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450B1 -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450B1
KR100215450B1 KR1019960016661A KR19960016661A KR100215450B1 KR 100215450 B1 KR100215450 B1 KR 100215450B1 KR 1019960016661 A KR1019960016661 A KR 1019960016661A KR 19960016661 A KR19960016661 A KR 19960016661A KR 100215450 B1 KR100215450 B1 KR 10021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ntrol
control points
image
mesh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220A (ko
Inventor
천강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450B1/ko
Priority to EP19970303165 priority patent/EP0808066A3/en
Priority to CN97111164A priority patent/CN1166754A/zh
Priority to JP12600197A priority patent/JP2918513B2/ja
Priority to US08/857,590 priority patent/US5903682A/en
Publication of KR97007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 H04N19/54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using feature points or mes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object-oriented) 화상표현장치는, 수신되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전체화상으로부터 전체화상에 들어 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화상블록들로 된 대상물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상물화상추출부를 포함한다. 규칙메쉬형성부는 추출된 대상물화상으로부터 고정제어점들, 유동제어점들 및 화소데이터로 구성된 사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한다. 고정제어점들 및 유동제어점들은 상기 전체화상을 분할하는 복수개 사각메쉬들의 꼭지점들중에서 대상물화상에 속한 꼭지점들이며, 고정제어점들은 대상물화상의 모서리에 위치한 꼭지점들이다. 불규칙메쉬형성부는 사각메쉬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각메쉬데이터내의 각 유동제어점들중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동작 및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다각형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때까지 반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전체가 아닌 임의의 대상물에 대하여 불규칙메쉬표현을 적용함으로써 전체화상을 메쉬표현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데이터량을 압축하여 매우 낮은 비트율에서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MPEG-4등의 신호처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의 블록도,
제 2 도(a)-(c)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블록화된 대상물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제 3 도는 사각메쉬형성기(20)에 의해 얻어진 격자화된 대상물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 4 도는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에 의한 삼각메쉬들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 5 도는 불규칙메쉬형성부(30)에 의한 유동제어점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 6 도는 위치이동부(40)에 의한 최적의 유동제어점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규칙다각형메쉬들을 형성하는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상물화상추출부 11 : 블록형성기
12 : 블록선택기 13 : 대상물화상형성기
20 : 사각메쉬형성기 30, 70 : 불규칙메쉬형성부
31 : 규칙삼각메쉬형성기 32, 41, 71 : 에너지계산기
33, 72 : 제어점제거기 34 : 메쉬재구성기
35 : 에너지변경기 40, 80 : 위치이동부
42 : 위치선정기
본 발명은 불규칙 메쉬(mesh)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내에 들어있는 임의의 물체를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하여 표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4와 같이 화상전화 또는 화상회의 시스템등에서의 응용을 목적으로 동화상을 매우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동화상압축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매우 낮은 비트율로 동화상을 부호화하기 위해, 동화상내의 의미 있는 물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대상물지향 동화상 부호화기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동화상의 시간축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움직임보상을 위하여, 물체의 실제적인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상워핑(image waping)과 같은 공간변환(spatial transformion)을 메쉬형태로 표현되는 영상에 적용하는 움직임 보상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영상표현에 있어서, 불규칙 메쉬(irregular mesh)는 영상의 국부적인 특성들을 매우 잘 반영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제어점들만으로 영상의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내에 들어 있는 임의의 물체를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하여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의 방법을 구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object-oriented) 화상표현방법은, 수신되는 전체화상으로부터 전체화상에 들어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화상블록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으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전체화상을 분할하는 복수개 사각메쉬들의 꼭지점들중에서 상기 대상물화상에 속한 꼭지점들인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그리고 상기 고정제어점들은 상기 대상물화상의 모서리에 위치한 꼭지점들인, 상기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및 화소데이터로 구성된 사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발생된 사각메쉬데이터들 중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동작 