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574B1 - Connection device of high pressure water pipe - Google Patents

Connection device of high pressure wat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574B1
KR100218574B1 KR1019910022283A KR910022283A KR100218574B1 KR 100218574 B1 KR100218574 B1 KR 100218574B1 KR 1019910022283 A KR1019910022283 A KR 1019910022283A KR 910022283 A KR910022283 A KR 910022283A KR 100218574 B1 KR100218574 B1 KR 10021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llet chuck
actuating
hous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2804A (en
Inventor
쿠르트스톨
쾨엔게터 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로타 뮐러
페스토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 뮐러, 페스토 카게 filed Critical 로타 뮐러
Publication of KR92001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5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the wedge element being axially displaceable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수관(11)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결합장치에는 케이싱 절취부(4)가 달린 케이싱(2)이 포함되어 있고, 이 케이싱 절취부내에는 인장핀셋(8)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인장핀셋에는 축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요소(19)가 있고, 이 고정요소들은 케이스측의 면(32, 33)과의 협동에 의하여 고압수관(11)을 지지하는 고정 위치와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고정요소(19)는 굴곡부(23)를 거쳐 조작용 분절(24)에 부착되고, 조작용 분절을 안전 돌출부(36)를 이용하여 이 안전 돌출부가 케이싱(2)의 정지숄더(37)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인장핀셋(8)이 케이싱 절취부(4)로부터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of the high pressure water pipe (11).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casing 2 with a casing cutout 4, in which the tension tweezers 8 are arranged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The tension tweezers has a plurality of fixing elements 19 inwar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xing elements are separated from the fixing position for supporting the high-pressure water pipe 11 by cooperating with the surfaces 32 and 33 on the case side. You can move between them. The fixing element 19 is attached to the manipulation segment 24 via the bend 23, and the manipulation segment is secured to the stop shoulder 37 of the casing 2 using the safety projection 36. This prevents the tension tweezers 8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asing cutout 4.

고정 요소에는 고정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선형의 고정연단(48)이 제공되어 있다.The stationary element is provided with a linear stationary end 48 to smoothly perform the stationary action.

Description

압력 매체 파이프의 결합 장치Combination device of pressure medium pipe

제1도는 결합 장치의 조립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하우징이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압력 매체 파이프와 밀봉 링이 일점 쇄선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1 shows an assembly form of a coupling device, in which the housing is shown in longitudinal section and the pressure medium pipe and sealing ring are only shown in dashed lines.

제2도는 하우징이 생략된 제1도의 결합 장치를 화살표 Ⅱ의 방향으로 보고 도시한 단면도로서, 굴곡부의 횡단면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 콜릿 척이 그 원주의 일지점에서 파단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면.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device of FIG. 1 with the housing omit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II, with the collet chuck broken at one point of its circumference to show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nd. FIG.

제3도는 하우징이 생략된, 제1도 및 제2도의 콜릿 척을 절단선 Ⅲ-Ⅲ을 따라 취하여 축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3 shows the collet chuck of FIGS. 1 and 2, with the housing omitted,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and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콜릿 척을 제1도의 화살표(Ⅳ)를 따라 취하여 축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llet chuck shown in FIGS. 1 to 3 along the arrow IV in FIG.

제5도는 조립용 보조 구멍이 보이도록 절단선 Ⅴ-Ⅴ을 따라 취한 콜릿 척의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llet chuck taken along cutting line V-V to show the assembling holes.

제6도는 제3도의 절단선 Ⅵ-Ⅵ을 따라 취한, 안전 돌출부가 있는 콜릿 척 외주 일 지점의 종단면도.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poin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llet chuck with safety projections, taken along cut line VI-VI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결합 장치 4 : 하우징 공동1: coupling device 4: housing cavity

7 : 외측 나사산 8 : 콜릿 척7: outer thread 8: collet chuck

11 : 압력 매체 파이프 12 : 접속 단부11 pressure medium pipe 12 connection end

19 : 클램프 요소 21 : 하우징 벽19: clamp element 21: housing wall

23 : 굴곡부 24 : 작동부23: bend portion 24: operating portion

26 : 결합 브릿지 30 : 작동 돌출부26: coupling bridge 30: working projection

34 : 삽입 방향 35 : 클램프부34: insertion direction 35: clamp portion

36 : 안전 돌출부 37 : 정지 견부36: safety protrusion 37: stop shoulder

54 : 조립용 보조 구멍 56 : 배부54: auxiliary hole for assembly 56: distribution

본 발명은 하우징 공동이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 공동에는 하나의 환형 콜릿 척(collet chuck)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압력 매체 파이프용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콜릿 척은 하우징 공동의 내부 영역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릿 척의 전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클램프 요소를 구비하며, 이들 클램프 요소는 콜릿 척을 통해 하우징 공동에 삽입되어 압력 매체 파이프의 접속 단부의 외주 영역을 둘러싸고, 클램프 요소는 또한 이들 클램프 요소보다 축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어 하우징 공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콜릿 척의 작동부와 굴곡부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클램프 요소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 작동 돌출부는 하우징 공동의 하우징 벽에 형성된 오목부 내로 돌출되며, 굴곡부에 대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한 영역의 축 방향 내측부는 정지면에 의해 그리고 축 방향 외측부는 지지면에 의해 둘려싸여 있다. 이에 따라, 콜릿 척이 접속 ·단부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작동 돌출부가 축 방향 외측의 지지면에 충돌하여, 클램프 요소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선회 운동이 굴곡부 둘레에서 발생한다. 이 때, 클램프 요소의 클램프부는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부의 외주를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콜릿 척이 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클램프 요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선회 운동이 굴곡부 둘레에서 발생하며, 이 때 클램프 요소의 클램프부는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부를 해제시키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a pressure medium pipe having a housing provided with a housing cavity, in which one annular collet chuck is movably held in an axial direction. The collet chuck has a plurality of clamp elements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interior region of the housing cavity, more specifically in front of the collet chuck, which clamp element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cavity via the collet chuck to provide a pressure medium pi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connecting end of the clamp element, the clamp element is also coupled via the actuating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collet chuck which is disposed axially outwardly from these clamp elements and protrudes from the housing cavity, An actuating protrusion is provided that projects radially outward. This actuating protrusion protrudes into a recess formed i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cavity, the axially inner side of the region located further radially opposite the bend, surrounded by the stop surface and the axial outer side by the support surface. . As a result, when the collet chuck moves axially out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and end portions, the actuating protrusion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axially outer side, and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clamp element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is performed around the bent portion. Occurs in At this time, the clamp portion of the clamp element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ed connecting end portion. Conversely, when the collet chuck moves inwardly in the axial direction,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clamp elem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ccurs around the bend, whereby the clamp portion of the clamp element releases the connecting end into which it is inserted.

