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664B1 -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664B1
KR100214664B1 KR1019940029063A KR19940029063A KR100214664B1 KR 100214664 B1 KR100214664 B1 KR 100214664B1 KR 1019940029063 A KR1019940029063 A KR 1019940029063A KR 19940029063 A KR19940029063 A KR 19940029063A KR 100214664 B1 KR100214664 B1 KR 10021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input
data
weighing data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024A (ko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4002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664B1/ko
Publication of KR96001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telemeter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가입자 정합장치와 접속되고 가입자 정합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들의 계량 데이터를 한곳에서 볼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 정합장치에 연결된 계량기의 숫자 만큼 해당 계량 데이터를 일정간격으로 번갈아 표시함과 아울러 계량기의 동작상태를 알려주도록 할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초기 전원공급에 의한 초기화 해제상태에서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입력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입력이면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와 상기 입력 펄스를 연산하여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에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횟수를 카운트하여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산하여 얻어진 계량 데이터와 펄스가 입력되지 않았을시의 백업된 계량 데이터를 소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증가된 횟수에 따라 해당 계량기의 정상/에러 상태를 알려주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가입자 정합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
제3도는 본 발명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장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제3도의 동작설명에 대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 단말기 105a ; 중앙처리장치
105b ; 데이터 표시부 105c ; 입출력부
105d ; 계량기 상태 표시부 105e ; 부저
105f ; 키이입력부 105g ; 프로그램롬
본 발명은 원격검침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정합장치에 접속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각 계량기들의 상태와 사용량을 거실이나 응접실등과 같은 실내에서도 쉽게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력량계, 가스미터, 열량계, 수도미터 및 온수미터 등의 사용량을 가입자 정합장치 및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공익회사(한전, 가스회사, 수도국)에 설치되어 있는 검침컴퓨터에서 원격으로 검침하는 시스템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103)에서 계량치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검침컴퓨터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검칭신호가 입력되면 저장하고 있는 각종 계량기(103)의 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입자 정합장치(102)와, 상기 가입자 정합장치(102)와 검침컴퓨터간의 통신선로인 공중전화망(101)과, 상기 공중전화망(101)을 통하여 가입자 정합장치(102)로 검침명령을 내리고 가입자 정합장치(102)로부터의 계량데이타를 공중전화망(101)을 통하여 입력받고 저장하는 검침컴퓨터(1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4는 공중전화망(101)에 접속된 전화기이다.
상기에서 가입자 정합장치(102)는 첨부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중전화망(101)의 전화라인(L1)(L2)과 연결되어 검침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데이터와 보내고자 하는 검침 계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절환하여 주는 라인절환부(102d)와, 상기 라인절환부(102d)를 통해 검침컴퓨터(100)로부터 검침신호가 입력되면 DTMF신호를 발생하는 DTMF부(102b)와, 상기 DTMF부(202b)로부터 DTMF부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롬(102e)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상기 라인절환부(102d)를 절환시키고 데이터램(102f)에 저장된 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102a)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로부터 전송된 계량데이타를 변조하여 라인절환부(102d)를 통해 검침컴퓨터(100)로 송신하고 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뎀부(102c)와, 상기 계량기(103)와 접속되어 그 계량기(103)로부터의 계량치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에 제공하여 데이터램(102f)에 저장케 하는 계량기접속부(102g)와, 상기 가입자 정합장치(102)의 전체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2h)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원격검침 시스템은 먼저, 가입자 정합장치(102)의 계량기 접속부(102g)는 중앙처리장치(102a)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종 계량기(103)로부터의 계량치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는 계량기접속부(102g)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계량데이타를 데이터램(102f)에 누적시켜 저장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공익회사의 검침컴퓨터(100)로부터의 검침신호가 공중전화망(101)을 통하고 각 가정의 전화라인(L1)(L2)을 통하여 가입자 정합장치(102)의 라인 절환부(102d)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라인절환부(102d)의 제1, 제2기동단자(c)(c')는 평상시에 그의 제2, 제4고정단자(b)(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화라인(L1)(L2)을 통해 수신되는 검침컴퓨터(100)의 검침신호가 DTMF부(102b)에 입력된다.
