을 설치하여 이 피스턴(23)의 중심공 내에는 왕복작동관(24)을 삽입하고, 중앙동체(2)하단부에 형성한 나사산에 하부동체(3)를 나사물림 시켜 기체 공급 및 배출 작동부분을 구성하며 , 하부동체(3)의 중앙부에 형성된 큰공간 내부에 주 스프링(33)을 설치하여 위 부분에 왕복작동캡(31)을 설치하고, 왕복작동캡(31)의 중앙공간과 왕복작동봉(24)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 반전 스프링(32)을 설치하며, 주 스프링(33)의 하단부에는 두 개의 유도핀(36)이 끼워진 압력받이캡(35)을 삽입시켜 중심 나사산에 조정보울트(34)의 상단부를 나사물림 시키고, 이 조정보울트(34)의 하단부를 하부덮개(37)의 중심공 내에 삽입시켜 돌출부에 고정너트(38)와 풀림방지너트(39)를 끼워 분할핀(310)으로 고정시키며, 압력받이캡(35)에 형성된 두 개의 유도핀(36)을 하부동체(3)의 하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홈에 삽입시켜 조절기구를 구성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한 감압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동체(3)의 중앙부에 형성된 큰공간부에 설치된 주 스프링(33)의 두 개의 유도핀(36)이 끼워진 압력받이캡(35)을 삽입시켜 중심 나사산에 나사물림 시킨 조절보울트(34)를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력받이캡(35)은 하부동체(3)의 하단부 공간 내에서 위로 이동하여 주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면 개폐피스턴(110) 상부의 기동력과 평형되는 조절력에 의하여 피스턴(23) 상부의 압력이 pk=0 일 때 조절압력은 왕복작동캡(31), 왕복작동봉(24), 개폐피스턴(110), 개폐봉(18)을 위로 밀어 올려 감압개폐문(15)을 열게 하고, 제어압력(pk)이 설계압력보다 높을 때 피스턴(23)과 왕복작동캡(31)을 아래로 밀어 주 스프링(33)을 압축하여 보조스프링(16)과 고압기체 압력 P1이 작용되어 개폐피스턴(110)과 개폐봉(18)을 아래로 이동시킬 때 압력받이캡(35)을 밀봉변좌(14)의 상표면에 밀착되게 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반전스프링(32)의 작용력이 피스턴(23)의 마찰력보다 커서 제어압력 pk=0일 때 피스턴(23)을 밀어 올려 피스턴(23) 하표면과 왕복작동캡(31)의 상표면을 분리시켜 피스턴(23)의 마찰력을 제거시킬 수 있게 한 기체로 잠김 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KR1019970000146A 1997-01-07 1997-01-07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KR10021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46A KR100218628B1 (ko) 1997-01-07 1997-01-07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46A KR100218628B1 (ko) 1997-01-07 1997-01-07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64A KR19980065264A (ko) 1998-10-15
KR100218628B1 true KR100218628B1 (ko) 1999-09-01

Family

ID=1949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146A KR100218628B1 (ko) 1997-01-07 1997-01-07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57B1 (ko) * 2000-12-19 2004-09-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진동 충격방지 감압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0287B (zh) * 2017-12-22 2023-12-29 浙江卓尔实业有限公司 一种制冷阀门
CN114396505B (zh) * 2021-12-28 2024-05-07 重庆川维石化工程有限责任公司 集补氮和气相压力平衡功能的挥发性有机气体排放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57B1 (ko) * 2000-12-19 2004-09-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진동 충격방지 감압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64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9182A (en) Add-on stopper valve for existing piping
CA2677584C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fire-extinguishing system of the high-pressure gas type
US10704705B2 (en) Valve for switching fluids,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US4162763A (en) Water jet valve assembly
KR100218628B1 (ko) 기체로 잠김기능을 갖도록 한 감압밸브
US20220170343A1 (en) Valve arrangement
CZ281194B6 (cs) Hydraulický diferenciální válec pro olejopneumatické ovládání elektrického rozpojovače
JPH09119536A (ja) 機能停止安全形の液圧逃し/ダンプ弁
CN103244718A (zh) 分区控制阀
KR100286467B1 (ko) 기체 압력을 이용한 자동소방급수장치
JP2008104678A (ja) 自動弁装置
KR19980067784A (ko) 수력기공식 승압제어밸브
JP4546153B2 (ja) 自動弁装置
RU170690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068520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клапан
CN217653501U (zh) 液路切断机构
CN219933355U (zh) 一种阀门更换辅助装置
CN115539687B (zh) 一种气体安全阀及其工作方法
US5238020A (en) Hydraulic valve
US5398715A (en) Constant pressure valve and method
KR960003834Y1 (ko) 가스밸브 안전교체장치
RU21807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ки шлейфа газовой скважины
JP3934978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321494Y1 (ko) 패키지형 소화전
CN2183489Y (zh) 二次自动密封气体快速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