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349B1 -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349B1
KR100210349B1 KR1019970011615A KR19970011615A KR100210349B1 KR 100210349 B1 KR100210349 B1 KR 100210349B1 KR 1019970011615 A KR1019970011615 A KR 1019970011615A KR 19970011615 A KR19970011615 A KR 19970011615A KR 100210349 B1 KR100210349 B1 KR 10021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material
construction
construction member
coupling mea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402A (ko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101997001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34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개공부(11a)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10)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10)와, 상기 확개공부(11a)를 통과하고 협소부(12b)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21)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20)과, 상기 결합수단(20)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30)로 이루어져, 벽면(40)에 설치된 시공부재(10)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협소부(21b)에 위치하도록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에 결합하여서 된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내장재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장재를 교체시 해체 및 재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로는 목재 또는 인조대리석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내장재를 벽면에 시공하는 구조는 동일하다.
종래에는 내장재를 벽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내장재의 시공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사이즈를 갖고 모자이크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내장재를 정확한 위치에 시공되도록 하는데 숙련공이라고 하여도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시공후 여러번에 거친 보수작업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장재 시공구조에 있어서는 내장재를 교체시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내장재 제거작업과 내장재가 제거된 벽면의 보수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거된 내장재는 손상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장재를 벽면에 걸어 설치할 수 있는 시공부재를 이용한 내장재 시공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내장재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장재를 교체시 해체 및 재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확개공부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와, 상기 확개공부를 통과하고 협소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로 이루어져, 벽면에 설치된 시공부재의 확개공부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의 머리부가 협소부에 위치하도록 내장재를 시공부재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시공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는 는 본 발명의 시공부재에 있어서, 결합공의 모양을 보인 실시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내장재에 결합수단을 설치하는 방법을 보인 실시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공부재 11 : 결합공
11a : 확개공부 11b : 협소부
12 : 결합홈 13 : 결합돌부
14 : 인입공 20 : 결합수단
21 : 머리부 30 : 내장재
T : 이격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공부(11a)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10)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10)와, 상기 확개공부(11a)를 통과하고 협소부(11b)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21)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20)과, 상기 결합수단(20)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30)로 이루어져, 벽면(40)에 설치된 시공부재(10)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협소부(12b)에 위치하도록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에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시공부재(10)는 내장재(30)를 벽면(40)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사이즈를 갖는 단위부재로 제작되어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2)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부(13)에 의해 모자이크식으로 조립되어질 수 있으며, 시공부재(10)는 구멍(15)을 통해 못 등의 체결구(50)로 벽면(40)에 설치되어진다. 즉 하나의 시공부재(10)를 기준이 되는 위치에 체결구(50)로 고정시키고 다른 시공부재(10)를 결합홈(12)이 결합돌부(13)에 끼워지게 결합하는 것만으로 시공부재(10)를 정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공부재(10)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결합공(11)은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통과하는 확개공부(11a)와 이에 연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는 결합공(11)의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내장재(30)에 결합수단(20)을 시공부재(10)의 두께에 대응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하는 하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결합수단(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세팅시키는 판체(60)가 사용되어진다.
상기 판체(60)의 두께는 이격부(T)의 거리와 동일하며, 사이즈는 내장재(30)와 동일하고, 일정한 위치에 확개공부(61a)와 협소부(61b)로 이루어진 정위치공(6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판체(60)를 내장재(30)의 배면에 덮어놓고 협소부(61a)의 끝에 체결수단(20)을 머리부(21)가 판체(60)에 닿는 상태로 결합한후 판체(60)를 이동시켜 확개공부(61a)를 통해 머리부(21)가 빠지도록 함으로써 판체(60)를 제거하면 체결수단(20)의 머리부(21)는 내장재(30)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이격부(T)를 갖게 된다.
시공부재(10)를 벽면(40)에 원하는 상태로 설치한후 내장재(30)를 시공하려고 할 경우에는 내장재(3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이격부(T)를 갖는 체결수단(20)의 머리부(21)를 결합공(11)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우고 이격부(T)를 확개공부(11a)로부터 협소부(11b)로 이동시키게 되면 머리부(21)가 시공부재(20)의 배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시공부재(20)의 정면에는 내장재(30)가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장재(30)의 시공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시공부재(10)에 결합된 내장재(30)는 결합공(11) 및 결합수단(20)이 정위치에 있기 때문에 틀어질 염려없이 시공될 수 있으며, 내장재(30)의 시공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내장재(30)를 교체하려고 할 경우에는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확개공부(11a)에 위치하도록 한후 확개공부(11a)를 통해 빼냄으로써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로부터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내장재(30)의 교체 및 재시공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20)에 머리부(21)로 일정한부터 이격부(T)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지지판(22)을 형성하고 시공부재(10)에는 상기 지지판(22)이 끼워지는 인입공(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별도의 판체(6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확개공부(11a)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10)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10)와, 상기 확개공부(11a)를 통과하고 협소부(12b)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21)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20)과, 상기 결합수단(20)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30)로 이루어져, 벽면(40)에 설치된 시공부재(10)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협소부(12b)에 위치하도록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에 결합하여서 된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내장재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장재를 교체시 해체 및 재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3)

  1. 확개공부(11a)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10)와, 상기 확개공부(11a)를 통과하고 협소부(12b)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21)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20)과, 상기 결합수단(20)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30)로 이루어져, 벽면(40)에 설치된 시공부재(10)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협소부(12b)에 위치하도록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에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부재(10)를 일정 사이즈를 갖는 단위부재로 제작하여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2)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부(13)에 의해 모자이크식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수단(20)에 머리부(21)로 일정한부터 이격부(T)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지지판(22)을 형성하고 시공부재(10)에는 상기 지지판(22)이 끼워지는 인입공(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KR1019970011615A 1997-03-31 1997-03-31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KR10021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15A KR100210349B1 (ko) 1997-03-31 1997-03-31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15A KR100210349B1 (ko) 1997-03-31 1997-03-31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402A KR19980075402A (ko) 1998-11-16
KR100210349B1 true KR100210349B1 (ko) 1999-07-15

Family

ID=1950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615A KR100210349B1 (ko) 1997-03-31 1997-03-31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3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40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606B1 (ko) 패널 연결기구
US7624554B2 (en) Rail-type fix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anels
US2872804A (en) Tile constructions and mortarless mounting thereof
US3504470A (en) Tile mounting structures
KR100210349B1 (ko)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구조
KR101898213B1 (ko)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US6241370B1 (en) Molded chandelier listels and chandeliers incorporating same
KR970011235A (ko) 콘크리트 거푸집 변형방지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방법
KR101865564B1 (ko)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KR101005627B1 (ko) 원터치 클릭형 인테리어용 조립 판넬
US20040160070A1 (en) Drive-in housing halves for mounting a latch assembly in a door
KR200210940Y1 (ko) 구조물 조립 구조
FI87384C (fi) Anordning vid en vaegg
KR200326217Y1 (ko) 조립식 구조물
KR20050002406A (ko) 전시 부스용 패널
KR100926666B1 (ko) 파티션의 연결구조
KR200187914Y1 (ko) 조립식 벽체구조
KR830002617Y1 (ko) 중공(中空) 부재의 받침판 지지구조
KR200285779Y1 (ko) 파티션 체결구
KR100453235B1 (ko) 건축모형 키트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200196446Y1 (ko) 홑유리용 격자프레임과 그 체결구조
US20220243747A1 (en) Profile System for Intersecting Joints
KR200289684Y1 (ko) 욕실용 천장패널
KR101905388B1 (ko) 배수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