및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다각형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남아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object-oriented) 화상표현장치는,수신되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전체화상으로부터 전체화상에 들어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화상블록들로 이루어진 대상물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상물화상추출수단; 상기 대상물화상추출수단으로부터의 대상물화상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대상물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진 대상무화상으로부터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및 화소데이터로 구성된 사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제어점들 및 유동제어점들은 상기 전체화상을 분할하는 복수개 사각메쉬들의 꼭지점들중에서 상기 대상물화상에 속한 꼭지점들이며, 상기 고정제어점들은 상기 대상물화상의 모서리에 위치한 꼭지점들인, 규칙메쉬형성수단; 및 상기 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부터의 사각메쉬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각메쉬데이터내의 각 유동제어점들중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동작 및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다각형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때까지 반복하는 불규칙메쉬형성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규칙메쉬를 이용한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제 1 도장치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제 2 도(a)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의 대상물화상추출부(10)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전체화상(full image)으로부터 그 대상물의 화상을 추출한다.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의 예를 보여주는 제 2 도(a)를 참조하면, 대상물화상추출부(10)내의 블록형성기(11)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도(a)의 화상을 , 각 화상블록이 N×N개의 화소들로 구성된 N×N크기(size)의 화상블록들로 분할한다. 블록형성기(11)에 의한 화상분할의 예는 제 2 도(b)에서 보여졌다. 블록형성기(11)는 화상분할에 의해 얻어진 화상블록들의 데이터를 블록선택기(12)로 출력한다. 블록형성기(11)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블록들중에서 상기 대상물의 화상정보를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선택한다. 블록선택기(12)는 선택된 화상블록들의 데이터를 대상물화상형성기(13)로 출력한다. 그러나, 블록선택기(12)는 선택된 화상블록들을 제외한 화상블록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대상물화상형성기(13)로 출력하지 않는다. 대상물화상형성기(13)는 블록선택기(12)로부터 수신되는 화상블록 데이터를 병합(merge)하여 블록화된 대상물영역의 화상을 형성 및 저장한다. 이 블록화된 대상물화상은 블록선택기(12)에 의해 선택된 화상블록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 2 도 (c)에서 굵은 실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표시되었다. 대상물화상형성기(13)는 화상블록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의 데이터를 사각메쉬형성기(20)로 출력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 표현된 사각메쉬형성기(20)는, 대상물을 담고 있는 전체화상을 K×K 크기의 격자(grid)들로 분할한다. 여기서, 각 격자는 K×K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사각메쉬형성기(20)는 각 격자의 꼭지점(vertex point)들중에서, 대상물화상형성기(13)로부터 수신된 대상물화상에 포함된 꼭지점들을 초기제어점들(initial control points)으로 결정하며, 초기제어점들로 둘러싸인 각 격자를 사각메쉬로 결정한다. 제 3 도는 제 2 도 (c)의 블록화된 대상물화상에 관련하여 설명된 화상블록의 가로(또는 세로)방향의 화소수가 전술한 K×K 크기를 갖는 격자의 가로(또는 세로)방향의 화소수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이다. 화상블록의 가로(또는 세로) 방향의 화소수가 격자의 가로(또는 세로)방향의 화소수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 사각메쉬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은 화상블록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과 약간 달라질 것이다.
사각메쉬형성기(20)는 사각메쉬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의 모서리(edge)들에 위치한 초기제어점들을 고정제어점들로 결정하며, 고정제어점들로 결정되지 않은 초기제어점들을 유동제어점들로 결정한다. 여기서, 각 사각메쉬는 그 사각메쉬내에 존재하는 대상물화상의 데이터 및 그 사각메쉬에 속한 고정제어점들 또는 유동제어점들의 위치정보에 의해 표현된다. 사각메쉬형성기(20)는 전술의 사각메쉬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을 나타내는 사각메쉬데이터를 불규칙메쉬형성부(30)로 출력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불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 표현된 불규칙메쉬형성부(30)는, 사각메쉬형성기(20)로부터 입력하는 사각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 사각메쉬들을 불규칙삼각메쉬들로 분할시킨다. 불규칙메쉬형성부(30)에 의한 불규칙삼각메쉬들의 생성은 SPIE's 1996 symposium on Visual communications and Image Processing에서 발표된 Kang W. Chun, Byungwoo Jean 및 Jae M. Jo 의 Irregular Triangular Mesh Representation Based on Adaptive Control Point Removal이란 표제의 논문에 기초한다. 불규칙메쉬형성부(30)내의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사각메쉬형성기(20)로부터 전술의 사각메쉬데이터를 수신한다.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수신된 사각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각메쉬들 각각을 대각(diagonal)방향으로 분할시킨다. 이러한 분할에 의해, 각 사각메쉬는 두개의 규칙삼각메쉬로 분할된다.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가 규칙삼각메쉬들을 형성하는 일례를 제 4 도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각 사각메쉬를 규칙삼각메쉬들로 분할하기 위하여 그 사각메쉬에 속한 화소값들의 유사성을 이용한다. 제 4 도 (a)는 a, b, c 및 d의 네개의 제어점들로 이루어진 사각메쉬를 보여준다. 하나의 사각메쉬에 속한 제어점들(a, b, c, d)의 화소값들을 P(a), P(b), P(c) 및 P(d)라 하면,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45도 방향의 유사성표시값(P-45)을 |P(a)-P(c)|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45도 방향의 유성표시값(P45)을 |P(b)-P(d)|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계산된 두 유사성표시값들(P45, P-45)중의 작은 값에 대응하는 대각선방향으로 그 사각메쉬를 두개의 규칙삼각메쉬들로 분할한다. 제 4 도 (b)는 -45도 방향의 유사성표시값(P-45)이 45도방향의 유사성표시값(P45)보다 작은 경우의 사각메쉬의 분할을 보여주며, 제 4 도 (c)는 45도 방향의 유사성표시값(P45)이 -45도방향의 유사성표시값(P-45)보다 작은 경우의 사각메쉬의 분할을 보여준다. 규칙삼각메쉬형성기(31)는 수신된 모든 사각메쉬들의 분할에 의해 얻어진 규칙삼각메쉬들을 나타내는 규칙삼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한다. 이러한 규칙삼각메쉬데이터는 전술의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및 그 화소데이터를 담고 있는 것으로, 에너지계산기(32)로 공급된다.
