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73B1 -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73B1
KR100210273B1 KR1019930703434A KR930703434A KR100210273B1 KR 100210273 B1 KR100210273 B1 KR 100210273B1 KR 1019930703434 A KR1019930703434 A KR 1019930703434A KR 930703434 A KR930703434 A KR 930703434A KR 100210273 B1 KR100210273 B1 KR 10021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ool holder
screw
hold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라즈코 마이힉
Original Assignee
래근힐드 미히크
미르코나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101690A external-priority patent/SE9101690D0/xx
Application filed by 래근힐드 미히크, 미르코나 에이비이 filed Critical 래근힐드 미히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73B1/ko

Links

Landscapes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홀더가 주몸체부로 구성되고, 이 주몸체부에는 터릿몸체홈내로 수용되는 후방으로 뻗은 연장부(2)가 갖추어져 쐐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앞쪽에 뻗은 부위에는 경사져 배치된 돌출부(3)와, 삽입홀더의 위치를 제한하는 전면(5)을 갖추고 있는 한편 주몸체부의 제1경사면(6)에 접하여 홈(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7)은 전면과 평행한 벽과 이 벽에 수직한 바닥부로 구성되며, 제1경사면의 중앙쪽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8)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구멍(8)은 공구홀더에 제한되는 전면(5)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홈은 L자형상을 하면서 2개 혹은 그 이상의 다리부를 가진 클램핑(9)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 중 제1다리부(10)는 홈(7)의 폭과 거의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고, 제2다리부(11)에는 공구홀더를 위한 제2경사면(12)을 갖추면서 나사머리부와 접촉하고 제1다리부와 평행한 관통구멍(13)을 갖추는 한편, 상기 클램핑의 두 다리부사이에는 오목부(6)나 홈으로써 굽힘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발명의 기술적 분야]
본 발명은 터릿의 공구홀더 및 그와 유사한 곳에 사용되는 삽입홀더가 끼워지는 공구홀더나 또는 클램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구홀더내에서 터릿과 삽입홀더의 장착면이 물려지도록 된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에 알려진 클램핑 혹은 공구홀더는 베이스부내에서 분할되어 있는데, 이 베이스부는 공구 혹은 삽입홀더에 대해 터릿몸체와 돌리개의 홈내에 베이스부를 장착하도록 클림핑쐐기와 나사를 위한 접촉면을 갖추고 있는바, 공구홀더나 삽입홀더는 베이스부처럼 측부에 안내부위와 위치결정부위를 갖고 있으므로 서로가 맞물려 지도록 상기한 부분이 체결되는 중에 배치된 돌리개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 부분들이 접촉면에 대해 공구홀더를 가압하는 클램핑몸체를 견고하면서 조절가능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종래에는 터릿몸체의 홈내에서 쐐기작용을 하도록 된 연장부를 구비한 소정부위내에 만들어진 공구홀더를 갖추면서 레일내에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공구홀더를 장착하도록 홀더몸체내에 끼워지는 클램핑레일을 갖추고 있으며, 홀더의 반대선단은 적절한 홀더의 장착면에 접하게 되어 있다.
예컨데 독일특허 3 434 089와 영국특허 19851/1909에서는, 베이스부의 길게 연장된 홈내에 지지된 L자형상의 클램핑 한쪽 다리에 의해 공구홀더와 공구를 부분적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쪽 다리는 하나나 그이상의 나사에 의해 베이스부를 가압할 때 장착면에 대해 동일하게 가압하기 위해 공구홀더나 공구에 맞닿아 있도록 된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3 434 089호에는 공구홀더로 뻗은 다른쪽 다리부의 작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길게 연장된 홈과 접촉하는 클램핑의 다리부내에 형성된 슬롯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셋팅중에 나사가 베이스부의 홈을 따라 접촉선에 축 주위로 클램핑이 매달려 있어 약한 클램핑 다리부의 상응하는 축이 상기 약해진 홈의 바닥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는 공구홀더의 평면에 수직한 면 아래쪽 축의 위치와, 공구홀더의 자유선단에 맞닿은 공구홀더를 향해 힘을 가한다는 것으로, 공구홀더의 평면내에서 작용하는 부재와, 공구홀더로부터 홀더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에 미는 부재로 공구홀더선단에 대해 작용하는 힘을 분할하게 된다.
