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402B1 - 온풍난방기 - Google Patents

온풍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402B1
KR100212402B1 KR1019960000358A KR19960000358A KR100212402B1 KR 100212402 B1 KR100212402 B1 KR 100212402B1 KR 1019960000358 A KR1019960000358 A KR 1019960000358A KR 19960000358 A KR19960000358 A KR 19960000358A KR 100212402 B1 KR100212402 B1 KR 10021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temperature
heating
save operation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32A (ko
Inventor
유끼히로 스즈끼
구니호 사까끼바라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키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키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96002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05D23/190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variable i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목적]
쾌적성을 잃는 일없이 연비를 좋게 할 수 있는 온풍난방기를 제공하는 것.
[구성]
검출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후, 소정시간(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하면, 제어온도를 설정온도로부터 소정온도씩 소정시간마다 소정단계수(예를 들면 3단계수째)에 이르기까지 하강하여 가는 세이브운전부(55)를 가지고, 검출실온이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스연소기를 제어하는 제어기(5)를 구비하는 가스온풍난방기(A)에 있어서 최종단계째의 세이브운전중에 가열량을 불규칙하게 변동시키는 변동운전부(56)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온풍난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외관도.
제2도는 그 가스온풍난방기의 구조설명도.
제3도는 그 가스온풍난방기의 블록도.
제4도는 그 가스온풍난방기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5도는 그 가스온풍난방기의 작동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스온풍난방기 1 : 하우징(난방기하우징)
3 : 온도설정기 4 : 실온센서
5 : 제어기(가열제어기) 11 : 가스연소기(가열원)
12 : 대류팬(송풍기) 16 : 온풍
17 : 분출구 TS : 검출실온
T0: 설정온도 T1: 제어온도
ΔT : 내림폭(소정온도) 55 : 세이브운전부(세이브운전기능)
56 : 변동운전부(변동운전수단)
본 발명은 세이브운전기능이 부착된 온풍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난방운전을 개시하고, 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시간마다(예를 들면 30분마다)제어온도를 소정온도(예를 들면 1.0마다)씩 소정회수(예를 들면 2회)저하시켜 가는 세이브운전기능이 부착된 온풍난방기가 알려져 있다. 이 온풍난방기는 세이브운전기능이 부착되지 않은 온풍난방기보다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종래의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세이브운전중의 제어온도를 더욱 낮게 하면{소정온도를 크게 하는 소정회수를 늘리는}, 더욱 연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조건이상으로 세이브운전중의 제어온도를 낮게 하면, 아무리 실내의 벽면이 따뜻해진 상태이어도 사용자는 춥다고 느껴 쾌적성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쾌적성을 잃는 일없이 연비를 좋게 할 수 있는 온풍난방기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 가열원이나 송풍기를 구비하고, 온풍을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난방기 하우징과, 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센서와, 검출실온이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시간경과에 따라 상기 제어온도를 하강하여가는 세이브운전기능을 가지는 가열제어기를 구비하는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세이브운전 중, 상기 가열량을 변동시키는 변동운전수단을 설치하였다.
(2) 가열원이나 송풍기를 구비하고, 온풍을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난방기 하우징과, 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센서와, 검출실온이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검출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온도를 소정온도씩 소정시간마다 소정단계수에 이르기까지 하강하여 가는 세이브운전기능을 가지는 가열제어기를 구비하는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최종단계수의 세이브운전 중에 상기 가열량을 변동시키는 변동운전수단을 설치하였다.
[청구항 1에 관하여]
실온설정기로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실온센서가 실온을 검출한다.
가열원이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기에 의하여 난방기 하우징의 분출구로부터 온풍이 실내로 분출된다.
통상의 난방운전에서는 검출실온이 제어온도(=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제어기가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세이브운전기능이 유효인 경우, 가열제어기는 경과시간에 따라 제어온도를 내리고, 검출실온이 낮아진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제어기가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하는 세이브운전을 실시한다.
변동운전수단은 세이브운전동안 가열원의 가열량을 변동시킨다.
[청구항 2에 관하여]
실온설정기로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실온센서가 실온을 검출한다.
