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172B1 -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172B1
KR100217172B1 KR1019970026926A KR19970026926A KR100217172B1 KR 100217172 B1 KR100217172 B1 KR 100217172B1 KR 1019970026926 A KR1019970026926 A KR 1019970026926A KR 19970026926 A KR19970026926 A KR 19970026926A KR 100217172 B1 KR100217172 B1 KR 10021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cept
clock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123A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1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23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 H04J3/1635Format conversion, e.g. CEP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04J3/085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for ring networks, e.g. SDH/SONET rings, self-healing rings, meashed SDH/SONE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브이티오에이 (VTOA)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SWAN2 망의 VTOA 장치에서 클럭등기장치의 이상발생시 정상동작이 어려운 문제점과 RTIT VTOA 장치에 적용시 가입자수용 부족현상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레이스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동기클럭에 따라 시분할다중 버스구조의 프레임으로 만들고, ATM 정합부(23)의 출력클럭을 분주하여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하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9)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와; 상기 CEPF 프레이머부(21)와 상기 ATM 정합부(23) 간의 상호신호를 단극 또는 양극신호로 변환해주고,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해주는 ATM 정합부(23)와; 상기 ATM 정합부(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에서 얻어지는 기준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24)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서 선택된 기준 클럭을 분주하여 동기클럭으로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 제공하는 위상동기 루프부(25)와; 상기 위상동기 루프부(25)와 ATM 동기클럭 발생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동기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CEPF 프레이머부(21)와 상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에 제공해주는 동기클럭 선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21) 및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 사이의 유지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2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동작상태와 수신되는 E1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부(28)와; 상기 E1 신호의 교환기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리드/라이트하고 링신호를 콘트롤하는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로 이루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VTOA CEPT 인터페이스에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일반적으로 VTOA(Voice Ov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장치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 이하 VOD라 약칭한다)와 케이블티브이(Community Antenna Television; 이하 CATV라 약칭한다) 및 통신서비스 기능을 수용하여 비동기 전송 방식(Asy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약칭한다)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SWAN(Socicultural Welfare Advancement Network) 망을 통하여 전화서비스를 구현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위상동기 루프부(5)에서 얻어지는 동기클럭에 따라 시분할다중 버스 구조의 프레임으로 만들고, ATM 정합부(3)의 출력클럭을 분주하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8)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CEPT 프레이머부(1)와; 상기 위상동기 루프부(5)에서 얻어지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CEPT 프레이머부(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와; 상기 CEPT 프레이머부(1)와 상기 ATM 정합부(3) 간의 상호신호를 단극 또는 양극신호로 변환해주고,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4)에 전달해주는 ATM 정합부(3)와; 상기 ATM 정합부(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CEPT 프레이머부(1)에서 얻어지는 기준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4)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4)에서 선택된 기준클럭을 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을 각각 상기 CEPT 프레이머부(1)와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에 제공해주는 위상동기 루프부(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1) 사이의 유지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의 동작상태와 수신되는 E1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부(7)와; 상기 E1 신호의 교환기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8)와; 상기 중앙처리장치(8)의 어드레스버스를 이용하여 각부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신호를 만들고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부(10)와, CEPT 프레이머부(1)로부터 온 신호를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 보내기 위해 신호를 전환하고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서 오는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8)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전환하여 채널상태를 콘트롤 및 체크하는 채널 리드/라이트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채널 콘트롤부(9)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SWAN 1망의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30개의 음성데이터를 실은 2개의 2M 하이웨이(Highway) 신호는 CEPT 프레이머부(1)로 수신된다. 그리고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채널 리드/라이트부(11)를 통해 입수되는 30개의 시그널링 신호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를 통해 CEPT 프레이머부(1)가 수신한다. CEPT 프레이머부(1)에서는 이렇게 수신된 30개의 음성데이터와 시그널링데이터 신호를 스트림버스 속도(2.048Mbps)를 갖는 시분할멀티플렉싱(Time Dvision Multiplexing)버스 구조로 CEPT 프레임구조에 삽입하여 ATM 정합부(3)로 송신한다. 그리고 프레임 동기가 정상일 경우에만 ATM 정합부(3)로부터 오는 2개의 클럭(E2M)을 분주하여 8㎑ 클럭(Return Clock)을 기준클럭 선택부(4)로 보낸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8)로부터 전송되는 시그널링 정보와 CEPT 프레이머부(1)의 콘트롤 정보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에서 수신하여 2M ST-BUS(Serial Telecommunication BUS) 구조인 CST1 신호로 CEPT 프레이머부(1)에 보내지며, CEPT 프레이머부(1)로부터의 시그널링 정보 및 상태정보 등은 2M-BUS 구조인 CST0 신호로 수신되어 중앙처리장치(8)로 송신된다.
