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773B1 -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773B1
KR100215773B1 KR1019970029741A KR19970029741A KR100215773B1 KR 100215773 B1 KR100215773 B1 KR 100215773B1 KR 1019970029741 A KR1019970029741 A KR 1019970029741A KR 19970029741 A KR19970029741 A KR 19970029741A KR 100215773 B1 KR100215773 B1 KR 10021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pin
stem body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543A (ko
Inventor
조성호
김현철
안성기
이석우
진민수
김윤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7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5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템몸체에 구비된 핀의 배열을 달리하여 편향요크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적게 소모되도록 네크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으로 적어도 두개의 집속전압을 원활히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전자총의 고성능화에 의한 최적의 포커스성능이 항상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스템몸체가 네크부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씰링되도록 함에 따라 진공상태가 항상 완벽하게 유지되면서 내전압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펀넬(2)의 네크부(3)에 씰링되는 스템몸체(4a)와, 상기 스템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스템몸체(4a)를 네크부(3)에 씰링한 상태에서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시켜 주는 배기관(4b)과, 상기 스템몸체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전자총(4)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복수개의 핀(4c)과, 상기 스템몸체(4a)에 각 핀(4c)을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핀의 강도를 유지시켜 주면서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주는 돌기(4d)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핀(4c)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배기관(4b)의 중심에서부터 각 핀(4c) 까지의 거리(L)가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하거나 각 핀과 핀의 사이의 간격(D)도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칼라음극선관을 구성하는 펀넬의 네크부 내에 씰링되어 제작시에는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데 사용되고, 제작후 기기에 장착시켜 사용시에는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널(Panel)(1)에 후방으로 네크(Neck)부(3)를 갖는 펀넬(Funnel)(2)이 고정되어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네크부(3) 내의 끝단에는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도록 스템(Stem)(4)이 씰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네크부(3) 내에는 전압을 인가받아 적,녹,청색의 3색 전자빔을 방사하도록 전자총(5)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네크부(3)의 외주면에는 전자총(5)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도록 편향요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1) 내에는 공간부에 위치되게 프레임(7)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7)의 펀넬(2)측에는 전자총(5)에서 방사되어 편향요크(6)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빔이 지자계나 누설자계에 의해 진로가 변형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인너쉴드(Inner Shield)(8)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7)의 패널(1)측에는 인너쉴드(8)를 통과한 전자빔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빔통과공이 무수히 많이 뚫린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9)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패널(1)의 안쪽면에는 섀도우마스크(9)를 통과한 전자빔이 부딪힐 때 화상이 맺혀지도록 형광면(10)이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을 기기(텔레비젼 수상기 및 각종 영상기기용 모니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기기를 온시키면 고전압이 펀넬(2)의 네크부(3) 끝단에 씰링된 스템(4)을 통해 인가되므로 상기 네크부(3)에 내장된 전자총(5)이 동작하면서 적,녹,청색의 3색 전자빔을 방사하고, 이 방사되는 전자빔은 상기 펀넬(2)의 네크부(3)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요크(6)의 자계에 의해 곧바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이때 프레임(7)의 펀넬(2)측에 고정된 인너쉴드(8)가 편향된 상태로 계속 방사되는 3색 전자빔의 지자계나 누설자계를 막아 상기 전자빔의 진로가 도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와같이 하여 인너쉴드(8)를 통과한 3색 전자빔은 대부분(약 80%) 프레임(7)의 패널(1)측에 고정된 섀도우 마스크(9)에 부딪혀 산란되고 나머지(약20%)만이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빔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패널(1)의 안쪽면에 형성된 형광면(10)의 각 형광막에 부딪히므로 3색 전자빔의 조합에 의해 칼라 화면이 재현된다.
상기한 칼라 음극선관에서 편향요크(6)가 전자총(5)에서 방사된 전자빔을 편향시켜 주기 위해서는 상기 편향요크(6)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야 하는데, 상기 전류는 네크부(3)의 직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적게 소모되므로 소비전력의 저감을 위해서는 상기 네크부(3)의 직경을 작게할 필요가 있지만 이럴 경우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게 마련이다.