가열원은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기에 의하여 난방기 하우징의 분출구로부터 온풍이 실내로 분출된다.
통상의 난방운전에서는 검출실온이 제어온도(=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제어기가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한다.
세이브운전기능이 유효인 경우, 가열제어기는 검출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온도를 소정온도씩 소정시간마다 소정단계수에 이르기까지 내려가는 세이브운전을 실시한다.
변동운전계단은 최종단계수(소정단계수)의 세이브운전 중에 가열원의 가열량을 변동시킨다.
[청구항 1에 관하여]
변동운전수단이 세이브운전 중에 가열원의 가열량을 변동시키기 때문에 세이브운전에 의하여 실온이 낮아져 있어도 사용자는 변동에 있어서의 가열량의 피크에 감응하기까지 춥다고 생각하지 않고, 쾌적온도라고 느낀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온풍난방기보다 제어온도를 내릴 수 있기(사용자가 춥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 때문에 연비가 향상한다.
[청구항 2에 관하여]
변동운전수단이 최종단계수의 세이브운전 중에 가열원의 가열량을 변동시키기 때문에 실온이 낮아져 있어도 사용자는 변동에 있어서의 가열량의 피크에 감응하기 때문에 춥다고 생각하지 않고, 쾌적온도라고 느낀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온풍난방기보다 제어온도를 내릴 수 있기(사용자가 춥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 때문에 연비가 향상한다.
또한 최종단계수의 세이브운전 중에만 변동운전을 행하는 것은 변동운전이 필요한 가장 저온의 최종단계수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변동운전에 익숙해져 버려 변동에 의한 효과가 저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청구항 1, 2에 대응)를 제1도 내지 제5도 및 표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온풍난방기(A)는 가스 연소기(11)나 대류팬(12) 등을 구비한 하우징(1)과, 실온을 설정하는 온도 설정기(3)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센서(4)와, 세이브운전부(55)를 가짐과 동시에 가스연소기(11)나 대류팬(12)을 제어하는 제어기(5)를 구비한다.
하우징(1)(금속제)은 대류나 연소에 이용하는 실내공기(13)의 흡입구(14, 15)를 뒷면상부에 설치하고, 온풍(16)을 실내로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17)를 전면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18은 흡입구와 분출구를 연통하는 덕트, 19는 실내공기(13)를 연소용 공기로서 흡입구로부터 가스연소기(11)로 유도하는 공기유도로이다.
가스 연소기(11)는 공기유도로(19)의 하류에 배치되는 노즐(n)로부터 분출하는 가스와 공기유도로(19)에 의하여 유도되는 실내공기(13)를 혼합하는 혼합실(111)과, 세라믹제의 연소판(112)과, 점화전극(113)과, 열전대(114) 등을 설치한 연소통(115)을 가진다. 또한 노즐(n)은 전자밸브(116, 117) 및 비례밸브(118)를 순서대로 설치한 가스관(g)의 선단에 형성된다.
대류팬(12)은 가스연소기(11)보다 하류측의 덕트(18)내에 피봇된 임펠러(121)와, 임펠러(121)를 구동하는 팬모터(122)로 구성된다.
온도설정기(3)는 하우징(1)의 상면에 설치한 조작부(101)내에 설치되는 택트스위치이고, 설정온도를 16내지 26사이에서 설정한다.
실온센서(4)는 흡입구(15)근방의 공기유도로(19)내에 배치되는 서미스터이다.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는 제어기(5)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제어부(51), 초기실온검출부(52), 온도구배검출부(53), 계시부(54), 세이브패턴 기억부(551)를 가지는 세이브운전부(55), 변동운전부(56), 온도조절제어부(57), 비례밸브구동회로(58) 및 팬구동회로(59)를 구비한다.