한편 CEPT 프레이머부(1)로부터 오는 2개의 단극데이터(2.048㎒)는 ATM 정합부(3)에서 드라이브된 뒤 고밀도 양극신호로 라인코딩되고, 120Ω 라인임피던스 정합하여 MUX/DEMUX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MUX/DEMUX부로부터 수신되는 양극신호는 단극신호로 변환되어 CEPT 프레이머부(1)로 전송되고, 이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2.048㎒)을 추출, RZ(Return to Zero)신호를 NRZ(Not Return to Zero)신호로 변환하여 CEPT 프레이머부(1)로 보낸다. 또한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LOS(Loss of Signal) 신호를 발생하여 기준클럭 선택부(4)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ATM 정합부(3)로부터 오는 2개의 LOS 신호와 위상동기가 맞으면 발생하는 CEPT 프레이머부(1)의 2개의 RC 신호(8㎑)는 기준클럭 선택부(4)에서 위상동기 루프부(5)로 공급된다. 그러면 위상 동기 루프부(5)는 기준클럭 선택부(4)에서 입력되는 SRC(Source Return Clock) 신호(8㎑)와 위상동기되는 클럭(2MCLK 및 4MCLK)을 발생하여 각각 CEPT 프레이머부(1)와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로 공급한다.
그러면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6)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상태, CEPT 프레임에 대한 각종 정보 및 유지보수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8)의 동작 상태, 수신되는 4개의 E1 신호의 LOS(Loss Of Signal), LOF(Loss Of Frame) 등의 상태는 상태표시부(7)에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약칭한다)로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부(1)의 신호와 상태는 CEPT 인터페이스부(2)를 통해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8)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8)는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여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콘트롤 및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앙처리장치(8)의 제어는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어드레스 디코더부(10)로 전달되고, 어드레스 디코더부(10)는 중앙처리장치(8)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각 부를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와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를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CEPT 프레이머부(1)로부터 온 시그널링 신호는 채널 리드/라이트부(11)에서 중앙처리장치(8)가 시그널링 신호를 송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병렬신호에서 직렬신호로 전환되고,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오는 시그널링 신호를 중앙처리장치(8)가 직접 가져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렬신호에서 병렬신호로 변환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SWAN 1망 내의 제어국(Central Office)에서 전화교환기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디지탈 64kbps 데이터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이 30가입자의 64kbps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E1 유럽전송방식(Conference of European Administrations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 이하 CEPT로 약칭한다) 신호를 만들어주고, 그 역기능으로 1개의 E1 신호에서 1개의 가입자 데이터 64kbps 신호를 추출하여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E1 CEPT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전송을 위한 제어국 인터페이스(Central Terminal Interface for Telecommunication: 이하 CTIT라 약칭한다)부 뿐만 아니라 전송을 위한 원격터미널 인터페이스(Remote Terminal Interface for Telecommunication: 이하 RTIT라 약칭한다)부에서도 각각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이 기능을 RTIT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RTIT의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의 콘트롤기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는 SWAN 1망의 용량은 E1 신호 2개(60가입자신호)를 처리하였으나 RTIT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용량을 수용해야하는 부담이 야기되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종래의 SWAN 1망이 1개의 E1 데이터에서 추출된 클럭에 동지된 기준클럭만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클럭동기장치의 이상 발생시에는 정상동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SWAN 1망에서 VTOA 장치로 전화서비스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WAN 2망의 VTOA 장치에서 교환기측의 CEPT 인터페이스부와 가입자측의 CEPT 인터페이스부를 통합하여 시스템의 안정화와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한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기클럭 선택부에서 얻어지는 동기클럭에 따라 시분할다증 버스구조의 프레임으로 만들고, ATM 정합부의 출력클럭을 분주하여 기준클럭 선택부에 전달하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CEPT 프레이머부와;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에서 얻어지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CEPT 프레이머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CEPT 프레이머부와 상기 ATM 정합부 간의 상호신호를 단극(Unipolar) 또는 양극(Bipolar)신호로 변환해주고,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에 전달해주는 ATM 정합부와; 상기 ATM 정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CEPT 프레이머부에서 얻어지는 기준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된 기준클럭을 분주하여 동기클럭으로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에 제공하는 위상동기루프부와; 상기 위상동기 루프부와 ATM 동기클럭 발생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동기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CEPT 프레이머부와 상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해주는 동기클럭 선택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 및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 사이의 유지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상태와 수신되는 E1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E1 신호의 교환기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리드/라이트하고 링(Ringing) 신호를 콘트롤하는 채널/링신호 콘트롤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CEPT 인터페이스 장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TIT VTOA 장치 및 RTIT VTOA 장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상하향 CEPT 프레임의 구조도.