이러한 특징을 갖는 결합 장치가 미국 특허 제3,743,32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 있어서, 결합 장치의 하우징 공동에 삽입되는 압력 매체 파이프는 클램프 요소에 의해 고정되며, 이 클램프 요소는 그 작동 돌출부의 경사면의 기울기와 하우징의 지지면의 기울기가 유사하여 클램프 요소가 하우징에 인접하도록 되어있다. 압력 매체 파이프에 인장 하중이 걸리면, 압력 매체 파이프의 내압 또는 외부로부터의 하중에 상관 없이, 압력 매체 파이프 표면과 콜릿 척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클램핑력이 증대된다.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콜릿 척을 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이로 인해 클램프 요소가 선회운동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종래의 독일 특허원 제40 07 101.4호에 기재된 전술한 종류의 결합 장치에 있어서는, 작동 돌출부와 하우징 전방에 장착된 정지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러한 해제과정이 양호하게 유지되었다.Coupling devices having this feature are described in US Pat. No. 3,743,326. In this patent, the pressure medium pipe inserted into the housing cavity of the coupling device is fixed by the clamp element, which clamp element has a similar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ctuating protrusion and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clamp elemen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It is supposed to be adjacent. When a tensile load is applied to the pressure medium pipe, the clamping force is increa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ressure medium pipe surface with the collet chuck, regardless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ressure medium pipe or the load from the outside. Pressing the collet chuck inward axially to disengage causes the clamp element to pivot and move radially outward. In the engagement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in the prior German patent application No. 40 07 101.4, this release process is well maintained by the contact of the actuating projection with the stop face mounted in front of the housing.

그러나, 하우징 공동에 접속된 압력 매체 파이프가 축 방향 외측으로 매우 강한 인장 하중을 받는 경우에는 클램프 요소가 비정상적으로 내측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콜릿 척이 하우징 공동에 확실하게 지지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이 경우 콜릿 척이 압력 매체 파이프와 함께 하우징 공동으로부터 빠져 나와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극단적인 경우는 발생하지 않더라도 하우징과 클램프 요소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재사용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손상이 생길 수 있다.However, if the pressure medium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cavity is subjected to very strong tensile load axially outward, there is a risk that the collet chuck cannot be reliably supported in the housing cavity because the clamp element is abnormally bent inwardly. In this case the collet chuck comes out of the housing cavity with the pressure medium pipe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Even in this extreme case, damage may occur that adversely affects reuse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lamp el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작동 조건하에서 간단히 조립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작동을 보장하며, 특히 접속된 압력 매체 파이프의 확실한 지지를 보장 할 수 있도록 전술한 종류의 결합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upling arrangement of the kind described above so that it can be simply assembled under all operating conditions, ensures reliable operation, and in particular ensures reliable support of the connected pressure medium pipe.

이러한 목적은 서로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돌출부가 하우징 공동의 내면에 인접한 영역에서 클램프 요소의 작동부(2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러한 안전 돌출부가 축 방향 외측으로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 견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함으로써 해결된다.This aim is to allow one or more opposing safety projections to project radially outward from the actuating portion 24 of the clamp element in an area adjacen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avity, the stop shoulders being secured to the housing axially outwardly. This is solved by being surrounded by.

통상, 클램프 요소는 지지면과 상호 작용하여 콜릿 척을 결합 장치의 하우징에 신뢰성 있게 지지한다. 안전 돌출부는 압력 매체 파이프를 체결 및 해제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콜릿 척의 축 방향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콜릿 척이 필요 이상의 강한 인장 하중으로 인해 하우징 공동에서 빠져 나가게 되는 경우에도, 안전 돌출부가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견부에 맞닿게 되어 콜릿 척이 더 이상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삽입된 압력 매체 파이프는 극심한 구속으로 인해 손상되는 일이 없이 계속해서 신뢰성 있게 유지되고, 인장 하중은 안전 돌출부와 정지 견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용된다. 안전 돌출부는 작동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 요소와 굴곡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Typically, the clamp element interacts with the support surface to reliably support the collet chuck i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The safety projec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xial movement of the collet chuck to the extent necessary to engage and release the pressure medium pipe. Even when the collet chuck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cavity due to an excessively strong tension load, the safety protrusion abuts against the stationary shoulder fixed to the housing to prevent the collet chuck from moving fur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serted pressure medium pipe remains reliably undamaged by severe restraint, and the tensile load is effectively received by the safety protrusion and the stop shoulder. Since the safety projections are arranged in the actuating part, they do not affect the clamp elements and the bends.

힘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콜릿 척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 특히 두개의 안전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 견부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콜릿 척은 하우징에 의해 방해 받는 일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한다. 구조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해결책은 정지 견부가 하우징 공동의 하우징 벽에 제공된 오목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오목부 내로 안전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 돌출부가 스냅 요소로서 형성되어 스냅핑 또는 맞물림에 의해 그 뒤쪽이 정지 견부에 체결되어, 가장 간단한 조립으로 신뢰성 있는 분리가 보장되는 것이 장점이다.In order to distribute the force even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lurality, in particular two safety projections,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collet chuck. Since the stop shoulder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collet chuck rotates free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housing. A structurally very preferred solution is that the stop shoulder is formed by the side of the recess provided i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cavity, into which the safety projection at least partially protrudes. In addition, it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protrusion is formed as a snap element so that its rear end is fastened to the stop shoulder by snapping or engaging, so that a reliable separation is ensured by the simplest assembly.