운전제어부(51)는 운전스위치(SW)를 온하면, 소정시간, 점화전극(113)에 통전을 행함과 동시에 전자밸브(116, 117)를 밸브개방상태, 비례밸브(118)를 점화개방도로하여 가스연소기(11)의 점화를 행한다. 또 운전스위치(SW)가 오프되면 전자밸브(116, 117) 및 비례밸브(118)를 밸브폐쇄상태로하여 가스연소기(11)의 소화를 행한다. 또한 연소중에 열전대(114)의 출력전압이 소정치 미만이 되면, 전자밸브(116, 117) 및 비례밸브(118)를 밸브폐쇄 상태로하여 가스연소기(11)를 소화한다.
초기실온검출부(52)는 점화 1분 후 실온센서(4)가 송출하는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초기실온을 검출한다.
온도구배검출부(53)는 점화1분 후 및 점화 5분 후에 실온센서(4)가 송출하는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초기에 있어서의 실온상승의 온도구배를 검출한다.
계시부(54)는 운전개시 후 실온센서(4)가 검출하는 검출실온이 온도설정기(3)로 설정한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계시를 개시한다.
세이브운전부(55)는 검출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고 나서 30분 경과 후의 하강폭(ΔT)(세이브량)을 복수 기억한 세이브패턴 기억부(551)를 가지며, 초기실온검출부(52)가 검출한 운전초기실온, 및 온도구배검출부(53)가 검출한 온도구배에 의거하여 표 1에 나타낸 세이브량(ΔT)으로 세이브운전이 행하여지도록 지시한다.
설정온도 17내지 25의 경우
변동운전부(56)는 3단계째{상세하게는 후기함}의 세이브운전중에 제어온도(T)와 검출실온(T)으로부터 난방능력을 결정하고, 결정한 난방능력에 미리 설정한 변동패턴을 중첩시키도록 지시한다.
온도조절제어부(57)는 실온센서(4) 및 온도설정기(3)의 출력이 입력되고, 연소초기에 있어서는 레벨(8)의 난방능력으로 강제강연소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강제강연소가 종료하면 검출실온(T)이 설정온도(T)에 도달 후 30분 경과하기까지 실온센서(4)로 검지되는 검출실온(T)과 온도설정기(3)로 설정되는 설정온도(T)의 차에 의거하여 검출실온(T)이 설정온도(T)가 되도록 난방능력(레벨 1 내지 레벨 7)을 결정한다.
세이브운전으로 이행하면 검출실온(T)이 되도록 난방능력(레벨 1 내지 레벨 7)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온도(T)는 30분 경과 후부터 60분 경과하기까지는 T- ΔT이고, 60분 경과하고 나서 90분 경과하기까지는 T- 2 ×ΔT이다. 또한 설정온도(T)가 17내지 25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는 세이브운전으로 이행하지 않는다.
또한 검출실온(TS)이 설정온도(T0)에 도달하고 나서 90분을 초과하여 세이브운전이 최종단계(3단계째)로 이행하면, 제어온도(T1)를 설정온도 T0- 3×ΔT로 하고, 검출실온(TS)이 제어온도(T1)가 되도록 기준의 난방능력(레벨 1 내지 레벨 7)을 결정함과 동시에 변동운전을 행하기 위하여 결정한 기준의 난방능력을 중심으로 ±3 속도 사이에서 가열능력을 변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온도변화의 파워스펙트럼이 그 주파수(f)에 대하여 1/f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패턴을 결정된 기준의 난방능력에 중첩시킴으로서 시간변화에 따라 난방능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비례밸브구동회로(58)는 온도조절 운전시에 있어서 온도조절제어부(57)에 의해 결정된 난방능력(레벨 1 내지 레벨 7)에 따른 전류(1단계 내지 7단계)를 비례밸브(118)에 통전한다.
팬구동회로(59)는 온도조절운전시에 있어서 온도조절제어부(57)에서 결정된 난방능력(레벨 1 내지 레벨 7)에 적합한 팬회전수가 얻어지는 팬전류를 팬모터(122)에 흘린다.
다음에 제어기(5)의 세이브운전 및 변동운전에 관한 작동을 제4도 및 제5도에 의거하여 기술한다.
스텝s1에 있어서 온도설정기(3)로 설정온도(T0)를 설정하고, 스텝s2로 진행한다. 또한 표시기(501)는 설정온도(예를 들면 22)를 표시한다.
