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484B1 -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484B1
KR100210484B1 KR1019960027125A KR19960027125A KR100210484B1 KR 100210484 B1 KR100210484 B1 KR 100210484B1 KR 1019960027125 A KR1019960027125 A KR 1019960027125A KR 19960027125 A KR19960027125 A KR 19960027125A KR 100210484 B1 KR100210484 B1 KR 10021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resin
vulcanization
chlorop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356A (ko
Inventor
문성엽
김광오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6002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484B1/ko
Publication of KR98000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5Abrasion, pilling or fibrillation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원단을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로 코팅하여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90 중량부에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 중량부를 배합시켜 제조된 토팅액으로 원단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가황특성 및 가황속도가 향상되고, 그에 따라 가황시간 단축되며 마모강도 및 고무 컴파운드의 가공분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황시스템을 가황제로 설계함으로써 마모강도등이 우수하고 가황특성 및 고무 컴파운드의 가공분산성이 향상되며 가황속도 향상으로 인한 가황시간 단축 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기관, 특히 자동차에는 충돌시 승객보호용 안전장치로서 에머백 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자동차의 핸들 또는 대시보드내에 장시간 보관되어져 있다가 자동차의 충돌시 질소개스의 주입으로 돌출팽창되어 승객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에어백은 주로 나일론 66 섬유를 원단으로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구체적으로 나이론 66 섬유로 원단 작물을 제직한 후 정련 및 예비세팅을 실시한 다음 내열성과 높은 공기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해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로 코팅한 것을 봉제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로 코팅된 에어백은 내열성이 불충분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보관시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에어백에 충분한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국내 특허 제 87768호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70~80 중량부에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20~30중량부를 배합시켜 제조된 코팅액으로 원단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방법에 의해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은 향상되지만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고무 블랜드에 의해 가황특성이 불량해지고 가황속도 및 마모도가 저하하며, 더욱이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고무브랜드의 배합비율에 있어서,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과량 투입으로 고무 블랜드 방법에 의한 컴파운드 제조시 분산 불량등으로 가공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으로, 마모강도등이 우수하고 가황특성이 향상되며 가황속도 및 고무 컴파운드의 가공분산성 향상으로 인해 가황시간 탁축 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편리하고 경제적인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에어백용 원단을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로 코팅하여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플로로프렌계 고무수지 90중량부에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 중량부를 배합시켜 제조된 코팅액으로 원단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가황을 위해 사용되는 가황촉진제, 가황제 등의 가황 시스템을 급속 가황계로 배합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코팅액을 원단에 코팅하고 코팅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네크워크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가황반응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가황은 통상적으로 스텐터(stenter) 등의 열풍가황기에 의해서 진행한다. 이때, 열공기가황과 같은 공정은 열용량이 작고 고무의 특성상 열전도도가 상당히 불량하기 때문에 열용량을 소화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가황불량이 일어나서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고, 또 가황증의 가열산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진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가확시스템을 급속 가황계로 배합설계 함으로써 가황속도 향상 및 가황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롤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고무 블랜드 배합비율에 있어서,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과량 투입에 의한 컴파운드 제조시의 분산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 컴파운드의 배합비를 90중량부로 올리고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 컴파운드의 배합비를 10중량부로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고무 컴파운드 혼련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사이에 상분리가 일어나 양극화 또는 몰림현상이 발생하고, 이와 반대로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에어백용 기포의 내열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배합비율은 90중량부 : 10중량부인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 코팅수지는 무니점도가 50~70인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100 중량부에 디페닐아민계 노화방지제 1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1 중량부, 과산화물 산화방지제 1 중량부,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랙 50 중량부, 가황제인 마그네시아 8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 중량부. 아미다졸린계 가황촉진제 0.5~5중량부, 티우함 가황촉진제 0.5~5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피디엠계 고무수지는 무니점도 53이고 에틸렌 대 프로필렌의 조성비율이 56 대 44인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략 10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나프텐계 오일 25 중량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 구아니딘계 가황촉진제 2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90 중량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 컴파운드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최동 용액점도가 300 포아즈인 에어백 코팅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나이프 또는 콤마코팅기로 에어백용 직물에 코팅한 다음, 통상의 방법대로 건조 및 가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가황 특성 및 가황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가황시간을 단축시키며 마모강도 및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가공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백용 기포는 내열성 등의 물성은 물론 작업공정성이 탁월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으로, 본 발명에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일론 66 420 데니어/70 필라멘드의 원사를 사용하여 직밀도 경위사 방향 각각 49×49본/인치를 제직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예비세트를 실시하여 에어백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코팅수지로는 무니점도가 60인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디페닐아민계 노화방지제 1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1 중량부, 과산화물 산화방지제 1 중량부,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랙 50 중량부, 마그네시아 8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 중량부, 이미다졸린계 가황촉진제 3 중량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를 투입하고 혼련하여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의 마스타(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무니점도가 53이고 에틸렌 대 프로필렌의 조성비율이 56 대 44인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랙 10 중량부, 산화아연 5중량부,나프틴계 오일 25 중량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 구아니딘계 가황촉진제 2중량부를 투입하고 혼련하여 이피디엠계 고무수지의 마스타배치(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90중량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최종 용액점도가 300포아즈인 에어백용 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나이프 또는 콤마코팅기를 이용하여 에어백용 직물을 상기 에어백용 코팅용액으로 1회 코팅한후, 100℃×3분간 건조하고 이를 다시 170℃×8분간 가황하여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에어백용 기포의 마모도, 마모후의 인장강신도, 및 장기내열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가황특성, 가황시간, 및 분산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백용 기포는 우수한 인장강신도, 가황특성, 마모도, 및 장기내열성을 시현하였다.
[실시예 2]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황시스템으로 이미다졸린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 및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를 투입하여 조성한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의 고무컴파운드를 코팅수지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에어백용 기포도 우수한 인장강신도, 가황특성, 마모도, 및 장기내열성을 시현하였다.
[비교예 1]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70 중량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30 중량부를 혼련하여 고무컴파운드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에어백용 기포도 우수하였으나 인장강신도, 가황특성, 및 마모도 모두 불량하였다.
[비교예 2]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80 중량부와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및 그의 고무컴파운드 20 중량부를 혼련하여 고무컴파운드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에어백용 기포는 장기내열성은 우수하였으나 인장강신도, 가황특성, 및 마모도 모두 불량하였다.
*물성 평가 방법*
(1) 마모후의 코팅원단을 강신도변화 및 장기내열성 평가 :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ASTM D 1682에 따라 평가
(2) 마모도 평가
* 기기 : 테이버 마모시험기(Taber Abrasion Tester)
* 시험법 : ASTM D 3389-85a Method B
* 마모도는 가황 원단의 코팅층을 마모시킨 후, 마모에 따른 중량 손실분을 mg으로 나타내었다. 가황이 충분하게 되었으면 중량손실이 적고 가황이 불량하면 중량손실이 크며 코팅층이 박리가 일어난다.
(3) 가황특성 : 몬산토(Monsanto)사의 모델명 MDR 2000인 큐어메터(Curemeter)로 온도 170℃, 공기압 60 psi, 이동 다이 주파수(Moving die Frequency) 100 cycles/minuts(1.66Hz) 오실레이션 진폭(Oscillation Amplitude)±1。의 측정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가황진행 정도는 토크값으로 나타내었는데, 가황속도는 가황시간이 단축되면 가황속도가 빠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가황진행 정도는 높은 토크값을 가지면 가황진행에 따른 가황된 분자구조가 네트워크 구조로 잘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T은 낮은 토크값이며, T는 높은 토크값이다.