제5도는 제4도의 멀티프레임 타임슬롯 16의 신호비트 할당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CEPT 프레이머부 22 :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
23 : ATM 정합부 24 : 기준 클럭 선택부
25 : 위상 동기 루프부 26 : 동기 클럭 선택부
27 : 유지 관리 인터페이스부 28 : 상태 표시부
29 : 중앙처리장치 30 : 채널/링신호 콘트롤부
31 : 어드레스 디코더부 32 : 채널 리드/라이트부
33 : 링신호 콘트롤부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SWAN2 망의 CTIT VTOA 장치 및 RTIT VTOA 장치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훅크(Hook) 온/오프 상태 및 링비트신호를 검출하는 CTIT VTOA부(100)와, 가입자로부터 오는 훅크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고 CEPT 신호로부터 링비트신호를 추출하여 가입자전화기로 신호를 보내주는 RTIT VTOA부(200)와; CATV 셀신호와 VOD 셀신호의 데이터를 상기 CTIT VTOA부(100)와 상기 RTIT VTOA부(200)에 상호 스위칭해주는 ATM 스위칭부(3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CTIT VTOA부(100)는 가입자의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변환시키고 시그널링(Signalling) 처리하여 교환기와 CEPT 인터페이스부(120)에 전송하는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오는 신호를 E1 CEPT 구조로 처리하고, ATM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오는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CEPT 인터페이스부(120)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오는 E1 CEPT 신호를 ATM 셀화하여 DS3 레벨로 다중화하고, DS3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ATM 인터페이스부(130)와; 상기 ATM 스위칭부(300)로부터 오는 클럭에 동기되는 동기클럭을 발생하는 ATM 동기클럭 발생부(140)와; CEPT 프레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며 유지 보수를 관리하는 CTIT 유지관리부(150)와; 제어국의 DOTS(Digital Office Timing Supply)로부터 클럭을 수신하여 망동기를 위한 망동기클럭을 발생시켜 상기 ATM 스위칭부(300)로 전달하는 망동기 클럭발생부(16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RTIT VTOA부(200)는 가입자의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변환시키고 시그널링 처리하여 가입자와 CEPT 인터페이스부(220)에 전송하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오는 신호를 E1 CEPT 구조로 처리하고, ATM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오는 신호를 역다중화 하는 CEPT 인터페이스부(220)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오는 E1 CEPT 신호를 ATM 셀화하여 DS3 레벨로 다중화하고, DS3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ATM 인터페이스부(230)와; 상기 ATM 스위칭부(300)로부터 오는 클럭에 동기된 동기클럭을 발생하는 ATM 동기클럭 발생부(240)와; CEPT 프레임에 대한 각종 정도를 수집하며 유지 보수를 관리하는 RTIT 유지관리부(250)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220)의 CEPT 신호로부터 링비트신호를 추출하여 가입자 전화기로 전달해주는 링신호 발생부(260)로 구성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TIT VTOA부(100)의 CEPT 인터페이스부(120)와 상기 RTIT VTOA부(200)의 CEPT 인터페이스부(220)는 그 구성이 동일하며, 이는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동기클럭에 따라 시분할다중 버스구조의 프레임으로 만들고, ATM 정합부(23)의 출력클럭을 분주하여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하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29)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와;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ATM 정합부(23) 간의 상호신호를 단극 또는 양극신호로 변환해주고,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해주는 ATM 정합부(23)와; 상기 ATM 정합부(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에서 얻어지는 기준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24)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서 선택된 기준클럭을 분주하여 동기클럭으로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 제공하는 위상동기 루프부(25)와; 상기 위상동기 루프부(25)와 ATM 동기클럭 발생부(140)(240)에서 각각 