클램프 요소의 클램프부는 압력 매체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된 영역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클램프 연부를 구비하는데, 이 클램프 연부에 의해 클램프 요소의 클램프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클램프 연부는 압력 매체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에 높은 표면 압력으로 클램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다 용이한 굴곡 및 인장 작용의 개선을 위해, 굴곡부를 횡단면으로 보아 내외측 윤곽이 선형인 결합 브릿지로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clamp portion of the clamp element has a clamp edge extending linearly in the area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medium pipe, by which the clamp action of the clamp element is effectively effected. This clamp edge allows clamping to be performed at high surface pressure when the pressure medium pipe is inserted. Further, in order to more easily improve the bending and pulling action, it is effective to form the bending portion as a coupling bridg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contours are linear in cross section.

간단한 조립을 보장하기 위해, 콜릿 척의 작동부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조립용 보조 구멍을 구비하며, 이 조립용 보조 구멍의 축 방향 내측은 굴곡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 클램프 요소의 배부 영역과 연통한다. 따라서, 조립 전에 예를 들어, 핀 형상의 조립용 보조 부재를 조립용 보조 구멍 내로 끼워 넣어 클램프 요소의 배부를 가압함으로써 클램프 요소가 하우징 공동 내로 쉽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한 만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ensure simple assembly, the actuating part of the collet chuck has at least one assembling auxiliary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axial inside of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clamp element located radially outside of the bend. do. Thus, prior to assembly, the clamp element can be easily guided into the housing cavity, for example, by inserting a pin-shaped assembly auxiliary member into the assembly auxiliary hole to press the back of the clamp element, while radially inward as necessary. Allow it to bend.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는 조립 측면(3)쪽으로 개방된 하우징 공동(4)이 제공되어 있는 하우징(2)을 구비한 결합 장치(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공동(4)에는 동축으로 연속하여 도관(5)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도관은 조립 측면(3)의 반대쪽에 있는 고정 측면(6)에서 끝나고 있다. 도관(5)이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일부에는 외측 나사산(7)이 형성되어 있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나사 구멍내에 밸브 등에 의해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합 장치는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다.1 shows the coupling device 1 as a whole with a housing 2 which is provided with a housing cavity 4 open towards the assembly side 3. A conduit 5 is connected to the housing cavity 4 continuously coaxially, which terminates at the stationary side 6 opposite the assembly side 3. A part of the housing in which the conduit 5 is arranged is formed with an outer thread 7 so that the housing is fixed by a valve or the like in a suitable screw hole not shown in detail. By such a known method, the coupling device can be flexibly coupled.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환형의 슬리브형 콜릿 척(8)이 하우징 공동(4)의 종축(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콜릿 척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접속 구멍(10)에는 압력 매체 파이프의 접속 단부(12)의 전면이 하우징 공동(4)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압력 매체 파이프(11 ; 일점 쇄선으로만 도시됨)가 관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ubstantially annular sleeved collet chuck 8 is hel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9 of the housing cavity 4. The connection hole 10 delimited by the collet chuck penetrates the pressure medium pipe 11 (shown in dashed lines only) in such a way that the front face of the connection end 12 of the pressure medium pip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avity 4. can do.

이와 동시에, 일점 쇄선으로만 도시된 이중 립(lip) 형태의 밀봉 링과 같은 밀봉 요소(17)가 하우징 공동(4)의 내부에서 콜릿 척(8)의 축 방향 전방부와 이에 대향하게 배치된 하우징 계단부(16)와의 사이에 고정된다. 이 밀봉 요소는 접속단부(12)를 밀접하게 둘러싸며, 접속 단부의 더 깊게 끼워 넣어지는 전면(18)의 삽입 깊이는 하우징 계단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 sealing element 17, such as a double lip shaped sealing ring, shown only by a dashed line, is disposed opposite the axial front of the collet chuck 8 inside the housing cavity 4. It is fixed between the housing step 16. This sealing element closely surrounds the connecting end 12,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front face 18 which is inserted deeper at the connecting end can be limited by the housing step.

콜릿 척(8)은 복수 개의 클램프 요소(19)를 구비하며, 이 클램프 요소는 하우징 공동(4) 내측 영역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원주 방향(20)으로 등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콜릿 척 전면의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클램프 요소는 압력 매체 파이프(11)를 콜릿 척(8)에 대향하게 동축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콜릿 척은 하우징 공동(4)의 외주를 둘러싸는 하우징(2)의 하우징 벽(2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결국 압력 매체 파이프(11)는 하우징(2)에 대향하게 고정된다.The collet chuck 8 has a plurality of clamp elements 19, whic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collet chuck continuously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20 shown by arrows in the region inside the housing cavity 4. It is arranged inside. These clamp elements can fix the pressure medium pipe 11 coaxially opposite the collet chuck 8, which also encloses the housing wall 21 of the housing 2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cavity 4. ), The pressure medium pipe 11 is finally fixed against the housing 2.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합 장치에 콜릿 척을 내장하는 하우징 공동 및/또는 고정 측면(6) 또는 기타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cavity and / or fixing side 6 or other securing means may be provided which incorporates a collet chuck in the coupling device.

원주 방향(20)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클램프 요소(19)는 분리점(22)에서 서로 분리되는데, 실시예에서는 분리점이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클램프 요소(19)는 서로 방해하는 일이 없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23)(제1도, 제5도 및 제6도)가 각각의 클램프 요소(19)로부터 축 방향으로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뒤쪽에 배치된 콜릿 척(8)의 슬리브형 부분[이하에 작동부(24)로서 지칭]과 결합되어 있다. 굴곡부(23)에 의해 클램프 요소(19)가 제6도의 이중 화살표(25)로 도시된 방향으로 쉽게 선회 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굴곡부(23)의 반경 방향 단면적은 클램프 요소(19)와 작동부(24)와의 접속 영역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러나, 이들 영역은 모두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단면적 감소 영역은 결합 브릿지(26)로서 형성된다. 콜릿 척(8)은 전체가 완전 독립된 구성 부품으로서 도시되어 있다.Each clamp element 19 disposed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2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split point 22, which in the embodiment is formed in a slit-like manner, so that the clamp elements 19 interfere with each other. Can move radially without work. Further, the bent portion 23 (FIGS. 1, 5 and 6) protrudes further outwar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each clamp element 19, so that the sleeved portion of the collet chuck 8 disposed behind 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uating section 24). The flexure 23 allows the clamp element 19 to pivot easily in the direction shown by the double arrow 25 in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ad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end 23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clamp element 19 and the actuating 24. However, these areas are all integrally molded from plastic. In an embodiment, this cross-sectional area reduction area is formed as a coupling bridge 26. The collet chuck 8 is shown as a completely independent component part in its entirety.

