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829B1 -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829B1
KR100213829B1 KR1019960042618A KR19960042618A KR100213829B1 KR 100213829 B1 KR100213829 B1 KR 100213829B1 KR 1019960042618 A KR1019960042618 A KR 1019960042618A KR 19960042618 A KR19960042618 A KR 19960042618A KR 100213829 B1 KR100213829 B1 KR 10021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arly
feed composition
feed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78A (ko
Inventor
정완태
정일병
탁태영
조영무
문홍길
김영화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6004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8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 모돈의 투약, 또는 모돈의 폐사 등으로 인하여 조기이유(早期離乳)시킨 새끼 돼지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조성물은 기재 성분,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조 단백질 함량이 8.2 중량이상, 특히 8.210.0중량로, 조 지방 함량이 3.5중량이하, 특히 0.53.5중량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조기 이유 새끼 돼지에 투여하는경우 발육위축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이유돈보다도 발육 성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조기이유(早期離乳)한 새끼 돼지용의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새끼돼지를 분만한 어미돼지가 분만후 곧 폐사하거나, 질병 및 사양관리 부실로 무유증을 나타내 포유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새끼돼지를 사육하는 방법으로는, 분만시기가 비슷한 다른 어미돼지에게 양자를 보내 위탁포유를 시키거나, 위탁포유가 불가능할 때에는 어린아이용 분유를 이러한 새깨돼지들에게 급여하여 살려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위탁포유는 위탁포유한 어미돼지가 자기 새끼돼지와 다른 어미돼지에게서 태어난 새끼돼지를 구별하여 다른 어미돼지에게서 태어난 새끼돼지를 거부하거나 죽여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어린아이용 분유는 어린아이의 생리에는 적합하지만 새끼돼지의 생리에는 적합하지 않아 설사를 일으키거나 발육위축을 나타내는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위와 함께 Alexander 등(1980)은 어미돼지로부터 새끼돼지에게로 전염성 질병이 수직으로 전파되는 것을 조기 이유에 의해 차단할 수 있음을 밝혀낸 바 있다(표 1). 이러한 연구결과에 준하여 최근 미국 등 양돈선진국의 일부 양돈 농가에서는 어미돼지로부터 새끼돼지에게로 전염성 질병이 수직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약후 조기이유(MMEW : 분만전 모돈에게 고단위 항생제를 투여하고 분만후 생후 57일령에 이유시켜 조기 이유사로 이동한 후 항생제를 투여하여 위생적으로 사육하는 방법) 및 격리조기이유 방법(SEW : 1014일령에서 자돈을 이유시켜 번식농장으로부터 1.6km이상 떨어진 곳으로 어미돼지와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 사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질병이 없는 돼지생산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이러한 7일령이내에 조기이유한 새끼돼지들에게 급여하여도 새끼돼지들의 면역체계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사료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우리나라 양돈농가에서도 오제스키, PRRS(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 돼지 생식기, 호흡 증후군) 등 전염성 질병이 도입되어 돼지사육에 어려움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나라 양돈농가에서도 미국식의 MMEW 나 SEW 사육방식의 도입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조기이유돼지에 적합한 사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현재 조기이유 새끼돼지에게 어린아이용 분유를 급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기이유된 새끼 돼지에게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고, 발육에 최적하게 처방된 새로운 사료 조성물의 제공이 요망되어 왔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갖지 않고, 조기 이유시킨 새끼돼지의 발육을 최적화할 수 있으면서 사료효율의 측면에서도 우수한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성분,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기이유(早期離乳)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로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조 단백질 함량이 8.2중량이상, 그리고 조 지방 함량이 3.5중량이하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이유(早期離乳)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그외 다른 목적, 장점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은 조 단백질 함량이 8.2중량이상, 특히 8.2010.00중량, 그리고 조 지방 함량이 3.5중량이하, 특히 0.53.5중량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기이유 새끼돼지 사료 조성물의 영양소 요구량은 새끼돼지의 소화생리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즉, 조기이유 새끼돼지의 경우 소화효소의 분비량이 불충분할 뿐더러 이유후 스트레스로 인하여 소화효소 활성이 더욱 저하되기 때문에 소화 능력과 돈유의 성분(Bowland(1966)의 단백질 5, 지방 8.8, 유장 6.4, 1.3Mcal 총 에너지/kg 및 라이신 함량 0.35)을 같이 고려하여 최적사료를 제조하였다.
특히 돈유는 지방 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아 단백질-에너지 비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새끼돼지의 근육 축적을 제한하고 동시에 체지방 축적을 많게 하기 때문에, 새끼돼지의 최대 근육축적은 돈유의 성분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Auldist Kink, 1995).