상기 DTMF부(102b)는 라인절환부(102d)에서 검침신호가 입력되면 DTM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2a)는 DTMF신호가 입력되면 라인절환신호를 발생하여 라인절환부(102d)의 제1, 제2가동단자(c)(c')를 제1, 제3고정단자(a)(a')로 절환시키고 아울러 상기 데이터램(102f)에 저장된 계량 데이터를 읽어들여 모뎀부(102c)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모뎀부(102c)는 중앙처리장치(102a)에서 입력되는 계량데이타를 전송하기에 적당한 레벨로 변조시켜 라인절환부(102d) 및 전화라인(L1)(L2)의 공중전화망(101)을 통해 공익회사의 검침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계량데이타의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한 중앙처리장치(102a)는 라인 절환부(102d)의 제1, 제3가동단자(c)(c')를 처음의 제2, 제4고정단자(b)(b')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들이 서로 다른 곳에 설치되어 있고 가입자 정합장치를 통하여 계량기의 사용량값이 검침컴퓨터로 직접 전송되기 때문에 수용가에서는 각 계량기들의 사용량을 파악하기가 곤란하였고, 부득이 산재되어 있는 각 계량기들의 사용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않되었다.
또한 공익회사에서 검침컴퓨터로 검침된 데이터를 근거로하여 고지서를 발행한 다음 요금납부서를 수용가에 전달했을 때 실제 사용량과 비교할 수가 없을뿐 아니라 계량기가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고장상태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없어 공익회사로서도 불이익을 당할 소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 정합장치와 접속되고 가입자 정합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들의 계량 데이터를 한곳에서 볼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 정합장치에 연결된 계량기의 숫자만큼 해당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일정간격으로 번갈아 표시하도록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해당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외에 각 계량기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또는 청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계량기의 고장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초기 전원공급에 의한 초기화 해제상태에서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입력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입력이면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와 상기 입력 펄스를 연산하여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에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횟수를 카운트하여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산하여 얻어진 계량 데이터와 펄스가 입력되지 않았을시의 백업된 계량 데이터를 소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의 증가된 횟수에 따라 해당 계량기의 정상/에러 상태를 알려주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는, 가입자 정합장치의 계량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각 계량기의 계량치와 동작상태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입출력수단과, 상기 입출력수단으로부터 얻어진 해당 계량 데이터를 이전에 백업된 계량 데이터와 연산하고 계량기의 동작상태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연산된 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연산된 계량데이타를 소정시간 마다 순차적으로 표시 하여주는 데이터 표시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계량기의 에러상태를 알려주는 소리발생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얻어진 제어신호에 따라 계량기의 정상/에러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계량기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계량데이타를 보존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장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계량기(103)에서 계량치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검침컴퓨터로 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검침신호가 입력되면 저장하고 있는 각종 계량기(103)의 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입자 정합장치(102)와, 상기 가입자 정합장치(102)와 검침 컴퓨터간의 통신선로인 공중전화망(101)과, 상기 공중전화망(101)을 통하여 가입자 정합장치(102)로 검침명령을 내리고 가입자 정합장치(102)로 부터의 계량데이타를 공중전화망(101)을 통하여 입력받고 저장하는 검침컴퓨터(100)로 구성되어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장치(102)에 접속되어 그 가입자 정합장치(102)로부터 입력되는 계량데이타를 연산하여 표시하여 주고 계량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이상여부를 알려주는 단말기(10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4는 공중전화망(101)과 접속된 전화기 이다.
