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554B1 -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554B1
KR100212554B1 KR1019960072677A KR19960072677A KR100212554B1 KR 100212554 B1 KR100212554 B1 KR 100212554B1 KR 1019960072677 A KR1019960072677 A KR 1019960072677A KR 19960072677 A KR19960072677 A KR 19960072677A KR 100212554 B1 KR100212554 B1 KR 10021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candidate
block
bit string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571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5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에 대한 비트오류복원시,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블록과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의 움직임벡터를 후보비트열로 생성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벡터 비트오류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현재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비트오류가 검출되면,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위치와 연관성이 높은 위치에 있는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후보비트열들로 생성하는 후보비트열 생성부; 후보비트열 생성부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개수의 후보비트열들을 각각 가변길이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후보 비트열을 움직임벡터로하여 프레임메모리로부터 해당되는 블록단위의 픽셀데이타를 읽어 소정 개수의 후보블럭들로 생성하기 위한 후보블럭 생성부;각각의 후보블럭에서 움직임보상 예측에러정보를 가산하여 인접한 상측 블록과 좌측 블록간의 경계영역에 위치한 픽셀데이타간의 차가 가장 작은 블록을 최적의 후보블럭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블럭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된 움직임벡터로 생성하기 위한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본 발명은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Motion Vector)의 비트오류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데이타당 1비트의 패리티(Parity)비트가 부가되어 전송되는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복원하는 영상복호화시스템에서 인접한 블록의 움직임벡터들과 이전 프레임에서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복호화시스템은 영상부호화시스템에서 8*8픽셀 또는 16*16픽셀과 같은 소정 블록단위(또는 구획단위라고도 함)로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비트스트림(Bitstream) 데이터를 부호화시와 동일한 블록단위로 복호화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영상부호화시스템과 영상복호화시스템간의 비트스트림 데이터 전송시 전송되는 영상신호가 동영상인 경우에, 영상부호화시스템에서는 이전 프레임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인가되는 소정 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보상에 의하여 추출된 움직임벡터를 해당 블록의 가변길이 부호화된 픽셀데이타와 다중화(Multiplexing)시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Error)를 검출하기 위하여 1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당 1비트의 패리티(Parity)비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영상부호화시스템과 움직임벡터단위로 패리티비트가 부가되어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데이타를 가산한 값이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영상복호화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특히, 제안된 영상복호화시스템은 상술한 방식에 의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패리티비트를 제외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데이타에 대하여 해밍거리(Hamming Distance)가 1인 소정 개수의 후보 비트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후보 비트열을 이용하여 복호화된 이전 프레임영상에서 후보블럭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블럭들과 인접블럭간의 공간영역(Spatial Domain)에서의 경계면의 완만한 정도를 검출하여 가장 경계면이 완만한 후보블럭의 움직임벡터를 복원된 움직임벡터로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움직임벡터에 대한 비트오류 복원방식은 현재 인가된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해밍거리가 1인 비트열들을 후보비트열로 생성하여 상술한 후보블럭들을 생성하는데 이용함으로써, 생성되는 후보블럭들중 현재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와 연관성이 없는 블록들이 생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에 대한 비트오류복원시,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블록과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의 움직임벡터를 후보비트열로 생성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벡터 비트오류 복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는, 패리티비트를 포함한 비트스트림 구조로 전송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움직임벡터와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인가된 소정 블럭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보상처리를하여 복원된 소정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를 구비한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비트오류가 검출되면,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위치와 연관성이 높은 위치에 있는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후보비트열들로 생성하는 후보비트열 생성부; 후보비트열 생성부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개수의 후보비트열들을 각각 가변길이 복호화하기 위한 가변길이 복호화부;가변길이 복호화부에서 각각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소정 개수의 후보비트열을 움직임벡터로하여 프레임메모리로부터 해당되는 블록단위의 픽셀데이타를 읽어 후보비트열에 대응되는 후보블럭들로 생성하기 위한 후보블럭 생성부;후보블럭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 개수의 후보블럭들에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움직임보상 