에너지계산기(32)는 수신되는 규칙삼각메쉬데이터를 미도시된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저장된 규칙삼각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동제어점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에너지값을 계산한다. 유동제어점(K)에 관련된 제 1 에너지값 E(K)는 다음의 식(1)로 표현되며,
K K K K
K K K
K K

Claims (18)

  1.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object-oriented) 화상표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전체화상으로부터 전체화상에 들어 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화상블록들로 이루어진 대상물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상물화상추출수단 ; 상기 대상물화상추출수단으로부터의 대상물화상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대상물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진 대상물화상으로부터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및 화소데이터로 구성된 사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제어점들 및 유동제어점들은 상기 전체화상을 분할하는 복수개 사각메쉬들의 꼭지점들중에서 상기 대상물화상에 속한 꼭지점들이며, 상기 고정제어점들은 상기 대상물화상의 모서리에 위치한 꼭지점들인, 규칙메쉬형성수단 ; 및 상기 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부터의 사각메쉬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각메쉬데이터내의 각 유동제어점들중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동작 및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다각형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불규칙메쉬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화상추출수단은 수신된 화상데이터에 의한 전체화상을 기설정된 크기(size)를 갖는 복수개 화상블록들로 분할하는 블록형성수단 ; 상기 블록형성수단에 의해 분할된 복수개 화상블록들중에서 전체화상에 들어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선택하는 블록선택수단 ; 및 상기 블록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화상블록들을 병합하여 병합된 화상블록들을 대상물화상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 대상물화상형성수단을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메쉬형성수단은, 상기 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부터의 사각메쉬데이터에 따른 사각메쉬들 각각을 데이터유사성의 정도가 큰 대각방향으로 분할하여 규칙삼각메쉬들을 형성하는 규칙삼각메쉬형성수단; 상기 규칙삼각메쉬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규칙삼각메쉬들의 화소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동제어점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에너지차이값들을, 각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제어점들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영역에 대하여 계산하는 에너지계산수단;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에 계산된 에너지차이값들중에서 가장 적은 에너지차이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에너지차이값에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을 유동제어점이 아닌 것으로 제거하는 제어점제거수단; 및 상기 제어점제거수단의 유동제어점제거에 응답하여,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이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에 대한 에너지차이값을 계산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어점제거수단이 가장 작은 에너지차이값 및 그에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을 제거하도록 제어하고,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삼각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메쉬재구성수단을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메쉬형성수단에 의해 그 개수가 기설정된 문턱값과 일치할때의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에 대하여, 개별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화소위치를 갖는 후보제어점들의 에너지값과 개벌 유동제어점의 에너지값을 계산하는 수단; 및 상기 에너지값계산수단에 의해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중에서 계산된 에너지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값에 대응하는 제어점을 최적의 유동제어점으로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값계산수단은,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각각의 에너지값들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TK는 개별 유동제어점을 둘러싸는 삼각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내에서 개별 유동제어점과 그에 인접하는 임의의 제어점에 의해 형성되는 K번째 삼각메쉬이며, NK는 삼각메쉬(T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내며,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나타내고, 보간된 값(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삼각메쉬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 (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메쉬형성수단은, 상기 