그 첫째로 네크부(3)의 직경이 작아지면 전자총(5)도 그만큼 작아짐에 따라 상기 전자총의 해상도가 열화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설계가 이루어진 고성능의 전자총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로 네크부(3)의 직경이 작아지면 그에 맞도록 스템(4)의 형상 및 치수가 적절히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만약 상기 첫째와 둘째가 해결되지 못하면 소비전력은 줄어들지만 전자총(5)의 해상도가 열화되어 포커스 성능이 떨어짐에 따라 깨끗하고 선명한 화면이 제공되지 못함과 함께 스템(4)이 네크부(3)에 씰링되지 못하거나 씰링이 되더라도 씰링부위에 크랙이 발생됨에 따라 견고한 씰링이 못되어 음극선관 내부의 진공유지가 어렵게 되면서 내전압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펀넬(2)의 네크부(3) 직경이 작아져 상기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5)도 작아졌을 경우에도 상기 전자총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고성능화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자총(5)을 구성하는 전극중 집속전극을 적어도 두개로 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칼라 음극선관에서 펀넬(2)의 네크부(3) 끝단에 씰링되어 상기 펀넬(2)이 패널(1)에 고정됨에 따라 구비된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스템(4)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펀넬(2)의 네크부(3)에 씰링되는 유리재질의 스템몸체(4a)와, 상기 스템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스템몸체(4a)를 네크부(3)에 씰링한 상태에서 음극선관 내의 공간부를 진공시켜 주는 유리재질의 배기관(4b)과, 상기 스템몸체(4a)의 주변부에 배기관(4b)에서 부터 동일한 거리(ℓ)만큼 떨어지고 서로 동일한 간격(d)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주형상을 이루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금속재질의 복수개의 핀(4c)과, 상기 스템몸체(4a)에 각 핀(4c)을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핀의 강도를 유지시켜 주면서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주는 유리재질의 돌기(4d)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 여기서 칼라 음극선관의 제작 공정시 내부 공간부를 진공시켜 주는 과정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펀넬(2)의 네크부(3) 끝단에 스템(4)을 씰링에 의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스템을 구성하는 스템몸체(4a)의 중심부에 형성된 배기관(4b)으로 별도의 진공장치를 연결한 다음 상기 진공장치를 동작시키면 공기뽑기 작업이 행하여 지면서 음극선관의 내부 공간부가 일단 진공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기관(4b)을 가열에 의해 녹여 밀봉하면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공간부가 완전히 진공상태로 되는 것이다.
다음은 칼라 음극선관을 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전자총(5)이 동작되면서 전자빔을 방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템몸체(4a)의 주변부에 배기관(4b)에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각 핀(4c)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각 핀과 전자총(5)을 구성하는 각 음극 및 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음극 내부의 히터가 발열하면서 전자를 방출하고 이 방출된 전자는 각 전극이 요구하는 특성의 전자빔이 되어 방사되는 것이다.
한편 전압을 인가받는 각 핀(4c)은 스템몸체(4a)에 일체 형성된 돌기(4d)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데, 이는 상기 돌기가 핀(4c)의 강도를 유지시켜 견고성이 보장되도록 함과 함께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안전성도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칼라음극선관용 스템은 스템몸체에 배치된 각 핀이 배기관에서 부터 동일한 거리(ℓ)만큼 떨어지고 서로 동일한 간격(d)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펀넬의 네크부 직경이 작아짐으로 인해 전자총도 그만큼 작아졌더라도 상기 전자총의 고성능화를 위해 전자총의 각 전극중 집속전극을 적어도 두개로 하였을 경우 상기 스템몸체에 배치된 각 핀중 집속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핀도 적어도 두개로 하여야 함을 감안할 때 결국 핀수만은 증가된 상태가 되는데, 상기 핀을 ∮15.24로 적용시킬 경우 스템을 구성하는 스템몸체의 직경을 작아진 네크부 직경에 맞게 줄이는데 한계가 있음에 따라 상기 스템몸체의 직경이 네크부의 직경보다 커질 수 밖에 없어 스템이 네크부에 씰링되지 않거나 씰링이 되더라도 크랙이 발생되므로 상기 ∮15.24의 핀을 쉽게 적용시킬 수는 없고, 핀을 ∮12.0으로 적용시킬 경우 스템을 구성하는 스템몸체의 직경이 너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상기 스템몸체의 직경이 네크부의 직경보다 훨씬 작아질 수 밖에 없어 스템이 네크부에 씰링되지 않거나 씰링이 되더라도 씰링부위가 너무 얇아 쉽게 떨어지므로 상기 ∮12.0의 핀도 쉽게 적용시킬 수 없어 결국 전자총이 최적의 포커스 특성을 유지하지 못함과 함께 내전압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템몸체에 구비된 핀의 배열을 달리하여 편향요크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적게 소모되도록 네크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으로 적어도 두개의 집속전압을 원활히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전자총의 고성능화에 의한 최적의 포커스성능이 항상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스템이 네크부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씰링되도록 함에 따라 진공상태가 항상 완벽하게 유지되어 내전압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펀넬의 네크부에 씰링되는 스템몸체와, 상기 스템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스템몸체를 네크부에 씰링한 상태에서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시켜 주는 배기관과, 상기 스템몸체의 주변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자총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복수개의 핀과, 상기 스템몸체에 각 핀을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핀의 강도를 유지시켜 주면서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주는 돌기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배기관의 중심에서부터 각 핀 까지의 거리(L)가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하거나 각 핀과 핀의 사이의 간격(D)도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한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칼라 음극선관의 종래 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또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펀넬 3. 네크부
4. 스템 4a. 스템몸체
4b. 배기관 4c. 핀
