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065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065B1
KR100215065B1 KR1019970022533A KR19970022533A KR100215065B1 KR 100215065 B1 KR100215065 B1 KR 100215065B1 KR 1019970022533 A KR1019970022533 A KR 1019970022533A KR 19970022533 A KR19970022533 A KR 19970022533A KR 100215065 B1 KR100215065 B1 KR 10021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air conditioner
unit
gri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239A (ko
Inventor
안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065B1/ko
Publication of KR1998008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청정모드로 운전시에는 흡입 그릴(110)을 닫아 실내 공기가 상부 흡입부(11)과 집진수단(90)을 열교환기(120)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 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 운전시에 실내공기 흡입그릴을 닫아 공기청정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내기로 이루어져 있고, 냉매가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순환하면서 실내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실외 열교환기내에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고, 상기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캐필러리튜브 또는 팽창밸브로 된 팽창수단내에 유입되며, 상기 팽창수단내에 유입된 고압의 냉매액은 그 단열팽창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되어 실내 열교환기내에 유입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내에서 냉매액은 증발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변환되며, 상기 냉매가스는 압축기내에 유입되어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는 사이클을 이루면서 냉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개구측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다수의 흡입공(21)이 형성된 흡입그릴부재(20)가 개폐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이 흡입그릴부재(2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공(21)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으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0)가 절곡되게 배설되어 있고, 열교환기(3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30)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상기 실내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제상수를 집수하는 배수접시(40)가 배설되어 있다.
이 배수접시(40)의 하측에는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하 및좌우로 조절하여 토출시키는 상하풍향조절날개(50) 및 좌우풍향조절날개(60)가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케 배설되어 있고, 본체(10)의 내측에는 흡입그릴부재(20)를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도록 하는 블로워팬(70)이 회전가능케 배설되어있다.
그리고, 블로워팬(70)의 일측에는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80)가 배설되어 있고, 열교환기(30)의 상측에는 흡입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하는 집진수단(9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집진수단(90)은 미세먼지를 이온화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91)와, 이전기집진기(91)를 내장시켜 고정하는 집진기키트(KIT)(9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단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흡입구(12)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100)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먼저, 도시하지앓은 조작부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공조조건을 선택하면, 블로워팬(70)의 구동에 따라 실내공기가 흡입그릴부재(20)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21) 및 본체(10)의 상단측에 형성된 관통공(11)을 통하여 흡입되고, 필터부재(1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전기집진기(91)에 의해 상기 필더부재(10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미세먼지가 이온화되어 포집됨에 따라 청정해진 공기는 열교환기(30)를 통하여 열교환되고, 이 열교환된 공기는 상하풍향조절날개(50) 및 좌우풍향조절날개(60)에 의해 풍향이 조절되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흡입시에 집진수단(90)을 통과하는 공기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공기 청정효율이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만이 집진수단(90)을 통과하고 나머지 부분은집진수단(90)을 거치지 앓고 직접 열교환기(30)로 흡입되므로, 공기청정 효율이 저하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청정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운전할 때, 실내공기가 공기청정기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그릴을 자동으로 닫아 공기청정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조건들을 감지하는 운전모드감지부와, 이 운전모드감지부로부더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전모드를 판별하는 운전모드판별부, 흡입 그릴의 상태를 감지하는 그릴상태감지부, 이 그릴상태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흡입 그릴이 열렸는지를 판별하는 그릴개폐판별부, 상기 운전모드판별부로부터 공기청정 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공기청정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그릴개폐판별부로부터 흡입 그릴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이 정보에 따라 흡입 그릴을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등의 부유입자를 제거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흡입 그릴을 개폐시키는 그릴개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들을 감지하는 운전모드감지단계, 감지된 조건들로부터 결정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가를 핀단하는 운전모드핀단단계,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 경우에 흡입 그릴을 닫는단계, 흡입 그릴이 닫혔으면 공기청정 모드로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는 단계, 상기운전모드핀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가 아닌 경우에 감지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시키는 단계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었는가를 핀단하여 운전이 정지되지 암았으면 상기 운전모드감지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흡입 그릴이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흡입 그릴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방법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부재 110 : 흡입 그릴