규칙메쉬형성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각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각메쉬데이터의 유동제어점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을 각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제어점들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영역에 대하여 계산하여 저장하는 에너지계산수단; 및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에 저장된 저장된 에너지차이값들중의 가장 작은 에너지값 및그에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을 제거하는 동작과, 제거된 유동제에점에 인접하는 유동제어점들에 대한 에너지값을 다시 계산하도록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을 제어하는 동작을,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제어점제거수단을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은 유동제어점(K)에 대한 에너지값 E(K)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SK는 유동제어점(K)을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을, NK는 지지영역(S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낸다.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나타내고, 보간된 값(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 (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다각형메쉬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메쉬형성수단에서 최종적으로 남게된 다각형메쉬들의 유동제어점들에 대하여, 각 유동제어점 및 인접하는 화소위치를 갖는 복수개 후보제어점들에 관련된 에너지값들을 상기 각 유동제어점의 지지영역에서 계산하는 에너지계산수단; 및 상기 에너지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에너지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값을 결정하며, 상기 각 유동제어점 및 인접하는 후보제어점들중에서 상기 결정된 가장 작은 에너지값에 대응하는 제어정믈 최적의 유동제어점으로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값계산수단은,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각각의 에너지값들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TK는 개별 유동제어점을 둘러싸는 다각형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내에서 개별 유동제어점과 그에 인접하는 임의의 제어점에 의해 형성되는 K번째 다각형메쉬이며, NK는 다각형메쉬(T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내며,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 t17 (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각각 나타내고, 보간된 값 t18 (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다각형메쉬의 꼭지점들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 (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장치.
  10.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지향(object-oriented) 화상표현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전체화상으로부터 전체화상에 들어 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화상블록들로 구성된 대상물화상으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전체화상을 분할하는 복수개 사각메쉬들의 꼭지점들중에서 상기 대상물화상에 속한 꼭지점들인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그리고 상기 고정제어점들은 상기 대상물화상이 모서리에 위치한 꼭지점들인, 상기 고정제어점들과 유동제어점들 및 화소데이터로 구성된 사각메쉬데이터를 발생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서 발생된 사각메쉬데이터들중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동작 및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다각형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전체화상을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복수개 화상블록들로 분할하는 제 1a 단계; 상기 제 1a단계에서 분할된 복수개 화상블록들중에서 상기 전체화상에 들어 있는 임의의 대상물을 담고 있는 화상블록들을 선택하는 제 1b단계; 및 상기 제 1b단계에서 선택된 화상블록들을 병합하여 대상물화상을 형성하는 제 1c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발생된 사각메쉬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각메쉬를 데이터유사성의 정도가 큰 대각선방향으로 분할하여 규칙삼각메쉬들을 형성하는 제 3a단계; 상기 제 3a단계에서 형성된 규칙삼각메쉬들의 화소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동제어점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에너지차이값들을 각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제어점들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영역에 대하여 계산하는 제 3b단계; 상기 제 3b단계에서 계산된 에너지차이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차이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에너지차이값에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을 유동제어점이 아닌 것으로 제거하는 제 3c단계; 및
    상기 제 3c단계의 유동제어점제거에 응답하여, 남아있는 유동제어점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남아있는 유동제어점들에 대한 에너지차이값의 계산, 가장 작은 에너지차이값 및 그에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의 제거 및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을 삼각메쉬들로 분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 3d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d단계에서 남아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개수가 기설정된 문턱값과 일치하는 경우, 남아있는 유동제어점에 대하여, 개별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화소위치를 갖는 후보제어점들의 에너지값과 개별 유동제어점의 에너지값을 계산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에서 계산된,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각각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값에 대응하는 제어점을 최적의 유동제어점으로 결정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각각의 