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187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187B1
KR100212187B1 KR1019970022039A KR19970022039A KR100212187B1 KR 100212187 B1 KR100212187 B1 KR 100212187B1 KR 1019970022039 A KR1019970022039 A KR 1019970022039A KR 19970022039 A KR19970022039 A KR 19970022039A KR 100212187 B1 KR100212187 B1 KR 10021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bellows
console
cu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868A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1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병 또는 음료수 컵이나 캔을 보관하기 위해, 자동차 실내 전방의 센터콘솔(12)로부터 운전석(14)과 조수석(14) 가운데에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콘솔(20)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컵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100)는 콘솔(20)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안착홈(32)과, 이 안착홈(32)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밸로우즈(38)와, 이 밸로우즈(38)와 호스(36)를 통해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이 액체에 의해 이완 및 수축가능하게 상기 안착홈(32)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튜브(34)와, 이 튜브(34)의 이완 또는 수축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밸로우즈(38)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판상의 플레이트(40)로 이루어져 음료수 컵 또는 캔 등을 안치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병을 보관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정상적인 약한 진동에는 음료수컵이나 캔등이 쏟아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보관하므로 운전자의 운전집중에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콘솔에 수축 또는 이완 이 가능한 컵홀더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전적으로 병 또는 음료수 컵이나 캔을 보관하도록 한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은 각종 음료수나 식수를 마시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바, 장거리 여행을 떠나는 경우에는 식수나 음료수를 준비하게 된다.
이렇게 준비한 식수나 음료수는 자동차의 운행중에 마시게 되는데, 운전을 직접하지 않는 탑승자들로서는 컵이나 음료수 캔 등을 손으로 잡고 마실 수 있으나, 운전을 하고 있는 운전자들은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이나 캔 등을 들고 운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제작 판매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자들이 안전운전에 지장이 없는 한도내에서 식수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컵 홀더를 장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컵홀더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센터콘솔 등에 형성하거나, 혹은 운전자가 별도로 비치하고 다니다가 자동차의 소정부위에 부착하여 자동차의 정상적인 약한 진동에는 음료수가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마시던 음료수를 일정시간 보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종래의 자동차에 제시된 컵홀더는 단순히 컵을 안착시킬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을 자동차의 콘솔에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자동차의 센터콘솔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컵홀더는 모두 음료수 컵 또는 캔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여행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콘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향에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이 길게 횡설되어 있고, 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 중앙에는 센터콘솔(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센터콘솔(12)에 길게 연장되어 운전석(14)과 조수석(16) 가운데를 지나는 콘솔(2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콘솔(20)의 후방향에는 소정의 물건을 저장할 수 있는 콘솔박스(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콘솔박스(22)의 전방에는 변속레버(24)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변속레버(24)와 콘솔박스(22) 사이에는 음료수컵(26)이나 캔(도시되지 않음) 등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소정량 하향 요설된 형태의 컵홀더(30)가 형성되어, 여기에 음료수 컵(26)이나 캔 등을 안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 컵홀더(30)는 대부분 음료수 컵(26) 또는 캔 등을 안치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병을 안치시킬 마땅한 장소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특히 컵홀더(30)의 둘레가 음료수컵(26)이나 캔 등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컵홀더(30)에 음료수컵(26)이나 캔 등을 상기 컵홀더(30)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되면 음료수컵(26)이나 캔등이 유동이 심해 수용된 식수나 음료수가 쏟아지게 되어 컵홀더(30)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신경이 산만해져 사고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콘솔에 튜브와 밸로우즈간에 호스를 매개체로 하여 액체의 소통에 의하여 이완 및 수축되는 컵홀더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병 또는 음료수 컵 이나 캔 등을 보관하도록 한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 전방의 센터콘솔로부터 운전석과 조수석 가운데에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콘솔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콘솔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밸로우즈와, 이 밸로우즈와 호스를 통해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이 액체에 의해 이완 및 수축가능하게 상기 안착홈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튜브와, 이 튜브의 이완 또는 수축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밸로우즈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콘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병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컵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전석 12 : 센터콘솔
20 : 조수석 20 : 콘솔
32 : 안착홈 34 : 튜브
36 : 호스 38 : 밸로우즈
40 : 플레이트 100 : 컵홀더
이하,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병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컵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 전방의 운전석(14)과 조수석(16) 가운데에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콘솔(20)의 소정부위에 본 발명의 컵홀더(1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홀더(100)는 콘솔(20)의 소정부에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32)의 상부측에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튜브(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34)와 호스(36)를 통해 연통되어 상기 튜브(34)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밸로우즈(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로우즈(38)의 상부측에는 상/하 이동가능하게 판상의 플레이트(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컵홀더(100)는 튜브(34)와 밸로우즈간(38)에 호스(36)를 매개체로 하여 그 내부는 진공상태를 이루어 플레이트(40)에 병(28) 또는 음료수컵(26)이나 캔 등을 안치시키게 되면 상기 병(28) 또는 음료수컵(26)이나 캔등에 들어 있는 음료 및 식수의 무게에 의하여 플레이트(40)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밸로우즈(38)로부터 호스(36)를 통해 튜브(34)에 액체가 충전되고, 반대로 병(28) 또는 음료수컵(26)이나 캔 등을 플레이트(40)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튜브(34)가 수축되면서 밸로우즈(38)에 액체가 충전되는 방식으로 서로 원할하게 소통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호스(36)의 일끝이 튜브(34)의 상부측에 연결되어 있어 병(28) 또는 음료수컵(26) 또는 캔등이 플레이트(40)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튜브(34)내에 충전된 액체가 밸로우즈(38)에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컵홀더(100)를 사용할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00)의 안착홈(32)에 병(28)을 삽입시키면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병(28)에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병(28)의 저면이 플레이트(40)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4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밸로우즈(38)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플레이트(40)가 하향 이동되에 밸로우즈(38)에 충전되어 있던 액체가 호스(36)를 통해 튜브(34)에 소통되어 튜브(34)내부에 액체가 충전되면서 이완되어 부풀어 올라 병(28)의 측면을 내향 가압하게 되어 병(28)이 유동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는 안정되게 식수나 음료를 마실 수 있어서 운전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들이 안전운전에 지장이 없는 한도내에서 병(28)에 들어 있는 식수나 음료를 마실 경우, 상기 병(28)을 한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 이동시키면 병(28)이 안착홈(3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병(28)의 하부측이 튜브(34)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향 이동되므로 튜브(34)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액체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이 액체가 호스(36)를 통해 연통되어 있는 밸로우즈(38)에 주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튜브(34)는 수축되고 접혀져 있던 밸로우즈(38)에 액체가 충전되면서 다시 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40)의 하부면을 밀어 수직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4는 음료수 컵이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음료수가 보관된 컵(26)을 컵홀더(100)에 안치시키는 것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나, 상기 컵(26)에 보관된 음료를 마실 경우 컵홀더(100)로부터 컵(26)을 이탈시켜 마신 다음, 컵홀더(100)의 미사용시 튜브(34)를 눌러주면 듀브(34)내에 충전되어 있던 액체가 밸로우즈(38)내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튜브(34)는 수축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캔을 보관할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컵을 보관하는 것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보관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자동차의 콘솔에 튜브와 밸로우즈간에 호스를 매개체로 하여 액체의 소통에 의하여 이완 및 수축되는 형성함으로써, 음료수 컵 또는 캔 등을 안치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병을 보관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정상적인 약한 진동에는 음료수컵이나 캔등이 쏟아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관하므로 운전자의 운전집중에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1)