Claims (3)

  1. 에어백용 원단을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로 코팅하여 에어백용 기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플로로프렌계 고무수지 90중량부에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 중량부를 배합시켜 제조된 코팅액으로 원단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요 기포의 제조방법.
  2.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가 무니점도가 50~70인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 100 중량부에 디페닐아민계 노화방지제 10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 1 중량부, 과산화물 산화방지제 1 중량부,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랙 50 중량부, 가황제인 마그네시아 8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 중량부. 아미다졸린계 가황촉진제 0.5~5중량부, 티우함 가황촉진제 0.5~5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3. 상기 이피디엠계 고무수지는 무니점도 53이고 에틸렌 대 프로필렌의 조성비율이 56 대 44인 이피디엠계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에이치 에이 에프 카본블략 10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나프텐계 오일 25 중량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1 중량부, 구아니딘계 가황촉진제 2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KR1019960027125A 1996-07-04 1996-07-04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KR10021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25A KR100210484B1 (ko) 1996-07-04 1996-07-04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25A KR100210484B1 (ko) 1996-07-04 1996-07-04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56A KR980008356A (ko) 1998-04-30
KR100210484B1 true KR100210484B1 (ko) 1999-07-15

Family

ID=1946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25A KR100210484B1 (ko) 1996-07-04 1996-07-04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84B1 (ko) * 2000-08-25 2006-12-15 주식회사 코오롱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용 원단,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82189T3 (es) * 2015-11-16 2020-09-11 Denka Company Ltd Modificador de la composición a base de caucho y vulcanizado y producto moldeado de composición de caucho que contiene el modificador de la composición a base de cauch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84B1 (ko) * 2000-08-25 2006-12-15 주식회사 코오롱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용 원단,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56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587B1 (en) Agricultural or industrial tire with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US5494091A (en) High modulus low hysteresis rubber compound for pneumatic tires
US5023301A (en) Polypropylene reinforced rubber
DE102010004455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utschuk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Bauteil eines Luftreifens
EP3513988B1 (en)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ith tread containing vegetable oil extended high tg styrene/butadiene elastomer and traction resin
EP3034577A1 (en) Tire with thermoplastic innerliner
CA1101578A (en) Thermoplastic vulcanizates of olefin rubber and polyolefin resin
CA2154635A1 (en) Halobutyl/solution polymerized sbr innerliner
EP2722361B1 (en) Preparation of silica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ith component thereof
KR100210484B1 (ko)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US3411970A (en) Formation of laminates of rubber and cord
DE602004001008T2 (de) Kautschukzusammensetzung für Reifen und Luftreifen, bei dem die Zusammensetzung verwendet wird
Sato Ionic crosslinking of carboxylated SBR
US3919130A (en) Tire tread compositions of improved wet skid resistance
JP2002088206A (ja) 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
JP3369301B2 (ja) ゴム組成物
EP4000956B1 (en) Rubber composition and tire containing vegetable oil extended styrene/butadiene elastomer and resin
KR100840345B1 (ko) 다공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타이어 언더트레드 고무조성물
JPS584611A (ja) タイヤ
KR102218440B1 (ko)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993023A (en)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a conjugated diolefin polymer and an ether of an alkanol and a phenol
JP397973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3247881A (en) Pneumatic tire tread containing a synthetic rubber, asphalt, and filler
KR19980035537A (ko) 에어백용 기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222912B1 (ko) 배합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