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625B1 -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625B1
KR100214625B1 KR1019960061494A KR19960061494A KR100214625B1 KR 100214625 B1 KR100214625 B1 KR 100214625B1 KR 1019960061494 A KR1019960061494 A KR 1019960061494A KR 19960061494 A KR19960061494 A KR 19960061494A KR 100214625 B1 KR100214625 B1 KR 10021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computer
sub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579A (ko
Inventor
오근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6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동시녹화 시스템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 즉, 테이프의 상태에 따라 복조한 후 녹음시키도록 하는데 동시녹화 기능을 갖춘 복합제품에서는 하이파이 복조부의 회로도를 별도로 갖추고 있어서 재생되는 테이프의 상태를 다시 마이크로컴퓨터에 알려주어 원하는 상태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중복기능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음성을 복조시 마이크로컴퓨터와 무관하게 자기스스로 인지하고 제어하도록 하는 부음성용 음성복조부(15)를 구성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포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제어라인의 삭감하여 피씨비의 활용도를 상승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본 발명은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음성과 동시에 부음성을 녹음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의 함수관계에 있는 것이 아닌 부음성 복조수단이 자기 스스로 방송상태를 인지하고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회로구현시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한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회로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닝신호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주화면용 영상신호와 부화면용 영상신호를 각각 튜닝하는 주/부화면용 튜너(11)(12)와 : 상기 주/부화면용 튜너(11)(12)를 통해 튜닝된 신호에 대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주/부화면용 중간주파 처리부(12)(22)와 : 상기 중간주파 처리부(12)(22)에서 처리된 중간주파신호중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신호처리를 행하는 주/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주/부화면용 영상처리부(13)(23)와 : 상기 중간주파 처리부(12)(23)와 : 상기 중간부파 처리부(12)(22)에서 처리된 음성 중간주파신호를 입력받아 부음성이 스테레오인지 모노인지 2개국어인지와 같은 음성상태를 검파하는 주/부음성용 음성검파부(14)(24)와 : 음성다중 처리를 위한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7)와 :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의 제어선을 통한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상태를 그대로 복조하는 주/부음성용 음성복조부(15)(25)와 : 상기 주/부음성용 음성복조부(15)를 통해 복조된 신호를 받아 녹음되도록 하거나 녹음된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녹음/재생부(16)와 : 마이크로컴퓨터(17)의 제어선을 통한 제어신호에 따라 녹화/재생부(16)를 통한 재생된 신호로부터 하이파이 스테레오인지 2개국어인지를 검파하고 그 검파 결과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하는 하이파이 복조부(18)와 : 상기 주음성용 음성복조부(25)와 하이파이 복조부(18)를 통한 주음성 또는 부음성을 스위칭하여 음성출력부(20)로 출력하도록 하는 스위칭부(19)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화면과 주음성은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주화면용 튜너(11)가 안테나(ANT)를 통해 튜닝하여 부화면용 중간주파처리부(1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주화면용 중간주파처리부(12)에서는 복합영상신호에 대하여 영상중간주파신호와 음서중간주파신호로 처리하여 영상중간주파신호는 주화면용 영상처리부(13)로 출력하고, 음성중간주파신호는 주음성용 음성검파부(14)로 각각 출력한다.
이에 상기 주화면용 영상처리부(13)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행하여 얻은 영상을 주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주음성용 음성검파부(14)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하여 스테레오로 전송되었는지 모노로 전송되었는지 아니면 2개국어로 전송되었는지를 검파하여 주음성용 음성복조부(15)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주음성용 음성복조부(15)는 마이크로컴퓨터(17)로부터 두 개의 제어선을 통해 음성다중 제어신호(CVS1)(CVS2)를 통해 주음성의 음성상태를 인식한 후 음성다중 인지신호(CVA1)(CVA2)를 통해 인식했음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로 알린다음 주음성 검파부(14)를 통해 전달받은 음성상태 그대로 복조하여 스위칭부(19)와 음성출력부(20)를 통해 주음성을 출력한다.
즉, 음성상태가 모노면 모노로, 스테리오면 스테레오로, 2개국어면 2개국어로 복조하여 스위치우(19)와 음성출력부(20)를 통해 주음성을 출력한다.
반면에 부화면과 부음성은 먼저, 튜너(21)에서 해당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튜닝하여 부화면용 중간주파처리부(22)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부화면용 중간주파처리부(22)에서는 복합영상신호에 대하여 영상중간주파신호와 음성중간주파신호로 처리하여 영상중간주파신호는 부화면용 영상처리부(23)로 출력하고, 음성중간주파신호는 부음성용 음성검파부(24)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부화면용 영상처리부(23)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행하여 얻은 영상을 부화면으로 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부음성용 음성검파부(24)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하여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전송되었는지 아니면 2개국어로 송신되었는지를 검파하여 부음성용 음성복조부(2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부음성용 음성복조부(25)는 마이크로컴퓨터(17)로부터 음성다중 제어신호(CVS1')(CVS2')를 통해 음성상태를 전달받아 인식후 음성다중 인지신호(CVA1')(CVA2')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로 알린 다음 상기 부음성용 음성검파부(24)로 전성받은 음성신호를 그대로 복조하여 녹화/재생부(16)로 출력시켜 녹음되도록 한다.
