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136B1 -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136B1
KR100214136B1 KR1019960081212A KR19960081212A KR100214136B1 KR 100214136 B1 KR100214136 B1 KR 100214136B1 KR 1019960081212 A KR1019960081212 A KR 1019960081212A KR 19960081212 A KR19960081212 A KR 19960081212A KR 100214136 B1 KR100214136 B1 KR 10021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message signal
ticap
receive
di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835A (ko
Inventor
최수정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3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 NO.7 구조에 있어서 GSM(global service for mobile)권고안에 제시된 맵 프로바이더 시스템(provider system)를 실제 구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약점을 개선한 GSM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리시브 AP(receive application part)에서 메시지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RSM(request state machine)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신호는 대기 상태로 있다가 리시브 AP에서 처리가 끝난 다음에 처리됨으로 속도가 늦는 결점이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리시브 티캡에서도 PSM에서 처리되어야 할 신호가 리시브 티캡에서 처리되는 동안 대기 상태로 있음으로 이중으로 속도가 늦추어지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신호(primitive)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하나의 블럭으로 만들어 받은 메시지 신호를 시차 없이 다음 블럭으로 전송하여 주며, 또한 티캡(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 TCAP)으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가 있는데, 이 둘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며, 또한 각 프로세스마다 버퍼 메모리를 두어 다이얼로그를 생성하는 경우 이를 버퍼에서 잠시 동안 저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에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실제 프로그램 수행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로세스간 속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가 자원을 할당한 채 대기 상태로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시스템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여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
본 발명은 SS NO.7구조에 있어서 맵(mobile aplication part : MA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맵의 계층 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GSM(global service for mobile)권고안에 제시된 맵 프로바이더 시스템(provider system)를 실제 구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약점을 개선한 GSM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과한 것이다.
도1은 교환기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110)는 기본 단위 시스템으로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기능, 가입자로부터의 신호 및 교환기간 신호처리 기능, 통화로 연결을 위한 연결기능을 담당하며,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120)는 ASS의 정합부와 전송로를 이용 접속되며, ASS와 CCS사이를 연결시켜 주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130)는 INS와 연결되며, 시스템 차원의 보전, 시험 및 측정, 과금, 통계, 타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결 기능, 운용자로부터의 각종 입력문 및 출력문 제어 기능 및 메스스토리지(mess storage)관리기능 등을 가지는 세 개의 커다란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S(110)는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타임 스위치, 각종 신호 장치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보전 기능 등을 수행함으로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진다.
한편 ASS(110)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원격 시스템인 RASM(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또는 리모트 시스템(Remote System)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기와 교환기 간 또는 교환기와 HSR(home location register)간 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때 SS NO.7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여기서 SS NO.7 구조(20) 중 맵 유저(520) 및 티캡(540)은 모드 ASS(110)내의 칩에 장착하여 일예로 TDX-10 기종에서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라는 프로세서에 장착된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프로세서들은 고유의 메모리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TDX-10 기종에서는 ASP가 가지고 있는 메모리에 맵과 티캡을 장착한다.
INS(120)는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ASS(110) 상호간 혹은 ASS(110)와 CCS(130) 사이를 연결하여 준다.
스위치 네트워크는 T-S-T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스페이스 스위치가 INS(120)에 위치하고 타임 스위치는 ASS에 구성된다.
그리고 INS(120)는 호처리 기능 중 번호 번역, 루트 제어 기능, 스페이스 스위치 연결과 같은 집중 기능 등을 수행하며,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배급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CCS(130)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운용 및 보전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으로, 시스템 차원의 보전, 시험 및 측정, 과금, 통계 기능뿐 아니라 카트리지 테이프, 마그테틱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등 메스 스토리지(Mass Storage) 제어 관리, 운용자로부터 각종 입력문 및 출력문 제어기능, 타 시스템과의 테이터 채널 연결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2는 SS NO.7 신호 방식의 레이어(Layer)를 도시한 구조도로서, AP(210)는 가장 상부에 존재하며 이동 통신 사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응용 서비스하도록 정합하는 계층 프로세스이다.
맵(220)은 티캡(230)과 AP(210)사이에 존재하며, 이동 통신에 적용되는 문답 처리 기능의 사용자들에게 적용하는 프로세스이다.