특히,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프 요소(19)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 돌출부(30)를 구비한다. 콜릿 척(8)이 결합 장치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러한 작동 돌출부(30)는 하우징 공동(4)의 하우징 벽(21)의 내주면 영역의, 종축(9)에 대하여 동축으로 연장되는 환형 오목부(31)내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오목부(31)를 하우징 벽(21)에 직접 형성하였지만, 다른 장소에 다른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5 and 6, each clamp element 19 has an actuating protrusion 30 which projects radially outward. With the collet chuck 8 assembled to the coupling device, this actuating protrusion 30 is formed in an annular recess extending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9, in the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wall 21 of the housing cavity 4. 31) and partially protrude into. In the embodiment, the recesses 31 are formed directly in the housing wall 21, but they may be formed in other places in different ways.

각각의 작동 돌출부(30)는 굴곡부(23) 또는 결합 브릿지(26)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31)내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작동 돌출부(30)의 부분은 오목부(31)의 표면 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축 방향 내측의 정지면(32)과 하우징의 축 방향 외측의 지지면(3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도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표면 부분은 직경이 보다 큰 축 방향 영역이 서로 대항하게 배치되어 있는 절두 원추형 일부의 표면과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다. 제1도에 도시된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오목부의 횡단면의 윤곽은 V자형이고, 이때 종축(9)에 대한 기울기는 정지면(32)이 지지면(33)보다 더 가파르다.Each actuating protrusion 30 is arranged further radially outward than the flexure 23 or the coupling bridge 26. The portion of each actuating protrusion 30 disposed in the recess 31 forms the surface portion of the recess 31, the axially inward stop face 32 of the housing and the axially outer support of the housing. It is surrounded by the face 33. As clearly shown in FIG. 1, these surface portions have similar inclinations to th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ical portion in which larger axial regions are arranged against each other. In the specific structure shown in FIG. 1, the contou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is V-shaped, where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9 is steeper than that of the support surface 33.

클램프 요소(19)의 반경 방향 내측 영역은 압력 매체 파이프(11)를 클램핑 하기 위해 그 외주면에 대하여 작용하는 클램프부(35)를 구비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가 끼워져 있지 않은 콜릿 척(8)의 경우에, 클램프부(35)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클램프 요소의 단면적은 통상 작동부(24)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접속 구멍(10)의 단면적보다 약간 작으며, 이 접속 구멍의 직경은 접속될 압력 매체 파이프(11)의 외경과 거의 비슷하다. 그 결과, 콜릿 척(8)이 결합 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력 매체 파이프의 접속 단부(12)를 하우징 공동(4)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클램프 요소(19)의 클램프부(35)는 굴곡부 둘레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거나 선회된다. 이 경우, 클램프부(35)가 굴곡부(23)를 통해 스프링과 같이 탄력적으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클램프부(35)에는 접속 단부(12)를 가압하는 클램프력이 발생된다.The radially inner region of the clamp element 19 has a clamp portion 35 which acts agains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lamp the pressure medium pipe 11. As shown in FIGS. 2-6, in the case of the collet chuck 8 with no pipe fitt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amp element surrounded by the clamp part 35 is usually surrounded by the actuating part 24. It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ng hole 10 which is present, and the diameter of this connecting hole is almost similar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ure medium pipe 11 to be connected. As a result, when inserting the connecting end 12 of the pressure medium pipe into the housing cavity 4 while the collet chuck 8 is assembled to the coupling device, the clamp portion 35 of the clamp element 19 It is pressed or pivoted radially outward around the bend. In this case, since the clamp part 35 is elastically suspended like the spring through the bend part 23, the clamp force which presses the connection edge part 12 is generated in the clamp part 35. FIG.

또한, 작동 중에 콜릿 척(8)이 접속 단부(12)의 삽입 방향(34)과 반대 방향으로 축 방향 외측으로 더 이동하면, 예를 들어 압축 공기에 의한 압력 매체 파이프(11)와 도관(5)의 내압으로 인하여 작동 돌출부(30)가 지지면(33)에 대하여 가입된다. 이에 따라 굴곡부(23) 영역의 유연성에 근거하여 클램프 요소(19)가 내측으로 선회되거나 연신되기 때문에, 클램프부(35)는 접속 단부(12)를 강하게 클램핑하는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collet chuck 8 further moves axially out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of the connecting end 12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pressure medium pipe 11 and the conduit 5 by compressed air.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orking projection 30 is jo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33. Thus, since the clamp element 19 is pivoted or stretched inwards based on the flexibility of the region of the bend 23, the clamp portion 35 plays an original role of strongly clamping the connecting end 12.

접속을 풀려면, 콜릿 척을 단지 삽입 방향(34)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며, 이러한 이동은 하우징 공동(4)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부(24)를 이동시켜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이동의 결과, 작동 돌출부(30)가 지지면(33)에서 벗어나 대신 정지면(32)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 요소(19)가 외측으로 선회되며[이중 화살표(25) 방향으로], 이 때 클램프부의 단면적이 넓어져 접속 단부(12)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To loosen the connection, it is only necessary to move the collet chuck in the insertion direction 34, which is effective by moving the operating part 24 protruding from the housing cavity 4. As a result of this movement, the actuating projection 30 escapes the support surface 33 and instead presses the stop surface 32. The clamp element 19 is thus pivoted outwards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25), whereby the cross section of the clamp portion is widened so that the connecting end 12 can be easily separated.