예측에러정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소정 블록의 위치에 인접한 상측 블록(TOP 블록)의 픽셀데이타와 좌측 블록의 픽셀데이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블록단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및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보상 예측에러정보가 가산된 각각의 후보블럭블럭들과 메모리로부터 제공되는 인접한 상측 블록과 좌측 블록간의 경계영역에 위치한 픽셀데이타간의 차가 가장 작은 블록을 최적의 후보블럭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블럭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된 움직임벡터로 생성하기 위한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를 구비한 영상복호화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보비트열 생성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후보비트열 생성시 대상이 되는 매크로 블록에 대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트오류 검출부 110 : 스위치
120,150 : 가변길이 복호화부 130 : 움직임 보상부
131 : 프레임메모리 140 : 후보비트열 생성부
160 : 후보블럭 생성부 170 : 가산부
180 : 메모리 190 :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
200 : 움직임벡터 추출부 210~250 : 제 1 내지 제 4 후보 비트열 생성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를 구비한 영상복호화시스템의 블록도로서, 하나의 움직임벡터당 하나의 패리티 비트를 부가한 비트스트림데이타가 인가되면 현재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상에 비트오류가 발생되었는 지를 검출하기 위한 비트오류 검출부(100), 움직임벡터를 가변길이 복호화하기 위한 가변길이 복호화부(Variable Length Decoder, 이하 VLD라고 약함)(120), VLD(120)로부터 전송되는 가변길이 복호화된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처리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130), 현재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블록(또는 구획이라고도 함)과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의 움직임벡터들을 후보 비트열들을 생성하기 위한 후보비트열 생성부(140), 현재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발생여부에 따라 상술한 가변길이 부호화부(120)와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로의 움직임벡터 전송처리를 하기 위한 스위치(110),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로부터 출력되는 12개의 후보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가변길이 복호화처리를 하는 가변길이 복호화부(150), 가변길이 복호화된 각 후보비트열을 움직임벡터로 이용하여 프레임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영상으로부터 해당 블록의 픽셀데이타를 추출하여 후보블럭들로 생성하기 위한 후보블럭 생성부(160), 후보블럭 생성부(160)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후보블록들 각각에 MCPE(Motion Compansation Prediction Error) 정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170), 가산부(17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MCPE정보가 가산된 후보블럭들에 대하여 인접한 블록들과 공간영역에서의 경계값이 가장 완만한 블록을 최적의 후보블럭으로 검출하여 복원된 움직임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190), 복원된 움직임벡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접 블록들의 역이산여현변환(IDCT)된 픽셀데이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우선, 영상부호화시스템으로부터 비트스트림 데이터가 전송되면, 잘알려진 바와 같이 디멀티플렉싱(DeMUX)처리에 의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과 블록단위의 영상신호의 비트스트림이 분리되어 전송된다. 이 때 분리되어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이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움직임벡터당 하나의 패리티비트를 부가한 구조로 전송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리티비트를 할당한 구조로 이루어진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가 인가되면, 비트오류 검출부(100)와 스위치(110)로 각각 전송된다.
비트오류 검출부(100)는 인가된 패리티비트를 포함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비트를 가산한 결과값이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비트오류가 발생되었는 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미도시된 영상부호화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데이타가 짝수값을 가지도록 패리티비트를 부가한 경우에, 비트오류 검출부(100)는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비트를 가산한 값이 짝수이면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홀수이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 정상인 경우에 비트오류 검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위치(110)는 a1접점으로 스위칭되어 현재 기준접점을 통해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을 VLD(120)로 전송한다. VLD(120)는 패리티비트를 제외한 움직임벡터만을 가변길이 복호화하여 움직임보상부(130)로 전송한다.
움직임보상부(130)는 잘알려진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영상신호를 저장한 프레임메모리(131)를 구비하고,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와 프레임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프레임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인가되는 소정 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보상처리를하고, 복원된 소정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스위치(110)는 비트오류 검출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하여 b1접점으로 스위칭된다. 이에 따라 현재 인가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는 스위치(110)를 통해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로 전송된다.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 추출부(200), 제 1 내지 제 5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250)로 구성되어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블록과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의 움직임벡터를 후보 비트열로 생성한다.