120 : 열교환기 130 : 운전모드감지부
140 : 운전모드판별부 150 : 그릴상태감지부
160 : 그릴개폐판별부 170 : 제어부
180 : 공기청정부 190 : 그릴개폐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에서 그릴이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에서 그릴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모드감지부(130)와, 운전모드판별부(140), 그릴상태감지부(150), 그릴개폐판별부(160), 제어부(170), 공기청정부(180) 및, 그릴개폐부(19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운전모드감지부(13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조건들을 감지하여 운전모드판별부(14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운전모드판별부(140)는 운전모드감지부(13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전모드를 판별하여 제어부(17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릴상태감지부(150)는 현재의 흡입 그릴(110) 상태를 감지하여 그릴개폐판별부(16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그릴개폐판별부(160)는 그릴상태감지부(15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흡입 그릴(110)이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제어부(17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릴상태감지부(150)는 필더부재(100) 또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 그릴(11O)이 닫혔을 경우에 온 또는 오프되는 접촉스위치(contact Switch)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운전모드판별부(140)로부터 공기청정 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공기청정부(180)를 동작시켜 공기청정 운전을 수행하고, 그릴개폐판별부(160)로부터 흡입 그릴(110)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이 정보에 따라 그릴개폐부(190)를 제어하여 흡입 그릴(110)을 닫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기청정부(180)는 집진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등의 부유입자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릴개폐부(190)은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그릴개폐신호에 따라 흡입 그릴(110)을 개폐시탬撚록 되어 있다.
이 그릴개폐부(190)는 하측이 회전가능하도록 본체(10)와 힌지결함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10)와 경첩결함되어 있는 흡입그릴(110)과, 이 흡입 그릴(110)에일단이 결착되어 있는 로드(191), 이 로드(191)를 왕복운동시키기 의한 솔레노이드(192) 및,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그릴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92)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상기 로드(191)을 왕복운동시켜 상기 흡입그릴(110)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17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S1)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조건들을 감지하는 운전모드감지단계(S2), 감지된 조건들로부터 결정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가를 핀단하는 운전모드핀단단계(S3),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 경우에 흡입 그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4), 감지된 그릴의 위치로부터 흡입 그릴이 열렸는가를 핀단하는 단계(S5), 흡입그릴이 열린 경우에 흡입 그릴을 닫는 단계(S6), 흡입 그릴이 닫혔으면 공기청정모드로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는 단계(S7), 상기 운전모드핀단단계(S3)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가 아닌 경우에 감지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시키는 단계(S8),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였는가를핀단하여 운전이 정지되지 암았으면 상기 운전모드감지단계(S2)를 반복 수행하고,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S9)로 순차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그릴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운전되기 시작하면, 운전모드감지부(130)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의한 여러 가지 조건들을 감지하여 운전모드판별부(140)로 입력한다.(S1, S2)
그리고, 운전모드판별부(140)는 운전모드감지부(13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더 운전모드를 판별하여 제어부(170)로 입력하고, 제어부(170)는 운전모드판별부(140)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가 아니면 그릴개폐부(190)를 제어하여 흡입 그릴(110)이 열리도록 한 다음, 정상적인 공조운전제어를 통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S3, S8)
즉, 제어부(150)가 흡입 그릴(110)을 열라는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구동부(193)로 입력하면 솔레노이드구동부(193)는 솔레노이드(192)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솔레노이드(192)에 내재된 스프링(도시되지 암음)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191)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흡입 그릴(110)을 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입 그릴(1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실내 공기의 일부가 상부 흡입부(11)와 집진수단(90)을 통해 열교환기(120)로 흡입되고, 나머지 부분은전면의 필터부재(100)를 통해 열교환기(120)로 흡입되어 열교환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70)는 운전모드판별부(140)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이면 흡입 그릴(110)이 열러있는 상태에서는 그릴개폐부(1g0)를 제어하여 흡입 그릴(110)을 닫아 공기청정 운전모드로 공조운전을 제어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즉, 그릴상태감지부(150)가 현재의 흡입 그릴(110) 상태를 감지하여 그릴개폐판별부(160)로 입력하고, 그릴개폐판별부(160)가 그릴상태감지부(15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흡입 그릴(110)이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제어부(170)로 입력 한다.(S4)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그릴개폐판별부(160)로부터 흡입 그릴(110)이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흡입 그릴(110)이 열렸을 경우에는 흡입 그릴(110)을 닫으라는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구동부(193)로 입력한다.(S5)