독일 특허공고 548 870호와 미국공개특허 4 545 705호에는 영국 개정 특허 19851에서와 유사한 배치가 보여지는데, 즉 클램핑이 홈내에 끼워지는 한쪽 다리부와 공구홀더나 공구에 맞닿는 다른쪽 다리부를 갖추고 있어, 이런 모든 경우에 클램핑은 공구나 공구홀더의 상부모서리를 통하여 평면 아래에 위치된 축주위에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복잡한 기계장치나 이와 유사한 장치를 사용치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공구홀더를 제공하고, 많은 부품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공구홀더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며, 클램핑이 접촉방향에 배치되어져 공구홀더의 클램핑이 가능한 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배치된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게 연장된 주몸체부에는 후방으로 뻗어있는 연장부와 전방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길이방향의 홈과 돌기 및 면을 갖추고 있는 바,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터릿몸체내서 삽입되면서 공지의 쐐기부재에 의해 터릿몸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삽입홀더가 제한되는 부위를 결정하는 외부전면과 연이어지면서 경사진 상부모서리를 갖추고 있고, 한편 전면의 바깥쪽으로 반대 선단에는 뒤쪽으로 경사져 배치된 면과 연이어서 홈이 접하여 있게 되며, 이 홈에는 전면과 평행한 벽과 이 벽에 수직인 바닥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뒤쪽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 있는 바, 이 구멍은 삽입홀더에 대해 외부로 인접한 면을 제한하는 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에는 L자형상의 클램핑이 두 개 혹은 그 이상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 클램핑은 길이방향 크기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바, 여기에는 두 개의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중 제1다리부는 주몸체부에 길게 연장된 홈에 폭과 상응하는 두께를 한쪽 끝에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인 제2다리부는 경사진 안쪽 접촉면을 갖추고서 제1다리부와 평행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면서 나사머리부가 접하는 경사져 배치된 나사안착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나사는 공구홀더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과 관통구멍을 통과하여서 경사진 나사안착면에서 제2다리부의 끝부위에 근접한 한 부위에만 필연적으로 맞닿게 될 것인 한편 클램핑의 두 다리부사이에 굽힘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면으로서,
제1도는 공구홀더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클램핑의 확대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부단면도.
제5도는 삽입홀더를 갖추고서 공구홀더상에 장착된 클램핑을 제1도와 제2도의 스케일과 동일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주된 부분은 공구홀더(1)로서, 밀링머신이나 그와 유사한 기계장치에 맞춰 금속편으로 제조되어 있으면서 특수한 형상을 하고 있는 바, 상기 공구홀더(1)에는 뒤쪽에 장착된 위치에서 터릿몸체 마주하게 될 면상에 길게 뻗은 연장부(2)가 있고 터릿몸체에서 홈내에 끼워질 삽입부를 형성하면서 연장부와 홈의 반대편 벽 사이에 끼워지는 공지의 도시되지 않은 쐐기부재에 의해 장착되게 된다.