상기에서 단말기(10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입자 정합장치(102)의 계량기접속부와 라이(105j)으로 접속되어 각 계량기의 계량치와 동작상태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입출력부(105c)와, 상기 입출력부(105c)를 통해 입력된 해당 계량 데이터를 이전에 백업된 계량 데이터와 연산하고 계량기의 동작상태신호에 따라 단말기(105)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5a)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로부터 연산된 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램(105h)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로부터 연산된 각종 계량데이타를 소정시간(2-3초) 마다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주는 데이터 표시부(105b)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계량기(103)의 정상/에러상태를 해당 발광소자를 통해 표시하여 주는 계량기상태 표시부(105d)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계량기의 에러상태를 알려주는 부저(105e)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 상기 데이터램(105h)에 저장된 계량데이타를 보존하는 전원공급부(105i)와, 상기 단말기(105)의 동작 프로그램을 탑제하고 있는 프로그램롬(105g)과, 상기 데이터 표시부(105b)의 표시내용을 수용가에서 임의로 선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키이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5a)로 입력하는 키이입력부(105f)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의 검침컴퓨터(100), 공중전화망(101) 및 가입자 정합장치(102)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가입자 정합장치(102)와 접속된 본발명의 단말기(105)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먼저, 각종 계량기들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가정에서 단말기(105)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단말기(105)내의 전원공급부(105i)는 입력된 전원을 일정레벨로 다운시킨 정전압으로 하여 각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정전시에는 자체내의 밧테리 전원을 각 시스템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이 전원공급부(105i)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스텝;S1) 중앙처리장치(105a)는 데이타램(105h)과 입출력부(105c)를 초기화시키게 된다.(스텝;S2).
초기화 해제후 상기한 중앙처리장치(105i)에 전원이 차단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스텝;S3).
즉, 이는 정전이 발생하거나 또는 정전시에 전원공급부(105i)의 밧테리 전원이 다 소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각종 계량기의 계량데이타를 백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전원공급부(105i)의 전원이 차단되었으면 각종 계량기(103)들로부터 가입자 정합장치(102)의 계량기접속부 및 단말기(105)의 입출력부(105c)를 통하여 입력된 계량데이타를 데이터램(105h)에 백업시키고(스텝;S4), 다시 초기화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3)에서 판단 결과 전원이 차단되지 않았으면 상기한 중앙처리장치(105a)는 키이입력부(105f)로부터 키이 데이터의 입력여부를 검색하여(스텝; S5), 키이데이타가 입력되었으면 키이처리 루틴으로 들어가 키이처리를 수행하고(스텝; S12), 상기 검색한 결과 키이 데이터의 입력이 없으면 입출력부(105c)를 통해 해당 계량기(103)로부터 펄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색한다.(스텝; S6).
상기 검색한 결과 해당 계량기(103)로부터 펄스가 입력되었으면 중앙처리장치(105a)는 데이터램(105h)으로부터 현재 데이터 표시부(105b)에 표시하려고 하는 계량 데이터를 판독한 다음(스텝; S7) 입력된 펄스를 더하여 다시 데이터램(105h)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6)에서 검색한 결과 펄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중앙처리장치(105a)는 데이터램(105h)에 저장된 해당 계량기(103)의 계량데이터를 판독하고(스텝; S61)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횟수(T)를 증가시킨다.(스텝; S62).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는 상기 단계(S8)에서 계산한 계량데이타 또는 단계(S61)에서 판독한 계량데이타를 데이터 표시부(105b)에 표시한다(스텝; S9).