티캡(540) 문답 처리 기능은 통신 회선의 제어에는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교환기와 특수 센터, 예로 데이터 베이스, OA&M 센터, HLR(home location register)등에 분산된 이동 통신 기능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한편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240)는 MTP(message transfer part)(250)의 상위에 위치하며, 통상의 회선 대응 제어 신호 이외의 각종 신호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S NO.7 신호 방식의 기능으로서, 부가 서비스를 규정 교환기와 특수 센터 사이의 정보 전달과 회선, 비회선 관련 신호 정보의 전달을 위해 비연결형 및 연결형 망 방식을 제공한다.
SCCP(240)의 목적은 CCS(130)망에서의 논리적인 신호 연결 그리고 논리적 신호 연결의 사용에 관계없이 신호 데이터 유니트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MTP(250)는 신호 메시지를 상대 신호국에 보내는 기능을 담당하며, 신호 데이터 링크부(레벨 1), 신호 데이터 링크 기능부(레벨 2), 신호망 기능부(레벨 3)로 나누어진다.
도3을 참고로 하여 종래 발명에 따른 맵 프로바이더(provider)(320)를 설명한다.
근거리의 맵 사용자의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상위의 맵 사용자 블럭과 티캡(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 TCAP)(330) 블록간의 메시지 송, 수신을 담당하며, 맵 메시지 신호를 처리한다.
단 맵 특정 메시지 신호(MAP specific primitive)의 경우 RSM(request state machine)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처리한다.
한편 근거리의 로컬(local)맵 사용자의 경우, 다이얼로그를 설정할 때 맵-디에스엠(MAP-dialog stste machine : MAP-DSM)프로세스가 형성되며, 상위의 맵 유저(310)와 티캡(330)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며, 맵 메시지를 처리한다.
단, 티캡 컴포넌트 메시지 신호(TCAP component primitive) 경우, PSM(performing state machine)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처리한다.
한편, 다이얼로그당 1개의 맵-DSM 프로세스와 최초 요구를 생성한 방향에 따라 PSM 또는 RSM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됨으로 다이얼로그 당 2개의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세스 간 처리 속도가 다르므로 각각의 프로세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신호를 티캡(330)으로 전송할 때 그 순서를 예측할 수 가 없다.
또한 종전에는 다이얼로그 수가 증가되는 경우 이에 따라서 맵-DSM프로세스와 RSM프로세서가 생성됨으로 다이얼로그의 두 배의 프로세스가 생성되었다.
즉, n 개의 다이얼로그를 처리하기 위해서 맵-DSM과 RSM프로세스를 가져야 함으로 2n개에 해당하는 수의 프로세스가 생성 되어 많은 메모리를 썼다.
그리고 리시브 AP(receive application part)에서 메시지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RSM(request state machine)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신호는 대기 상태로 있다가 리시브AP에서 처리가 끝난 다음에 처리됨으로 속도가 늦는 결점이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리시브 티캡에서도 PSM에서 처리되어야 할 신호가 리시브 티캡에서 처리되는 동안 대기 상태로 있음으로 이중으로 속도가 늦추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맵-DSM이라는 프로세스는 티캡(330)으로부터 수신되는 컴포넌트 메시지 신호와 다이얼로그 메시지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구조이며, 이는 다이얼로그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다음 다이얼로그 메시지 신호 정보에 실려있는 컴포넌트 메시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읽어본 다음 수신됨을 나타내면 컴포넌트 신호를 대기하고 수신되지 않았으면 다음 처리를 계속한다.
즉 일예를 들면, 티캡(330)로부터 10번의 번호를 가진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component handling primitive)가 도착한 후 11번의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가 도착하였다면 둘다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가 10번의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 component handling primitive)가 도착한 후에야 10번의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와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가 처리된다.
