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096B1 -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096B1
KR100217096B1 KR1019950068318A KR19950068318A KR100217096B1 KR 100217096 B1 KR100217096 B1 KR 100217096B1 KR 1019950068318 A KR1019950068318 A KR 1019950068318A KR 19950068318 A KR19950068318 A KR 19950068318A KR 100217096 B1 KR100217096 B1 KR 10021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utput torque
torque
igni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70A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096B1/ko
Publication of KR97004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크랭크각 센서(10)와, 엔진의 출력 토오크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토오크 센서(20)와, 1번 실린더의 상사점(TDC)을 검출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입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50)와, 상기한 크랭크각 센서(10)와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 전압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고, 상기한 토오크 센서(20)를 이용하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토오크에 근접하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60)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60)로부터 입력되는 점화신호에 따라 전기 불꽃이 생성되도록 하는 점화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의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목표 출력 토오크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함으로써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출력 토오크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목표 출력 토오크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함으로써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출력 토오크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는 자동차의 성능을 판가름 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는 연료 분사량과 점화시기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연료 분사량이 일정한 경우에, 점화시기를 조정하게 되면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를 가변시킬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점화시기 제어장치는 자동차에서 고속 또는 저속으로 변화가 심한 운전상태에 있는 엔진의 동작상태에 따라, 엔진이 최대 출력 토오크를 낼 수 있도록 실린더(cylinder) 내에서 혼합기가 점화되는 시점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장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크랭크각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최대 출력 토오크를 낼 수 있는 점화시점을 산출하여 점화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점화시기 제어장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크랭크각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최대 출력 토오크를 얻을 수 있도록 점화시점을 이론적으로 산출하여 점화되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자동차로부터 최대 출력 토오크가 발생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목표 출력 토오크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함으로써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출력 토오크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크랭크각 센서(Crank Angle Sensor, CAS)와,
엔진의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토오크 센서(torque sensor)와,
1번 실린더의 상사점(TDC)을 검출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흡입공기의 압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와,
상기한 크랭크각 센서와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고, 상기한 토오크 센서를 이용하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토오크에 근접하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점화신호에 따라 전기 불꽃이 생성되도록 하는 점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와,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 동작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크랭크각 센서와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이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는 단계와,
토오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지 않은 경우에 점화시기를 보정하여 점화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의 구성회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의 구성은,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크랭크각 센서(10)와, 엔진의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토오크 센서(20)와, 1번 실린더의 상사점(TDC)을 검출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입공기의 압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50)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SW)와, 상기한 크랭크각 센서(10)와 토오크 센서(20)와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 전압 센서(50)와 동작 스위치(SW)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60)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점화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60)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메모리(memory)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한 점화부(70)의 구성은,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출력단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는 전력 트랜지스터(Q)와, 상기한 전력 트랜지스터(Q)와 배터리(B+)의 사이에 1차측이 연결되어 있는 점화코일(T)과, 상기한 점화코일(T)의 2차측에 연결되어 있는 배전기(D)와, 상기한 배전기(D)에 연결되어 있는 점화 플러그(P)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F10)와,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 동작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F20)와, 동작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크랭크각 센서와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이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는 단계(F30)와, 토오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하는 단계(F40)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F50)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지 않은 경우에 점화시기를 보정하는 단계(F60)와, 점화를 하는 단계(F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60)의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던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 수순이 마이크로 컨트롤러(6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F10).
동작이 시작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60)는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 동작 스위치(SW)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동작 스위치(SW)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F20).
동작 스위치(SW)가 온된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60)는 크랭크각 센서(10)와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 전압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이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한다(F30).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60)는 토오크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산출한다(F40).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60)는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은지를 판단하여(F50),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지 않은 경우에 점화시기를 보정하여(F60), 이에 따라 점화부(7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F70).
마이크로 컨트롤러(60)로부터 점화신호가 입력되면 점화부(70)의 전력 트랜지스터(Q)가 턴온됨으로써 점화코일(T)의 2차측으로부터 고전압이 유기되어 배전기(D)로 인가된다. 배전기(D)로 인가된 고전압은 점화플러그(P)로 인가되어 방전됨으로써 점화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목표 출력 토오크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함으로써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출력 토오크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크랭크각 센서(10)와, 엔진의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토오크 센서(20)와, 1번 실린더의 상사점(TDC)을 검출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입공기의 압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50)와, 상기한 크랭크각 센서(10)와 1번 실린더 TDC 센서(30)와 흡기압 센서(40)와 배터리 전압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고, 상기한 토오크 센서(20)를 이용하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한 뒤에,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가 목표 토오크에 근접하도록 점화시기를 보정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60)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60)로부터 입력되는 점화신호에 따라 전기 불꽃이 생성되도록 하는 점화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4.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와,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 동작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크랭크각 센서와 1번 실린더 TDC 센서와 흡기압 센서와 배터리 전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이를 이용하여 목표 토오크를 산출하는 단계와, 토오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실제 출력 토오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한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실제 출력 토오크와 목표 토오크가 같지 않은 경우에 점화시기를 보정하여 점화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방법.
KR1019950068318A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318A KR100217096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318A KR100217096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0A KR970044970A (ko) 1997-07-26
KR100217096B1 true KR100217096B1 (ko) 1999-09-01

Family

ID=1944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318A KR100217096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23B1 (ko) * 2002-05-0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아이들 회전수 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23B1 (ko) * 2002-05-0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아이들 회전수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0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822A (en)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engine
GB20490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gnition spark timing during engine cranking
US43677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gnition system spark timing control within warm-up period of the engine
KR100217096B1 (ko) 자동차의 출력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4996958A (en) Ignition timing controll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53993B1 (ko) 크랭크샤프트 위치 센서 오류시 캠 센서를 이용한 엔진구동 방법
US44401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izing interval of ignition coi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638603B2 (ja) 点火制御装置及び方法
US515805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to suppress engine knocking using periodic pseudo random signal
KR100218777B1 (ko) 가속 특성에 따른 점화시기 보정장치 및 그 방법
US5778854A (en) Cylinder-discrimin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223268A (ja) 内燃機関用点火時期制御装置
KR100302780B1 (ko) 점화시기변화제한기능을갖는자동차의점화제어장치및그방법
US5832908A (en) Cylinder-discrimin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342230B1 (ko) 자동차의 점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5437254A (en) Igni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07113B1 (ko) 센서 출력신호의 검증기능을 갖는 전자식 점화 제어장치
JPH08177697A (ja)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制御装置
KR100302800B1 (ko) 크랭크앵글센서고장시연료분사시기및점화시기결정방법
US5755204A (en) Cylinder-discrimin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559916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18778B1 (ko) 자동차 엔진의 미점화 발생감지/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188731B1 (ko) 노킹 방지를 위한 점화 시기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0174014B1 (ko) 자동차의 대기압 학습 제어장치 및 학습 제어방법
KR100231470B1 (ko) 슬립 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