에너지값들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TK는 개별 유동제어점을 둘러싸는 삼각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내에서 개별 유동제어점과 그에 인접하는 임의의 제어점에 의해 형성되는 K번째 삼각메쉬이며, NK는 삼각메쉬(T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내며,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각각 나타내고, 보간된 값(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삼각메쉬의 세 꼭지점들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 (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발생된 사각메쉬데이터로 이루어진 사각메쉬들의 화소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각메쉬데이터에 포함된 유동제어점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을 각 유동제어점에 인접하는 제어점들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영역에 대하여 계산하는 제 3a단계; 상기 제 3a단계에서 계산된 에너지차이값들중의 가장 작은 에너지값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유동제어점을 유동제어점을 제거하는 제 3b단계; 상기 유동제어점이 제거된 지지영역에 속한 유동제어점들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을 계산하는 제 3c단계; 및 상기 제거되고 남아 있는 유동제어점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 3b 및 3c단계에 따라, 최소의 에너지차이값을 갖는 유동제어점의 제거 및 대응하는 지지영역에 속한 유동제어점들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계산을 반복하는 제 3d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a단계는 유동제어점(K)에 대한 에너지값 E(K)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SK는 유동제어점(K)에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을, NK는 지지영역(S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낸다.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나타내고, 보간된 값(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 (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다각형메쉬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d단계에서 최종적으로 남게된 다각형메쉬들의 유동제어점들 각각에 대하여, 각 유동제어점 및 인접하는 화소위치를 갖는 복수개 후보제어점들에 관련된 에너지값들을 상기 각 유동제어점의 지지영역에서 계산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에서 계산된,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중에서 계산된 에너지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값에 대응하는 제어점을 최적의 유동제어점으로 결정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개별 유동제어점 및 그에 대응하는 후보제어점들 각각의 에너지값들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계산하며,
    여기서, TK는 개별 유동제어점을 둘러싸는 다각형메쉬들로 이루어진 지지영역내에서 개별 유동제어점과 그에 인접하는 임의의 제어점에 의해 형성되는 K번째 다각형메쉬이며, NK는 다각형메쉬(TK)내에 들어 있는 화소수를 각각 나타내며, g(i, j)는 위치(i, j)를 갖는 화소의 화소값을 나타내며,(i, j)는 화소값 g(i, j)에 대응하는 보간된 값을 나타내고, 보간된 값(i, j)을 얻기 위한 보간가중치들은 위치(i, j)를 갖는 화소가 속한 다각형메쉬의 세 꼭지점들에 해당하는 제어점들의 화소값들을 사용하여 독특하게 (uniquely) 결정되는 대상물지향 화상표현방법.
KR1019960016661A 1996-05-17 1996-05-17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KR10021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661A KR100215450B1 (ko) 1996-05-17 1996-05-17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EP19970303165 EP0808066A3 (en) 1996-05-17 1997-05-09 Object-oriented image re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rregular meshes
CN97111164A CN1166754A (zh) 1996-05-17 1997-05-14 利用不规则网孔的面向对象的图像的表示方法和装置
JP12600197A JP2918513B2 (ja) 1996-05-17 1997-05-15 不規則メッシュを用いた対象物指向画像表現方法及びその装置
US08/857,590 US5903682A (en) 1996-05-17 1997-05-16 Object-oriented image re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rregular mes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661A KR100215450B1 (ko) 1996-05-17 1996-05-17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220A KR970076220A (ko) 1997-12-12
KR100215450B1 true KR100215450B1 (ko) 1999-08-16

Family

ID=1945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661A KR100215450B1 (ko) 1996-05-17 1996-05-17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3682A (ko)
EP (1) EP0808066A3 (ko)
JP (1) JP2918513B2 (ko)
KR (1) KR100215450B1 (ko)
CN (1) CN1166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64B1 (ko) 2008-02-13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쉬 모델로 구현된 3차원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847A (en) * 1997-12-23 2000-02-15 Auto Desk, Inc. Three dimensional modeling system with visual feedback
TW389866B (en) * 1998-07-01 2000-05-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puter graphics animation method and device
US6879324B1 (en) * 1998-07-14 2005-04-12 Microsoft Corporation Regional progressive meshes
FR2794329B1 (fr) * 1999-05-26 2001-08-17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d'images hierarchique, a mise en oeuvre selective d'un codage a base transformation reversible, et procede de decodage correspondant
FR2794269B1 (fr) * 1999-05-26 2001-08-17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d'images, a partition triangulaire et transformation reversible, et procede de decodage correspondant