이는 메시지 신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함으로 해서 메시지 신호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티캡(330) 입장에서는 맵 유저(310)로부터 수신하여야 할 메시지 신호의 순서가 고정적이며 선택적이지 못함으로 맵 유저의 DSM, PSM RSM 상호 간의 시퀸스 제어가 필요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RSM 및 PSM프로세스에 각각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두어 RSM과 PSM, 프로세스에서 처리되는 각각 두 개의 데이터가 처리되면 동시에 이를 전송함으로 티캡 및 맵 유저에서의 메모리 적체를 막고 빠른 데이터 처리를 하는 GSM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캡으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수신되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두 개로 나누어 이 둘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 신호에 관계없이 메시지 신호를 빠르게 먼저 받은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은 이동 통신 사용자읜 맵 유저(510)와, 티캡(540)으로 이루어지는 계층의 사이에서 메시지 신호의 전달을 맡은 맵 프로바이더(mobile application part provider : MAP provider)에 있어서, 리시브AP(receive application part)(520)는 상기 맵 유저(510)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맵 공통 메시지 신호(MAP common primitive)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로 변환하고, 맵 특정 메시지 신호는 RSM(530)으로 넘겨주는 제1단계 : 상기RSM(530)은 특정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티캡(540)으로 넘겨주는 제2단계 :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맵 유저(510)로 전송하는 제 3단계 :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는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맵 특정 메시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PSM(570)으로 넘겨주는 제4단계 : 상기 PSM(570)은 티캡 컴포넌트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변환시켜 맵 유저(510)로 전송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 GSM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따른 이동 호 처리 관련 HLR 시뮬레이터 교환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GSM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따른 이동 호 처리 관련 HLR 시뮬레이터 교환기의 SS NO.7 신호 레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호 처리 관련 HLR 시뮬에이터 교환기의 SS NO.7신호 방식 레이어 중 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 GSM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따른 SS NO.7 신호 방식 레이어 중 맵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 GSM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환기 110 : ASS
120 : INS 130 : CCS
20 : SS NO.7 210 : AP
220 : 맵 230 : 티 캡
240 : SCCP 250 : MTP
510 : 맵 유저 520 : 리시브 AP
530 : RSM 540 : 티캡
550 :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 560 : 리시브 티캡 콤포넌트
570 : PSM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교환기 시스템 및 SS NO.7방식 레이어의 구조도는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도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공급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로서, 리시브 AP(520)는 맵 유저(510)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다.
리시브AP(520)는 맵 공통 메시지 신호를 티켑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로 인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맵 특정 메시지 신호를 받아서 RSM(530)으로 넘겨준다,
RSM(530)은 리시브AP(520)로부터 맵 특정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기능을 하며, 시스템당 하나의 RSM(530)이 존재하고, 인코딩 결과를 티캡(540)으로 넘겨준다.
그리고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는 시스템당 하나 존재하고, 티캡(540)으로부터 수신된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맵 공통 메시지 신호로 디코딩하여 맵 유저(5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를 받은 맵 유저는 디코딩 되어진 맵 공통 메시지 신호를 받아 PSM(570)에서 맵 특징 메시지 신호가 맵 유저(510)에 도착 여부에 관계없이 받은 맵 공통 메시지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는 티캡(540)으로부터 수신된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를 신호를 PSM(570)으로 넘겨준다.
그리고, PSM(570)은 시스템당 하나 존재하며,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로부터 받은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맵 특정 메시지 신호로 디코딩하여 맵 유저(510)로 전송한다.
도5의 플로우 차트를 참고로하여 상기의 과정을 설명한다.
리시브AP(520)는 리시브 맵 사용자(510)로부터 받은 맵 공통 메시지 신호를 인코딩하여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인코딩된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와 맵 특정 메시지 신호를 RSM(530)으로 전송한다.(단계610)
RSM(530)은 리시브AP(510)로부터 수신된 맵 특정 메시지 신호를 인코딩하여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리시브 AP에서 인코딩된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 및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를 티캡(540)으로 동시에 넘겨준다 단계(620).
티캡(540)은 리시브AP(520)로부터는 인코딩된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를 신호를 수신하며, RSM(530))으로부터는 인코딩된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받아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와 리시브 티캡 콤포넌트(560)로 각기 전송한다.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0에서는 티캡(540)으로부터 인코딩 되어진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디코딩하며, 이 신호는 맵 유저(510)에서 전송한 맵 공통 메시지 신호로 디코딩 되어 바로 맵 유저(510)로 전송한다 (단계630).
또한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는 티캡(540)으로부터 인코딩 되어진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받아 디코딩하기 위해 PSM(570)으로 전송한다(단계640).
PSM(570)은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으로부터 인코딩 되어진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받아 디코딩하여 맨 처음의 맵 특정 메시지 신호로 전환시켜 맵 유저(510)로 전송한다.(단계650)
한편, 위에서와 같이 생성되는 프로세스의 수는 리시브 AP(520), RSM(530),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 피에스 엠(570)등 다섯 개의 프로세서가 형성된다.