얻어지는 동기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에 제공해주는 동기클럭 선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21) 및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150)(250) 사이의 유지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2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동작상태와 수신되는 E1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표시해수는 상태표시부(28)와, 상기 E1 신호의 교환기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리드/라이트하고 링신호를 콘트롤하는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ATM 정합부(23)는 트랜스포머, 인디케이터, 라인드라이버, 라인대칭패드 등을 One-Chip화(하이브리드 모듈)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어드레스 버스를 이용하여 각부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신호를 만들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부(31)와; CEPT 프레이머부(21)로부터 온 신호를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에 보내기 위해 신호를 전환하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에서 오는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9)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전환하여 채널상태를 콘트롤 및 체크하는 채널 리드/라이트부(32)와; 상기 링신호 발생부(260)를 콘트롤하는 링신호 콘트롤부(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환기로부터 오는 가입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T/R*120)는 상기 CTIT VTOA부(100) 내의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디지털 음성데이터(64kbps)로 변환되고 시그널링 처리되어 CEPT 인터페이스부(120)로 전송된다. 그러면 CEPT 인터페이스부(120)는 ATM 동기클럭 발생부(140)의 동기클럭(4.096㎒)에 따라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오는 120 가입자의 데이터 및 시그널 링 신호를 4개의 E1 CEPT 구조로 프레임화하여 ATM 인터페이스부(130)로 전송하고, CEPT 프레임의 각종 정보를 CTIT 유지관리부(150)에 보낸다. 그리고 E1 CEPT 구조로 프레임화된 120 가입자의 신호는 8개씩 ATM 인터페이스부(130)에서 ATM 셀화되어 DS3 신호로 다중화되어 ATM 스위칭부(300)로 전송된다. 그러면 ATM 스위칭부(300)는 전송되어온 DS3 신호와 CATV 셀신호 및 VOD 실신호를 다중화하여 RTIT VTOA(200)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RTIT VTOA부(200)는 수신된 DS3 신호를 ATM 인터페이스부(230)에서 역다중화하여 셀화된 신호로 만들고 E1 CEPT 신호로 복원하여 CEPT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한다. 그러면 4개의 2.028Mbps의 CEPT 프레임구조의 데이터 및 시그널 링 신호는 CEPT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역다중화되어 4개의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로 공급되고, CEPT 프레임의 각종 정보는 RTIT 유지관리부(250)에 보내진다. 그리고 CEPT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오는 30개의 디지탈 음성데이터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아날로그 변환과 시그널링 처리되어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나아가 가입자로부터 오는 혹크 온/오프 신호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210)에서 검출되어 CEPT 신호에 결합되고, 이 CEPT 신호는 CEPT 인터페이스부(220)에서 링비트신호로 추출되고, 여기서 인에이블 신호가 검출되면 링신호발생부(260)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210)에 신호를 보내 가입자 전화기의 벨이 울릴 수 있도록 링신호를 공급해준다.
한편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T/R*120)는 상기 교환기에서 가입자에게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의 역과정을 거쳐 교환기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국의 DOTS로부터 수신되는 기준클럭(2.048㎒)은 망동기 클럭발생부(160)에서 수신되어 시스템 전체 동기를 위한 클럭(8㎑)이 생성되고 ATM 스위칭부(300)로 전송된다. 그러면 CTIT VTOA부(100) 및 RTIT VTOA부(200)의 ATM 동기 클럭 발생부(140)(240)은 ATM 스위칭부(300)로부터 오는 클럭(44.736㎒)을 ATM 인터페이스부(130)(230)를 통해 수신하여 CEPT 인터페이스부(120)(220)에 필요한 클럭(38.88㎒, 2.43㎒, 22.37㎒, 4.096㎒)을 발생시켜 공급한다.