상기와 같이 흡입 그릴(110)을 닫으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솔레노이드구동부(193)는 솔레노이드(192)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솔레노이드(192)에 로드(191)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흡입 그릴(110)을 닫아 공기 청정모드로 공기조화기의운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S6, S7)
상기와 같이 흡입 그릴(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실내 공기가 상부 흡입부(11)와 집진수단(90)을 통해 열교환기(120)로 흡입되므로, 흡입되는 모든 실내공기가 집진수단(90)을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 청정 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가아닌 운전모드로 운전할 때는 흡입 그릴을 닫고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운전할 때는 실내공기가 공기청정기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그릴을 자동으로 닫아 공기청정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조건들을 감지하는 운전모드감지부와, 이 운전모드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전모드를 판별하는 운전모드판별부, 흡입 그릴의 상태를 감지하는 그릴상태감지부, 이 그릴상태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정보로부터 흡입 그릴이 열렸는지를 판별하는 그릴개폐판별부, 상기 운전모드판별부로부터 공기청정 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공기청정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그릴개폐판별부로부터 흡입 그릴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이 정보에 따라 흡입 그릴을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등의 부유입자를 제거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흡입 그릴을 개폐시키는 그릴개폐부를 포함하여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개폐부는, 하측이 회전가능하도록 본체와 힌지결함되어 있고, 상측은 본체와 경첩결함되어 있는 흡입 그릴과, 이 흡입 그릴에 일단이 결착되어 있는 로드, 이 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로드을 왕복운동시켜서 상기 흡입 그릴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3.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의한 조건들을 감지하는 운전모드감지단계, 감지된 조건들로부터 결정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가를 핀단하는 운전모드판단단계,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인 경우에 흡입 그릴을 닫는 단계, 흡입 그릴이 닫혔으면 공기청정 모드로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는 단계, 상기 운전모드핀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공기청정 운전모드가 아닌 경우에 감지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시키는 단계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였는가를 핀단하여 운전이 정지되지 암았으면 상기 운전모드감지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방법.
KR1019970022533A 1997-05-31 1997-05-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533A KR100215065B1 (ko) 1997-05-31 1997-05-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533A KR100215065B1 (ko) 1997-05-31 1997-05-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239A KR19980086239A (ko) 1998-12-05
KR100215065B1 true KR100215065B1 (ko) 1999-08-16

Family

ID=1950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533A KR100215065B1 (ko) 1997-05-31 1997-05-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003A (ko) * 2004-08-16 2006-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23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336B1 (ko)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150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169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45006B1 (ko) 공기조화기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3264A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필터청소 방법
KR100324140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열림감지장치
KR0136092Y1 (ko) 공기조화기
JPH1078253A (ja) 空気調和機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36935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48766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307226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상태표시장치및그방법
KR10031036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및그제어방법
KR10018727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861738A (ja) 空気調和機
KR100398633B1 (ko) 보조커버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KR100222948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0168256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2112B1 (ko)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KR017586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차폐장치
KR100187244B1 (ko) 공기조화기의 음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4964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248767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017591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