한편, 자기녹화 되어있는 테이프나 빌려온 테이프를 재생할 경우 녹화/재생부(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받는 하이파이 복조부(18)는 먼저 녹음된 음성신호가 하이파이 스테레오인지 모노인지를 판단하여 음성다중 인지신호(CVA1)(CVA2)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7)로 알린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는 제어선을 통해 인지한 그대로 재생하라는 음성다중 제어신로(CVS1)(CVS2)를 하이파이 복조부(18)로 출력하여 스위칭부(19)를 거쳐 음성출력부(20)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주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음성을 원하는 상태로 녹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동시녹화 기능을 갖춘 복합제품에서는 하이파이 복조부의 회로도를 갖추고 있어서 재생되는 테이프의 상태를 다시 마이크로컴퓨터에 알려주어 원하는 상태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복기능을 갖추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음성복조수단을 통해 복조 되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와 무관하게 방송상태를 그대로 녹음시킴으로 해서 마이크로컴퓨터의 포트 유용 및 제어신호선 삭제 등으로 인한 피씨비(PCB)의 활용도 상승 등을 유용하게 하는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부음성용 음성복조부에 대한 입출력단자 구성과 로직 테이블.
제4도는 제2도에서, 부음성용 음성복조부에 대한 또다른 입출력단자 구성과 로직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부/주화면용 튜너 12, 22 : 부/주화면용 중간주파처리부
13, 23 : 부/주화면용 영상처리부 14, 24 : 부/주음성용 음성검파수
15, 25 : 부/주음성용 음성복조부 16 : 녹화/재생부
17 : 마이크로컴퓨터 18 : 하이파이 복조부
19 : 스위칭부 20 : 음성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부음성용 음성복조부(25)가 마이크로컴퓨터(17)의 제어출력과 무관하게 방송상태를 그대로 녹음하도록 복조를 행하여 녹화/재생부(16)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2내지 도4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화면과 주음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관계로 생략하기로 하고, 부화면 또한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반면에 부음성은 부음성용 중간주파추리부(22)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 음성신호를 부음성용 음성검파부(24)에서 입력받아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음성신호가 스테레오인지 모노인지 아니면 2개국어로 방송되는지를 검파하여 부음성용 음성복조부(2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부음성용 음성복조부(25)는 입력된 음성신호가 스테레오 방송인지, 모노방송인지,2개국어 방송인지를 스스로 인지하고 그대로 복조하여 녹화/재생부(16)를 통해 녹음한다.
한편, 자기녹화 되어있는 테이프나 빌려온 테이프를 재생할 경우 상기 녹음/재생부(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하이파이 복조부(18)에서 입력받아 녹음된 음성신호가 하이파이 스테레오인지 모노인지를 인지하고, 이 인지한 음성상태를 음성다중 인지신호(CVA1)(CVA2)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17)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하이파이 복조부(18)는 마이크로컴퓨터(17)로부터 음성다중 제어신호(CVS1)(CVS2)를 전달받으면 인지한 음성상태 그대로 복조하여 스위칭부(19)와 음성출력부(20)를 통해 부음성을 출력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부신호 계열의 음성다중의 인지 및 제어는 별도의 마이크로컴퓨터(17)가 하지 않는 구도를 갖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에서와 같이, 인지단자③④의 출력은 엑티브 로우(low)로 동작되므로 스테레오가 방송중일때는 ③단자로 로우가 되고, 2개국어 방송일 경우에는 ④단자가 로우가 되며, 모노방송일 경우에는 ③④단자가 모두 하이가 된다.
이와 같은 3가지의 방송상태에서 먼저, 모노방송일 경우에는 제어단자①②의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모노 방송밖에는 들을 수 없다.
다음으로 스테레오 방송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①단자가 로우 또는 하이이고, ②단자가 하이의 경우에만 스테레오 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2개국어 방송을 하고있을 경우에는 ①단자와 ②단자를 공히 하이가 되어야만 2개국어 방송을 동시에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경우의 수를 묶어 본다면 제어단자①②의 입력을 모두 하이로 한다면 모노 방송일 경우에는 스테레오를, 2개국어 방송일 경우에는 2개국어 방송이 각각 출력가능한 시스템이 되므로 제어단자①②를 VCC전압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도4에서와 같이, 인지단자③④의 출력은 엑티브 로우(low)로 동작되며 스테레오 방송일 경우에는 ③단자가 로우가 되고 2개국어일 경우에는 ④단자가 로우가 되며, 모노방송일 경우에는 ③④단자가 모두 하이가 된다.