작동 돌출부(30)와 정지면(32)은 콜릿 척(8)을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콜릿 척(8)이 예를 들어, 클램프부(35)를 통해 콜릿 척과 연결되어 있는 압력 매체 파이프(11)의 인장 하중에 의하여 삽입 방향(34)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매우 강한 힘을 받게 될 때, 콜릿 척(8)이 하우징 공동(4)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추가의 안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 돌출부(30)에 추가하여, 하우징 공동(4)의 내면에 인접한 영역으로, 서로 대향하게 두개의 안전 돌출부(36)가 작동부(24)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안전돌출부는 종축에 대하여 대향하게 콜릿 척(8) 영역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 견부(3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정지 견부(37)는 하우징 공동(4)의 하우징 벽(21)에 움푹하게 들어간 환형 오목부(39)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이 오목부 내로 안전 돌출부(36)가 돌출된다. 정지 견부(37)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부(24)를 동축으로 둘러싸고 있다.The actuating protrusion 30 and the stop face 32 function to reliably stop the collet chuck 8. However, the collet chuck 8 is subjected to a very strong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by, for example, a tensile load of the pressure medium pipe 11 connected to the collet chuck via the clamp portion 35. When provided,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additional safety means to prevent the collet chuck 8 from escaping from the housing cavity 4.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ctuating protrusions 30, two safety protrusions 36 are provided on the actuating portion 24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area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avity 4. Is project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llet chuck 8 area opposite the longitudinal axis, and is surrounded by a stop shoulder 37 fixed to the housing. In this embodiment the stop shoulder 37 is formed by the side of the annular recess 39 recessed in the housing wall 21 of the housing cavity 4, into which the safety projection 36 protrudes. . The stop shoulder 37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surrounds the operating part 24 coaxially.

안전 돌출부는 하나이어도 충분하지만, 안전 돌출부(36)를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 돌출부를 작동부(24)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힘을 균등하게 전달하는데 유리하다.One safety protrusion may be sufficient, bu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ny number of safety protrusions 36 can be installed. Placing the safety protrusions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actuator 24 is advantageous for evenly transmitting the force.

작동 돌출부(30), 지지면(33), 안전 돌출부(36) 및 정지 견부(37)의 배치는 정상 작동시에는 안전 돌출부(36)가 정지 견부(37)와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어, 지지면(33)을 통한 클램핑 해제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램프 요소(19)가 접속 단부(12)에 대해 클램핑 위치에 있으며 작동 돌출부(30)와 지지면(33)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 즉 작동 돌출부(30)가 오목부(31)속에 있는 경우에는,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부(12)에 대하여 콜릿 척(8)을 삽입 방향(34)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야만 비로서 안전 돌출부(36)가 정지 견부(37)에 위치하게 된다.The arrangement of the actuating protrusion 30, the support surface 33, the safety protrusion 36 and the stop shoulder 37 is such that the safety protrusion 36 is not connected to the stop shoulder 37 during normal operation. It is desirable not to interfere with the clamping release action through the support surface 33. Thus, when the clamp element 19 is in the clamp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end 12 and the actuating protrusion 30 and the support surface 3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actuating protrusion 3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31. If present, the collet chuck 8 must be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end 12 inserted, so that the safety protrusion 36 is positioned at the stop shoulder 37.

안전 돌출부(36)를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냅 요소로 형성하여, 조립시 스냅핑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정지 견부(37)의 내측 영역으로 들어가게 하면 조립이 매우 쉬워진다.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작동부(24)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 안전 돌출부(36)는 작동부의 외주로부터 축 방향으로 경사짐과 동시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6도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와 유사한 윤곽을 나타낸다. 경사부(40)와, 반경 반향 내측으로 상기 경사부와 대향하는 작동부(24)의 부분(44)과의 사이에 공간(47)이 마련되어, 이 공간에 의해 경사부(40)가 부분(44)에 인접할 때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최대한 굴곡될 수 있다.The safety projection 36 is formed of a snap element as in the embodiment, and when assembled, it is very easy to assemble into the inner region of the stop shoulder 37 along the axial direction by snapping. 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and 6, the safety protrusion 36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ctuating portion 24 extends radially outward while being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ctuating portion. It has a contour similar to a hook as show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view of 6 degrees. A space 47 is provided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40 and the portion 44 of the operating portion 24 facing the inclined portion radially inwardly, whereby the inclined portion 40 is formed by the portion ( Can be bent as far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s possible.

콜릿 척(8)을 하우징 공동(4)에 끼워 넣을 때, 안전 돌출부(36)가 정지 견부(37)를 통과하면서 접촉하게 되면 안전 돌출부는 자동적으로 굴곡된다. 경사부(40)는 그 탄력 특성에 의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이 최초 위치에서 정지 견부(37)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When inserting the collet chuck 8 into the housing cavity 4, the safety protrusion automatically bends when the safety protrusion 36 comes into contact with it through the stop shoulder 37. The inclined portion 4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its elasticity characteristic and prevents the stop shoulder 37 from moving in this initial position.

하우징(2)의 정지 견부(37)의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 영역은 안내부(45)를 형성하며, 이 안내부는 안전 돌출부(36)에 대해 축 방향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작동부(24)의 원통형 부분(46)을 둘러싸고 이 부분의 축 방향 운동을 안내하면서 콜릿 척의 측면을 안정시킨다. 안전 돌출부(36)는 원통형 부분(46)의 외주를 초과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경사부는 중간 공간(47)이 좁아지면서 이 경사부(40)의 반경 방향 외측 영역이 원통형 부분(46)의 외주선과 거의 동렬로 배열될 때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다.The region disposed axially outward of the stop shoulder 37 of the housing 2 forms a guide 45, which actuates 24 which are located ax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afety projection 36. The side of the collet chuck is stabilized while surrounding the cylindrical portion 46 and guid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portion. The safety protrusion 36 protrudes beyo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and the inclined portion is narrowed in the intermediate space 47 so that the radially outer region of the inclined portion 40 is in line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It can be bent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until it is arranged almost coaxially.