  1. 자동차 실내 전방의 센터콘솔(12)로부터 운전석(14)과 조수석(14) 가운데에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콘솔(20)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컵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100)는 콘솔(20)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안착홈(32)과, 이 안착홈(32)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밸로우즈(38)와, 이 밸로우즈(38)와 호스(36)를 통해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이 액체에 의해 이완 및 수축가능하게 상기 안착홈(32)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튜브(34)와, 이 튜브(34)의 이완 또는 수축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밸로우즈(38)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판상의 플레이트(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19970022039A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컵홀더 KR10021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39A KR100212187B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39A KR100212187B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868A KR19980085868A (ko) 1998-12-05
KR100212187B1 true KR100212187B1 (ko) 1999-08-02

Family

ID=1950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039A KR100212187B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1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868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40595A (en) Automobile seat article holder
US4643342A (en) Dual drink holder for receipt on an automobile center console
MX2012005055A (es) Mecanismo de charola con dispositivo porta-bebidas automático.
KR10021218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6830276B2 (en) Console box
KR0136709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32040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100330885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컵홀더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KR0114633Y1 (ko)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KR100418679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825404B1 (ko) 탈.부착식 보조 컵홀더
KR0124362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36540Y1 (ko) 컵 커버가 장착된 컵 홀더
KR19980031380A (ko) 차량내장용 컵홀더장치
KR19990041300A (ko) 컵커버가 장착된 시트암레스트의 컵홀더
EP3263400B1 (en) Cup holder releasably mountable on an armrest of a vehicle
KR19980033363U (ko) 리어 도어 장착용 컵 홀더구조
KR2003002450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9980045637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에 구비되는 컵홀더
KR19980039587U (ko) 물통 수납용 디포지트 박스가 구비된 도어트림
KR19980039589U (ko) 물통 수납용 커버가 구비된 센터필라트림
KR1999004115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컵홀더
KR19980035903U (ko) 자동차용 컵 홀더 지지구조
KR0138004Y1 (ko) 자동차용 다중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