상기에서 CTIT VTOA부(100)의 CEPT 인터페이스부(120)와 RTIT VTOA부(200)의 CEPT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합하여 공용화할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로부터 30개의 음성데이터를 실은 4개의 2M 하이웨이(Highway) 신호는 CEPT 프레이머부(21)로 수신된다.
그리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로부터 채널 리드/라이트부(32)를 통해 입수되는 30개의 시그널링 신호(훅크 온/오프 또는 링신호)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CEPT 프레이머부(21)가 수신한다. CEPT 프레이머부(21)에서는 이렇게 수신된 30개의 음성데이터와 시그널링데이터 신호(64kbps)를 스트림버스 속도(2.048Mbps)를 갖는 시분할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버스 구조로 CEPT 프레임구조에 삽입하여 ATM 정합부(23)로 송신한다. 그리고 프레임 동기가 정상일 경우에만 ATM 정합부(23)로부터 오는 4개의 클럭(E2M)을 분주하여 8㎑ 클럭(Return Clock)을 기준클럭 선택부(24)로 보낸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9)로부터 전송되는 시그널링 정보와 CEPT 프레이머부(21)의 콘트롤 정보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에서 수신하여 2M ST-BUS(Serial Telecommunication BUS) 구조인 CST1 신호로 CEPT 프레이머부(21)에 보내며, CEPT 프레이머부(21)로부터 시그널링 정보와 CEPT 프레이머부(21)의 상태 정보 등을 2M-BUS 구조인 CST0 신호로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29)로 송신한다.
한편 CEPT 프레이머부(21)로부터 오는 4개의 단극데이터(2.048㎒)는 ATM 정합부(23)에서 드라이브된 뒤 고밀도 양극신호로 라인코딩되고, 120Ω 라인임피던스 정합하여 ATM 인터페이스부(130)(230)로 전송한다. 그리고 ATM 인터페이스부(130)(230)로부터 수신되는 양극신호는 단극신호로 변환되어 CEPT 프레이머부(21)로 전송되고, 이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2.048㎒)을 추출, RZ(Return to Zero)신호를 NRZ(Not Return to Zero)신호로 변환하여 CEPT 프레이머부(21)로 보낸다. 또한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LOS(Loss of Signal) 신호를 발생하여 기준 클럭 선택부(24)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ATM 정합부(23)로부터 오는 4개의 LOS 신호와 프레임 동기가 맞으면 발생하는 CEPT 프레이머부(21)의 4개의 RC 신호(8㎑)는 기준클럭 선택부(24)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여 위상동기 루프부(25)로 공급된다. 그러면 위상동기 루프부(25)는 기준클럭 선택부(24)에서 입력되는 SRC(Source Return Clock) 신호(8㎑)에 동기되는 클릭(4MCLK 및 2MCLK)을 발생하여 동기클릭 선택부(26)로 공급한다.
아울러 ATM 동기클럭 발생부(140)(240)로부터 ATM 스위칭부(300)에 동기된 클럭(4㎒)과 위상동기 루프부(2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동기된 클릭(4MCLK 및 2MCLK)을 동기클럭 선택부(26)는 수신한 다음, 이렇게 양쪽에서 수신한 클럭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기클럭으로 공급해준다. 즉, ATM 동기클릭 발생부(140)(240)로 부터 수신한 동기클럭을 우선순위로 선택하고 이 클럭이 들어오지 않으면 위상동기 루프부(25)로부터 오는 클럭을 선택하여, S2M 클럭(2.048㎒)을 CEPT 프레이머부(21)에 공급하고 S4M 클럭(2.048㎒)을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에 동기클럭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27)는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CTIT(또는 RTIT) VTOA부 내의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150)(250)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CTIT(또는 RTIT) VTOA부 내의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150)(250)가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상태, CEPT 프레임에 대한 각종 정보 및 유지보수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9)의 동작 상태, 수신되는 4개의 E1 신호의 LOS(Loss Of Signal), LOF(Loss Of Frame) 등의 상태는 상태표시부(28)에서 LED로 표시해준다.