그럼으로서, 티캡에서 메시지 신호를 받은 경우 순차적으로 받지 않고 동시에 받음으로 바로 다른 프로세스로 전송하면 됨으로 메모리의 부하가 적게 걸린다.
그리고, 디코딩 과정에서 맵 유저(510)로 디코딩된 신호를 보내는 경우 코딩시와는 달리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와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을 두어 먼저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도록 함으로 보다 메인 프로세서에서 보다 빠르게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되는 다이얼로그 수가 증가하여도 생성되는 프로세스이 개수는 변하지 않고 일정함으로 사용되는 메모리의 양이 거의 일정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많은 메모리의 사용으로 과부하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를 사전에 차단하여 신뢰도를 높이며, 실제 프로그램 수행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로세스간 속도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가 자원을 할당할 때, 대기 상태로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메모리에 하중을 적게 준다.

Claims (6)

  1. 이동 통신 사용자인 맵 유저(510)와, 티캡(540)으로 이루어지는 두 계층의 사이에서 메시지 신호의 전달을 맡은 맵 프로바이더(mobile application part provider : MAP provider)있어서, 상기 두 계층 사이에 기 설정된 리시브 AP(receive application part)(520)는 상기 맵 유저(510)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맵 공통 메시지 신호(MAP common primitive)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receive 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dialog handling primitives : receive TCAP DHA primitives)로 변환하고 맵 특정 메시지 신호 (MAP specific primitives)는 상기 두 계층 사이에 기 설정된 RSM(530)으로 넘겨주는 제 1 단계; 상기 RSM(request state machine : RSM)(530)은 맵 특정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티캡(540)으로 넘겨주는 제 2 단계; 상기 두 계층 사이에 기 설정된 리시브 티캡으로 다이얼로그(550)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맵 유저(51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두 계층 사이에 기 설정된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560)는 티캡 컴포넌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맵 특정 메시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두 계층 사이에 기 설정된 PSM(performing state machine)(570)으로 넘겨주는 제 4 단계; 상기 PSM(570)은 티캡 컴포넌트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변환시켜 상기 맵 유저(510)로 전송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맵 공통 메시지 신호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맵 유저(510)와 상기 리시브 AP(520)간에서 상기 맵 유저 (510)가 상기 리시브 AP(520)로 전송하는 맵 공통 메시지 신호는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리시브 티캡 다이얼로그(550)는 상기 티캡(540)으로부터 수신된 티캡 다이얼로그 처리 메시지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PSM(570)이 상기 리시브 티캡 컴포넌트 (56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개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의 수는 일정하며, 바람직하게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개선 방법.
KR1019960081212A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KR10021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12A KR100214136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12A KR100214136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35A KR19980061835A (ko) 1998-10-07
KR100214136B1 true KR100214136B1 (ko) 1999-08-02

Family

ID=1949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212A KR100214136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75B1 (ko) * 2000-12-30 2003-04-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 프로토콜 구조에서 티시에이피 계층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35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0776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6463056B1 (en) Arrangement for providing network protocol data independence in an expandab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43407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214136B1 (ko)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KR100214135B1 (ko) 에스에스 넘버 세븐 프로토콜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
US4331834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4331835A (en) Interface unit for a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CN1870764B (zh) 信令点进行负荷分担的方法及系统
KR1999006146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100281974B1 (ko) 교환기의프레임핸들링장치및방법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KR10022273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와 홈 위치 등록기 간의 호처리 시험 방법
KR0176390B1 (ko) 원격교환장치와 호스트 교환기간의 데이터 전송속도 가변처리방법
KR100268234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넘버7 신호처리 방법
KR100324423B1 (ko) 이동통신 교환기 및 운용/유지보수 인터페이스 장치간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KR19990012478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처리용 통합 단말 장치 및 방법
JPS6329464B2 (ko)
KR950011475B1 (ko) 서비스 교환기의 넘버.7(No.7) 신호방식 계층7 프로토콜 사용자부인 응용서비스요소의 초기화 방법
KR20000066515A (ko) 망관리 시스템간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206307B1 (ko) 전자교환기에서 효율적인 x.25프로토콜 구현방법
KR100289645B1 (ko) 넘버.7의 계층3과 계층2 통신처리부의 메모리간 데이터 이동장치
KR10026625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ss no.7 신호 전송 시스템
KR0149592B1 (ko) 교환기에 있어서 문답처리에 따른 트랜잭션 번호부여 및 관리방법
KR910002630B1 (ko)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KR100197418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