즉, 스위치(100)로부터 패리티비트가 포함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MV(Motion Vector)+ Parity Bit)이 인가되면,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로 전송된다.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는 인가된 패리티비트가 포함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에서 패리티비트를 제외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만을 추출하여 출력시킨다. 출력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은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 및 제 4 및 제 5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로 전송된다.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는 인가되는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위치의 매크로 블록(Macro Block)일 때, 도 3에 도시된 순서대로 해당 매크로블럭을 중심으로 한 주변의 8개 매크로 블록(1~8)의 움직임벡터들(MV1~MV8)의 비트열을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2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는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로부터 출력되는 8개의 후보 비트열의 평균을 하기 수식 1과 같이 구하고, 구해진 8개 움직임벡터의 평균값(MVmean)의 비트열을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수식 1]
제 3 후보 비트열 생성기(230)는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로부터 출력되는 8개의 후보비트열중 중간값(Median)을 추출하여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4 후보 비트열 생성기(240)는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움직임벡터(MV)가 인가되면, 이전 프레임영상에서 전송된 움직임벡터(MV)의 해당 블록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5 후보 비트열 생성기(250)는 제로(Zero) 움직임벡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로부터 움직임벡터(MV)가 인가되면 저장하고 있던 제로 움직임벡터를 후보 비트열로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5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250)로부터 출력된 12개의 각각의 후보비트열들은 가변길이 복호화부(150)로 전송된다.
가변길이 복호화부(150)는 기존에 가변길이 복호화방식대로 인가된 각각의 후보비트열에 대하여 가변길이 복호화처리를 한다. 그리고 가변길이 복호화된 각각의 후보비트열은 후보블럭 생성부(160)로 전송된다.
후보블럭 생성부(160)는 가변길이 복호화부(150)로부터 전송되는 12개의 복호화된 후보비트열이 전송되면, 각각의 후보비트열을 움직임벡터로 이용하여 프레임메모리(131)로부터 해당 블록의 픽셀데이타들을 읽어 후보블럭들로 생성한다. 생성된 후보블럭들은 가산부(170)로 전송된다.
가산부(170)는 후보블럭 생성부(16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후보블럭들과 MCPE정보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MCPE정보는 현재 인가된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역이산여현변환된 정보이다. 가산부(170)로부터 출력된 MCPE정보가 가산된 후보블럭들은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190)로 전송된다.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190)는 가산부(170)로부터 MCPE정보가 가산된 후보블럭들이 전송되면, 메모리(180)로부터 전송되는 인접 블록들과 인가되는 후보블럭들에 대하여 사이드 매치 테스트방식에 의하여 경계영역의 일치정도(또는 완만도)를 테스트하고, 가장 경계영역이 완만한 후보블럭을 추출한다.
즉, 메모리(180)로부터 현재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에 인접한 톱블럭과 좌측 불록의 픽셀데이타가 제공되면, 각 후보블럭들의 픽셀데이타중 인접한 톱블럭 및 좌측 블록의 경계영역에 위치한 픽셀데이타들(X1~X8, Y1~Y8)을 추출하고, 인접한 톱블럭에서는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경계면에 위치한 픽셀데이타(X1'~X8')를 추출하고, 인접한 좌측 블록에서는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경계면에 위치한 픽셀데이타(Y1'~Y8')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픽셀데이타들을 수식 2과 같이 운영하여 각각의 후보블럭들에 대한 인접블럭과의 경계 차값(Dsm)을 구한다.
[수식 2]
여기서는 해당 후보블럭에서 톱블럭의 하위 경계면에 접해 있는 최상위 수평라인에 위치한 픽셀데이타이고,는 톱블럭에서 현재 블록의 상위 경계면에 접해 있는 최하위 수평라인에 위치한 픽셀데이타이고,는 해당 후보블럭에서 좌측 블록의 우측경계면에 접해 있는 최좌측 수직라인에 위치한 픽셀데이타이고,는 인접한 좌측블럭에서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면에 접해 있는 최우측의 수직라인에 위치한 픽셀데이타가 된다.
이와 같이 각 후보블럭들에 대한 인접블럭과의 경계 차값(Dsm)들이 구해지면, 구해진 차값들중 가장 작은 차값을 갖는 후보블럭을 추출한다. 여기서 가장 작은 차값을 갖는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 블록과 해당 후보블럭의 경계가 가장 완만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기(190)는 추출된 하나의 후보블럭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된 움직임벡터로 생성한다. 생성된 움직임벡터는 움직임보상부(130)로 전송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원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용된다.