콜릿 척이 삽입 방향(34)으로 이동할 때에는 안전 돌출부(36)가 차단 작용을 하지 않는다. 간단한 조립 및 큰 부하의 어떠한 경우에도 콜릿 척은 확실하게 제어된다.The safety protrusion 36 does not block when the collet chuck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34. In any case of simple assembly and high load, the collet chuck is reliably controlled.

클램프부(35)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는 측면은 클램프 연부(48)를 구비하고, 이 클램프 연부는 삽입되는 접속 단부(12)의 표면 영역에 대해 선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접선으로 연장됨으로써 최악의 작동 조건 하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클램프 연부(48)는 화살표(Ⅳ)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정다각형 선을 따라 위치된다.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프 연부에 높은 표면 압력이 발생되므로, 클램프 연부(48)는 접속 단부의 유연한 벽에 달라붙거나 파묻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클램프 요소는 안전 돌출부(36)가 없는 결합 장치에도 효과적이며, 따라서, 안전 돌출부가 추가되면 상당히 강한 지지력이 안전하게 하우징(2)으로 전달될 수 있어, 콜릿 척(8)이 하우징 공동(4)으로부터 빠질 위험이 없다.The radially inward facing side of the clamp portion 35 has a clamp edge 48, which extends linearly, preferably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necting end 12 into which it is inserted. Can also be used under operating conditions. Accordingly, the clamp edge 48 is located along the regular polygonal line as a whol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V. Since a high surfac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clamp edge at the clamping position, the clamp edge 48 is stuck or buried in the flexible wall at the connecting end. This type of clamp element is also effective for the coupling device without the safety protrusion 36, so that when the safety protrusion is added, a fairly strong bearing force can be safely transmitted to the housing 2, so that the collet chuck 8 is connected to the housing cavity ( There is no risk of falling out of 4).

전술한 결합 브릿지(26)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 연부(48)와 비슷하게 반경 방향 내측과 외측의 단면이 모두 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브릿지(26)의 내면(49) 및 외면(50)도 축 방향으로 볼 때 정다각형 선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을 장방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요소를 선회시키는 굴절 과정이 적은 힘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해지는 힘의 대부분을 본래의 클램핑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bridge 26 is linear in both radially inner and outer cross sections similar to the clamp edge 48 as shown in FIG. 2, the inner surface 4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ridge 26 are linear. (50) is also located along the regular polygonal line in the axial direction. Thus, since the refraction process of turning the clamp element by forming the cross section in a rectangle or trapezoid can be made even with a small force, most of the applied force can be used as the original clamping force.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구멍(10)도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다각형의 모서리들은 서로 축 방향을 따라 동렬로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hole 10 is also formed in a polygon. The edges of these polygons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axial direction.

콜릿 척(8)은 높은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하우징(2)에 간단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안전 돌출부와 다각형 연부 등을 제외한 다른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4)에 축 방향을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클램프 요소(19)쪽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조립용 보조 구멍(54)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조립용 보조 구멍(54)은 선형으로 종축(9)을 따라 연장되며 둘레가 폐쇄된 드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클램프 요소(19)에 하나 이상 배치된다.The collet chuck 8 should be configured to withstand high stresse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be configured for simple mounting in the housing 2. For this purpose, other effective methods except safety protrusions and polygonal edges have been proposed. The method comprises a plurality of assembly auxiliary holes 54 open to the clamp element 19 inward and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actuating section 24, as shown in FIGS. 2, 3 and 5. ) To provide. In the embodiment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is linear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9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drilled hole with a closed circumference, one or more being arranged in each clamp element 19.

작동부(24)의 조립용 보조 구멍(54)의 축 방향 내측에 제공된 출구(55)는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클램프 요소(19)의 축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는 배부(56)에 대향한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출구(55)와 배부(56)사이에서 오목부(57)가 연장되는데, 이 오목부의 반경 방향 체적은 이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브릿지(26)로 인해 작아진다. 출구(55)는 배치된 각각의 굴곡부(2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The outlet 55 provided axially inward of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of the operating part 24 opposes the axially outwardly facing back 56 of each clamp element 19 in which it is dispo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recess 57 extends between the outlet 55 and the back 56, the radial volume of which becomes smaller due to the coupling bridge 26 located in this region. . The outlet 55 is located radially outward of each bend 23 arranged.

조립용 보조 구멍(54)에는 그 단면 형상의 조립용 보조 부재(51)가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보조 부재는 제5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콜릿 척(8)을 하우징 공동(4)에 조립하기 전에, 클램프 요소(19)와 반대쪽에 있는 입구(59)로부터 조립용 보조 구멍(54)으로 화살표(58) 방향을 따라 조립용 보조 부재(51)를 끼워 넣고, 출구로부터 돌출되는 단부(60)로 배부(56)를 가압하면, 굴곡부(23)에 배치된 클램프 요소(19)가 화살표(61) 방향으로 굴곡부(23) 둘레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콜릿 척이 삽입 방향(34)으로 장착되는 동안 클램프 요소는 그 배부(56)의 이동에 의하여 종래의 클램핑 위치에 비하여 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선회된 조립 위치에 콜릿 척을 유지할 수 있어, 콜릿 척은 이 조립 위치에서 정지 견부(37)와 지지면(33)을 통과하여 하우징 공동(4)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is fitted so that the assembling auxiliary member 51 of its cross-sectional shape can be fitted, and this auxiliary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 a pin shape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Do. Prior to assembling the collet chuck 8 into the housing cavity 4, the assembly auxiliary memb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58 from the inlet 59 opposite the clamp element 19 to the assembly aperture hole 54 ( 51 is inserted and the backing 56 is pressed against the end 60 protruding from the outlet, the clamp element 19 disposed in the bend 23 is radially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bend 2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61. It will turn inside. In this way, while the collet chuck is moun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34, the clamp element can hold the collet chuck in an assembly position that is pivoted more radially inwar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lamping position by the movement of its back 56, The collet chuck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using cavity 4 through the stop shoulder 37 and the support surface 33 in this assembly position.