4d. 돌기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칼라 음극선관의 본 발명 스템을 또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펀넬(2)의 네크부(3)에 씰링되는 유리재질의 스템몸체(4a)와, 상기 스템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스템몸체를 네크부(3)에 씰링한 상태에서 음극선관 내의 공간부를 진공시켜 주는 유리재질의 배기관(4b)과, 상기 스템몸체(4a)의 주변부에 배기관(4b)에서 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지고 서로 일정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전자총(5)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금속재질의 복수개의 핀(4c)과, 상기 스템몸체(4a)에 각 핀(4c)을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핀의 강도를 유지시켜 주면서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주는 유리재질의 돌기(4d)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핀(4c)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배기관(4b)의 중심에서부터 각 핀(4c) 까지의 거리(L)가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하거나 각 핀(4c)과 핀의 사이의 간격(D)도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스템몸체(4a)의 주변부에 배치된 핀(4c)의 전체적인 배열은 일 실시예와 같이 타원형으로 하거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사각형으로 하거나 또다른 실시예와 같이 다각형으로 하면 비원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중 기 설명된 종래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만 구체화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시키시키기 위해 펀넬(2)의 네크부(3) 직경을 작게할 경우 상기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5)도 함께 작아지고, 이때에는 성능저하를 방지키 위해 상기 전자총의 집속전극을 적어도 두개 설치하고 있음에 따라 스템(4)을 구성하는 스템몸체(4a)에 배치되어 전자총(5)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각 핀(4c)도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템은 스템몸체(4a)에 배치된 각 핀(4c)이 전체적으로 비원형을 이루고 있어 상기 각 핀이 늘어나더라도 핀과 핀 사이의 여유간격을 필요한 부분에서는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네크부(3)의 직경이 작아지는 만큼 스템(4)의 스템몸체(4a) 외경을 작게하여 상기 스템몸체가 네크부(3)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씰링되도록 하더라도 상기 각 핀(4c)만은 ∮15.24로 그대로 유지시킬 수가 있고, 이 경우에도 핀과 핀이 방전되는 문제는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스템몸체(4a)에 배치된 각 핀(4c)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도 3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타원형으로 하거나 도 4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으로 하거나 도 5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다각형으로 하거나 하면 되지만 꼭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삼각형 등과 같이 비원형이면 어떤 배열이던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템몸체에 배치되어 전자총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각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이므로 핀과 핀 사이의 여유간격을 필요한 부분에서 넓게 확보할 수가 있어 스템몸체의 외경을 네크부의 직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상기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으로 적어도 두개의 집속전압을 원활히 인가시키도록 핀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총의 고성능화에 의한 최적의 포커스성능이 항상 유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스템이 네크부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씰링됨에 따라 진공상태가 항상 완벽하게 유지되어 내전압 불량의 발생도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펀넬의 네크부에 씰링되는 스템몸체와, 상기 스템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스템몸체를 네크부에 씰링한 상태에서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시켜 주는 배기관과, 상기 스템몸체의 주변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자총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복수개의 핀과, 상기 스템몸체에 각 핀을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핀의 강도를 유지시켜 주면서 절연특성을 증대시켜 주는 돌기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배기관의 중심에서부터 각 핀 까지의 거리가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하거나 각 핀과 핀의 사이의 간격도 일부 서로 달라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핀의 전체적인 배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KR1019970029741A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KR10021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1A KR100215773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1A KR100215773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3A KR19990005543A (ko) 1999-01-25
KR100215773B1 true KR100215773B1 (ko) 1999-08-16

Family

ID=1951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741A KR100215773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58B1 (ko) * 2007-04-03 2008-03-26 금호전기주식회사 스템 거치면에 방열홈을 가지는 무전극 형광램프 실링머신용 스템 거치 지그
KR100974611B1 (ko) * 2008-12-09 2010-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3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773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US6191528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directly heated cathode
KR10024394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492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00060048A (ko) 전자총과 이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
KR100649254B1 (ko)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200271018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음극지지체 구조
US6307315B1 (en) Cathode ray tube
KR200171929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4180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7594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0131Y1 (ko) 아크방지 스템을 지닌 전자총
KR012658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4642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5190119A (ja) 陰極線管
KR200167789Y1 (ko) 음극선관의 방전 대책 구조
KR10039403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41733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11548A (ko) 칼라 음극선관 제조방법
KR20000038623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JP2000215828A (ja) カラ―陰極線管
JP2000243313A (ja) 陰極線管
KR19980059802U (ko) 칼라음극선관의 컨택트스프링 구조
JP2001155663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