공구홀더(1)의 앞쪽면에는 하부에 연장돌출부(3)가 있는데, 이 연장돌출부(3)에는 아래로 안쪽을 향해 경사진 상부경사면(4)이 삽입홀더에 대한 접촉면으로 작용하고 전면(5)은 상기 접촉면에 연이어져 삽입홀더를 위한 장착면의 두면이 점면과 함께 구획지워져 있는 바, 이 전면(5)은 후방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6)위에서 꺽이게 되고, 이 제1경사면(6)은 공구홀더의 연장면 위쪽에 배치된 홈(7)쪽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5)과 평행한 면들과, 이 면들과 직각을 이룬 바닥부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공구홀더(1)에는 전면(5)과 평행하면서 제1경사면(6)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나사구멍(8)이 적어도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구홀더의 각각에는 참조번호 9로 표기된 클램핑이 적어도 2개가 부착되는데, 각각의 클램핑은 필연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L자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추는 바, 바람직하게는 요구되는 단면이 봉형상으로서 기계에 의해 제조되고 이어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각각의 클램핑(9)에는 아래로 뻗은 제1다리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다리부(10)의 두께(A)는 홈(7)의 길이방향의 폭(B)과 거의 상응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제1다리부와 홈이 결합됨에 따라 클램핑의 정확한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이어 클램핑의 제2다리부(11)에는 외각부끝의 아래에 제2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제2경사면(12)은 삽입홀더의 모서리에 대응한 접촉면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제1다리부(10)와 평행한 관통구멍(13)을 갖추고 있고, 이 관통구멍(13)은 나사의 머리부가 들어가는 안착홈(14) 혹은 나사 접촉부와 연이어져 있어 상기 나사가 공구홀더의 나사산이 가공된 구멍(8)의 내부로 관통구멍(13)을 나사조임을 하게 되는데, 상기 안착홈이 기울어져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제2다리부의 외부쪽에 근접한 나사안착면(14a)이 반대쪽 나사안착면보다 높게 위치되어 나사의 머리부와 먼저 접촉하게 될것이고 나사와 맞닿는 접촉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다리부(10)와 제2다리부(11)의 사이에 있는 전환부(15)에는 두개의 다리부가 상관되게 움직이도록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터릿몸체홈에 공지의 방법으로 공구홀더의 주몸체부(1)를 장착한 후에 삽입홀더(S)가 장착되는데, 아래로 경사져 있는 상부모서리를 향해 삽입홀더의 하부면을 이용해 삽입홀더가 위치되어 전면(5)과 맞닿게 되고, 상기 제1다리부(10)가 홈(7)내에 끼워져 구멍(8)이 원하는 위치로 정렬되며 구멍(8)내로 나사가 체결되면서 클램핑(9)은 장착된다.
이어 나사머리부는 안착홈(14)의 나사안착부(14a)와 맞닿게 되고, 두 다리부 사이에 전환부(15)를 경계로 제2다리부(11)는 매달리게 되지만, 제2경사면(12)이 삽입홀더(S)와 접촉하게 되면서 상부모서리(4)를 향하여 하방으로 그리고 전면에 대해 안쪽으로 동시에 삽입홀더(S)를 누르게 될 뿐만 아니라 나사는 인장성을 갖게 되면서 제2다리부(11)를 더욱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관통구멍(13)이 나사를 수용하도록 적절히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다리부(11)가 처음 위치에서 약간 이격되더라도 나사몸체는 관통구멍을 통해 쉽게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다리부(10,11)사이의 전환부(15)는 형성된 오목부(16)로 인해 힌지기능을 하게 되고, 회전축은 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삽입홀더에 대한 충분한 가압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레버관계로 작용하게 되는 바, 한쪽의 연장된 레버 대한 버팀재로서 즉 전환부(15)가 삽입홀더의 상부선단에 수직한면과 제2다리부의 접촉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을 것이다.