몇개의 조립용 보조 부재(51)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클램프 요소(19)가 각각의 대응 부재에 의하여 함께 조립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Since several assembling auxiliary members 51 are constituted by one device, all the clamp elements 19 can be held together in the assembly position by their corresponding members.

클램프 요소마다 조립용 보조 구멍을 제공하거나, 복수 개의 클램프 요소에 하나의 조립용 보조 구멍을 배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조립용 보조 구멍(54)이 활 모양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그 일부가 콜릿 척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 외에도, 예를 들어 조립용 보조 구멍(54)을 작동부(24)의 외주면에 파여 있는 홈 모양의 오목부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Assembling auxiliary holes may be provided for each clamp element, or one assembly auxiliary hole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lamp elements. In the latter case,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is formed into a bow-shaped slit so that a part thereof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llet chuck. In addition, for example,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may be formed as a groove-shaped reces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24.

Claims (12)

하우징을 구비한 압력 매체 파이프(11)용 결합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2)은 하우징 공동(4)을 구비하며 ; 이 하우징 공동에는 환형 콜릿 척(8)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콜릿 척은 하우징 공동(4)의 내부 영역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클램프 요소(19)를 구비하며 ; 이들 클램프 요소는 콜릿 척(8)을 통해 하우징 공동(4)으로 삽입되어 압력 매체 파이프(11)의 접속 단부의 외주 영역을 둘러싸고, 이들 클램프 요소는 또한 이들 클램프 요소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하우징 공동(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콜릿 척(8)의 작동부(24)와 굴곡부(23)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클램프 요소(19)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 돌출부(30)가 제공되어 있고 ; 이 작동 돌출부는 하우징 공동(4)의 하우징 벽에 형성된 오목부 내로 돌출되며, 상기 굴곡부(23)에 대향하여 반경 반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한 영역의 축 방향 내측부는 정지면(32)에 의해, 그리고 축 방향 외측부는 지지면(33)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콜릿 척(8)이 접속 단부의 삽입 방향(34)과 반대 방향으로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작동 돌출부가 축 방향 외측의 지지면(33)에 충돌하게 되어 클램프 요소(19)가 굴곡부 둘레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선회 운동하여 이에 따라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프 요소(19)의 클램프부(35)는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부의 외주를 가압하고, 반대로 콜릿 척(8)이 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클램프 요소(19)가 굴곡부(23) 둘레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선회 운동하여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부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매체 파이프의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4)는 하우징 공동(4)의 내면에 인접한 영역에, 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 돌출부(3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전 돌출부는 축 방향 외측으로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 견부(37)에 의해 둘려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A coupling device for a pressure medium pipe (11) with a housing, the housing (2) having a housing cavity (4); An annular collet chuck 8 is movably held in this housing cavity, the collet chuck having a plurality of clamp elements 19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n inner region of the housing cavity 4. ; These clamp elements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cavity 4 through the collet chuck 8 to enclose the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connecting end of the pressure medium pipe 11, and these clamp elements are also arranged axially outward of these clamp elements so that the housing The actuating part 24 and the bent part 23 of the collet chuck 8 protruding from the cavity 4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each clamp element 19 also has a radially outwardly actuating protrusion ( 30) is provided; This actuating protrusion protrudes into a recess formed i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cavity 4, the axially inner side of the region located further radially opposite the flexure 23 by the stop face 32, and The axially outer side is surrounded by the supporting surface 33, so that the actuating projection is the axially outer supporting surface when the collet chuck 8 moves axially out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of the connecting end. Impinge on (33) such that the clamp element (19) pivots radially inward around the bend so that at the clamping position the clamp portion (35) of the clamp element (19) press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ed end On the contrary, when the collet chuck 8 moves inwardly in the axial direction, the clamping element 19 pivots radially outwardly around the bend 23 so that the inserted end part is released. In the coupling device of a pressure medium pipe, the actuating section 24 is provided with a safety protrusion 36 projecting radially outwardly opposite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an area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avity 4. And the safety projection is enclosed by a stop shoulder (37) fixed to the housing in an axial out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4)에는 복수 개의 안전 돌출부(36)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안전 돌출부는 원주 방향(20)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afety protrusions (36), and these safety protrusion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20).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견부(37)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부(24)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shoulder (37) is annularly formed and surrounds the actuating section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견부(37)는 하우징 공동(4)의 하우징 벽(21)에 형성된 오목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이 오목부 내로 안전 돌출부(3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The stop shoulder 37 is formed by a side of a recess formed in the housing wall 21 of the housing cavity 4, in which the safety projection 36 protrudes at least partially into the recess. Combin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요소(19)는 접속 단부(12)에 대한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와 작동 돌출부(30)와 지지면(33)이 아직 접촉되어 있을 때, 삽입된 접속 단부(12)에 대하여 삽입 방향(34)과 반대 방향으로 콜릿 척(8)이 이동하면 각각의 안전 돌출부(36)가 주행하여 배치된 정지 견부(37)에 맞닿도록, 안전 돌출부(36)와 정지 견부(37) 사이의 축 방향 상대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inserted connecting end 1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element 19 is in the clamp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end 12 and when the actuating protrusion 30 and the support surface 33 are still in contact. When the collet chuck 8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the safety protrusion 36 and the stop shoulder ()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 shoulder 37 disposed by traveling. 37) A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xial relative position is set 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돌출부(36)는 스냅 요소로서 형성되어, 스냅핑에 의해 정지 견부(37)의 축 방향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eng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projection (36) is formed as a snap element, which can be arranged in the axially inner region of the stop shoulder (37) by snapp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돌출부(36)는 작동부(24)로부터 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콜릿 척(8)의 조립 중에 상기 안전 돌출부는 정지 견부(37)를 통과하면서 단시간 동안 작동부(24)쪽으로 반경 반향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되고, 정지 견부(37)를 통과한 후에는 다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7. The safety projection (36)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afety projection (36)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actuating portion (24) and projects radially outwardly, and the safety projection is a stop shoulder (37) during assembly of the collet chuck (8). And elastically bent radially towards the actuating portion (24) for a short time while passing through, and returning radially outward again after passing the stop shoulder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5)는 선형으로 연장된 클램프 연부(48)를 구비하며, 이 클램프 연부(48)는 종축(9) 방향으로 볼 때 가상의 다각형 선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clamp portion (35) of claim 1, wherein the clamp portion (35) has a clamp edge (48) extending linearly, said clamp edge (48) being positioned along an imaginary polygon line as viewed in the longitudinal axis (9) direction. Combin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23)는 클램프 요소(19)와 작동부(24) 사이에서 연장되는 결합 브릿지(26)에 의해 형성되고, 이 결합 브릿지는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이 모두 선형 윤곽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결합 브릿지(26)의 내면(49) 및 외면(50) 모두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가상의 다각형 선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bent part (2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t part (23) is formed by a joining bridge (26) extending between the clamp element (19) and the actuating part (24), the joining bridge being radially inward and outward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ll of which are formed in a linear contour, whereby both the inner surface (49) and the outer surface (50) of the coupling bridge (26) are located along an imaginary polygonal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4)는 결합될 압력 매체 파이프(11)를 수용하는 접속 구멍(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조립용 보조 구멍(54)를 구비하고, 이 조립용 보조 구멍에는 그 축 방향 내측에 출구(55)가 형성되고, 이 출구는 굴곡부(23)을 사이에 두고 반경 방향 외측에 있는 클램프 요소(19)의 배부(背部 ; 56)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이 조립용 보조 구멍에 조립용 보조 부재(51)가 축 방향 내측으로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조립용 보조 부재를 사용하여 콜릿 척(8)을 삽입 방향(34)으로 삽입해서 클램프 요소(19)의 배부(56)를 클램핑 위치로 향하여 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콜릿 척이 조립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2. The actuating part (2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ing part (24) has one or more assembly auxiliary holes (54) axially penetrating radially outward of the connecting hole (10) for receiving the pressure medium pipe (11) to be joined. In this assembling auxiliary hole, an outlet 55 is formed inside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56 of the clamp element 19 located radially outward with the bent portion 23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assembling auxiliary member 51 can be inserted through this assembly auxiliary ho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llet chuck 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direction 34 using the assembling auxiliary member. The eng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t chuck is held in the assembled position by inserting and moving the back portion 56 of the clamp element 19 further radially inward towards the clamping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클램프 요소(19)에 대하여 작동부(24)의 조립용 보조 구멍(5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12.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n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of an actuating portion (24) is arranged for each clamp element (19).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보조 구멍(54)은 원주가 폐쇄된 드릴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12. The joi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and 11, wherein the assembling auxiliary hole (54) is formed in the form of a drill hole in which the circumference is closed.
KR1019910022283A 1990-12-07 1991-12-06 Connection device of high pressure water pipe KR1002185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39066A DE4039066C1 (en) 1990-12-07 1990-12-07 Connector for pressurised pipes with recessed housing
DEP4039066.7 1990-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804A KR920012804A (en) 1992-07-27
KR100218574B1 true KR100218574B1 (en) 1999-09-01