US7403640B2 (en) * 2003-10-27 2008-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an object-oriented motion detector to capture images
US20050279827A1 (en) * 2004-04-28 2005-12-22 First Dat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guaranteed merchant transactions
US7529418B2 (en) * 2004-05-20 2009-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ometry and view assisted transmission of graphics image streams
JP4725909B2 (ja) * 2004-06-22 2011-07-13 株式会社ジオ技術研究所 地表面ポリゴン生成方法
KR100772194B1 (ko) * 2006-07-26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의 선택적 출력이가능한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이동 로봇 및 그 방법
GB0807411D0 (en) * 2008-04-23 2008-05-28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Scale robust feature-based indentfiers for image identification
US9601086B1 (en) * 2009-09-11 2017-03-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fining a projector display region
KR20140102038A (ko) * 2013-02-13 201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정합 장치 및 영상 정합 방법
US10930086B2 (en) 2016-11-01 2021-02-23 Dg Holdings, Inc. Comparative virtual asset adjustment systems and methods
US10275941B2 (en) * 2016-11-01 2019-04-30 Dg Holdings, Inc. Multi-layered depth and volume preservation of stacked meshes
CN206906707U (zh) * 2017-07-26 2018-0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370777A (zh) * 2020-11-12 2021-02-1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图像渲染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537A (en) * 1991-04-08 1994-05-24 Blacker Teddy D Automated quadrilateral surface discre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able to generate mesh in a finite element analysis system
AU7603994A (en) * 1993-08-27 1995-03-21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mooth low degree polynomial spline surfaces over irregular mesh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64B1 (ko) 2008-02-13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쉬 모델로 구현된 3차원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US8265407B2 (en) 2008-02-13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3D data implemented as a mesh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8066A2 (en) 1997-11-19
JPH1097644A (ja) 1998-04-14
CN1166754A (zh) 1997-12-03
JP2918513B2 (ja) 1999-07-12
US5903682A (en) 1999-05-11
EP0808066A3 (en) 1997-12-17
KR970076220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450B1 (ko) 불규칙메쉬들을 이용한 대상물 지향 화상표현방법및그장치
KR102502277B1 (ko) 계층화된 장면 분해 코덱 시스템 및 방법
KR102450688B1 (ko) 완전 시차 압축 라이트 필드 3d 촬상 시스템을 위한 방법
US6738424B1 (en) Scene model generation from video for use in video processing
KR100215451B1 (ko) 임의형태 물체를 포함한 동화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US5854856A (en) Content based video compression system
US20050084016A1 (en)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Magnor et al. Hierarchical coding of light fields with disparity maps
Pavez et al. Dynamic polygon cloud compression
WO20200121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igital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data
KR100209885B1 (ko) 적응적 제어점제거에 근거한 영상의 불규칙 삼각형메쉬 표현을 위한 방법
KR20010053286A (ko) 화상부호/복호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20011180A (ko) 체적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10012405A1 (en)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apparatus, image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s
WO2012128209A1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符号化データ
CN116711301A (zh) 虚拟视点生成、渲染、解码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WO2001049028A1 (en) Scene model generation from video for use in video processing
Eryurtlu et al. Very low-bit-rate segmentation-based video coding using contour and texture prediction
US20070070059A1 (en) Refinement of block motion estimate using texture mapping
KR0154937B1 (ko) 3차원 컬러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KR0159384B1 (ko) 3차원 컬러 스테레오 스코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KR0181057B1 (ko) 3차원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KR100203713B1 (ko) 물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인장-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ia Deep Learning-Based Artifacts Removal in Video Compression
KR0154006B1 (ko) 3차원 컬러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