본 발명에서는 새끼돼지의 체단백질 축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돈유에 포함된 함량에 비하여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한편, 새끼돼지의 위내 pH는 이유후 4.9정도인데, 우유 단백질 소화의 최적 pH가 3.53.6, 식물성 단백질 소화의 최적 pH가 약 2.5인 점을 감안하면, 새끼돼지의 단백질 소화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단백질 사료보다는 이상적 단백질(Ideal protein)의 개념을 도입하여 사료 조성물 중의 아미노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조단백질 함량은 최소로, 즉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8.2중량이상으로, 특히 8.2010.00중량의 범위내로 조정하였다.
한편, 돈유(豚乳)의 지방함량은 3.5-10.5중량인데, 우유의 지방함량은 약 4정도이므로 우유를 기재(주성분)로 하여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를 제조하는 경우, 돈유의 지방성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만들기 위하여 유지(油脂)를 첨가하여야 한다고 하는 보고도 있었다. 그러나, Crampton과 Ness(1954)에 따르면 생후 10일된 새끼돼지 육성을 위하여 유류(油類) 또는 지방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자연 포유한 새끼돼지에 비하여 발육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또한 이유 후 몇주간은 새끼돼지가 지방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사료 조성물 중의 지방의 함량을 돈유성분중의 지방함량의 최저수준, 즉 3.5중량이하로 조정하였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그 외 다른 성분은 돈유의 성분 및 함량과 비슷하게 선택되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이 상기한 범위내의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을 갖는 한, 기재 성분, 단백질원, 지방원, 탄수화물원 등은 그 종류와 함량에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유 및 전지 분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기재 성분 6085중량, 카제인, 탈지분유, 순간건조 전혈분 및 순간건조 혈장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백질원 15.0030중량, 유당 및 건조 유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수화물원 2.010.00중량, 및 필수량의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들로 이루어진 사료 조성물은 분말의 형태를 갖지만, 적량의 물과 배합하여 액상의 형태로 새끼돼지에게 투여된다. 새끼돼지에게 투여되는 액상 사료 조성물의 양과 투여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므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성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을 각종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 실시예에서,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사료 A는 전지분유 67.0472.99, 카제인 7.569.07, 탈지분유 9.7511.41, 유당 3.85.06, 어분 0.480.61,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첨가제(Spectralyte(삼화동물약품) 또는 Micro Ferm(삼화동물약품)) 4.115.55의 배합율로 제조하였으며, 사료 B는 전지분유 65.7572.06, 탈지분유 9.0010.68, 유당 1.002.08, 건조 유청 3.004.23, SDBM(Spray-dried blood meal; 순간건조 전혈분) 1.752.88, SDPP(Spray-dried plasma protein; 순간건조 혈장단백질분말) 7.509.06,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첨가제 4.115.55의 배합율로 제조하였으며, 사료 C는 우유 8082.97, 전지분유 4.526.52, 건조 유청 3.004.23, SDPP 6.508.50,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첨가제 4.115.55의 배합율로 제조하였다.
각 사료는 조기 이유후 1주간 혈장 단백질을 급여하는 경우 성장능력이 우수해지는 것을 감안하여(Hansen 등, 1993, Shon 등, 1993, Gatnau와 Zimmerman, 1991), 사료 A는 전지분유를 기재 성분으로, 그리고 단백질원으로는 카제인을 사용하였다. 사료 B는 전지분유를 기재 성분으로, 그리고 단백질원으로는 SDPP 및 SDBM을 사용하였다. 사료 C는 우유를 기재 성분으로, 그리고 단백질원으로는 SDPP를 사용하였다.
이상 상기한 종류 및 양의 원료를 배합하여 제조한 각 사료별 조기이유 새끼돼지에 급여효과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실시결과는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은 각 사료에 대해 7일령에 이유한 새끼돼지 24두씩을 공시하여 행하였다. 사육 결과, 21일령까지 체중의 경우 B사료가 5.15kg이고, 일당 증체량의 경우는 14일령까지는 185.7g, 21령까지는 165.7g으로 대조사료보다 높았다.
[실시예 2]
사료 D는 전지분유 70.074.2, 카제인 5.06.21, 탈지분유 8.09.33, 건조유청 3.04.12, SDPP 5.06.21,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첨가제 4.115.55의 배합율로 제조하였으며, 사료 E는 전지분유 65.072.00, 카제인 2.503.69, 탈지분유 9.010.68, 건조유청 3.04.33, 유당 1.02.28, SDPP 7.59.06, 비타민-미네랄 혼합물 첨가제 4.115.55의 배합율로 제조하였다. 사료 D와 E에 있어서는, D사료는 전지분유를 기재로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원으로 건조유청을, 그리고 단백질원으로 SDPP를 사용하였다. E사료는 전지분유를 기재로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원으로 건조 유청과 유당을, 그리고 단백질원으로 SDPP를 D사료보다 많은 양으로 배합하였다. 이상 상기한 종류 및 양의 원료를 배합하여 사료 D와 E를 제조하고, 이를 조기이유시킨 새끼돼지에게 급여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것처럼 7일령에 이유한 새끼돼지를 각 사료별로 24두씩 공시하여 사육한 결과 21일령까지 체중의 경우 E사료가 5.37kg이고, 일당 중체량의 경우는 14일령까지는 201.4g, 21일령까지는 198.5g으로, 표 2에 나타낸 대조사료보다 높았으며 사료 요구율 역시 좋았다.
