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633Y1 -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633Y1
KR0114633Y1 KR2019950020422U KR19950020422U KR0114633Y1 KR 0114633 Y1 KR0114633 Y1 KR 0114633Y1 KR 2019950020422 U KR2019950020422 U KR 2019950020422U KR 19950020422 U KR19950020422 U KR 19950020422U KR 0114633 Y1 KR0114633 Y1 KR 0114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e
beverage container
sta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892U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20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633Y1/ko
Publication of KR970008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판재(10)의 내부에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가 지지되도록 하는 홀(15:HOLE)이 형성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재(10)의 상부면에 홀(15)과 중심이 동일한 치형의 레일부(16)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16)에 고정자(50)의 지지부(51)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52)가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정자(50)의 지지부(51)저면에 형성된 걸림부(52) 판재(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부(16)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51)가 회동되며,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크기에 따라 고정자(50)의 선단부가 이동되어 각기 외경이 상기한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서,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내용물이 남아있는 음료수용기의 외경이 상한 경우에도, 상기 음료수용기를 차실에 설치된 컵홀더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제1도는 종래 컵홀더구조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홀더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홀더의 A-A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재 15 : 홀더
16 : 레일부 50 : 고정자
51 : 지지부 52 : 걸림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차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컵홀더에 외경이 상이한 컵이나 캔 등의 음료수용기를 고정되게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의 내부에는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음료수 등을 마시고 내용물이 남아있는 컵이나 캔 등의 음료수용기를 고정되게 보관하며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컵홀더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는, 제1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판재(10)의 내부에 컵(20: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가 삽입되어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홀(15: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는 판재(10)의 내부에 형성된 홀(15:HOLE)의 내주면에 컵(20:CUP)이나 캔 등의 음료수용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컵(20: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주면이 홀(15:HOLE)의 테두리에 접하며 지지되어 차내에 탑승한 승원이 음료수 등이 남아있는 컵(20:CUP)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는, 판재(10)의 내부에 형성된 홀(15:HOLE)의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컵(20: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경이 상기 홀의 내경과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판재(10)에 형성된 홀(15:HOLE)에 컵(20: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를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차내에 탑승한 승원이 내용물이 남아있는 음료수용기를 손으로 들고 가거나, 차실의 평편한 곳에 컵을 세워 보관하여야 하는데, 차량을 운행중에는 도로사정 등에 의해 차량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잡고 있는 컵(20:CUP)과 같은 음료수용기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옷이 지저분해지게 됨은 물론, 차실의 평편한 곳에 보관되어 있는 컵(20:CUP)은 넘어지게 되어, 상기 컵(20:CUP)의 내부에 담기어져 있는 내용물에 의해 차실이 지저분해 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판재의 상부면에 홀과 중심이 동일한 치형의 레일부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부에 고정자의 지지부저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홀에 삽입되는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경에 따라 레일부를 따라 걸림부를 이동시키면 지지부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고정자의 선단부가 컵의 외경과 접하며 음료수용기를 지지하게 됨으로서, 상기 홀에 외경이 상이한 음료수용기를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차실에 설치된 컵홀더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판재(10)의 내부에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가 지지되도록 하는 홀(15:HOLE)이 형성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판재(10)의 상부면에 홀(15)과 중심이 동일한 치형의 레일부(16)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16)에 고정자(50)의 지지부(51)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52)가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자(50)는 선단부가 홀(15)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반원으로 형성하여, 상기 홀(15)에 삽입되는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측면에 접하게 됨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컵홀더구조는, 홀더(15)에 삽입되는 컵의 외경에 따라 판재(10)의 상부에 형성된 치형의 레일부(16)에 설치된 걸림부(52)를 이동시키면 고정자(50)의 지지부(51)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자(50)가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선단부에 형성된 반원이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측면과 접하며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자(50)의 지지부(51)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52)가 판재(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부(16)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51)가 회동되며,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크기에 따라 고정자(50)의 선단부가 이동되어 각기 외경이 상이한 컵(CUP)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서,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내용물이 남아있는 음료수용기의 외경이 상한 경우에도, 상기 음료수용기를 차실에 설치된 컵홀더에 보관한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을 지지하는 홀의 상부면에 선단부가 반원으로 형성된 고정자가 이동되며 홀에 삽입되는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용기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서, 판재에 형성된 홀에 외경이 상이한 각종 음료수용기를 고정되게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판재(10)의 내부에 컵(20:CUP)이 지지되도록 하는 홀(15:HOLE)이 형성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재(10)의 상부면에 홀(15)과 중심이 동일한 치형의 레일부(16)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16)에 고정자(50)의 지지부(51)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52)가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50)는 선단부가 홀(15)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반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KR2019950020422U 1995-08-08 1995-08-08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KR0114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422U KR0114633Y1 (ko) 1995-08-08 1995-08-08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422U KR0114633Y1 (ko) 1995-08-08 1995-08-08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92U KR970008892U (ko) 1997-03-27
KR0114633Y1 true KR0114633Y1 (ko) 1998-04-20

Family

ID=1942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422U KR0114633Y1 (ko) 1995-08-08 1995-08-08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6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92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653A (en) Cup holder accessory
KR100513677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US4643342A (en) Dual drink holder for receipt on an automobile center console
KR100488859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14633Y1 (ko)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JPH1086734A (ja) 缶飲料またはコップ類のホルダー
JP3579523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US20050224509A1 (en) No-spill beverage-storage system for vehicle console
KR0115623Y1 (ko)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KR19980036070U (ko) 자동차용 컵홀더구조
KR0132040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19980052242U (ko) 자동차용 용기홀더구조
KR0138004Y1 (ko) 자동차용 다중 컵홀더
KR19980034720U (ko) 자동차의 콘솔 리드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170654Y1 (ko) 자동차컵홀더
KR19980062187A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KR19980048534U (ko) 자동차의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컵 홀더
KR0137825Y1 (ko) 캔홀더 겸용 컵홀더
KR19990003330U (ko) 차량용 컵홀더 장착구조
KR20010092496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21959Y1 (ko) 자동차에 설치하는 자동 잠금형 컵 홀더
KR10021218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9980044612U (ko) 자동차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