스텝s2에서 운전스위치(SW)를 누르면 난방운전을 개시하고, 스텝s3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제어온도(T1)를 설정온도(T0)에 일치시키고, 스텝s4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 초기실온검출부(52)가 운전초기실온을 검출한다.(점화 1분후).
스텝s5에서 설정온도(T0)가 17내지 25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6으로 진행하고, 벗어난 경우(NO)는 세이브운전으로 이행하지 않는다.
스텝s6에서 온도구배검출부(53)가 운전개시초기의 온도구배를 검출한다.
스텝s7에서 초기실온검출부(52)가 검출한 운전초기실온과, 온도구배검출부(53)가 검출한 온도구배에 의거하여 세이브운전부(55)가 하강폭(세이브량)(ΔT)을 결정한다.
스텝s8에서 검출실온(TS)이 설정온도(T0)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도달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 계시부(54)가 경과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스텝s10에서 TS≥T0도달하고 나서 30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1로 진행한다.
스텝s11에서 제어온도 T1= 설정온도 T0- ΔT를 실행하고, 1단계째의 세이브운전을 개시{세이브램프(502)점등}하고 스텝s12로 진행한다.
스텝s12에서 TS≥T0도달하고나서 60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3으로 진행한다.
스텝s13에서 제어온도 T1= 설정온도 T0- 2 ×ΔT를 실행하고, 2단계째의 세이브운전을 개시하고, 스텝s14로 진행한다.
스텝s14에서 TS≥ T0도달하고나서 90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5로 진행한다.
스텝s15에서 제어온도 T1= 설정온도 T0- 3×ΔT를 실행하고, 3단계째(최종단계)의 세이브운전을 개시하고,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s16에서 변동운전부(56)가 변동운전을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온도(TS)가 제어온도(T1)가 되도록 결정된 기준의 난방능력에 미리 설정된 변동패턴을 중첩시킴으로서 시간변화에 따라 난방능력을 변동시키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가스온풍난방기(A)의 이점을 설명한다.
[가] 가스온풍난방기(A)를 변동운전을 행하지 않도록 하여두고, 다양한 조건하에서 실험하면, 표 1의 내림폭(T)에서 2단계의 세이브운전까지는 대부분의 피험자는 쾌적하다고 느끼나 3단계째의 세이브운전을 행하면 대다수의 피험자는 춥다고 느끼는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변동운전을 유효하게하여 3단계째의 세이브운전을 행하면 대부분의 피험자는 춥게 느끼지 않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3단계째의 세이브운전을 행할 수 있는 가스온풍난방기(A)는 2단계의 세이브운전을 행하는 가스온풍난방기에 비해 최대 연비를 약 10%저감할 수 있다.
[나] 변동운전중은 제어온도(T1)와 검출온도(TS)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준의 난방능력을 중심으로 상하로 난방능력을 변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온(검출온도(TS))의 변동이 적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동패턴이 무너져 버리는 일이 없다.
[다] 가스온풍난방기(A)는 설정온도(T0)가 17내지 25인 경우에 초기실온검출부(52)가 검출한 운전초기실온과, 온도구배검출부(53)가 검출한 온도구배에 의거하여 표 1에 나타낸 내림폭(ΔT)을 가지고 자동적으로 가장 적합한 세이브운전을 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세이브운전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세이브운전스위치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101)내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이외에 다음의 실시상태를 포함한다.
a. 대류팬(12)의 회전수가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예를 들면 대류팬(12)과 연소팬이 별개의 것}이면, 대류팬(12)의 회전수를 변동시키지 않고, 비례밸브(118)는 흐르는 전류만을 변동시킴으로서 난방 능력을 변동시켜도 상관없다.
b. 세이브운전이 복단계이면, 최종단계에 도달하기 전{예를 들면 2단계째}에 변동운전을 행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는 최종단계의 변동운전보다 변동폭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기준의 난방능력이 하한이 되도록 변동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d. 가열원은 전기히터나 석유버너 등이어도 상관없다.
e. 온풍난방기는 연소용공기를 실외로부터 케이싱내로 받아들이고, 배기를 받아들인 실내공기와 혼합하지 않게 실외로 방출하는 타입 {소위, FF식의 온풍난방기}이어도 상관없다.
f. 변동패턴은 주파수(f)에 대하여 1/f가 되지 않아도 좋다.
g. 세이브운전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온도를 하강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설정온도의 표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강하여 간다.