이에 제어단자①②를 살펴보면, 모노방송일 경우에는 제어단자①②의 어떤 조건하에서도 모노를 들을 수 있고, 스테레오 방송일 경우에는 ①단자(SCL)가 하이이고 ②단자(SDA)가 로우이면 스테레오를 들을 수 있고, 2개국어 방송일 경우에는 ①단자가 로우이고 ②단자가 하이이면 2개국어를 들을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와 2개국어의 상태를 조금 더 검토해 보면 제어단자①②와 인지단자③④가 서로 반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사실을 근거로 해서 트랜지스터(Q1)(Q2) 및 저항(R1)(R2)을 이용한 반전기를 구성하여 인지단자③④의 출력이 반전되어 제어단자①②에 입력되도록 구성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의하면 부음성용 음성복조부(15)를 도3에서와 같이 제어단자①②를 전원전압단(VCC)와 연결하고 인지단자는 오픈상태로 하고, 도4에서와 같이 인지단자③④의 출력을 트랜지스터(Q1)(Q2)의 저항(R1)(R2)을 이용한 반전기를 사용하여 반전된 신로를 제어단자①②에 입력하도록 구성하여 자기 스스로 방송상태를 인지하고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17)와 무관하게 방송상태 그대로 녹음시킴으로 해서 마이크로컴퓨터의 포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어선의 삭제로 인하여 피시피(PCB)의 활용도 상승 등을 유용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음성회로를 마이크로컴퓨터와 관계없이 자기 스스로 방송상태를 인지하고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4개의 제어선을 삭제하여 각종 효과에 유용하도록 한다.

Claims (3)

  1. 동시녹화기능을 갖춘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출력에 따라 음성 검파수단을 통해 검파된 음성상태 그대로 복조를 행하는 주음성용 음성복조수단과 :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와 무관하게 자기 스스로 방송상태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녹화/재생수단으로 녹음하도록 복조를 수행하는 부음성용 음성복조수단과 : 상기 녹화/재생수단에 녹음된 음성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출력에 따라 하이파이 스테레오인지 모노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복조를 수행하는 하이파이 복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부음성용 음성복조수단은 두 개의 제어단자를 전원전압단(VCC)으로 연결하고 스테레오와 2개국어 인지단자는 오픈상태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3. 제1항은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음성용 음성복조수단은 스테레오와 2개국어 인지단자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1)(Q2)와 저항(R1)(R2)을 각각 이용한 반전기를 사용하여 반전된 신호를 제어단자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KR1019960061494A 1996-12-04 1996-12-04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KR10021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494A KR100214625B1 (ko) 1996-12-04 1996-12-04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494A KR100214625B1 (ko) 1996-12-04 1996-12-04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79A KR19980043579A (ko) 1998-09-05
KR100214625B1 true KR100214625B1 (ko) 1999-08-02

Family

ID=1948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494A KR100214625B1 (ko) 1996-12-04 1996-12-04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6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79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7218A (ja) セレクタ
JPH0630354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126981A (en) Mixed simulcast circuit
KR100214625B1 (ko) 동시녹화 시스템의 음성다중 선택회로
KR970003436B1 (ko) 복합 음성다중회로
KR970004635B1 (ko) 씨디 내장 티브이씨알의 영상 및 음성 기록 방법 및 회로
KR200177493Y1 (ko) 예약 녹화 또는 기록시 음성다중, 스테레오 신호 우선 선택 스위칭장치
KR940004956Y1 (ko) Pip시스템의 오디오 동시 청취장치
KR0126783B1 (ko) 약신호시 음성다중모드 전환방법
KR0153989B1 (ko) 브이씨알의 이중기록재생장치
KR100343708B1 (ko) 티브이씨알의 음성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920007139Y1 (ko)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한 TV의 자동음성 선택회로
JP2508717B2 (ja) テレビ受像機
KR100263973B1 (ko) 오디오를 이용한 채널 확인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JPS6223178Y2 (ko)
JPS6223179Y2 (ko)
KR19990004326A (ko) 텔레비젼 비디오에서 주.부 음성의 선택 녹화 방법
KR100347359B1 (ko) 음성 처리 방법
KR0147656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씨디-플레이어를 내장한 더블/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라스트 메모리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5599A (ko) 텔레비전의 영상/자막 편집 시스템
KR19980077545A (ko) 2개국어 동시청취가 가능한 음성다중 텔레비젼
KR19980023723U (ko) 텔레비전의 음성방식에 따른 음성다중절환장치
KR19980082880A (ko) 모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성 다중 방송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060125353A (ko) 음성다중 수신 시스템에서의 자막 언어 절환 장치 및 그방법
KR19990034047A (ko) 텔레비젼에서 음성모드 자동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