그리고 CEPT 인터페이스부(21)의 신호와 상태는 CEPT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29)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29)는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여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콘트롤 및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즉, 내부레지스터 및 외부디바이스 초기화 기능, 외부 디바이스와 입출력 포트의 콘트롤 기능, 각종 데이터 및 메모리 관리 기능,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 및 링신호 발생부(260) 콘트롤 기능, 시그널링 정보 수집 및 처리 기능, 각종 정보 수집 표시 및 처리 기능을 한다.
이러한 중앙처리장치(29)의 제어는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 내의 어드레스 디코더부(31)로 전달되고, 어드레스 디코더부(31)는 중앙처리장치(29)의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각 부를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와 교환기(또는 가입자)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를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를 만들어준다. 그리고 CEPT 프레이머부(21)로부터 온 시그널링 신호(훅크 온/오프 또는 링검출)는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 내의 채널 리드/라이트부(32)에서 중앙처리장치(29)가 시그널링 신호를 송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병렬신호에서 직렬신호로 전환되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로부터 오는 시그널링 신호(훅크 온/오프 또는 링검출)를 중앙처리장치(29)가 직접 가져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렬신호에서 병렬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 내의 링신호 콘트롤부(33)는 RTIT VTOA부(200) 내의 링신호 발생부(260)를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링신호 발생부(260)가 가입자 전화기의 벨이 울릴 수 있도록 제어해준다.
여기서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에서 CEPT 프레이머부(21) 입력되는 2M 하이웨이 신호인 CEPT 프레임의 구조는 제4도와 같이 32개의 타임슬롯(Time Slot)을 한 프레임으로 한 16개의 멀티프레임(Multi Frame) 구조로 되어 있다. 한 프레임의 타임슬롯(제3도의 0 - 31) 중에서 제1 내지 제15 및 제17 내지 제31타임슬롯(제3도의 1 - 15, 17 - 31)의 총 30 채널은 음성데이터(64kbps)용 페이로드(Payload)로 사용하고, 제0타임슬롯(제3도의 0)은 프레임 동기정보(Frame Alignment Information; 이하 FAI라 약칭한다)용으로 사용한다. 제16타임슬롯(제3도의 16)은 시그널링 정보(Signalling Information; 이하 SIG라 약칭한다)용 타임 슬롯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제16타임슬롯(제3도의 16)은 제5도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프레임0의 제16타임슬롯은 멀티프레임동기정보(Multi Frame Alignment Information; 이하 MFAI라 약칭한다)로 사용하고, 프레임1의 제16타임슬롯은 제1 및 제17타임슬롯(1)(17) 가입자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수용한다. 그리고 프레임1과 동일한 방식으로 프레임2 내지 프레임15는 가입자의 시그널링 정보를 수용한다. 따라서 프레임 15의 제16타임슬롯은 제15 및 제31타임슬롯(15)(31)의 가입자에 대한 시그널링정보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10)(210)에서는 제1 내지 제15 및 제 17 내지 제31타임슬롯(제3도의 1 - 15, 17 - 31) 중 각 가입자의 음성데이터를 각각의 해당 타임슬롯에 실어준다. 또한 FAI와 SIG는 CEPT 프레이머부(21)에서 실어준다. 따라서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1개의 CEPT 신호는 30가입자를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4개의 E1 CEPT 신호를 처리토록하여 총 120 가입자를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의 콘트롤 기능을 통합하여 공용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클럭동기 이중화에 의한 클럭동기장치의 안정여부를 쉽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당 가입자 수용량을 60가입자에서 120가입자로 확장할 수 있어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며, 더불어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SWAN2망의 VTOA 장치에서 교환기측의 CEPT 인터페이스부와 가입자 측의 CEPT 인터페이스부를 통합하여 시스템 안정화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VTOA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Claims (2)

  1. 브이티오에이(VTOA) 시이피티(CEPT)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동기클럭에 따라 시분할다중 버스구조의 프레임으로 만들고, ATM 정합부(23)의 출력클럭을 분주하여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하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9)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서 얻어지는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 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와;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ATM 정합부(23) 간의 상호신호를 단극 또는 양극신호로 변환해주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 전달해주는 ATM 정합부(23)와; 상기 ATM 정합부(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에서 얻어지는 기준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24)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24)에서 선택된 기준 클럭을 분주하여 동기클럭으로 상기 동기클럭 선택부(26)에 제공하는 위상동기 루프부(25)와; 상기 위상동기 루프부(25)와 ATN 동기클럭 발생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동기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CEPT 프레이머부(21)와 상기 CEPT 