Claims (2)

  1. 가열원이나 송풍기를 구비하고, 온풍을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난방기하우징과, 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센서와, 검출실온이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시간경과에 따라 상기 제어온도를 하강하여 가는 세이브운전기능을 가지는 가열제어기를 구비한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세이브운전중, 상기 가열량을 변동시키는 변동운전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기.
  2. 가열원이나 송풍기를 구비하고, 온풍을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난방기하우징과, 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센서와, 검출실온이 제어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원의 가열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검출실온이 설정온도에 도달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온도를 소정온도씩 소정시간마다 소정단계수에 도달하기까지 하강하여 가는 세이브운전기능을 가지는 가열제어기를 구비한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최종단계수의 세이브운전 중에 상기 가열량을 변동시키는 변동운전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기.
KR1019960000358A 1995-01-10 1996-01-10 온풍난방기 KR100212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02216 1995-01-10
JP00221695A JP3154911B2 (ja) 1995-01-10 1995-01-10 温風暖房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32A KR960029732A (ko) 1996-08-17
KR100212402B1 true KR100212402B1 (ko) 1999-08-02

Family

ID=1152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358A KR100212402B1 (ko) 1995-01-10 1996-01-10 온풍난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54911B2 (ko)
KR (1) KR100212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6225B2 (ja) * 2008-02-18 2012-08-22 株式会社コロナ 温風暖房機
JP4581006B2 (ja) 2008-06-18 2010-11-17 リンナイ株式会社 温風暖房機
JP4581005B2 (ja) * 2008-06-18 2010-11-17 リンナイ株式会社 温風暖房機
JP2013155916A (ja) * 2012-01-30 2013-08-15 Noritz Corp 温水式床暖房装置
JP6153398B2 (ja) * 2013-06-27 2017-06-28 大阪瓦斯株式会社 暖房機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6233628B2 (ja) * 2013-07-19 2017-11-22 株式会社ノーリツ 温風暖房装置
JP2015021673A (ja)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ノーリツ 温風暖房装置
JP5919238B2 (ja) * 2013-09-17 2016-05-18 リンナイ株式会社 温風暖房機
JP5873856B2 (ja) * 2013-11-11 2016-03-01 リンナイ株式会社 温風暖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89708A (ja) 1996-07-23
KR960029732A (ko) 1996-08-17
JP3154911B2 (ja) 200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402B1 (ko) 온풍난방기
KR920009304B1 (ko) 급탕기
KR100294415B1 (ko) 가스보일러의시스템상태에따른펌프제어방법
KR100270900B1 (ko) 공기비례제어식 콘덴싱 보일러
KR0132537B1 (ko) 온풍 난방기
KR94000718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970011017B1 (ko) 온풍난방기
JPH0532652B2 (ko)
JP2719404B2 (ja) 燃焼制御装置
JPH0571846B2 (ko)
JP3869548B2 (ja) ガス給湯器
JPH0718589B2 (ja) 給湯器の水量制御装置
JPH0735348A (ja) 燃焼装置
KR910005445B1 (ko) 급탕기의 온도 제어장치
JPH04217717A (ja) 暖房機
JP2732443B2 (ja) 温風暖房機
KR940007182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940005117B1 (ko) 연소장치의 연소제어방법
JPH04113165A (ja) 暖房機
JPH04217715A (ja) 暖房機
JPH0718594B2 (ja) 暖房機の制御装置
JPH1183004A (ja) 燃焼装置および点火制御方法
KR100206754B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 비례 제어방법
KR940000135B1 (ko) 온풍 난방기
KR930001843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난방설정온도 상향 변화시 연속연소 제어타이머의 작동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