또 나사의 인장력으로 인해 야기되면서 제2다리부의 끝부위와 삽입홀더 사이에 접촉점에서 작용하는 분기부는 삽입홀더의 평면과 전면에 평행한 부재와 거기에 수직하게 안쪽을 향하고 있는 부재로 나뉘어 질 수도 있음에 따라 나사를 조이게 되면 삽입홀더가 상부모서리에 대향하면서 동시에 공구홀더(1)의 전면(5)에 대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음은 물론 후술되는 청구범위내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공구홀더가 삽입홀더와 접하는 장착면을 갖추고, 이 삽입홀더에는 공구홀더와 접하는 접촉면이 한쪽면과 측부에 형성되며, 하나나 그 이상의 클램핑이 삽입홀더의 반대쪽 선단면에 접촉하게 되는 한편 상기 장착면과 떨어져 있는 공구홀더의 주몸체부(1)에는 길게 연장된 홈(7)이 형성되어 있어, 클램핑이 홈과 나사가 장착되는 구멍(8)사이에서 홈(7)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9)은 L자형상을 하면서 2개의 다리부를 갖추어 그 중 제1다리부(10)가 길이방향홈(7)내에 수용되고, 이어 제2다리부(11)가 관통구멍을 갖추면서 삽입홀더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된 자유선단을 갖추고 있도록 된 가요성 있는 L자형상 클램프를 갖춘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홈(7)과 이 홈(7)과 맞물리도록 된 클램핑(9)의 제1다리부(10)가 상호 조절됨에 따라 홈(7)내에 견고히 수용되고, 두다리부(10,11)사이의 전환부(15)가 다리부(10,11)의 상대적인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슬롯 혹은 오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다리부에 결합되는 나사를 위한 관통구멍(13)에는 나사의 머리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 나사안착면을 갖추고 안착홈이 제2다리부의 끝부위에 근접되어 있으면서 나사의 가압력이 집중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이어 상기 홈(7)과 맞물리는 제1다리부(10)와, 제2다리부의 선단에 있는 제2경사면, 나사안착면에 나사머리부위의 접촉면 및,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오목부(16)의 위치가 상호적으로 위치되어서 나사가 조여짐으로 인해 제2다리부(11)가 순차적으로 상부모서리(4)를 향하면서 작용력으로 삽입홀더의 선단과 접촉하고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상 클램프를 갖춘 공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부(11)의 관통구멍(13)을 갖춘 안착홈(14)이 관통구멍의 중심축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2다리부(11)의 선단과 근접한 나사안착홈(14a)이 반대편 보다 높게 위치됨과 더불어 공구홀더내에 나사의 머리부위가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상 클램프를 갖춘 공구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더(S)의 선단부위에 접촉되거나 맞닿는 제2다리부(11)의 제2경사면(12)이 기울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상 클램프를 갖춘 공구홀더.
KR1019930703434A 1991-06-04 1992-05-27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KR100210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101690A SE9101690D0 (sv) 1991-06-04 1991-06-04 Anordning vid verktygshaallare
SE9101690-7 1991-06-04
PCT/SE1992/000359 WO1992021466A1 (en) 1991-06-04 1992-05-27 Tool holder for clamping inserts, using a resilient l-shaped cl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0273B1 true KR100210273B1 (ko) 1999-07-15

Family

ID=2666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434A KR100210273B1 (ko) 1991-06-04 1992-05-27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2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9057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жущих пластин, изгиб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к нему,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я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в державке и державка
JPH0392206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DE69527622D1 (de) Werkzeughalter mit spanneinrichtung für schneideinsätzen mit offnungen
KR100643216B1 (ko) 클램핑 도구 홀더
EP0491669A2 (en) Cutting tool
KR101202224B1 (ko) 기계가공 공구용 공구 헤드
KR100557383B1 (ko) 칩 제거 가공용 공구와 클램프
GB2316346A (en) Endmill
US4669924A (en) Insert retaining apparatus
KR100210273B1 (ko) L자형상 클램핑을 갖춘 공구홀더
JPH11320248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工具
US4545705A (en) Insert retaining apparatus
JP2003039265A (ja) 工作物位置決め用治具
US4137000A (en) Cutting tool
US5829923A (en) Blade-type holder for clamping a cutting insert and an adapter for supporting the holder
US5538368A (en) Tool holder for clamping inserts, using a resilient L-shaped clamp
KR100402166B1 (ko) 스루어웨이식 볼 엔드밀
CA1194533A (en) Pressing device for keeping a detail inserted in a hole
EP0402854A3 (en) Tool with clamped insert
KR100593467B1 (ko) 체결력이 향상된 홀더 및 인서트
JPS6125922Y2 (ko)
JP3694846B2 (ja) 配線器具取付枠
GB2030904A (en) Boring tool
JPS5937986A (ja) ミシンの針止具
KR860003332Y1 (ko) 네크 스크류용 호울더 및 소켓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