[실시예 3]
사료 E와 시판되는 어린 돼지용 대조구 사료(스트라이크사의 양돈용 대용유)(전지분유, 유장분말, 지방분말, 대두분말으로 제조되며, 화학조성은 조단백질 20.0이상, 조지방 5.0, 조섬유 5.0, 조회분 10.0이하, 칼슘 0.8, 인 0.6, 비타민 A 25,000IU/kg와 첨가제로 비타민복합체 0.6함유)의 급여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 각 시료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급여하고, 그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7일령에 이유한 새끼돼지 24두씩을 각 사료별로 공시하여 대조구와 발육성적을 비교한 결과, 21일령까지 체중의 경우 사료 E가 6.25kg이고, 일당 중체량의 경우는 14일까지는 240g, 21일까지는 237g으로 시판 사료보다 45.8및 68.5향상되었으며 사료요구율 역시 좋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생후 5일령부터 이유시킨 새끼돼지에게 급여하면, 정상적으로 수유된 새끼돼지의 경우에 비해 발육이 오히려 우수하고 사료 요구율의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기재 성분,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기이유(早期離乳)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로써, 상기 사료 조성물은 조 단백질 함량이 8.210.0중량로, 조 지방 함량이 0.53.5중량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우유 및 전지 분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기재 성분 6085중량, 카제인, 탈지분유, 순간건조 전혈분 및 순간건조 혈장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백질원 15.0030중량, 유당 및 건조 유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수화물원 2.010.00중량, 및 필수량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기이유 새끼돼지는 생후 5일령 이후에 이유된 새끼돼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과 배합하여 액상의 형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KR1019960042618A 1996-09-25 1996-09-25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KR10021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18A KR100213829B1 (ko) 1996-09-25 1996-09-25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18A KR100213829B1 (ko) 1996-09-25 1996-09-25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78A KR19980023178A (ko) 1998-07-06
KR100213829B1 true KR100213829B1 (ko) 1999-10-01

Family

ID=1947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18A KR100213829B1 (ko) 1996-09-25 1996-09-25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7289A (zh) * 2015-03-17 2015-07-08 安徽金牧饲料有限公司 保育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88614B1 (ko) 2015-11-18 2017-10-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청 급여 돈육을 사용한 돈육 가공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47B1 (ko) * 2016-12-08 2018-07-16 메디키네틱스 주식회사 Spf 돼지의 인공포유방법
CN110063420A (zh) * 2019-05-28 2019-07-30 安徽天邦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乳猪液态营养奶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7289A (zh) * 2015-03-17 2015-07-08 安徽金牧饲料有限公司 保育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88614B1 (ko) 2015-11-18 2017-10-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청 급여 돈육을 사용한 돈육 가공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78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gbloed et al. Phosphorus availability and requirements in pigs
US20180360071A1 (en) Gel based livestock fee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KR101764604B1 (ko) 가축 사료용 첨가물 및 가축용 사료 조성물
EP0600439B1 (en) Method for breeding infant livestock and feed composition
KR100219771B1 (ko) 돼지용 사료 및 이를 사용하는 돼지 사육법
TWI448248B (zh) 25-羥基維他命d3於改善動物生命力之用途
KR20160143887A (ko) 수컷 동물의 번식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의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₃의 용도
CN108541817A (zh) 一种母猪复合预混料
KR100372341B1 (ko) 임신기 및 수유기의 돼지를 위한 카르니틴 보충 식이조성물
US8992914B2 (en) Water-soluble globulin concentrate for improving growth in animals
DeGeeter et al.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ilts fed diets low in protein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KR100213829B1 (ko) 조기이유 새끼돼지용 사료 조성물
KR20010074799A (ko) 수유 젖소의 우유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0169500A (zh) 一种奶牛复合预混料添加剂、预混料、配合料及制备方法
Hardy et al. Micronutrients and reproduction
JP2723962B2 (ja) 子畜用人工乳組成物
JPS63238020A (ja) 対飼育動物投与用バチルス・ポリミキサ含有剤
EP0271607B1 (en) 2-pyridin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s anabolic agents
CN111418725B (zh) 槲皮素作为促进哺乳仔猪生长的母猪饲料添加剂的应用
JP2733022B2 (ja) 子牛の代用乳及び人工乳の給与方法
CA1296636C (en) 2-pyridinol compounds useful as anabolic agents
EP3794952A1 (en)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trains for increasing vitamine e absorption
Forouzanmehr et al. Performance of Holstein calves, heifers and first-lactating cows fed starter diets with different protein levels and types of soybean meal.
EP0080854A1 (en) Method of improving growth of poultry
JPH04383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