메모리(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190)로 인접한 톱블럭 및 좌측 블록의 픽셀데이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블록단위의 픽셀데이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패리티비트가 부가되어 전송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시,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블록과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의 움직임벡터를 후보비트열로 생성하여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복원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전의 해밍거리가 1인 후보비트열 생성시에 비해 연관성이 높은 블록들을 이용하여 비트오류를 복원하여 좀 더 정확하게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2)

  1. 패리티비트를 포함한 비트스트림 구조로 전송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기 움직임벡터와 프레임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인가된 소정 블럭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보상처리를하여 복원된 상기 소정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130)를 구비한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비트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의 위치와 연관성이 높은 위치에 있는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상기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후보비트열들로 생성하는 후보비트열 생성부(140);
    상기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개수의 후보비트열들을 각각 가변길이 복호화하기 위한 가변길이 복호화부(150);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부(150)에서 각각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소정 개수의 후보비트열을 움직임벡터로하여 상기 프레임메모리(131)로부터 해당되는 블록단위의 픽셀데이타를 읽어 상기 후보비트열에 대응되는 후보블럭들로 생성하기 위한 후보블럭 생성부(160);
    후보블럭 생성부(160)에서 출력되는 상기 소정 개수의 후보블럭들에 상기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움직임보상 예측에러정보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170);
    상기 비트오류가 발생된 움직임벡터에 해당되는 소정 블록의 위치에 인접한 상측 블록(TOP 블록)의 픽셀데이타와 좌측 블록의 픽셀데이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블록단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80); 및
    상기 가산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보상 예측에러정보가 가산된 각각의 후보블럭블럭들과 상기 메모리(180)로부터 제공되는 인접한 상측 블록과 좌측 블록간의 경계영역에 위치한 픽셀데이타간의 차가 가장 작은 블록을 최적의 후보블럭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블럭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를 복원된 움직임벡터로 생성하기 위한 복원된 움직임벡터 생성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비트열 생성부(140)는 상기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가 인가되면, 패리티비트를 제외한 움직임벡터의 비트스트림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한 움직임벡터 추출부(200); 상기 움직임벡터 추출부(200)에서 추출되는 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블록을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한 8개의 블록의 해당 움직임벡터를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기 위한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 상기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로부터 출력되는 8개의 후보 비트열의 평균값을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기 위한 제 2 후보 비트열 생성기(220); 상기 제 1 후보 비트열 생성기(210)로부터 출력되는 8개의 후보 비트열중 중간값을 추출하여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기 위한 제 3 후보 비트열 생성기(230); 상기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가 전송되면 이전 프레임영상에서 동일한 블록 위치의 움직임벡터를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기 위한 제 4 후보 비트열 생성기(240); 및 제로 움직임벡터의 비트열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벡터 추출부(200)로부터 상기 움직임벡터가 전송되면, 저장하고 있던 상기 제로 움직임벡터의 비트열을 하나의 후보 비트열로 생성하기 위한 제 5 후보 비트열 생성기(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 복원장치.
KR1019960072677A 1996-12-27 1996-12-27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KR10021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77A KR100212554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77A KR100212554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71A KR19980053571A (ko) 1998-09-25
KR100212554B1 true KR100212554B1 (ko) 1999-08-02

Family

ID=1949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677A KR100212554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5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71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048B2 (ja) 直接モード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
KR100355324B1 (ko) 화상부호화장치및화상복호화장치
JP2962012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復号装置
RU2120702C1 (ru)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одного полученного текущего сигнала из серии двухканальных кодированных видеосигн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7146056B2 (en) Efficient spatial scalable compression schemes
EP0731614B1 (en) Video coding/decoding apparatus
KR100488422B1 (ko) 그레이스케일모양정보부호화/복호화장치및그방법
KR100382440B1 (ko) 예측 복호화 방법
KR960036707A (ko)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970002967B1 (ko) 영역 분류패턴을 이용한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100285599B1 (ko) 격행 부호화에서의 움직임 추정을 위한 텍스쳐 패딩 장치 및그 패딩 방법
KR920020958A (ko) 움직임 보상예측 부호화방법및 장치
JP2004023444A (ja) 動画符号化装置、及び動画記録再生装置
US5978034A (en)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EP0924932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daptively coding/decoding interlaced shape information
KR100212554B1 (ko)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KR100212555B1 (ko)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비트오류복원장치
KR100587274B1 (ko) 엠펙­2 압축복원시스템에서의 오류 은폐방법
KR100212556B1 (ko)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차이영상에 대한 비트에러복원장치
JP3523481B2 (ja) 映像符号化装置及び映像復号化装置並びに映像符号化方法及び映像復号化方法
JPH09326024A (ja) 画像符号及び復号化方法とその装置
KR970003107B1 (ko) 단계적인 영역분할을 통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269882B1 (ko) 영화부호화 및 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image 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100196841B1 (ko) 영상복호화시스템에 있어서 비트에러복원장치
KR100229794B1 (ko) 움직임 벡터 정보에 대한 오류 복원기능을 갖는영상복호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