그리고,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횟수(T)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T=100)보다 크게 되면(T소정시간) 중앙처리장치(105a)는 계량기 상태 표시부(105d)의 에러표시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고 부저(105e)를 동작시켜 현재 해당 계량기(103)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고, 계량기(103)로부터 펄스가 입력된 경우나 소정시간동안 펄스가 입력되지 않다가 입력된 경우 계량기 상태 표시부(105d)의 정상표시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고 해당 계량기(103)의 펄스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카운트한 횟수(T)를 리세트시킨다(스텝; S10).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05a)는 각 가정에 설치되는 5종류의 펄스식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소정시간(예를들어 2초-3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1),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현재 표시하고 있던 해당 계량기(103)의 계량 데이터를 소정시간동안 표시하고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다른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S2) 이후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들의 사용량을 필요할 때 언제든지 알수 있어서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한 데이터와 수용가에서 단말기를 통해 파악한 데이터가 서로 다를 때의 분쟁의 소지를 방지할 수 있고, 계량기가 고장났을 때 단말기의 계량기상태 표시부 및 부저를 통해서 알려주기 때문에 수용가에서 고장난 계량기에 대해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초기 전원공급에 의한 초기화 해제상태에서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입력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입력이면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와 상기 입력 펄스를 연산하여 메모리수단에 백업된 이전의 계량 데이터에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횟수를 카운트하여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산하여 얻어진 계량 데이터와 펄스와 입력되지 않았을시의 백업된 계량 데이터를 소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증가된 횟수에 따라 해당 계량기의 정상/에러 상태를 알려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초기화 해제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계량기로부터 입력되는 게량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백업시키고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계량기의 상태표시 단계는 상기 펄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증가된 횟수가 소정시간 경과되면 에러표시 발광소자의 점등과 부저를 동작시켜 현재 해당 계량기가 에러 상태임을 알리고 소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정상상태 발광소자의 점등과 카운트한 횟수를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계량 데이터의 표시단계는 계량기의 숫자만큼 해당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5. 가입자 정합장치의 계량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각 계량기의 계량치와 동작상태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입출력수단과, 상기 입출력수단으로부터 얻어진 해당 계량 데이터를 이전에 백업된 계량 데이터와 연산하고 계량기의 동작상태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연산된 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연산된 계량데이터를 소정시간 마다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주는 데이터 표시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계량기의 에러상태를 알려주는 소리발생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장체에서 얻어진 제어신호에 따라 계량기의 정상/에러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계량기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계량데이터를 보존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계량치 표시장치.
KR1019940029063A 1994-11-07 1994-11-07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21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063A KR100214664B1 (ko) 1994-11-07 1994-11-07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063A KR100214664B1 (ko) 1994-11-07 1994-11-07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024A KR960019024A (ko) 1996-06-17
KR100214664B1 true KR100214664B1 (ko) 1999-08-02

Family

ID=1939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063A KR100214664B1 (ko) 1994-11-07 1994-11-07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44A (ko) * 2001-07-31 2003-02-12 엘지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계량기 펄스 인식 방법
KR100445975B1 (ko) * 2002-01-22 2004-08-25 주식회사 엠에이티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024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9549A (en) Communal metering system
AU2011101045B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US20120022709A1 (en) Energy deliver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1266171B1 (en) Monitoring system
US4621330A (en) Programming system for programmable time registering electric energy meters
US6067476A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tampering with fuel dispenser totalizer
JP4836115B2 (ja) ガス計量システム
EP0419106B1 (en) Commodity metering systems
JP2001095263A (ja) インバ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インバータ装置並びにシステム管理装置
KR100214664B1 (ko) 원격검침 시스템의 계량치 표시방법 및 장치
EP0981723B1 (en) Metering systems
EP0076809B2 (en) Multiple rate electrical energy metering apparatus
JP4413443B2 (ja) ガスメータ及び読出し装置並びにデータ通信装置
JP2003044971A (ja) 計量装置および計量システム
WO1997044679A1 (en) Meter accuracy device
JPS60183525A (ja) ガスメ−タ用コントロ−ラ
JP3334096B2 (ja) 自動通報装置
WO1992009977A1 (en) Monitoring refrigerated units
KR19990017707A (ko) 무인 자동 판매기 관리장치 및 방법
GB2302941A (en) Heating system
JP3456034B2 (ja) 配管漏洩検知装置
KR20030063532A (ko) 계량기의 원격 검침 장치 및 그 검침 방법
KR930007167B1 (ko) 자동판매기의 가격설정방법
JPS62105566A (ja) 米切れ通報装置
JPH0652971B2 (ja) デマンド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