프레이머 인터페이스부(22)에 제공해주는 동기클럭 선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CEPT 인터페이스부(21) 및 CTIT(또는 RTIT) 유지관리부 사이의 유지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유지관리 인터페이스부(2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동작상태와 수신되는 E1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부(28)와; 상기 E1 신호의 교환기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9)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9)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리드/라이트하고 링신호를 콘트롤하는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티오에이(VTOA) 시이피티(CEPT) 인터페이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링신호 콘트롤부(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9)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시스템 각부를 콘트롤할 수 있는 신호를 만들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부(31)와; 상기 시이피티(CEPT) 프레이머부(21)로부터 온 신호를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로 보내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고, 교환기(또는 가입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에서 오는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9)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상태를 콘트롤 또는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리드/라이트부(32)부와; 상기 링신호 발생부(260)의 링신호 발생을 콘트롤하는 링신호 콘트롤부(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티오에이(VTOA) 시이피티(CEPT)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70026926A 1997-06-24 1997-06-24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KR10021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926A KR100217172B1 (ko) 1997-06-24 1997-06-24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926A KR100217172B1 (ko) 1997-06-24 1997-06-24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123A KR19990003123A (ko) 1999-01-15
KR100217172B1 true KR100217172B1 (ko) 1999-09-01

Family

ID=1951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926A KR100217172B1 (ko) 1997-06-24 1997-06-24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123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77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elecom-related clocks in ethernet-based passive optical access network
CA218680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synchronous narrowband signals into a sonet virtual tributary group for combining with broadband asynchronous transfer mode signals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940456A (en) Synchronous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transmission systems
JPH07255072A (ja) 加入者系伝送装置
GB2185658A (en) Data transmission equipment
KR19980701974A (ko) 이용자 전제 장치용 다중 타임 슬롯 리턴 채널을 갖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광대역 서비스 드롭
JP2001044961A (ja) 時分割多重装置
KR100223054B1 (ko) 수요밀집형 가입자 광다중화 장치
KR100197898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사설망의 음성전화 서비스장치
KR100217172B1 (ko) 브이티오에이의 유럽전송방식 인터페이스장치
US6208664B1 (en) HDSL modules for telecommunications channel unit cards
KR100382145B1 (ko) Atm-pon 구조를 갖는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서협대역 서비스를 위한 pstn 정합장치 및 이정합장치를 포함한 협대역 서비스 시스템
WO1999038352A1 (en) Multiple-channel subscriber line card
KR100221542B1 (ko) Atm 교환기의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hdsl) 정합장치
KR970002705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프레임 맵핑/디맵핑 장치
CA22376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tdm and atm signals over a communications link
KR20000046390A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 펄스코드변조 채널장치의 운용유지보수용 데이터 통신장치
KR100383234B1 (ko) 디에스램 시스템에서 엔티알/티티알 클럭 공급장치
KR20010037494A (ko) 종합정보통신망의 1차속도정합 및 고속도 디지털 가입자 선로 전송장치
KR960015602B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진 광 케이블 티.브이(catv) 분배센터용 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 프레임 맵핑/디맵핑 장치
KR20000075137A (ko) 수요밀집형 광대역 가입자 광다중화장치
JP2757826B2 (ja) 回線監視システム
KR960012975B1 (ko)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의 가입자액세스망 내에서 방송형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계층의 방송형 광송, 수신장치
KR100255809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pstn망 접속장치
JPH02266631A (ja) Isdnベーシックアクセス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