Family

ID=641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283A KR100218574B1 (en) 1990-12-07 1991-12-06 Connection device of high pressure water pip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7117184B2 (en)
KR (1) KR100218574B1 (en)
DE (1) DE4039066C1 (en)
FR (1) FR2670268B1 (en)
IT (1) IT125314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9003D0 (en) * 1994-09-21 1994-11-09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 collets
DE19725999C1 (en) * 1997-06-19 1998-11-05 Festo Ag & Co Plug connection device and fluid distribution device equipped with one or more plug connec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3326A (en) * 1972-05-10 1973-07-03 Weatherland Co Releasable tube coupling
DE2611233A1 (en) * 1976-03-17 1977-09-22 Rolf Dieter Ing Grad Reubelt Plug connection for flexible plastic hose - uses compressible clamp sleeve inside screw fitting with lugs to bite onto hose
JPS589311A (en) * 1981-07-09 1983-01-19 Takaoka Ind Ltd Oil-filled electrical apparatus having oil leakage preventing device
DE3710853A1 (en) * 1987-04-01 1988-10-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Plug-in connection for a pipe or the like in a receiving part
DE4007101C1 (en) * 1990-03-07 1991-07-18 Festo Kg, 7300 Essling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70268A1 (en) 1992-06-12
KR920012804A (en) 1992-07-27
ITVR910103A0 (en) 1991-11-29
ITVR910103A1 (en) 1993-05-29
DE4039066C1 (en) 1992-06-25
FR2670268B1 (en) 1994-08-05
JPH04266690A (en) 1992-09-22
IT1253142B (en) 1995-07-10
JPH07117184B2 (en)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561B1 (en) Retainer for piping connector
US5112084A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US5683117A (en)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US4872710A (en) Releasable quick connect fitting
US4913467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pipe
KR100314314B1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fluid pipelines
KR19980701477A (en) Quick coupling device to connect the tube to the rigid element
US5553818A (en) Conduit end fitting with lock condition indicator
JPH07151278A (en) Joint for corrugated pipe
KR100769998B1 (en) Plug-type coupling
KR920006405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pipe
JPH05231579A (en) Removable insert connector for simi-hard pipe
JP3795921B2 (en) Fluid-controlled clutch release bearing for a diaphragm clutch, especially for automobiles, having a guide sleeve
KR960006181B1 (en) Slender pipe connector
JPH0819961B2 (en) Release bearing device
JP2706629B2 (en) Pipe fittings
KR20080089272A (en) A coupling device for a fluid line
US5094481A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JPH08145143A (en) Sealing member for ball screw device
KR960704687A (en) PUNCH UNIT
JP4088922B2 (en) Fitting
SK158994A3 (en) Quick-fit union connector with indicator of connection
KR920000378B1 (en) Clutch release bearing machanism
KR100218574B1 (en) Connection device of high pressure water pipe
KR100307481B1 (en) Fiber Opt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